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961A -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961A
KR20110017961A KR1020090075527A KR20090075527A KR20110017961A KR 20110017961 A KR20110017961 A KR 20110017961A KR 1020090075527 A KR1020090075527 A KR 1020090075527A KR 20090075527 A KR20090075527 A KR 20090075527A KR 20110017961 A KR20110017961 A KR 2011001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rane
port
integrated
tax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흥
이제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7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7961A/ko
Publication of KR2011001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6C23/525Double slewing cranes on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6C23/53Floating cranes including counterweight or means to compensate for list, trim, or skew of the vessel or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택시와 모바일 크레인이 결합된 일체형 모바일 항구와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수단을 구비하고, 일측면에는 제 1 도킹수단을 구비한 바지선 형태의 모바일 택시; 및 갑판에 설치된 크레인과 일측면에는 제 1 도킹수단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을 포함하고, 제 1 도킹수단과 상기 제 2 도킹수단의 결합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이다.
모바일 크레인, 모바일 택시, 제 1 도킹수단, 제 2 도킹수단, 크레인, 동력수단, 대형선박

Description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Intergated Mobile Harbor and Method of Transfering Feight using the Mobile Harbor}
본 발명은 모바일 택시와 모바일 크레인이 결합된 일체형 모바일 항구와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수단을 가지는 모바일 택시와 모바일 택시와 결합하여 이러한 동력수단을 공유하는 모바일 크레인을 근해에 정박한 대형 선박에 접선시키고 복수의 모바일 택시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및 하역이 연속적으로 가능한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그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이다.
글로벌화 되어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국가 간의 화물 이송은 항공과 해상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대부분의 국가들이 저렴한 비용과 적은 에너지 소모의 장점을 가지는 해상운송을 이용하게 된다.
특히 컨테이너선과 같은 대형선박이 해상운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선박의 대형화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형선박을 접선시킬 수 있는 충분한 하역시설과 주변시설을 갖춘 항구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대형 선박을 접선시킬 수 있는 항구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야적을 위한 넓은 부지가 필요하고, 많은 부대시설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대형 항구로 인한 주변 환경파괴와 화물의 집중화 현상으로 인한 교통체증, 도로파손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항구라는 아이디어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항구는 대형선박 자체가 항구에 역할을 하는 것이나 실질적으로 단순히 화물을 선적,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바지선 위에 설치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모바일 항구 역시 접선시킬 시설을 갖추기 힘든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상에 정박된 대형 선박에 모바일 택시와 모바일 크레인이 일체형을 이룬 모바일 항구가 접선하여 연속적, 효율적으로 화물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동력수단은 모바일 택시에만 구비되어 모바일 크레인에는 불필요한 동력수단을 제거함으로써 낭비되는 에너지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형선박을 접선시킬 수 없는 소형항구나 목적지에 화물을 효율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즉, 정박된 대형선박에 모바일 택시와 모바일 크레인이 결합된 모바일 항구가 접선하여 대형선박의 화물을 모바일 택시에 선적하여 화물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가 모바일 항구에서 분리되어 소형항구 등의 목적지에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바일 택시에 선적, 화물의 이송은 연속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즉, 화물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가 모바일 크레인에 분리되어 이동한 후, 연속적으로 다른 모바일 택시가 모바일 크레인에 결합하여 화물을 선적함으로써 연속적인 선적,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수단을 구비하고, 일측면에는 제 1 도킹수단을 구비한 바지선 형태의 모바일 택시; 및 갑판에 설치된 크레인과 일측면에는 제 1 도킹 수단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을 포함하고, 제 1 도킹수단과 제 2 도킹수단의 결합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로서 달성될 수 있다.
제 1 도킹수단과 제 2 도킹수단의 결합에 의해, 모바일 택시가 모바일 크레인과 결합하여 동력수단에 의해 해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모바일 크레인과 모바일 택시가 결합된 일체형 모바일 항구는 동력수단에 의해 선박에 접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모바일 택시에는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선적공간을 구비하고, 크레인으로 선박의 화물을 선적공간에 선적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2 도킹 수단은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모바일 택시 각각이 모바일 크레인에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모바일 크레인은,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한 면 이외의 측면은 선박에 접선 가능한 접선면으로 구비되고, 접선면은 충격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선박은 소형항구에 접선 가능하지 않은 대형 선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일체형 모바일 항구가 선박에 접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동력수단은 디젤 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크레인은 이동식 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동식 크레인은, 갑판에 구비된 레일; 레일에 결합된 크레인; 및 레일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레일과 크레인 사이에 회전체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가 회전체를 제어하여 크레인에 회전자유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크레인은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 도킹수단은 복수의 돌출부와 돌출부 끝단에 구비된 제 1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제 2 도킹수단은 돌출부 각각이 삽입되어 지는 복수의 수용부와 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윈드라스 및 윈드라스에 결합되고 끝단에 제 1 체결수단과 체결 가능한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크레인과 모바일 택시로 구비된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택시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 도킹수단과 모바일 크레인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2 도킹수단이 결합하여 모바일 택시와 모바일 크레인이 결합되는 단계; 모바일 택시의 동력수단의 작동으로 일체형 모바일 항구가 해상에서 이동하여 선박에 접선하는 단계; 모바일 크레인의 크레인으로 선박의 화물을 모바일 택시에 선적하는 단계; 및 화물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가 모바일 크레인에 분리되어 화물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송단계 후에 또 다른 모바일 택시가 모바일 크레인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선적단계 및 이송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결합 단계에서, 모바일 크레인은 복수의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하여, 복수의 모바일 택시 각각이 모바일 크레인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접선단계에서, 모바일 택시가 결합된 모바일 크레인의 측면은 선박에 접선가능한 접선면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일체형 모바일 항구가 선박에 접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송단계에서, 모바일 크레인에서 분리된 모바일 택시는, 선박이 접선할 수 없는 항구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선적단계에서, 모바일 택시에는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선적공간을 구비하고, 크레인으로 선박의 화물을 선적공간에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접선단계에서, 모바일 크레인은 소형항구에 접선 가능하지 않은 대형 선박에 접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동력수단은 디젤 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 도킹수단은 복수의 돌출부와 돌출부 끝단에 구비된 제 1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제 2 도킹수단은 돌출부 각각이 삽입되어 지는 복수의 수용부와 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윈드라스 및 윈드라스에 결합되고 끝단에 제 1 체결수단과 체결가능한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한 와이어를 포함하여, 결합단계는, 제 1 체결수단과 제 2 체결수단을 체결하는 단계; 및 윈드라스의 작동으로 돌출부 각각이 수용부에 삽입되어 모바일 택시와 모바일 크레인이 결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모바일 크레인의 갑판에 복수의 크레인을 구비하며, 크레인과 갑판 사이에 회전체를 구비하여, 크레인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갑판과 크레인 사이에 레일이 구비되어 크레인은 레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형항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해상에 정박 중인 선박으로부터 신속한 선적 및 하역이 가능하고, 복수의 모바일 택시를 이용함으로써 단위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는 화물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항구에서 목표지까지 이송하게 되는 육상운송 차량을 분산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소형 항구로 대형항구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내륙을 통과하는 운하를 이용한다면 육상운송의 비율이 더욱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크레인과 모바일 택시가 결합된 일체형이므로 하나의 선박과 같이 움직일 수 있어 대형 선박(대형 컨테이너선)에 접선함에 있어서 조정의 어려움이 없고 위화감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택시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크레인은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모바일 크레인에서의 동력수단을 제거하여 불필요한 에너지를 막고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모바일 크레인에서 도핑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측면은 대형선박에 접선하기 쉬운 구조인 접선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대형선박에 복수의 모바일 항구가 접선하여 복수의 모바일 택시가 동시 다발적으로 화물을 선적하여 이송하기 때문에 화물량처리에 있어서 높은 효율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일체형 모바일 항구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항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택시(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택시(100)는 화물(400, 예:컨테이너)을 이송하는 소형 선박인 바지선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모바일 택시(100)에는 화물(400)을 선적할 수 있는 소정의 선적공간(140)을 구비한다.
그리고, 모바일 택시(100)의 일측면은 제 1 도킹수단(110)으로 구비된다. 제 1 도킹수단(110)은 모바일 크레인(200)에 구비된 제 2 도킹수단(220)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제 1 도킹수단(110)은 복수의 돌출부(111)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도킹수단(110)을 구비하지 않은 나머지 측면은 대형 선박(300)에 접선이 용이하도록 평평한 면인 접선면(500)들로 구비된다. 이러한 접선면(500)에는 선박(300)에 접선할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충격완화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모바일 택시(100)는 동력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택 시(100)는 해상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선적된 화물(400)을 목적지에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력수단(120)은 소형선박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디젤엔진이나 디젤엔진에 가스 압축 터빈을 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는 모바일 택시(100)의 선적공간(140)의 구체적인 크기나, 동력수단(120)의 종류 등은 권리범위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2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크레인(200) 역시 해상에 정박 가능한 바지선의 형태이나 모바일 택시(100)와는 다르게 동력수단(120)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갑판에 크레인(210)을 구비한다. 모바일 크레인(200)의 일측면은 앞서 설명한 모바일 택시(100)의 제 1 도킹수단(110)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제 2 도킹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제 2 도킹수단(220)을 구비하지 않은 나머지 측면은 대형 선박(300)에 접선이 용이하도록 평평한 면인 접선면(500)들로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접선면(500)에는 선박(300)에 접선할 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충격완화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모바일 크레인(200)에는 동력수단(120)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크레인(200) 자체는 해상에서 이동할 수 없다.
도 2b는 복수의 이동식 크레인(210)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2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크레인(200)은 2개의 크레인(210)을 포함하고 있다. 크레인(210) 각각은 갑판 상에 설치된 레일(23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레일(230)의 이동으로 크레인(210) 각각이 이동될 수 있다. 그 리고, 크레인(210)과 레일(230) 사이에 회전체(240)를 구비하여 크레인(210) 각각에 회전 자유도를 부여하게 된다. 모바일 크레인에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레일(230)과 회전체(240)를 제어하여 크레인(210)을 선적하고자 하는 화물(400) 근처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200)의 제 1 도킹수단(110)과 모바일 택시(100)의 제 2 도킹수단(220)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택시(100)의 제 1 도킹수단(110)과 모바일 크레인(200)의 제 2 도킹수단(220)이 결합함으로써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를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제 1 도킹수단(110)은 복수의 돌출부(111)로 구성된다. 그리고, 돌출부(111) 각각의 끝단에는 제 1 체결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모바일 크레인(200)의 제 2 도킹수단(220)은 돌출부(111) 각각이 삽입되어질 수 있는 복수의 수용부(2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용부(221) 내부에는 원통형 모터로 구성된 윈드라스(222, windlass)를 포함한다. 윈드라스(222)에는 고강도 강철로 된 와이어(223)가 결합되어 있고, 와이어(223)의 끝단은 제 1 체결수단과 체결이 가능한 제 2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수단과 제 2 체결수단이 체결되고, 원드라스의 작동으로 와이어(223)가 윈드라스(222)의 원통에 감기면서 돌출부(111) 각각이 수용부(221)에 삽입되고, 모바일 크레인(200)과 모바일 택시(100)가 결합하게 된다.
도 3b는 제 1 도킹수단(110)과 제 2 도킹수단(220)의 결합으로 모바일 택시(100)와 모바일 크레인(200)이 결합된 일체형 모바일 항구(10)의 사시도를 도시 한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킹수단(110)이 구비된 측면과 제 2 도킹수단(220)이 구비된 측면 사이에 복수의 결합부재(250)들을 구비하여 서로를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바일 크레인(200)과 모바일 택시(100)가 도킹수단(110,220)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한 자체에 있는 것으로 이러한 사상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다면 제 1 도킹수단(110)과 제 2 도킹수단(220)의 구체적인 도킹방법과 구성,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또한, 모바일 크레인(200)의 제 2 도킹수단(22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2개의 제 2 도킹수단(220)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200)과 모바일 택시(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2개의 제 2 도킹수단(220)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200)에 2개의 모바일 택시(100)가 결합한 일체형 모바일 항구(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크레인(200)의 2개의 측면에 제 2 도킹수단(22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2 도킹수단(220) 각각에 모바일 택시(1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도킹수단(220)이 구비되지 않은 측면은 대형선박(300)에 접선가능한 접선면(500)으로 구비된다. 도 4b는 2개의 제 2 도킹수단(220)이 구비된 모바일 크레인(200)에 2개의 모바일 택시(100)가 결합한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를 도시한 것이다.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이송방법의 제 1 실시예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를 이용한 화물이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를 이용한 화물이송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동력수단(120)을 구비한 모바일 택시(100)가 크레인(210)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200)에 접근하여 모바일 택시(100)의 제 1 도킹수단(110)과 모바일 크레인(200)의 제 2 도킹수단(220)의 결합에 의해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를 구성하게 된다(S10). 그리고,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는 모바일 택시(100)의 동력수단(120)을 사용하여 대형 선박(300)으로 접선하게 된다(S20). 일체형 모바일 항구(10)가 대형 선박(300)에 접선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소형 선박이 대형선박(300)에 접선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즉, 대형선박(300)의 측면에 모바일 항구(10)가 접근하여 모바일 항구(10)의 접선면(500)을 닿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러한 접선면(500)에는 충격완화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항구(10)에 구비된 닻을 내려 모바일 항구(10)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6a는 대형선박(300)에 접선한 모바일 항구(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등의 화물(400)을 실은 대형선박(300)의 측면에 일체형 모바일 항구(10)가 접선하게 된다. 화물(400)을 선적하기 용이한 곳에 일체형 모바일 항구(10)가 접선하고, 모바일 크레인(200)에 구비된 크레인(210)이 작동하여 이송하고자 하는 화물(400)을 끌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크레인(210)을 이용하여 대형선박(300)에 있는 화물(400)들을 모바일 택시(100)의 선적공간(140)에 선적하게 된다(S30). 도 6b는 모바일 크레인(200) 이 대형선박(300)의 화물(400)을 모바일 택시(100)의 선적공간(140)에 선적한 모바일 항구(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화물(400)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100)는 모바일 크레인(200)에서 분리되어 동력수단(120)을 이용하여 화물(400)을 원하는 목적지에 이송하게 된다(S40). 원하는 목적지는 대형선박(300)이 접선할 수 없는 소형항구(10) 등 모바일 택시(100)가 정차할 수 있는 지역을 말한다. 도 6c는 화물(400)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100)가 모바일 크레인(200)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모바일 크레인(200)에는 동력수단(120)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모바일 택시(100)가 결합하여 모바일 크레인(200)을 이송하게 된다.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이송방법의 제 2 실시예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를 이용한 화물이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를 이용한 화물이송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동력수단(120)을 구비한 복수의 모바일 택시(100)가 복수의 제 2 도킹수단(220)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200)에 접근하게 된다. 그리고, 모바일 택시(100)의 제 1 도킹수단(110)이 모바일 크레인(200)의 제 2 도킹수단(220) 각각에 결합하여 일체형 모바일 항구(10)를 구성하게 된다(S100). 그리고, 복수의 일체형 모바일 항구(10) 각각이 모바일 택시(100)의 동력수단(120)을 사용하여 대형 선박(300)으로 접선하게 된다(S200).
도 8a는 대형선박(300)에 접선한 복수의 모바일 항구(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등의 화물(400)을 실은 대형선박(300)의 측면에 일체형 모바일 항구(10) 2개가 접선하게 된다. 도 8a에서는 2개의 일체형 모바일 항구(10)가 접선하였으나 그 이상이 접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모바일 항구(10) 각각의 모바일 크레인(200)에 구비된 크레인(210)이 작동하여 선적하고자 하는 화물(400)을 대형선박(300)에서 끌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크레인(210)을 이용하여 대형선박(300)에 있는 화물(400)들을 모바일 택시(100)의 선적공간(140)에 선적하게 된다(S300). 도 8b는 복수의 모바일 크레인(200) 각각이 대형선박(300)의 화물(400)을 복수의 모바일 택시(100) 선적공간(140)에 선적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b에서는 2개의 일체형 모바일 항구(10)가 대형선박(300)에 접선하고 있고, 모바일 항구(10)에는 각각 2개의 모바일 택시(10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바일 택시(100) 각각의 선적공간(140)에 화물(400)을 선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물(400)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100)는 모바일 크레인(200)에서 분리되어 동력수단(120)을 이용하여 화물(400)을 원하는 목적지에 이송하게 된다(S400). 선적이 완료된 모바일 택시(100) 각각이 모바일 크레인(200)에서 분리되어 화물(400)을 이송하게 된다. 도 8c는 화물(400)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100)가 모바일 크레인(200)에서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400)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100)는 분리되어 목적지로 이동한다. 그리고, 선박에서 계속 이송시키고자 하는 화물이 존재하는 경우(S500), 선적공간(140)이 비어있는 또 다른 모바일 택시(100)가 모바일 크레인(200)에 결합하게 된다(S600).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택시가 분리, 결합하여 연속적인 화물(400)이송을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택시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크레인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크레인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택시의 제 1 도킹수단과 모바일 크레인의 제 2 도킹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분리된 모바일 항구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항구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한 모바일 크레인에 모바일 택시가 결합한 일체형 모바일 항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이송방법의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형선박에 접선한 일체형 모바일 항구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에 따른 대형선박의 화물을 선적한 일체형 모바일 항구의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물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가 모바일 크레인에서 분리되어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이송방법의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형선박에 접선한 일체형 모바일 항구의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에 따른 대형선박의 화물을 선적한 일체형 모바일 항구의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물을 선적한 모바일 택시가 모바일 크레인에서 분리되어 이송하고 또 다른 모바일 택시가 접근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일체형 모바일 항구
100:모바일 택시
110:제 1 도킹수단
111:돌출부
120:동력수단
140:선적공간
200:모바일 크레인
210:크레인
220:제 2 도킹수단
221:수용부
222:윈드라스
223:와이어
230:레일
240:회전체
300:대형선박
400:화물
500:접선면

Claims (25)

  1. 동력수단을 구비하고, 일측면에는 제 1 도킹수단을 구비한 바지선 형태의 모바일 택시; 및
    갑판에 설치된 크레인과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도킹수단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한 바지선 형태의 모바일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킹수단과 상기 제 2 도킹수단의 결합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킹수단과 상기 제 2 도킹수단의 결합에 의해,
    상기 모바일 택시가 상기 모바일 크레인과 결합하여 상기 동력수단에 의해 해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크레인과 상기 모바일 택시가 결합된 상기 일체형 모바일 항구는 상기 동력수단에 의해 선박에 접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택시에는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선적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크레인으로 상기 선박의 화물을 상기 선적공간에 선적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킹 수단은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모바일 택시 각각이 상기 모바일 크레인에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6. 제 1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크레인은,
    상기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한 면 이외의 측면은 상기 선박에 접선이 가능한 접선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접선면은 충격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소형항구에 접선 가능하지 않은 대형 선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8. 제 1 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일체형 모바일 항구가 상기 선박에 접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은 디젤 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이동식 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크레인은,
    상기 갑판에 구비된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된 크레인; 및
    상기 레일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크레인 사이에 회전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회전체를 제어하여 상기 크레인에 회전자유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13. 제 1 항 및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킹수단은 복수의 돌출부와 돌출부 끝단에 구비된 제 1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킹수단은 상기 돌출부 각각이 삽입되어 지는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윈드라스 및 상기 윈드라스에 결합되고 끝단에 상기 제 1 체결수단과 체결 가능한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
  15. 모바일 크레인과 모바일 택시로 구비된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택시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1 도킹수단과 상기 모바일 크레인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 2 도킹수단이 결합하여 상기 모바일 택시와 상기 모바일 크레인이 결합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택시의 동력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일체형 모바일 항구가 해상에서 이동하여 선박에 접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크레인의 크레인으로 상기 선박의 화물을 상기 모바일 택시에 선적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을 선적한 상기 모바일 택시가 상기 모바일 크레인에 분리되어 상기 화물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 후에 또 다른 모바일 택시가 상기 모바일 크레인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선적단계 및 상기 이송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크레인은 복수의 상기 제 2 도킹수단을 구비하여, 복수의 상기 모바일 택시 각각이 상기 모바일 크레인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18.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선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택시가 결합된 상기 모바일 크레인의 측면은 상기 선박에 접선가능한 접선면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일체형 모바일 항구가 상기 선박에 접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크레인에서 분리된 상기 모바일 택시는,
    상기 선박이 접선할 수 없는 항구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택시에는 상기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선적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크레인으로 상기 선박의 화물을 상기 선적공간에 선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선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크레인은 소형항구에 접선 가능하지 않는 대형 선박에 접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단은 디젤 엔진 또는 가스터빈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23. 제 15 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킹수단은 복수의 돌출부와 돌출부 끝단에 구비된 제 1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킹수단은 상기 돌출부 각각이 삽입되어 지는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에 구비된 윈드라스 및 상기 윈드라스에 결합되고 끝단에 상기 제 1 체결수단과 체결가능한 제 2 체결수단을 구비한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제 1 체결수단과 상기 제 2 체결수단을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윈드라스의 작동으로 상기 돌출부 각각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바일 택시와 상기 모바일 크레인이 결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크레인의 갑판에 복수의 크레인을 구비하며,
    상기 크레인과 상기 갑판 사이에 회전체를 구비하여, 상기 크레인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과 상기 크레인 사이에 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크레인은 상기 레인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바일 항구를 이용한 화물운송방법.
KR1020090075527A 2009-08-17 2009-08-17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 KR20110017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527A KR20110017961A (ko) 2009-08-17 2009-08-17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527A KR20110017961A (ko) 2009-08-17 2009-08-17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961A true KR20110017961A (ko) 2011-02-23

Family

ID=4377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527A KR20110017961A (ko) 2009-08-17 2009-08-17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79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6213A1 (en) * 2012-12-21 2014-06-25 GTI Tymon Galewski Floating crane
CN104003316A (zh) * 2014-06-04 2014-08-27 桂平市大众船舶修造厂 一种散货船吊运装置
KR20160017975A (ko) * 2014-08-07 2016-02-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L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CN113697674A (zh) * 2021-08-17 2021-11-26 中际联合(北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吊机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6213A1 (en) * 2012-12-21 2014-06-25 GTI Tymon Galewski Floating crane
CN104003316A (zh) * 2014-06-04 2014-08-27 桂平市大众船舶修造厂 一种散货船吊运装置
KR20160017975A (ko) * 2014-08-07 2016-02-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L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CN113697674A (zh) * 2021-08-17 2021-11-26 中际联合(北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吊机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289B1 (en) Autonomous swimming cargo containers
KR101235329B1 (ko) 횡요방지 탱크를 이용한 선박의 안정화 장치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20110017961A (ko) 일체형 모바일 항구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방법
JP6001706B2 (ja) 荷台上でグリッド状に配置された固定手段を備える船
CN203461562U (zh) 转载平台
WO2004054872A1 (en) Self-propelling barge
KR20090022045A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WO2014013584A1 (ja) 船舶
KR20110062489A (ko) 선박 접안 유닛
KR20190058088A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US5862770A (en) Sea-based transportation and load handling system
US20100068008A1 (en) Mobile Harbor
JP2012153334A (ja) 船舶
US20020100740A1 (en) Gantry with boom crane
CN104291128A (zh) 集装船、卸船、运输于一体的功能船
KR20110029919A (ko)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66716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MXPA97002790A (en) Cargo transportation and handling system based on the
Rosenkranz et al. On-Board STS-Crane on a Catamaran Container Vessel as Combination of Jib-and Gantry-Crane Serving Small Ports, Improving Logistic Efficiency.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20110075916A (ko) 이동 항구
KR20110072508A (ko) 모바일 하버의 가변형 컨테이너 고정장치
KR20150000890U (ko) 안벽계류선박의 화물 선적 및 하역용 운송장치
KR101166714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