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294A -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294A
KR20200090294A KR1020190006882A KR20190006882A KR20200090294A KR 20200090294 A KR20200090294 A KR 20200090294A KR 1020190006882 A KR1020190006882 A KR 1020190006882A KR 20190006882 A KR20190006882 A KR 20190006882A KR 20200090294 A KR20200090294 A KR 20200090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btc
authority
container
gr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557B1 (ko
Inventor
박희종
백종덕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5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은 크레인을 조작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또는 하역을 지시하는 운전모듈 및 운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컨테이너를 목표장소로 선적 또는 하역하는 BTC 및 제어모듈과 원격으로 연결되고, 컨테이너의 선적 장소에서 BTC를 제어하는 제1 스마트디바이스 및 컨테이너의 하역 장소에서 BTC를 제어하는 제2 스마트다비이스를 포함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1 스마트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디바이스가 각각의 권한을 부여받고, 제 1,2 스마트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가 운전모듈을 제어하여 BTC를 운전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BTC에 별도의 관리자가 탑승하지 않아도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선적 또는 하역 장소에서 BTC를 운행하여 작업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BTC operation system us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하여 BTC를 제어 및 운전하기 위한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부두에서 컨테이너 운송과 처리량을 위한 요구사항이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컨테이너 처리기술뿐만 아니라 적재 및 하적 기술을 위한 처리공정은 더욱 새롭고 높은 요구사항으로 갖추게 되었다. 그러므로 개발요구와 컨테이너 설계장치는 고효율로 처리하기 위해서, 부두의 컨테이너 운송의 표준화, 고속화 및 자동화가 필요하게 된다.
세계경제 및 무역이 성장하는 1990년대부터, 컨테이너의 화물용적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 운송여건과 기술 및 경제적 장점을 위해 컨테이너의 크레인설비를 위한 고도기술, 특히 자동제어기술이 충분하게 개발되었다.
나아가,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이용되는 선박이 대형화하는 추세인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많지 않으며, 이러한 항구를 건설하려면 많은 경비가 요구된다. 항구 건설에는 넓은 장소가 필요하며, 이외에도 많은 컨테이너를 야적시키기 위한 넓은 토지 및 부대시설을 구비하여야 한다. 대형 항구가 근처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새로운 항구의 개발은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화물의 선적과 하역이 소수의 대형 항구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대형 항구 근처의 도로는 선적 또는 하역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차량의 증가로 교통 체증이 유발된다. 중량이 큰 화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증가는 도로의 주 파손 원인이 되어 막대한 비용을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에 부담시킨다.
즉, 최근에는 부두에 고정되는 크레인뿐 아니라 이동 항구에 장착되는 크레인의 필요성도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특허문헌 1)을 통해 보완하고 있는바,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크레인을 이용한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크래인을 이용한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상기 조종부(10)를 이용하여 상기 트롤리(2)를 컨테이너 운송 선박(6)에 적재된 컨테이너(7)의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스캔부(20)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7)의 적재상태를 모두 파악하여 상기 기억부(30)에 저장하되, 상기 제어부(40)에는 상기 스캔부(20)에서 상기 컨테이너 운송 선박(6)에서 컨테이너(7)가 적재되는 부분인 바닥까지의 이격거리(Ho) 및 상기 컨테이너의 높이(Hc)가 입력되고, 상기 스캔부(20)가 위치하는 평면좌표(Block, Slot, Row)부터 상기 스캔부(20)에서 상기 스캔부(2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최상부컨테이너(8)의 상면까지 이격거리(Hd) 데이터로 기억되어, 상기 기억부(3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각 컨테이너(7)에 대해 (Block, Slot, Row, Level)인 공간좌표 형식으로 위치가 기억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 1)은 관리자가 크레인에 직접 탑승하여 크레인을 조작해야하며, 운송물의 출발지 및 도착지에 각각 작업인원이 배치해야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최소 3명의 작업인원을 배치해야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49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BTC에 별도의 작업자가 탑승하지 않아도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하여 BTC를 조작하기 위한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은 크레인을 조작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또는 하역을 지시하는 운전모듈 및 상기 운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컨테이너를 목표장소로 선적 또는 하역하는 BTC; 및
상기 제어모듈과 원격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선적 장소에서 상기 BTC를 제어하는 제1 스마트디바이스 및 상기 컨테이너의 하역 장소에서 상기 BTC를 제어하는 제2 스마트다비이스를 포함하는 스마트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디바이스가 각각의 권한을 부여받고, 상기 제 1,2 스마트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운전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BTC를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BTC의 운전현황 및 제어현황을 스마트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제1 권한; 및
상기 제1 권한 및 상기 BTC의 운전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함께 부여받는 제2 권한;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디바이스 중에서 어느 한 스마트디바이스에 상기 제2 권한이 부여되면, 나머지 한 스마트디바이스에 제1 권한이 자동으로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권한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는 제1 권한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디바이스에 부여받은 각각의 권한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권한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는 제2 권한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에 권한 변경 신청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 모듈 및 제어 모듈은 WebDAV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BTC에 별도의 관리자가 탑승하지 않아도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BTC에 탑승하지 않고, 선적 또는 하역 장소에서 BTC를 운행하여 작업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BTC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의 BTC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용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의 BTC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은 크레인(111)을 조작하여 컨테이너(101)의 선적 또는 하역을 지시하는 운전모듈(113) 및 운전모듈(113)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15)을 포함하며, 컨테이너(101)를 목표장소로 선적 또는 하역하는 BTC(110); 및 제어모듈(115)과 원격으로 연결되고, 컨테이너(101)의 선적 장소에서 상기 BTC(110)를 제어하는 제1 스마트디바이스(131) 및 컨테이너(101)의 하역 장소에서 상기 BTC(110)를 제어하는 제2 스마트다바이스(133)를 포함하는 스마트디바이스(130)를 포함한다.
BTC(110)는 BRidge Type Crane의 약자이며, 컨테이너(101)를 선박으로 선적하거나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구비된 크레인(111)이며, 내부에 운전모듈(113) 및 제어모듈(115)이 내장된다.
운전모듈(113)은 제어모듈(115)을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크레인(111)의 운전하는 모듈이며, 컨테이너(101)의 선적 또는 컨테이너(101)의 하역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듈이다.
제어모듈(115)은 운전모듈(113)을 비롯하여 BTC(110)를 제어하는 모듈이며, 이외에도 스마트디바이스(130)와 원격으로 연결이 이루어져 스마트디바이스(130)에서 BTC(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듈이다.
이러한 제어모듈(115)은 BTC(110)의 운전현황 및 제어현황을 스마트디바이스(13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제1 권한(117) 및 제1 권한(117) 및 BTC(110)의 운전모듈(113)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과 함께 부여받는 제2 권한(1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권한(117)은 BTC(110)의 운전 현황 및 BTC(110)의 제어 현황을 관람할 수 있는 권한 예컨데 접근 확인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제2 권한(119)은 기존의 제1 권한(117)과 함께 운전모듈(113)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권한을 함께 부여받아 BTC(110)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지칭하며, 제1 권한(117)에 부여된 접근 확인 권한 이외에도, BTC(11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운전 확인 권한까지 부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권한(117) 및 제2 권한(119)은 제1 스마트디바이스(131) 및 제2 스마트디바이스(133)에 각각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권한(119)이 제2 스마트디바이스(133)에 권한이 부여가 되면, 제1 권한(117)은 자동적으로 제1 스마트디바이스(131) 부여가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스마트디바이스(131) 및 제2 스마트디바이스(133)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마트디바이스(130)에 상기 제2 권한이 먼저 부여되면, 나머지 하나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제1 권한(117)이 자동으로 부여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권한(119)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130)는 제1 권한(117)을 부여받은 또 다른 스마트디바이스(130)를 제어할 수 있고, 각각의 스마트디바이스(130)에 부여받은 권한이 변경신청하여 각각의 권한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데 제2 스마트디바이스(133)가 제2 권한(119)을 부여되고, 제2 스마트디바이스(133)가 제1 스마트디바이스(131)에 부여된 제1 권한(117)과 변경신청을 실시할 수 있으며, 제1 스마트디바이스(131)가 허가가 이루어지면, 제2 스마트디바이스(133)는 제1 권한(117)이 부여되고, 제1 스마트디바이스(131)는 제2 권한(119)이 부여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권한(117)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130)는 제2 권한(119)을 부여받은 또 다른 스마트디바이스(130)에 권한 변경 신청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제1 권한(117)은 권한 변경 신청 및 BTC(110)의 전체적인 현황을 볼 수 있고, 제2 권한(119)은 상기한 제1 권한(117)의 기능 이외에 BTC(110)를 조작 및 운전할 수 있는 권한까지 부여받는다.
아울러, 운전모듈(113) 및 제어모듈(115)은 WebDAV(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130)로부터 제어되며, 제1 권한(117) 및 제2 권한(119)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130) 이외에 또 다른 스마트디바이스(130)가 접근 허용을 금지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은 BTC(110)에 별도의 관리자가 탑승하지 않아도 스마트디바이스(13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선적 또는 하역 장소에서 BTC(110)를 운행하여 작업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컨테이너 110 - BTC
111 - 크레인 113 - 운전모듈
115 - 제어모듈 117 - 제1 권한
119 - 제2 권한 130 - 스마트디바이스
131 - 제1 스마트디바이스 133 - 제2 스마트디바이스

Claims (6)

  1. 크레인을 조작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또는 하역을 지시하는 운전모듈 및 상기 운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컨테이너를 목표장소로 선적 또는 하역하는 BTC; 및
    상기 제어모듈과 원격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선적 장소에서 상기 BTC를 제어하는 제1 스마트디바이스 및 상기 컨테이너의 하역 장소에서 상기 BTC를 제어하는 제2 스마트다비이스를 포함하는 스마트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디바이스가 각각의 권한을 부여받고, 상기 제 1,2 스마트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운전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BTC를 운전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BTC의 운전현황 및 제어현황을 스마트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제1 권한; 및
    상기 제1 권한 및 상기 BTC의 운전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함께 부여받는 제2 권한;
    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디바이스 및 제2 스마트디바이스 중에서 어느 한 스마트디바이스에 상기 제2 권한이 부여되면, 나머지 한 스마트디바이스에 제1 권한이 자동으로 부여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권한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는 제1 권한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디바이스에 부여받은 각각의 권한이 변경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권한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는 제2 권한을 부여받은 스마트디바이스에 권한 변경 신청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 모듈 및 제어 모듈은 WebDAV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로부터 제어되는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 운전 시스템.
KR1020190006882A 2019-01-18 2019-01-18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 KR10216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882A KR102162557B1 (ko) 2019-01-18 2019-01-18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882A KR102162557B1 (ko) 2019-01-18 2019-01-18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94A true KR20200090294A (ko) 2020-07-29
KR102162557B1 KR102162557B1 (ko) 2020-10-16

Family

ID=7189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882A KR102162557B1 (ko) 2019-01-18 2019-01-18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5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915B1 (ko) 2010-09-17 2011-06-29 정봉기 크레인을 이용한 선적 및 하역 시스템
KR20110081664A (ko) * 2010-01-08 2011-07-14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하버용 컨테이너 정보 전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664A (ko) * 2010-01-08 2011-07-14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하버용 컨테이너 정보 전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44915B1 (ko) 2010-09-17 2011-06-29 정봉기 크레인을 이용한 선적 및 하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557B1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054B1 (en) Automated marine container terminal and system
US20220281682A1 (en)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US677863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rgo on crane equipment without contact
CN101711210A (zh) 用于国际海运集装箱的港口存储和分配系统
RU2007104336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а
CN108275476A (zh) 集装箱码头水平运输车辆调度系统
US20160332847A1 (en) Stacker crane with an intermediate storage area for containers
JP2003292168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における無人搬送台車の運用方法
KR101125045B1 (ko) 이동항구의 선적 및 하역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Rodrigue Intermodal terminals, mega ports and mega logistics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KR20200090294A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BTC(Bridge Type Crane) 운전 시스템
CN114787053A (zh) 用于高架仓库中外部交通工具的动态交通引导的方法
CN112978167A (zh) 用于将标准化的仓储货物储存在高架仓库中的装置
US20020078873A1 (en) System for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ocean cargo
CN112279096B (zh) 基于增强现实的集装箱翻箱提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450298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standardised containers between a container ship and a quay
KR102273793B1 (ko) 스마트 물류 이송 시스템
KR20110017961A (ko)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
KR101044915B1 (ko) 크레인을 이용한 선적 및 하역 시스템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825268B1 (ko) 컨테이너선
KR101044916B1 (ko) 크레인을 이용한 선적 및 하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