KR20200090875A -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875A
KR20200090875A KR1020207018235A KR20207018235A KR20200090875A KR 20200090875 A KR20200090875 A KR 20200090875A KR 1020207018235 A KR1020207018235 A KR 1020207018235A KR 20207018235 A KR20207018235 A KR 20207018235A KR 20200090875 A KR20200090875 A KR 2020009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glass
belt
strip
width direction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5597B1 (ko
Inventor
슈사쿠 타마무라
코이치 모리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32Controlling transverse register of web
    • B65H23/0324Controlling transverse register of web by acting on lateral regions of the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0Advancing webs by a feed band against which web is held by fluid pressure, e.g. suction or air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32Controlling transverse register of web
    • B65H23/038Controlling transverse register of web by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35Rib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45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top-side transfer or supporting devices, e.g. lifting or conveying using suction
    • C03B35/147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top-side transfer or supporting devices, e.g. lifting or conveying using suction of the non-contact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C03B35/18Construction of the conveyor rollers ; Materials, coatings or coverings thereof
    • C03B35/187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both flat and bent sheets or ribbons, i.e. rollers of adjustable curv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on a fluid support bed, e.g. on molten metal
    • C03B35/2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on a fluid support bed, e.g. on molten metal on a gas support bed
    • C03B35/246Transporting continuous glass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belts an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6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 B65H2301/4461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by blowing air towards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2Cross section profile
    • B65H2404/222Flat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8Other properties of belts
    • B65H2404/281Other properties of belts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7Forming glass sheets combined with thermal conditioning of th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Advancing Web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은 띠형상 유리(G)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띠형상 유리(G)에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어닐 공정과, 어닐 처리가 실시된 띠형상 유리(G)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과, 냉각 후의 띠형상 유리(G)의 이송방향을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 공정과, 방향 전환한 후의 띠형상 유리(G)를 가로방향 반송부(7)로 지지해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는 가로방향 반송 공정을 구비하고, 가로방향 반송 공정에 있어서, 가로방향 반송부(7)에 의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에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힘으로서의 제1추진력(F1,F1')을 부여하면서, 띠형상 유리(G)를 가로방향으로 반송하고, 제1추진력(F1,F1')을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중앙에 부여되는 제2추진력(F2)보다도 크게 했다.

Description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등으로 띠형상 유리를 성형한 후, 띠형상 유리의 이송방향을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에 사용되는 판유리에 있어서는 경량화에의 요청이 높아짐에 따라 박판화가 추진되고 있고, 그 두께가 300㎛ 이하, 또는 200㎛ 이하로까지 박판화된 유리 필름이 개발, 제조되기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필름형상의 유리(띠형상 유리)는 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대표되듯이, 띠형상 유리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성형한 띠형상 유리를 하강시키면서 띠형상 유리에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어닐 공정과, 어닐 처리가 실시된 띠형상 유리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과, 냉각된 띠형상 유리의 이송방향을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 공정과, 방향 전환한 띠형상 유리를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는 가로방향 반송 공정을 구비하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닐 공정이나 냉각 공정을 거친 후, 띠형상 유리의 이송방향을 가로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그 후의 띠형상 유리에 대한 처리(절단 처리, 권취 처리 등)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 방법을 채용했을 경우, 띠형상 유리는 그 얇기(두께 치수가 작지만) 때문에, 여러가지 외적 요인에 의해, 하강 중에 표면과 이면 중 어느 일방측이 볼록, 타방측이 오목하게 되는 만곡 변형을 발생하고, 또한 그 만곡 변형의 방향(요철의 방향)이 짧은 주기로 교체되는 일이 있다. 이렇게 하강 중의 띠형상 유리의 자세가 불안정하면 방향 전환 공정에 도입될 때의 띠형상 유리의 자세도 일정하지 않고, 이 때의 자세에 기인해서 띠형상 유리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띠형상 유리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이 종류의 파손은 제조라인의 장기정지를 초래하고, 또 제조라인의 가동 재개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띠형상 유리의 생산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띠형상 유리의 표리면이 되는 제1 및 제2주표면 중, 가로방향 반송 공정에서 위를 향하는 제1주표면의 측이 폭방향에서 오목하게 되도록 띠형상 유리를 만곡 변형시킨 상태에서, 띠형상 유리를 방향 전환 공정에 도입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제1주표면의 측이 폭방향에서 오목하게 되도록 띠형상 유리를 만곡 변형시키기 위해서, 띠형상 유리의 성형시에 띠형상 유리의 양면간에 온도차를 부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렇게 띠형상 유리를 방향 전환 공정에 도입할 때, 의도적으로 제1주표면의 측이 폭방향에서 오목하게 되는 만곡 형상으로 함으로써, 방향 전환시에 띠형상 유리에 생기는 응력집중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방향 전환을 위해서 띠형상 유리를 구부렸다해도 이것에 의한 띠형상 유리의 파손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13324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띠형상 유리의 성형시에 띠형상 유리의 양면간에 온도차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온도조정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조과정에 있어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의 발생을 종래보다도 간편하게 방지해서 띠형상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기술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즉, 이 제조 방법은 띠형상 유리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띠형상 유리에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어닐 공정과, 어닐 처리가 실시된 띠형상 유리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과, 냉각 후의 띠형상 유리의 이송방향을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 공정과, 방향 전환한 후의 띠형상 유리를 가로방향 반송부로 지지해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는 가로방향 반송 공정을 구비한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가로방향 반송 공정에 있어서,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제1추진력을 부여하면서 띠형상 유리를 가로방향으로 반송하고, 이 제1추진력을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제2추진력보다도 크게 한 점을 갖고 특징지어진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가로방향」은 수평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마찬가지로, 「세로방향」은 연직방향과, 연직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폭방향 양측」이란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단 위치로부터 띠형상 유리의 전체 폭방향 치수의 5% 이상이며 또한 10% 이하까지의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폭방향 중앙」이란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제외한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띠형상 유리의 하강시가 아닌 방향 전환 후의 가로방향 반송시에 착안하여,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제1추진력을 부여하면서 띠형상 유리를 가로방향으로 반송하고, 또한 이 제1추진력을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제2추진력보다도 크게 했다. 이렇게,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힘을 소정의 양태로 폭방향으로 분포시킴으로써, 방향 전환 공정에 도입되는 띠형상 유리의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이면, 예를 들면 가로방향 반송부의 지지 형태나 구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폭방향의 분포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방향 전환시에 띠형상 유리에 생기는 응력집중을 간편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해서 띠형상 유리의 파손을 가급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2추진력이 실질적으로 제로이어도 좋다.
이렇게,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에 부여되는 제2추진력을 실질적으로 제로로 함으로써 그 만큼,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부여되는 제1추진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을 종래보다도 증대시키지 않아도 만곡 변형의 방지에 효과적인 추진력의 폭방향 분포(추진력으로서의 폭방향의 분포 하중)를 띠형상 유리에 부여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방향 전환 공정에 도입되는 띠형상 유리의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가로방향 반송부가 벨트에 개구한 구멍부로부터 상방으로 기체를 분사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의 적어도 폭방향의 일부를 벨트로부터 부상시키는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로서, 벨트 중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는 구멍부가 없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구멍부가 없는」이란 기체를 분사 가능한 구멍부가 벨트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뿐만 아니라, 기체를 분사할 수 없도록 구멍부가 막혀져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렇게, 가로방향 반송부를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로 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의 주표면 중 특히 품질 보증면이 되는 폭방향 중앙을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뜨게 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한편, 벨트 중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는 기체 분사용 구멍부가 없는 구조로 했으므로, 띠형상 유리 중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벨트와 접한다. 그 때문에 띠형상 유리를 전체적으로 만곡이 없는 평탄한 자세로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을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반송 추진력을 용이하게 소망의 양태로 폭방향으로 분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 반송부가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벨트 중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 테이프가 붙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의 구멍부가 막혀져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벨트 전역에 걸쳐 기체 분사용 구멍부를 형성한 구조의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면서, 그 폭방향 양측만 구멍부가 없는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용이하게 상기 반송 추진력을 소망의 양태로 폭방향으로 분포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 중 테이프가 붙여진 부분에 대해서는 테이프의 두께 치수의 분만큼 띠형상 유리의 지지 위치가 높아지므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을 띄우면서 폭방향 양측에서 지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가 붙여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테이프에 벨트보다도 띠형상 유리에 대해서 높은 마찰력을 나타내는 테이프를 사용해도 좋다.
이렇게, 벨트보다도 띠형상 유리에 대해서 높은 마찰력을 나타내는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 보다 큰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의 마찰력이 생긴 쪽이 폭방향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부여되는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의 편차가 작아지기 쉽다. 또한, 이 경우에는 벨트에 띠형상 유리와의 마찰력이 작은(미끄러지기 쉬운) 재질의 벨트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령 품질 보증면이 되는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이 벨트와 접촉해도 피접촉면이 손상될 우려는 낮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가로방향 반송부가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와,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상방에 배치되고, 벨트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하는 협지용 롤러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가로방향 반송부에 폭방향의 일부에 기체 분사용 구멍부가 없는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와, 이 컨베이어의 벨트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하는 협지용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 더욱 큰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확실하게 띠형상 유리의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벨트 컨베이어와 롤러로 띠형상 유리를 협지하므로, 띠형상 유리의 가로방향으로의 원활한 반송을 저해할 우려도 없다.
또한 가로방향 반송부가 협지용 롤러를 갖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중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 테이프가 붙여져 있고, 또한 협지용 롤러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테이프의 위로부터 누름으로써 테이프를 개재해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용 롤러와 벨트로 협지해도 좋다.
이렇게, 테이프를 개재해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용 롤러와 벨트로 협지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더욱 강고하게 협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 더욱 큰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더욱 확실하게 띠형상 유리의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로방향 반송부가 협지용 롤러를 갖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띠형상 유리가 폭방향 중앙을 포함하는 두께 치수가 폭방향에서 일정한 평탄부와, 평탄부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평탄부보다도 두께 치수가 큰 에지부로 이루어지고,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 중 에지부를 제외한 영역을 협지용 롤러와 벨트로 협지해도 좋다.
이렇게, 띠형상 유리가 두께부분이 되는 에지부를 그 폭방향 양측(평탄부의 폭방향 외측)에 갖는 경우, 폭방향 양측 중 에지부를 제외한 영역, 바꿔 말하면, 에지부보다도 폭방향 내측의 영역을 협지용 롤러와 벨트로 협지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협지하면, 두께 치수가 안정되지 않는 에지부를 협지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띠형상 유리의 협지 양태가 안정적이다. 따라서, 협지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에 부여되는 제1추진력의 크기를 안정시킬 수 있어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보다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즉, 이 제조 장치는 띠형상 유리를 성형하는 성형부와, 띠형상 유리에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어닐 처리부와, 어닐 처리를 실시한 띠형상 유리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냉각 후의 띠형상 유리의 이송방향을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와, 방향 전환한 후의 띠형상 유리를 지지해서 띠형상 유리를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는 가로방향 반송부를 구비한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가로방향 반송부는 벨트에 개구한 구멍부로부터 상방으로 기체를 분사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의 적어도 폭방향의 일부를 벨트로부터 부상시키는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로서, 벨트 중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 구멍부가 없는 점을 갖고 특징지어진다.
이렇게, 가로방향 반송부를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로 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을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뜨게 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한편, 벨트 중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는 기체 분사용 구멍부가 없는 구조로 했으므로, 띠형상 유리 중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벨트와 접한다. 그 때문에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에 대해서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힘(제2추진력)을 실질적으로 제로로 하면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상응의 힘(제1추진력)을 부여하면서 띠형상 유리를 가로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부여되는 제1추진력을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에 부여되는 제2추진력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에 부여되는 상기 반송 추진력을 소정의 양태로 폭방향으로 분포시킬 수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 공정에 도입되는 띠형상 유리의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의 구조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띠형상 유리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의 폭방향의 분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도 간편하게 만곡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방향 전환시에 띠형상 유리에 생기는 응력집중을 간편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해서 띠형상 유리의 파손을 가급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벨트 중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 테이프가 붙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의 구멍부가 막혀져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벨트 전역에 걸쳐 기체 분사용 구멍부를 형성한 구조의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면서, 그 폭방향 양측만 구멍부가 없는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용이하게 상기 반송 추진력을 소망의 양태로 폭방향으로 분포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 중 테이프가 붙여진 부분에 대해서는 테이프의 두께 치수의 분만큼 띠형상 유리의 지지 위치가 높아지므로,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을 띄우면서, 폭방향 양측에서 지지하기 쉬워진다.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과정에 있어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의 발생을 종래보다도 간편하게 방지해서 띠형상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의 요부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로 띠형상 유리를 반송했을 때에,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띠형상 유리에 부여되는 반송력의 폭방향의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식의 벨트 컨베이어로 띠형상 유리를 반송했을 때에,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띠형상 유리에 부여되는 반송력의 폭방향의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의 요부 B-B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도 1∼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로부터 띠형상 유리를 성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1)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조 장치(1)는 소위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로부터 띠형상 유리(G)를 성형하는 위한 것으로, 용융 유리(Gm)를 띠형상으로 성형해서 띠형상 유리(G)를 얻는 성형부(2)와, 서랭로(3) 내에서 띠형상 유리(G)에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어닐 처리부(4)와, 어닐 처리가 실시된 띠형상 유리(G)를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실온 부근으로까지 냉각하는 냉각부(5)와, 냉각 후의 띠형상 유리(G)의 이송방향을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6) 및 방향 전환 후의 띠형상 유리(G)를 지지해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는 가로방향 반송부(7)를 주로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1)는 가로방향으로 반송된 띠형상 유리(G)를 롤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부(8)와, 권취부(8)보다도 띠형상 유리(G)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띠형상 유리(G)를 폭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절단부(9)를 더 구비한다. 이하, 가로방향 반송부(7)를 중심으로 상세를 설명한다.
성형부(2)는 그 내부에 단면 대략 쐐기형상의 외표면 형상을 갖는 성형체(10)를 갖고, 도시하지 않은 용융 가마에서 용융된 유리(용융 유리(Gm))를 성형체(10)에 공급함으로써 용융 유리(Gm)가 성형체(10)의 정상부(10a)로부터 넘쳐 나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는 성형체(10)의 단면 쐐기형상을 나타내는 양측면(10b)을 따라 하단에서 합류함으로써 용융 유리(Gm)로부터 띠형상 유리(G)가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어닐 처리부(4)는 주로 서랭로(3)를 갖고, 성형부(2)의 하방에 설치된다. 서랭로(3)의 내부공간(3a)은 서랭로(3) 내에서의 띠형상 유리(G)의 이송방향, 즉 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온도구배를 갖고 있고, 이 내부공간(3a)을 통과하는 띠형상 유리(G)를 이송방향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온도가 낮아지도록 서랭하여 내부 변형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내부공간(3a)의 온도구배는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서랭로(3)의 내면에 설치한 가열 장치 등의 온도 조정 장치에 의해 적당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어닐 처리부(4)(서랭로(3) 내)에는 띠형상 유리(G)에 양면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1세트 또는 복수 세트의 롤러(11)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세트의 롤러(11)가 서랭로(3) 내에 배치된 성형체(10)의 하방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1세트 또는 복수 세트의 롤러(11)는 예를 들면 띠형상 유리(G)를 냉각하면서 폭방향의 수축을 규제함과 아울러, 띠형상 유리(G)를 하방으로 연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부(5)에 띠형상 유리(G)에 양면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1세트 또는 복수 세트(도시예에서는 3세트)의 롤러(12)가 설치된다. 이들 1세트 또는 복수 세트의 롤러(12)는 예를 들면 띠형상 유리(G)의 하방향으로의 이송(반송)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다.
방향 전환부(6)는 띠형상 유리(G)의 이송방향(여기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호상의 궤적을 그리고 있다)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13)를 갖는다. 이들 복수의 롤러(13)의 일부 또는 전부가 띠형상 유리(G)에 접촉한다. 또, 각 롤러(13)는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전역에 걸쳐 신장되어 있어도 좋고, 폭방향의 일부영역에서 접촉하도록 그 길이방향 치수나 길이방향 위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가로방향 반송부(7)는 방향 전환부(6)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방향 전환한 후의 띠형상 유리(G)를 지지해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유리(G)의 적어도 폭방향 양측을 지지하는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14)로 구성된다. 이 벨트 컨베이어(14)는 무단벨트(15)과, 무단벨트(15)를 구동시키는 구동 롤러(16)를 갖는다. 또한 무단벨트(15)에는 도 2에 나타내듯이 다수의 구멍부(17)가 개구하고 있고, 무단벨트(15)의 내주에 설치된 기체 공급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기체(V)가 상향으로 분사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구멍부(17)를 개재해서 무단벨트(15) 상에 기체(V)를 분사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무단벨트(15)의 외표면의 폭방향 양측에는 테이프(18)가 무단상으로 붙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4) 상에 도입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이 테이프(18)와 접한다(도 2를 참조). 무단벨트(15)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부(17) 중 무단벨트(15)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된 구멍부(17)는 테이프(18)에 의해 막혀져 있다. 따라서, 테이프(18)와 접하는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도 2를 참조)에는 기체(V)의 분사 공급에 의한 부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또, 테이프(18)에는 임의의 종류의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띠형상 유리(G)와의 마찰력을 고려해서 그 재질(특히 표면의 재질), 두께 등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무단벨트(15)에 비해서 띠형상 유리(G)에 대한 마찰력이 높은 테이프가 사용된다. 또는 (무단벨트(15)보다도) 내열성이 우수한 테이프가 사용된다. 이들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테이프로서, 유리섬유 테이프를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단벨트(15)의 폭방향 양측에 2개의 테이프(18,18)가 붙여져 있지만(도 2를 참조), 이들 2개의 테이프(18,18)는 모두 같은 종류의 테이프이어도 좋고, 다른 종류의 테이프이어도 좋다. 요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4)에 의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힘(도 3에 나타내는 제1추진력(F1,F1'))의 크기가 같다는 한정 하에 각 테이프(18,18)의 선정은 임의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1)를 사용한 띠형상 유리(G)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본 발명의 작용 효과와 함께 설명한다.
우선,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1)의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성형부(2)의 내부에 설치된 성형체(10)에 도시하지 않은 용융 가마에서 용융된 유리(용융 유리(Gm))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듯이 용융 유리(Gm)가 성형체(10)의 정상부(10a)로부터 넘쳐 나옴과 아울러, 성형체(10)의 단면 쐐기상을 나타내는 양측면(10b)을 따라 하단에서 합류하고, 용융 유리(Gm)가 띠형상을 이루는 띠형상 유리(G)로 성형된다(성형 공정).
성형부(2)에서 성형된 띠형상 유리(G)는 그대로 하방으로 유하하고, 성형부(2)의 하방에 위치하는 어닐 처리부(4)의 서랭로(3) 내에 이른다. 그리고, 서랭로(3)의 내부공간(3a)을 소정의 이송방향(여기에서는 하방)을 따라 진행하면서 띠형상 유리(G)는 서랭되어 가고, 그 잔류변형이 제거된다(어닐 공정).
또한 어닐 공정 동안, 띠형상 유리(G)는 서랭로(3)의 내부공간(3a)에 설치된 1세트 또는 복수 세트의 롤러(11)에 의해 하방향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보내어진다. 이 때, 이들 1세트 또는 복수 세트의 롤러(11)는 예를 들면 띠형상 유리(G)를 냉각하면서 폭방향의 수축을 규제함과 아울러, 띠형상 유리(G)를 하방으로 연신한다. 이 결과, 어닐 공정(또는, 또한 냉각 공정)을 거친 띠형상 유리(G)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폭방향 중앙을 포함하는 두께 치수가 폭방향에서 일정한 평탄부(Ga)와, 평탄부(Ga)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평탄부(Ga)보다도 두께 치수가 큰 에지부(Gb)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여기에서, 띠형상 유리(G)의 평탄부(Ga)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는 예를 들면 3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또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치수는 예를 들면 4000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mm 이하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띠형상 유리(G)는 방향 전환부(6)에 도입되고, 방향 전환부(6)를 구성하는 복수의 롤러(13)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그 이송방향을 전환한 후, 가로방향 반송부(7)를 향해서 반출된다(방향 전환 공정).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띠형상 유리(G)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지면서 복수의 롤러(13)에 의해 반송됨으로써 띠형상 유리(G)의 이송방향이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도시예에서는 연직하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가로방향으로 이송방향을 전환한 띠형상 유리(G)가 가로방향 반송부(7)로서의 벨트 컨베이어(14) 상에 도입되면 띠형상 유리(G)의 적어도 폭방향 양측에 벨트 컨베이어(14)로부터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힘으로서의 제1추진력(F1,F1')(도 3을 참조)이 부여되고,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G)는 계속해서 가로방향으로 반송된다(가로방향 반송 공정).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컨베이어(14)의 무단벨트(15)에 다수의 구멍부(17)가 개구되어 있고, 무단벨트(15)를 통과해서 기체(V)를 상향으로 분사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14) 상에 띠형상 유리(G)가 도입되면, 도시하지 않은 기체 공급 장치에 의해 소정의 기체(V)가 구멍부(17)를 개재해서 무단벨트(15) 상의 띠형상 유리(G)에 분사 공급된다. 여기에서, 무단벨트(15)의 폭방향 양측에는 테이프(18,18)가 붙여져 있으므로, 무단벨트(15) 중 테이프(18,18)가 붙여져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 구멍부(17)를 개재하고, 기체(V)가 띠형상 유리(G)의 평탄부(Ga)에 대해서 상향으로 분사 공급된다(도 2를 참조).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중앙(여기에서는 평탄부(Ga)의 일부)이 무단벨트(15)로부터 부상한 상태에서, 에지부(Gb)를 포함하는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이 벨트 컨베이어(14)에 의해 지지되어 띠형상 유리(G)가 가로방향으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가로방향 반송부(7)로서의 벨트 컨베이어(14)에 의해 띠형상 유리(G)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력의 폭방향 분포에 대해서 고찰한다. 도 4는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해서 준비한 종래식의 벨트 컨베이어(114)로 띠형상 유리(G)에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추진력의 폭방향으로의 분포 양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11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14)와 마찬가지로, 띠형상 유리(G)와 접하는 무단벨트(115)를 갖고, 무단벨트(115)에는 다수의 구멍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14)와 같이, 무단벨트(115)에 형성한 다수의 구멍부(17)의 일부(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과 접하는 부분)가 막혀져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띠형상 유리(G)의 반송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기체 공급 장치로부터 상향으로 기체(도시 생략)를 분사 공급한 경우, 띠형상 유리(G)는 전체적으로 상향의 부력을 받지만, 그 폭방향 중앙과 폭방향 양측에서, 또는 폭방향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부력의 대소를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무단벨트(115)와의 접촉에 의해 띠형상 유리(G)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이 안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듯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중앙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제2추진력(F2))보다 폭방향 일방측 또는 타방측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F1,F1'))의 쪽이 작은 경우가 있다. 이것에서는, 띠형상 유리(G)의 만곡 변형 양태가 안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듯이, 방향 전환 전의 띠형상 유리(G)에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 정확하게는 가로방향 반송시에 위를 향하는 제1주표면(Gc)이 볼록하게, 아래를 향하는 제2주표면(Gd)이 오목하게 되는 만곡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생긴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가로방향 반송부(7)(부상식의 벨트 컨베이어(14))에 의하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무단벨트(15) 중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는 기체 분사용 구멍부(17)가 없는(테이프(18)에 의해 막혀진) 구조로 했으므로, 띠형상 유리(G) 중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무단벨트(15)와 접한다. 한편,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중앙에 대해서는 무단벨트(15)의 구멍부(17)를 개재해서 상향으로 기체(V)가 분사 공급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14)로부터 뜨게 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띠형상 유리(G)를 전체적으로서는 만곡이 없는 평탄한 자세로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벨트 컨베이어(14)에 의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에 상응한 크기를 갖는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F1,F1'))을 부여하면서, 띠형상 유리(G)를 가로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14)에 의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중앙에 부여되는 제2추진력(F2)은 실질적으로 제로가 되므로, 이 제2추진력(F2)보다도 제1추진력(F1,F1')을 확실하게 크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벨트 컨베이어(14)에 의해 띠형상 유리(G)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을 소정의 양태로 폭방향으로 분포시킬 수 있으면, 방향 전환부(6)에 도입되는 띠형상 유리(G)의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도 4에 나타내는 방향의 만곡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로방향 반송부(7)에 의해 띠형상 유리(G)에 부여되는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F1,F1'), 제2추진력(F2))이면, 예를 들면 가로방향 반송부(7)의 지지 형태나 구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폭방향의 분포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방향 전환시에 일어날 수 있는 띠형상 유리(G)의 응력집중을 간편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해서 띠형상 유리(G)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무단벨트(15)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부(17) 중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구멍부(17)를 테이프(18)(보다 바람직하게는 무단벨트(15)보다도 띠형상 유리(G)에 대한 마찰력이 높은 테이프(18))에 의해 막은 형태를 취함으로써,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에 부여되는 제1추진력(F1,F1')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추진력(F2)과 제1추진력(F1,F1')의 차를 벌려서 하강 중의 띠형상 유리(G)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과는 역방향의 만곡 변형, 즉 도 3에 나타내듯이 가로방향 반송시에 위를 향하는 제1주표면(Gc)이 오목하게, 아래를 향하는 제2주표면(Gd)이 볼록하게 되는 만곡 변형을 적극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띠형상 유리(G)의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가로방향 반송부(7)에 의해 가로방향의 반송력이 부여된 띠형상 유리(G)는 가로방향 반송부(7)보다도 띠형상 유리(G)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권취부(8)에 의해 롤상으로 권취된다(도 1을 참조). 또한 권취부(8)보다도 띠형상 유리(G)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절단부(9)에 의해, 띠형상 유리(G)가 그 폭방향을 따라 절단된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G)를 롤상으로 권취해서 이루어지는 유리 필름롤(Gr)이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술한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1)는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어서 임의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21)의 종단면도이다. 이 제조 장치(21)는 가로방향 반송부(22)에 대해서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1)와 다른 구성을 이룬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방향 반송부(22)는 부상식의 벨트 컨베이어(14)와, 이 벨트 컨베이어(14)의 상방에 위치하고, 벨트 컨베이어(14)로 띠형상 유리(G)를 협지 가능한 1세트 또는 복수 세트(도 5에서는 5세트)의 협지용 롤러(23,23)를 갖는다. 이들 1세트 또는 복수 세트의 협지용 롤러(23,23)는 도 6에 나타내듯이 무단벨트(15) 상에 도입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 가능하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폭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다. 또한 무단벨트(15)(벨트 컨베이어(14))와의 연직방향 이간 거리가 띠형상 유리(G)의 협지력에 영향을 주는 것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이들 1세트 또는 복수 세트의 협지용 롤러(23,23)의 연직방향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보다 적극적으로 협지력을 조정할 목적으로 하방으로 압압 가능하도록 이들 협지용 롤러(23,23)를 구성하고, 또한 하방으로의 압압력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무단벨트(15)의 폭방향 양측에 붙여진 테이프(18)의 상방에 상기 협지용 롤러(23,23)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협지용 롤러(23,23)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각각 테이프(18,18)의 위로부터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협지용 롤러(23,23)와 테이프(18,18)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 중 평탄부(Ga)에 비해서 두께 치수가 큰 에지부(Gb)를 제외한 영역을 협지 가능한 위치에 상기 협지용 롤러(23,23)가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띠형상 유리(G)의 평탄부(Ga) 중 에지부(Gb)에 가까운 부분을 상기 협지용 롤러(23,23)와 테이프(18,18)로 협지할 수 있도록 상기 협지용 롤러(23,23)의 폭방향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로방향 반송부(22)에 의하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해서 상기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도 3에 나타내는 제1추진력(F1,F1'))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에 부여되는 제1추진력(F1,F1')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보다 확실하게 띠형상 유리(G)의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벨트 컨베이어(14)와 협지용 롤러(23)로 띠형상 유리(G)를 협지하면서 띠형상 유리(G)를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므로, 띠형상 유리(G)의 가로방향으로의 원활한 반송을 저해할 우려도 없다.
또한 무단벨트(15)에 붙인 테이프(18,18)와 협지용 롤러(23,23)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도 6을 참조),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더욱 강고하게 협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에 대해서 더욱 큰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제1추진력(F1,F1'))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더욱 고확률로 띠형상 유리(G)의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 중 평탄부(Ga)에 속하는 부분을 협지용 롤러(23,23)와 무단벨트(15)로 협지하도록 했다. 이렇게, 두께 치수가 안정되지 않은 에지부(Gb)를 피해서 두께 치수가 일정한 평탄부(Ga)를 협지함으로써, 띠형상 유리(G)의 협지 양태가 안정된다. 따라서, 협지함으로써 띠형상 유리에 부여되는 제1추진력(F1,F1')의 크기를 안정시킬 수 있고, 띠형상 유리(G)의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의 만곡 변형을 보다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18,18)를 개재해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무단벨트(15)와 협지용 롤러(23,23)로 협지한 경우를 예시했지만(도 6을 참조), 테이프(18,18)의 개재는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무단벨트(15)의 구멍부(1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협지용 롤러(23,23)로 직접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18,18)의 부착에 의해, 무단벨트(15)의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과 접하는 부분의 구멍부(17)를 막은 경우를 예시했지만(도 2, 도 6을 참조), 물론 테이프(18,18) 이외의 수단으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과 접하는 부분의 구멍부(17)를 막도록 해도 좋다. 또는 처음부터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과 접하는 부분에 구멍부(17)가 없고, 상기 폭방향 양측과 접하는 부분 이외에 구멍부(17)를 형성한 무단벨트(15)를 준비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 유리(G)에 대한 가로방향의 반송 추진력(주로 제1추진력(F1,F1'))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무단벨트(15)에 비해서 띠형상 유리(G)에 대한 마찰력이 높은 테이프(18,18)를 무단벨트(15)에 붙이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반송 추진력 향상을 위한 수단은 이것만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무단벨트(15) 중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과 접하는 부분에 구멍부(17)가 없는 것을 준비하고, 이 구멍부(17)가 없는 부분에 조면화 가공을 실시함으로써도, 제1추진력(F1,F1')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로방향 반송부(7)가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치수보다도 큰 폭방향 치수의 무단벨트(15)를 갖고, 무단벨트(15)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지지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14)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물론 가로방향 반송부(7)는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지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와,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중앙을 지지하는 프리 롤러로 가로방향 반송부(7)를 구성해도 좋다. 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대신에, 회전 구동하는 롤러로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을 지지하는 구성을 취해도 좋다. 또는 상기 프리 롤러 대신에,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중앙에 정반을 배치하고, 정반에 형성한 복수의 슬릿, 구멍 등으로부터 기체(V)(도 2를 참조)가 상향으로 분사 공급되는 구성을 취해도 좋다.
또는 띠형상 유리(G)의 자중(自重)에 의한 휘어짐이 문제 없는 레벨이라면,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부상식이 아닌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를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양측과 접하는 부분에만 설치하고, 또한 이들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의 상방에, 도 5 등에 나타내는 협지용 롤러(23,23)를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로방향 반송부(7)에 의해 띠형상 유리(G)의 폭방향 일방측에 부여되는 제1추진력(F1)과, 폭방향 타방측에 부여되는 제1추진력(F1')은 같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 제1추진력(F1,F1')의 크기에 따라서는 다른 크기이어도 좋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띠형상 유리(G)를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할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를 예시했지만, 물론 본 발명은 이 경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슬롯 다운드로우법이나 리드로우법 등,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이외의 다운드로우법으로 띠형상 유리(G)를 성형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띠형상 유리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띠형상 유리에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어닐 공정과, 어닐 처리가 실시된 상기 띠형상 유리를 냉각하는 냉각 공정과, 상기 냉각 후의 띠형상 유리의 이송방향을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 공정과, 상기 방향 전환한 후의 상기 띠형상 유리를 가로방향 반송부로 지지해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는 가로방향 반송 공정을 구비한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반송 공정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반송부에 의해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제1추진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띠형상 유리를 상기 가로방향으로 반송하고,
    상기 제1추진력을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중앙에 부여되는 상기 가로방향의 반송을 추진하는 제2추진력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추진력은 실질적으로 제로인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반송부는 벨트에 개구한 구멍부로부터 상방으로 기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띠형상 유리의 적어도 폭방향의 일부를 상기 벨트로부터 부상시키는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벨트 중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구멍부가 없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반송부는 상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로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협지하는 협지용 롤러를 갖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중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 테이프가 붙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의 구멍부가 막혀져 있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에 상기 벨트보다도 상기 띠형상 유리에 대해서 높은 마찰력을 나타내는 테이프가 사용되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반송부는 상기 부상식 컨베이어와, 상기 테이프의 상방에 배치된 협지용 롤러를 갖고,
    상기 협지용 롤러로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상기 테이프의 위로부터 누름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개재해서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을 상기 협지용 롤러와 상기 벨트로 협지하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유리는 상기 폭방향 중앙을 포함하는 두께 치수가 폭방향에서 일정한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평탄부보다도 두께 치수가 큰 에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 중 상기 에지부를 제외한 영역을 상기 협지용 롤러와 상기 벨트로 협지하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9. 띠형상 유리를 성형하는 성형부와, 상기 띠형상 유리에 어닐 처리를 실시하는 어닐 처리부와, 상기 어닐 처리를 실시한 상기 띠형상 유리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 후의 띠형상 유리의 이송방향을 세로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방향 전환한 후의 상기 띠형상 유리를 지지해서 가로방향으로 반송하는 가로방향 반송부를 구비한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반송부는 벨트의 표면에 개구한 구멍부로부터 상방으로 기체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띠형상 유리의 적어도 폭방향의 일부를 상기 벨트로부터 부상시키는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구멍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중 상기 띠형상 유리의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에 테이프가 붙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폭방향 양측에 접하는 부분의 구멍부가 막혀져 있는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
KR1020207018235A 2017-12-11 2018-10-31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 KR102555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6968 2017-12-11
JP2017236968A JP7033269B2 (ja) 2017-12-11 2017-12-11 帯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帯状ガラスの製造装置
PCT/JP2018/040449 WO2019116762A1 (ja) 2017-12-11 2018-10-31 帯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帯状ガラス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875A true KR20200090875A (ko) 2020-07-29
KR102555597B1 KR102555597B1 (ko) 2023-07-14

Family

ID=6682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235A KR102555597B1 (ko) 2017-12-11 2018-10-31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61370B2 (ko)
JP (1) JP7033269B2 (ko)
KR (1) KR102555597B1 (ko)
CN (1) CN111433162B (ko)
TW (1) TWI780257B (ko)
WO (1) WO2019116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8920B2 (ja) * 2017-03-13 2020-09-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200290915A1 (en) * 2017-10-31 2020-09-17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glass ribbon
JP7450851B2 (ja) * 2020-02-25 2024-03-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2114021A1 (ja) * 2020-11-27 2022-06-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2347A (ja) * 2008-10-01 2010-06-1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KR20100086011A (ko) * 2007-11-01 2010-07-29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유리 리본의 반송 보조 장치
JP2013133246A (ja) 2011-12-26 2013-07-0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帯状ガラスの製造方法
KR20130094175A (ko) * 2010-07-23 2013-08-2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15044710A (ja) * 2013-08-28 2015-03-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ロール
JP2016113342A (ja) * 2014-12-17 2016-06-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786A (ja) * 1995-05-31 1996-12-10 Central Glass Co Ltd 板状体の搬送装置
DE102007056537A1 (de) 2007-11-23 2009-05-28 Windmöller & Hölscher Kg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und Breitstrecken einer Materialbahn
JP5669006B2 (ja) * 2010-10-19 2015-02-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帯状ガラスフィルム製造装置
KR101882640B1 (ko) * 2011-08-18 2018-07-2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리본 절단 방법
DE112014005523T5 (de) 2013-12-05 2016-08-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ördern von Absorptionsartikeln
KR20190066615A (ko) * 2016-10-26 2019-06-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테이프가 형성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011A (ko) * 2007-11-01 2010-07-29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유리 리본의 반송 보조 장치
JP2010132347A (ja) * 2008-10-01 2010-06-1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KR20130094175A (ko) * 2010-07-23 2013-08-2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2013133246A (ja) 2011-12-26 2013-07-0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帯状ガラスの製造方法
JP2015044710A (ja) * 2013-08-28 2015-03-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ロール
JP2016113342A (ja) * 2014-12-17 2016-06-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39464A1 (en) 2020-10-29
KR102555597B1 (ko) 2023-07-14
WO2019116762A1 (ja) 2019-06-20
TW201930213A (zh) 2019-08-01
JP2019104642A (ja) 2019-06-27
JP7033269B2 (ja) 2022-03-10
CN111433162B (zh) 2023-10-03
US11661370B2 (en) 2023-05-30
CN111433162A (zh) 2020-07-17
TWI780257B (zh)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0875A (ko) 띠형상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띠형상 유리의 제조 장치
KR102246033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60048718A (ko) 유리 필름 리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 리본 제조 장치
CN109311736B (zh) 玻璃膜的制造方法
CN107635930B (zh) 使机械应力降低来连续处理挠性玻璃带
JP6108230B2 (ja)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並びにガラスロール製造方法
JP6112301B2 (ja)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ロール
JP2015174744A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6323716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2114021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1187144A1 (ja) 帯状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782126B (zh) 用於處理薄玻璃帶的系統及方法
KR102475077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JP7450851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832089B (zh) 玻璃卷的製造方法
TWI834950B (zh) 玻璃膜的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