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225A - 조성물, 도료, 도막,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조성물, 도료, 도막,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225A
KR20200090225A KR1020207018136A KR20207018136A KR20200090225A KR 20200090225 A KR20200090225 A KR 20200090225A KR 1020207018136 A KR1020207018136 A KR 1020207018136A KR 20207018136 A KR20207018136 A KR 20207018136A KR 20200090225 A KR20200090225 A KR 2020009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ating film
group
fluorin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9432B1 (ko
Inventor
웨이웨이 리우
히데토 나카가와
마사루 나가토
Original Assignee
다이킨 플루오로케미컬즈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플루오로케미컬즈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플루오로케미컬즈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셔 쿠커 시험 후에도 기재와 우수한 밀착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도막(6), 및 상기 도막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4)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및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조성물, 도료, 도막,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본 발명은 조성물, 도료, 도막,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의 코팅에 적절한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도막, 및 상기 도막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은 일반적으로 표면 층, 태양전지 모듈을 밀봉한 밀봉재 층 및 백시트로 구성된다. 밀봉재 층을 형성하는 밀봉재로서, 일반적으로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이하 EVA로 칭함)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비투수성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도료가 경화된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를 기재하였다.
일본 특개 2007-3569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셔 쿠커 시험(Pressure Cooker Test) 후에도 기재와 우수한 밀착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도막, 및 상기 도막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및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밖에,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및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이밖에, 본 발명은 또한 비투수성 시트 및 상기 비투수성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도막을 구비하되, 상기 도막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밖에, 본 발명은 또한 비투수성 시트, 상기 비투수성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도막, 및 상기 도막 위에 형성되는 밀봉재 층을 구비하되, 상기 도막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를 함유한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불소 함유 중합체에 경화성 관능기를 도입하여 형성된 중합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는, 명확한 융점을 갖는 수지성 중합체,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및 양자 사이에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불소 함유 중합체에 경화성을 부여하는 관능기는 중합체의 제조 용이성 또는 경화 시스템에 비추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히드록시기(여기에는 카르복실기에 함유된 히드록시기가 포함되지 않음,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임), 카르복실기, -COOCO-로 표시되는 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실릴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경화 반응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COOCO-로 표시되는 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및 실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가 바람직하고,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및 실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및 아미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화성 관능기는 일반적으로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불소 함유 중합체에 도입된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서,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및 실리콘계 비닐 단량체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불소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 및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를 함유하고, 상기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및 실리콘계 비닐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이밖에,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는 보다 바람직하게 불소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 및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를 함유한다.
상기 불소 함유 단량체로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플루오로에틸렌 및 플루오로비닐에테르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고,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는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의 모든 중합 단위에 대해, 15 몰% 내지 50 몰%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 몰%이고, 보다 더 바람직한 하한은 30 몰%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40 몰%이다.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9 몰%이고, 보다 더 바람직한 상한은 47 몰%이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는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의 모든 중합 단위에 대해, 8 몰% 내지 30 몰%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몰%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 몰%이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하기 단량체를 예시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이들 중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1-1)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서,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3-히드록시프로필비닐에테르, 2-히드록시프로필비닐에테르, 2-히드록시-2-메틸프로필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2-메틸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와 같은 히드록시기 함유 비닐에테르류를 예로 들 수 있고; 2-히드록시에틸알릴에테르, 4-히드록시부틸알릴에테르, 글리세롤모노알릴에테르와 같은 히드록시기 함유 알릴에테르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 중합 반응성, 관능기의 경화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히드록시기 함유 비닐에테르류가 바람직하고, 식 (1):
CH2=CH-(CH2)l-O-(CH2)m-OH
(식에서, I는 0 또는 1이고, m은 2 이상의 정수임)로 표시되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며,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2-히드록시에틸알릴에테르 및 4-히드록시부틸알릴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기타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서, 또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meth)acrylate)의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를 예로 들 수 있다.
(1-2)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식 (2):
R1R2C=CR3-(CH2)n-COOH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 원자, 알킬기, 카르복실기, 아실옥시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이며, n은 0 이상의 정수임)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 및 식 (3):
CH2=CH(CH2)nO(R4OCO)mR5COOH
(식에서,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모두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분쇄 또는 고리형의 알킬렌기이며, n은 0 또는 1이고, m은 0 또는 1임)로 표시되는 카르복실비닐에테르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아세트산, 크로톤산, 펜텐산, 헥센산, 헵텐산, 옥텐산, 노넨산, 데센산, 운데실렌산, 도데센산, 트리데센산, 테트라데센산, 펜타데센산, 헥사데센산, 헵타데센산, 옥타데센산, 노나데센산, 에이코센산, 22-트리코센산, 신남산, 이타콘산, 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 말레산, 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말레산무수물, 푸마르산, 푸마르산 모노에스테르, 비닐프탈레이트, 비닐피로멜리테이트, 3-알릴옥시프로피온산, 3-(2-알릴옥시에톡시카르보닐)프로피온산, 3-(2-알릴옥시부톡시카르보닐)프로피온산, 3-(2-비닐옥시에톡시카르보닐)프로피온산, 3-(2-비닐옥시부톡시카르보닐)프로피온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 동종 중합성(homopolymerizability)이 낮고, 동종 중합체를 얻기 어려운 이유로 인해, 아크릴산, 크로톤산, 운데실렌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모노에스테르, 푸마르산, 푸마르산 모노에스테르, 3-알릴옥시프로피온산 및 3-(2-알릴옥시에톡시카르보닐)프로피온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이 바람직하다.
(1-3)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로서, CH2=CH-O-(CH2)x-NH2(x=0 내지 10)로 표시되는 아미노비닐에테르류; CH2=CH-O-CO(CH2)x-NH2(x=1 내지 10)로 표시되는 알릴아민류; 및 아미노메틸스티렌, 비닐아민, 아크릴아미드, 비닐아세트아미드, 비닐포름아미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1-4) 실릴기 함유 단량체:
실릴기 함유 단량체로서, 실리콘계 비닐 단량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실리콘계 비닐 단량체로서, CH2=CHCO2(CH2)3Si(OCH3)3, CH2=CHCO2(CH2)3Si(OC2H5)3, CH2=C(CH3)CO2(CH2)3Si(OCH3)3, CH2=C(CH3)CO2(CH2)3Si(OC2H5)3, CH2=CHCO2(CH2)3SiCH3(OC2H5)2, CH2=C(CH3)CO2(CH2)3SiC2H5(OCH3)2, CH2=C(CH3)CO2(CH2)3Si(CH3)2(OC2H5), CH2=C(CH3)CO2(CH2)3Si(CH3)2OH, CH2=CH(CH2)3Si(OCOCH3)3, CH2=C(CH3)CO2(CH2)3SiC2H5(OCOCH3)2, CH2=C(CH3)CO2(CH2)3SiCH3(N(CH3)COCH3)2, CH2=CHCO2(CH2)3SiCH3[ON(CH3)C2H5]2, CH2=C(CH3)CO2(CH2)3SiC6H5[ON(CH3)C2H5]2와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류; CH2=CHSi[ON=C(CH3)(C2H5)]3, CH2=CHSi(OCH3)3, CH2=CHSi(OC2H5)3, CH2=CHSiCH3(OCH3)2, CH2=CHSi(OCOCH3)3, CH2=CHSi(CH3)2(OC2H5), CH2=CHSi(CH3)2SiCH3(OCH3)2, CH2=CHSiC2H5(OCOCH3)2, CH2=CHSiCH3[ON(CH3)C2H5]2,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또는 이들의 부분 가수분해물과 같은 비닐실란류; 트리메톡시실릴에틸비닐에테르, 트리에톡시실릴에틸비닐에테르, 트리메톡시실릴부틸비닐에테르, 메틸디메톡시실릴에틸비닐에테르,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비닐에테르, 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비닐에테르와 같은 비닐에테르류; 등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알킬비닐에테르 및 비불소화 올레핀(non-fluorinated olef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불소 비함유 비닐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를 함유한다.
상기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는 상용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다.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로서,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티레이트, 비닐이소부티레이트, 비닐피발레이트, 비닐카프릴레이트, 비닐베르사테이트, 비닐라우레이트, 비닐스테아레이트, 비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닐벤조에이트, 비닐p-tert-부틸벤조에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비닐에테르로서,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비불소화 올레핀으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n-부텐, 이소부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불소 비함유 비닐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는 바람직하게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 및 불소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가 아닌 모든 중합 단위를 구성한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1) 퍼플루오로올레핀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플루오로올레핀계 중합체, (2)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CTFE계 중합체, (3)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dF)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VdF계 중합체, (4) 플루오로알킬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중합체, (5) 비닐아세테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 상기 (1) 내지 (5)에서, 내후성 및 내습성의 측면에서 보아, (1), (2) 및 (5)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1) 퍼플루오로올레핀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플루오로올레핀계 중합체
퍼플루오로올레핀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플루오로올레핀계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퍼플루오로올레핀 단위를 함유한다. 상기 퍼플루오로올레핀 단위는 퍼플루오로올레핀계 중합체의 모든 중합 단위에 대해, 20 몰% 내지 49 몰%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30 몰%이고, 보다 더 바람직한 하한은 40 몰%이다.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7 몰%이다.
상기 퍼플루오로올레핀으로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AVE)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여기서, 안료 분산성, 내후성, 공중합성 및 내화학약품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TFE가 바람직하다.
상기 퍼플루오로올레핀계 중합체는 바람직하게, 퍼플루오로올레핀과 공중합할 수 있는 기타 단량체의 단위를 함유한다.
상기 공중합할 수 있는 기타 단량체로서,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프로피오네이트, 비닐부티레이트, 비닐이소부티레이트, 비닐피발레이트, 비닐카프릴레이트, 비닐베르사테이트, 비닐라우레이트, 비닐스테아레이트, 비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닐벤조에이트, 비닐p-tert-부틸벤조에이트와 같은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류;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부틸비닐에테르,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와 같은 알킬비닐에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n-부텐, 이소부텐과 같은 비불소계올레핀류;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dF),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플루오로에틸렌(VF), 플루오로비닐에테르와 같은 불소계 단량체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이러한 물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퍼플루오로올레핀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퍼플루오로올레핀계 중합체로서, TFE/이소부텐/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 TFE/비닐베르사테이트/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 TFE/비닐베르사테이트/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 TFE/VdF/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TFE/이소부텐/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TFE/비닐베르사테이트/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화성 중합체의 도료로서, 다이킨공업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Zeffle(등록 상표) GK 시리즈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2)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CTFE계 중합체
CTFE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CTFE계 중합체로서, CTFE/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CTFE계 중합체의 경화성 중합체 도료로서, 아사히 글래스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LUMIFLON(등록 상표), 다이닛폰 잉크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FLUONATE(등록 상표), 센트럴 글래스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Cefral Coat(등록 상표), 도아고세이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Zaffron(등록 상표)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3)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dF)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VdF계 중합체
VdF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VdF계 중합체로서, VdF/TFE/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기타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4) 플루오로알킬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중합체
플루오로알킬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중합체로서, CF3CF2(CF2CF2)nCH2CH2OCOCH=CH2(n=3 및 4의 혼합물)/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중합체로서, 다이킨공업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UNIDYNE(등록 상표) 또는 FTONE(등록 상표), 듀폰사에 의해 제조된 Zonyl(등록 상표)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5) 비닐아세테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로서, 불소 함유 단량체/비닐아세테이트/식 (1)로 표시되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에서, 불소 함유 단량체/비닐아세테이트/식 (1)로 표시되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몰비는 바람직하게 15 내지 50/20 내지 75/5 내지 22/0.1 내지 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15 내지 50/23 내지 75/5 내지 22/0.1 내지 5이다.
상기 공중합체 중 불소 함유 단량체 단위와 비닐아세테이트 단위의 비율의 경우, 내후성, 용매 내성, 내오염성 및 도막 경도의 측면에서, 불소 함유 단량체 단위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위의 합계 몰 수에 대해, 불소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더 바람직하게 0.16 내지 0.51이다. 상기 비율은 바람직하게 0.22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0.50 이하이다. 상기 비율은 원소 분석에 의해 측정된 불소 함량(질량 %) 및 1HNMR 스펙트럼에 기반한 조성 분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을 갖는 공중합체는 본 발명자가 발견한 새로운 공중합체이다.
식 (1)로 표시되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서, 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HEVE), 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HBVE), 2-히드록시에틸알릴에테르 및 4-히드록시부틸알릴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중합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경화제 등 첨가제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n값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N으로서, 2 이상이 바람직하고, 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8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한은 예를 들어 20이다. 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펜텐산, 헥센산, 헵텐산, 옥텐산, 노넨산, 데센산, 운데실렌산, 도데센산, 트리데센산, 테트라데센산, 펜타데센산, 헥사데센산, 헵타데센산, 옥타데센산, 노나데센산, 에이코센산 및 22-트리코센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고, 운데실렌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기타 단량체 단위도 함유할 수 있다. 기타 단량체 단위는 상기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에 대해, 바람직하게 0 몰% 이상 40 몰%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25 몰% 이하이다. 기타 단량체로서, 비닐아세테이트 이외의 비방향족계 비닐에스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비방향족계 비닐에스테르로서, 비닐베르사테이트, 비닐라우레이트, 비닐스테아레이트, 비닐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 3000 내지 100000이다.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은 보다 바람직하게 500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 80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5000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 35000 이하이다.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은 용리액으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사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가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구한 유리 전이 온도(두 번째 순환(second run))는 바람직하게 10 ℃ 내지 7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15 ℃ 내지 60 ℃이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의 산가는 바람직하게 0.6 mgKOH/g 내지 28.8 mgKOH/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2 mgKOH/g 내지 12 mgKOH/g이다. 상기 산가는 JIS K 5601에 따라 측정된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계 중합체의 히드록시기값은 바람직하게 29 mgKOH/g 내지 120 mgKOH/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100 mgKOH/g 이하이다. 상기 히드록시기값은 중합 시의 히드록시기 단량체의 실제 투입량과 고체 성분 농도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4-204205호 공보, 일본 특개 2013-177536호 공보에서 공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밖에, 불소 함유 단량체 단위와 비닐아세테이트 단위의 비율이 0.16 내지 0.51인 새로운 공중합체는 용액 중합법, 유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또는 벌크 중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용액 중합법으로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 중합에서, 단량체, 유기 용매 및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일반적으로 0 ℃ 내지 150 ℃이고, 바람직하게 5 ℃ 내지 95 ℃이다. 중합 압력은 일반적으로 0.1 MPaG 내지 10 MPaG(1 kgf/cm2G 내지 100 kgf/cm2G)이다.
유기 용매로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tert-부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 헥산, 시클로헥산, 옥탄, 노난, 데칸, 운데칸, 도데칸, 미네랄 스피릿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용매 나프타와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tert-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와 같은 알콜류;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디옥산과 같은 시클릭에테르류; 디메틸설폭시드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과 같은 과황산염류(또한 수요에 따라 아황산 수소 나트륨, 소듐피로설파이트,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디메틸아닐린과 같은 환원제를 더 병용할 수 있음); 산화제(예를 들어, 과산화암모늄, 과산화칼륨 등)와 환원제(예를 들어, 아황산나트륨 등) 및 천이 금속염(예를 들어, 황산제이철 등)으로 형성된 산화환원 개시제류; 과산화아세틸, 과산화벤조일과 같은 디아실퍼옥시드류;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퍼옥시드, tert-부톡시카르보닐퍼옥시드와 같은 디알콕시카르보닐퍼옥시드류; 메틸에틸케톤퍼옥시드, 시클로헥사논퍼옥시드와 같은 케톤퍼옥시드류; 과산화수소, tert-부틸히드로퍼옥시드, 쿠멘히드록퍼옥시드와 같은 히드록퍼옥시드류; 디-t-부틸퍼옥시드, 디쿠밀퍼옥시드와 같은 디알킬퍼옥시드류;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와 같은 알킬퍼옥시에스테르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시클로프로필프로피오니트릴), 디메틸2,2'-아조디이소부티레이트,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펜텐산)과 같은 아조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한다.
상기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PDI)에 기반한 블록이소시아네이트(Blocked isocyanate) 화합물 및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PDI)로부터 유도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PDI)에 기반한 블록이소시아네이트(이하 블록이소시아네이트로 약칭함)를 사용하여, 상기 수성 분산체가 충분한 저장 기간(사용 가능 시간)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록이소시아네이트로서,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II)로도 지칭하기도 함)이 블록화제와 반응하여 얻어지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II)로서,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올의 부가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부가물,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형성된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체(시아누레이트 구조체) 및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형성된 뷰렛(biuret)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부가물로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하기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식에서, R4는 탄소 원자 개수가 3 내지 20인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k는 3 내지 20의 정수이다).
상기 일반식 (6)에서 R4는 상기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올에 기반한 탄화수소기이고, 탄소 원자 개수가 3 내지 10인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 원자 개수가 3 내지 6인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k는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올의 가수에 대응되는 수이다. 상기 k로서, 3 내지 10의 정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6의 정수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체는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고리를 갖는다.
Figure pct00002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체로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화 반응에 의해 얻은 3합체, 5량화 반응에 의해 얻은 5합체, 7량화 반응에 의해 얻은 7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하기 일반식 (7)로 표시되는 3합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상기 뷰렛(biuret)은 하기 일반식 (8)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4
상기 화합물은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체를 얻는 경우와는 상이한 조건에서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화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블록화제로서, 활성 수소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수소를 갖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알코올류, 옥심류, 락탐류, 활성 메틸렌 화합물 및 피라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블록이소시아네이트는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블록화제로 반응시켜 얻어지는 물질이고, 상기 블록화제는 바람직하게 알코올류, 옥심류, 락탐류, 활성 메틸렌 화합물 및 피라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상기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얻기 위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II)이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올의 부가물인 경우, 상기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올로서, 구체적으로,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TMP), 1,2,6-헥산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2,4-디히드록시-3-히드록시메틸펜탄, 1,1,1-트리스(비스-히드록시메틸)프로판, 2,2-비스(히드록시메틸)부탄올-3과 같은 3가 알코올;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린과 같은 4가 알코올; 아라비톨, 리비톨, 자일리톨과 같은 5가 알코올(펜티톨); 소르비톨, 만니톨, 갈락티톨, 알로듀사이트(allodulcite)와 같은 6가 알코올(헥시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이 특히 바람직하다.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올의 부가 중합에 의해 상기 부가물이 얻어진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II)과 반응한, 활성 수소를 갖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메톡시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류; 아세톡심, 2-부타논옥심, 시클로헥사논옥심과 같은 옥심류; ε-카프로락탐과 같은 락탐류; 메틸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말로네이트와 같은 활성 메틸렌 화합물; 3-메틸피라졸, 3,5-디메틸피라졸, 3,5-디에틸피라졸과 같은 피라졸 화합물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 메틸렌 화합물, 옥심류가 바람직하고, 활성 메틸렌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PDI)로부터 유도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III)로 지칭하기도 함)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III)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II)로서의 상기 물질을 예로 들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III)의 구체적인 예로서, 미츠이화학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D370N, D376N, D3725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및 상기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하면, 기타 성분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성분은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조성물 중 비휘발성 성분의 총량 100 질량 %에 대해서,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20 질량 % 내지 95 질량 %이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중 경화성 관능기 1 당량에 대해서, 상기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0.1 당량 내지 5 당량이고, 바람직하게 0.5 당량 내지 1.5 당량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의 비율은 하기 비율과 같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중 관능기 수에 대해, 상기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중 관능기 수는 0.1 당량 내지 5 당량이고, 바람직하게 0.5 당량 내지 1.5 당량이며, 더 바람직하게 0.7 당량 내지 1.2 당량이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중 경화성 관능기의 함량은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NMR, FT-IR, 원소 분석, 형광 X-선 분석 및 중화 적정을 적절히 조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및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각각 용매 등을 제외한 이후의 비휘발성 성분의 질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및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하므로, 프레셔 쿠커 시험 후에도 기재와 우수한 밀착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밖에, 상기 도막은 EVA와 같은 밀봉재 층과도 우수한 밀착성을 갖는다.
기재와의 우수한 밀착성의 측면에서 보아,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폴리올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한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바람직한 히드록시기값은 10 내지 300이다. 상기 히드록시기값을 상기 범위 내에 있게 하여, 얻은 도막이 비투수성 시트 및 EVA에 의해 형성된 밀봉재 층과 단단히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바람직한 수 평균 분자량은 300 내지 4000이다.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다.
기재 또는 EVA와 같은 밀봉재 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시클로헥산 함유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부타디엔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시클로헥산 함유 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부타디엔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상기 불소 함유 중합체에 대하여 0.1 질량 % 이상 100 질량 % 미만이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상기 불소 함유 중합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1 질량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5 질량 %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 20 질량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50 질량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40 질량 % 이하이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도막의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도막과 비투수성 시트 및 EVA에 의해 형성된 밀봉재 층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서, 쿠스모토화성사에 의해 제조된 Flexorez148, Flexorez 188, Flexorez A308, 우베고산사에 의해 제조된 ETERNACOLL UH-50, ETERNACOLL UM-90, 아케다사에 의해 제조된 ADEKA Polyether P-400, ADEKA Polyol BPX-21, 닛폰소다사에 의해 제조된 NISSO-PB GI-1000, GI-2000, GI-3000, BASF사에 의해 제조된 Sovermol 908, 장쑤화다사에 의해 제조된 CMA3190, 크로다(Croda)사에 의해 제조된 Priplast 3190, 우베고산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PH50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재 또는 EVA와 같은 밀봉재 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멜라민 수지를 추가로 함유한다.
멜라민 수지로서, 저급 알코올인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을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으로부터 얻어지는 메틸올멜라민 유도체와 반응시키고, 에테르화하여 얻은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메틸올멜라민 유도체로서, 모노메틸올멜라민, 디메틸올멜라민, 트리메틸올멜라민, 테트라메틸올멜라민, 펜타메틸올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멜라민 수지의 유형으로서, 알콕시화의 비율에 따라 완전 알킬형, 메틸올형, 이미노형 및 메틸올/이미노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로서, 벤젠 고리 함유 멜라민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멜라민 수지의 시판품으로서, 멜크로스(Melcross)사에 의해 제조된 M-85, M-25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멜라민 수지는 상기 불소 함유 중합체에 대해 바람직하게 0.1 질량 % 내지 10 질량 %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0.1 질량 % 내지 5 질량 %이고, 더 바람직하게 0.1 질량 % 내지 3 질량 %이다. 상기 멜라민 수지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도막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경화성 촉진제, 안료, 안료 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증점제, 밀착 개량제, 소광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경화성 촉진제로서, 유기 주석 화합물, 산성 인산에스테르, 산성 인산에스테르와 아민의 반응물, 포화 또는 불포화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 유기 티타네이트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납 옥타노에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경화성 촉진제로서 일반 산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디메틸옥사졸리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과 같은 아민으로 차단된 산 촉매, 차단되지 않은 도데실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디노닐나프탈렌설폰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산 촉매로서, 도데실벤젠설폰산, 아민으로 차단된 도데실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산성페닐포스페이트, 아민으로 차단된 디노닐나프탈렌설폰산 및 산성페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경화성 촉진제는 상기 불소 함유 중합체에 대해 바람직하게 0.01 질량 % 내지 10 질량 %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0.01 질량 % 내지 5 질량 %이고, 더 바람직하게 0.1 질량 % 내지 3 질량 %이다. 상기 경화성 촉진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사용 가능 시간이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도막과 비투수성 시트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경화성 촉진제는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2가지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안료를 추가로 함유한다. 따라서, 얻어지는 의 UV 차폐성은 우수하다. 이밖에, 태양전지 모듈의 외관을 미려하게하는 점에서도 안료를 첨가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안료로서, 구체적으로, 백색 안료로서의 이산화티타늄, 탄산 칼슘, 흑색 안료로서의 카본 블랙, Cu-Cr-Mn 합금과 같은 복합 금속류 등 무기 안료;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계, 퀴나크리돈(quinacridone)계 또는 아조계와 같은 유기 안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해, 안료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 0.1 질량부 내지 200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0.1 질량부 내지 160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태양전지를 자외선이 강한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 흡수로 인한 백시트의 열화를 막는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면, 경화성 도막층에 자외선 흡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 유기계, 무기계의 임의의 자외선 흡수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유기 화합물에서, 살리실레이트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무기계에서, 산화 아연, 산화 세륨과 같은 필러형 무기 자외선 흡수제 등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료 중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의 총량 100 질량 %에 대해, 자외선 흡수제의 량은 바람직하게 0.1 질량 % 내지 15 질량 %이다. 자외선 흡수제의 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내광성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비록 지나치게 많을지라도, 효과가 포화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도료인 것은 바람직한 방식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 방법에 따라 용매형 도료, 수성형 도료, 분말형 도료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막 형성의 용이성, 경화성, 건조성이 우수한 점에서 고려해보면, 용매형 도료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용매형 도료 중 용매로서,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cellosolve acetate),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과 같은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과 같은 시클릭에테르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아미드류; 크실렌, 톨루엔, 솔벤트 나프타와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셀로솔브(ethyl cellosolve)와 같은 글리콜에테르류; 카르비톨아세테이트와 같은 디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류; n-펜탄, n-헥산, n-헵탄, n-옥탄, n-노난, n-데칸, n-운데칸, n-도데칸, 미네랄 스피릿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류;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에스테르류가 보다 바람직하고, 부틸아세테이트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용매형 도료로 제조한 경우, 도료의 총량 100 질량 %에 대해,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5 질량 % 내지 95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10 질량 % 내지 70 질량 %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도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막은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절한 기재에 코팅하고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기재에서 경화성 도막을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그 도료 형태에 따라 기재에 코팅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코팅 형태에서의 일반 조건의 온도 범위 내에서 코팅하면 되고, 경화 및 건조에 대해서는, 용매형 도료의 경우, 10 ℃ 내지 300 ℃, 일반적으로 100 ℃ 내지 200 ℃에서 30초 내지 3일 동안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의 코팅에 사용될 경우, 비투수성 시트로서, Si 증착 PET 시트와 같은 고온을 피하여 처리해야 하는 재료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경화 및 건조 후 양생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20 ℃ 내지 300 ℃에서 1분 내지 3일 동안이면 완료된다.
기재에 코팅하는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재에 직접 코팅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단성, 내후성, 내화학약품성, 내습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경화성 도막의 막두께는 1 μm 이상이 바람직하다. 3 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μm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두꺼워 경량화 효과를 얻지 못하는 이유로 인해, 상한은 약 100 μm가 바람직하고, 약 100 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막 두께로서, 3 μm 내지 40 μm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도막은 프레셔 쿠커 시험 후에도 기재와 우수한 밀착성을 가지며, 태양전지 모듈의 밀봉재로서의 일반 EVA와의 밀착성도 우수하고, 이뿐만 아니라, 감겨질 때의 내블록킹(blocking)성도 우수하므로, 일반적으로 감기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의 코팅에 특히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의 코팅에 사용될 경우, 상기 도막은 비투수성 시트와 같은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도막이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의 다른 일면이 코팅되지 않은 면일 경우, 상기 도막은 감기 공정에서 기재의 코팅되지 않은 면과 접촉한다. 이밖에, 상기 도막이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재의 다른 일면에 기타 도료에 의해 얻어지는 도막(후술하는 경화성 관능기를 구비하지 않는 불소 함유 중합체 도료의 경화성 도막, 폴리에스테르 도료의 도막, 프라이머층 등) 또는 기타 시트가 설치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도막은 감기 공정에서 기재상의 기타 도료에 의해 얻어지는 도막 또는 기타 시트와 접촉한다. 이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도막이 기재의 양면에 형성될 경우, 상기 도막은 감기 공정에서 기재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동일한 종류의 도막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도막에 대해, 이들은 모든 경우에도 접촉면에 대해 우수한 내블록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태양전지 모듈의 백시트에 관한 것으로, 비투수성 시트 및 상기 비투수성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도막을 구비하고, 상기 도막은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비투수성 시트는 수분이 밀봉재 또는 태양전지 단위에 침투되지 않도록 구성된 층이며, 물이 실질적으로 투과하지 않는 재료라면 사용될 수 있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비닐할라이드 수지(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 수지(나일론 6, 나일론 66, MXD나일론(m-크실릴렌디아민-아디프산 공중합체) 등), 치환기를 갖는 올레핀의 중합체(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등), EVA(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를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무게, 가격, 가요성 등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PET 시트, Si 증착 PET 시트,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박 시트 등이 주로 사용된다. 그중에서도 PET 시트가 흔히 사용된다.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50 μm 내지 250 μm이다. 여기서, 방습성이 특히 필요한 경우, Si 증착 PET 시트를 자주 사용한다.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10 μm 내지 20 μm이다.
이밖에, 상기 도막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투수성 시트에 대해 기존의 공지된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표면 처리로서,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방전 처리, 화학 처리, 금속 시트 경우의 샌드 블라스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비투수성 시트에 상기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도막은 단지 상기 비투수성 시트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백시트와 밀봉재의 밀착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백시트를 갖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밀봉재와 백시트의 경계면 부분에 공극이 쉽게 생성되지 않아, 태양전지 단위를 보다 더 신뢰성 있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투수성 시트, 상기 비투수성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도막, 및 상기 도막에 형성된 밀봉재 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며, 상기 도막은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바람직한 구조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 구조에서, 태양전지 모듈(1)은 밀봉재 층(2)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밀봉재 층(2)은 표면 층(3)과 백시트(4) 사이에 끼워져있다. 백시트(4)는 비투수성 시트(5)와 경화성 도막(6)으로 더 구성되며, 상기 경화성 도막(6)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제1 구조에서, 경화성 도막(6)은 밀봉재 층(2) 측에만 설치된다.
상기 밀봉재 층(2)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EVA), 폴리비닐부티랄(PVB), 유기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 층(3)에 흔히 유리판이 사용되지만, 수지 시트와 같은 플렉시블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 구조는 비투수성 시트(5)의 양면에 경화성 도막(6)을 형성하여 구성된 3층 구조이다.
상기 제2 구조에서, 백시트의 막 두께는 증가되지만, 밀봉재 층(2) 측의 경화성 도막(6)에 의한 밀착성과 밀봉재 층(2) 반대측의 경화성 도막(6)에 의한 내후성 이 두 가지 방면의 장점을 모두 구비한다.
3층 구조의 백시트로서, 하기와 같이 형성된 3층 구조의 백시트일 수도 있다. 비투수성 시트의 일면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경화성 도막이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 경화성 관능기를 구비하지 않는 불소 함유 중합체 도료의 경화성 도막, 불소 함유 중합체 시트, 폴리에스테르 시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도료의 도막(기타 시트 또는 도막)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제3 구조는 비투수성 시트(5)의 밀봉재 층(2)측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경화성 도막이 형성되고, 밀봉재 층(2) 반대측에 기타 도막(7)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막(7)을 구성하는 재료는 경화성 관능기를 구비하지 않는 불소 함유 중합체 도료의 경화성 도막일 수 있고, 불소 함유 중합체 시트일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시트일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도료의 도막일 수도 있다.
이밖에, 상기 도막과 밀봉재 층의 접착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도막에 대해 기존의 공지된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표면 처리로서,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방전 처리, 화학 처리, 샌드 블라스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를 구비하지 않는 불소 함유 중합체 도료의 경화성 도막으로서, 일본 특개 2004-214342호 공보에 기재된 PVdF에 테트라알콕시실란 또는 이의 부분적 가수분해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도료의 경화성 도막, VdF/TFE/CTFE 공중합체 및 알콕시실란 단위를 함유한 아크릴 수지의 혼합 도료의 경화성 도막, VdF/TFE/HFP 공중합체 및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 수지의 혼합 도료의 경화성 도막, VdF/HFP 공중합체에 아미노실란 커플링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도료의 경화성 도막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차단성, 내후성, 내화학약품성, 내습성이 양호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막 두께는 일반적으로 5 μm 내지 300 μm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10 μm 내지 100 μm이고, 더 바람직하게 10 μm 내지 50 μm이다. 이 경우, 프라이머층 등을 삽입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프라이머층의 형성은 기존의 공지된 프라이머층용 도료로 일반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프라이머층용 도료로서,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유기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중합체 시트로서, PVdF 시트 또는 PVF 시트, PCTFE 시트, TFE/HFP/에틸렌 공중합체 시트, TFE/HFP 공중합체(FEP) 시트, TFE/PAVE 공중합체(PFA) 시트, 에틸렌/TFE 공중합체(ETFE) 시트, 에틸렌/CTFE 공중합체(ECTFE) 시트와 같은 현재 백시트에 사용되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시트를 예로 들 수 있다. 내후성이 양호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막 두께는 5 μm 내지 300 μm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10 μm 내지 100 μm이고, 더 바람직하게 10 μm 내지 50 μm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시트로서, 기존의 백시트에서 사용되는 시트를 직접 사용할 수 있고, 비투수성 시트(5)에 대한 접착은 아크릴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내후성, 비용 및 투명성이 우수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막 두께는 5 μm 내지 300 μm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10 μm 내지 100 μm이고, 더 바람직하게 10 μm 내지 50 μm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도료로서, 다가카르복실산과 폴리올 등으로 형성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도료; 말레산무수물, 푸마르산과 같은 글리콜류로 형성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도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롤 코팅, 커튼 코팅, 스프레이 코팅 및 다이 코팅과 같은 코팅 방법에 의해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차단성, 내후성, 내화학약품성, 내습성이 양호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바람직한 막 두께는 5 μm 내지 300 μm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10 μm 내지 100 μm이고, 더 바람직하게 10 μm 내지 50 μm이다. 이 경우, 프라이머층 등을 삽입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용도를 제외한 이외에, 또한 건축 자재 및 내장재와 같은 실내용 또는 건축 자재, 외장재, 자동차, 항공기, 선박 및 트램과 같은 실외용 도료로서 금속,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에 직접 코팅할 수 있거나, 워시 프라이머, 방수(防銹) 도료, 에폭시 도료, 아크릴 수지 도료, 폴리에스테르 수지 도료와 같은 프라이머층 코팅에 오버레이 코팅할 수 있다. 특히, EVA 층에 밀착된 도막층, 또는 감기 공정을 통해 제조된 다양한 막 또는 시트 재료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은 기재에 상기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이 막으로 성형된 후 상기 막 층을 기재에 적층시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경화 막일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은 상기 기재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재의 형상, 두께 등은 적층체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면 된다. 기재는 바람직하게 금속,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재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은 직접 접착될 수 있고, 프라이머층과 같은 기타 층을 사이에 두고 접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과 상기 기재의 밀착성이 우수하므로, 직접 접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재와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이 직접 접착될 경우, 적층체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차단성, 내후성, 내화학약품성, 내습성이 양호한 측면에서 고려해보면,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의 두께는 1 μm 이상이 바람직하다. 3 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μm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두꺼워 경량화 효과를 얻지 못하는 이유로 인해, 상한은 약 100 μm가 바람직하고, 약 100 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의 두께로서, 3 내지 40 μm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기재의 플라스틱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할로겐화비닐 수지(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등), 폴리에스테르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 수지(나일론 6, 나일론 66, MXD나일론(m-크실릴렌디아민-아디프산 공중합체 등), 치환기를 갖는 올레핀의 중합체(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등), EVA(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와 같은 공중합체를 예로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재료를 2가지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밖에, 상기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에 대해 기존의 공지된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표면 처리로서,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방전 처리, 화학 처리, 금속 시트 경우의 샌드 블라스팅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건축 자재, 내장재, 외장재, 자동차, 항공기, 선박(갑판, 데크, 선저 등), 트램, 탱크, 교량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차량 내외장 부재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함유하므로, 프레셔 쿠커 시험 후에도 기재와 우수한 밀착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막은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의 도막으로서 극히 유용하다.
도 1은 태양전지 모듈의 제1 구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2 구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태양전지 모듈의 제3 구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표에 기재된 성분은 하기와 같다.
불소 수지: 경화성 TFE계 공중합체 용액, 상품명 Zeffle GK570, 다이킨공업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됨.
디올: 시클로헥산 함유 디올, 상품명 Sovermol 908(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BASF사에 의해 제조됨.
Figure pct00005
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CMA-3190, 장쑤화다사에 의해 제조됨.
소광제: CP4-8991, 그레이스 코퍼레이션사에 의해 제조됨.
벤젠 고리 함유 멜라민 수지: M-85, 멜크로스사에 의해 제조됨.
경화성 촉진제(산 촉매): CYCAT600, 사이텍 인더스트리(Cytec, Inc.)사로부터 구매된 도데실벤젠설폰산의 70 질량 % 이소프로판올 용액
PDI계 경화제: D3725N, 미츠이화학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됨.
XDI계 경화제: Takenate D120N, 미츠이화학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됨.
HDI계 경화제: Sumidur N3300,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사에 의해 제조됨.
제조예 1
교반 하에서 경화성 TFE계 공중합체 용액(다이킨공업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Zeffle GK570, 고체 성분 65 질량 %, 히드록시기값 60 mgKOH/g, 용매: 부틸아세테이트 202 질량부, 백색 안료로서의 이산화티타늄(듀폰사에 의해 제조된 R960) 263.0 질량부, 부틸아세테이트 167.0 질량부를 예비 혼합한 후, 직경이 1.2 mm인 유리 비드 632 질량부에 넣고, 안료 분산기로 1500 rpm으로 1시간 동안 분산시킨다. 그 후, #80 메쉬 체를 사용하여 유리 비드를 걸러내고, 상기 용액에 경화성 TFE계 공중합체 용액(Zeffle GK570) 283.0 질량부, 부틸아세테이트 85.0 질량부를 넣어, 백색 도료를 제조한다.
백색 도료 1000 질량부에 디올(Sovermol 908, BASF사에 의해 제조됨) 118.3 질량부, 소광제(CP4-8991, 그레이스 코퍼레이션사에 의해 제조됨) 47.3 질량부, 벤젠 고리 함유 멜라민 수지(M-85, 멜크로스사에 의해 제조됨) 4.7 질량부, 산 촉매(CYCAT600, Cytec, Inc.로부터 구매된 도데실벤젠설폰산의 70 질량 % 이소프로판올 용액) 4.7 질량부, 경화제(D3725N, 미츠이화학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되고, NCO 함량은 22.8 %임) 66.2 질량부(경화성 TFE계 공중합체 중 경화성 관능기 1 당량에 대해, 1.0 당량에 상당함)를 배합하여 도료1을 제조한다.
실시예 1
비투수성 시트로서 PET 막(도자이(Tozai)에 의해 제조된 DS10, 두께 250 μm, 시트 A)을 사용하고, 상기 시트 A의 일면을 2000 W로 코로나 처리하고, 코팅기를 사용하여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도료 1을 10 μm의 건조 막 두께로 도포하며, 150 ℃에서 2 분 동안 건조시켜, 2층 구조의 백시트 A1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백시트 A1의 도막면에 2000 W로 코로나 처리하고, 50 ℃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양생한 이후, 상기 도막면에 EVA 수지 시트(퍼스트(福斯特)에 의해 제조된 F806P, 두께 500 μm)를 놓고, EVA 수지 시트에 강화 유리(우시 하이다에 의해 제조되고, 두께 3.2 mm)를 더 놓아, 142 ℃의 온도에서 압착하여, 3층 구조의 샘플 A1(도 1에 도시된 방식)을 제조한다. 상기 유리/EVA/백시트 접착 샘플 A1에 대한 밀착성(EVA와 백시트 사이)을 조사한다. 결과를 표 1에 열거한다.
시험 방법 및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박리 강도)
실시예 1에서 얻은 유리/EVA/백시트 접착 샘플 A1에 대해, 초기 상태 및 PCT(프레셔 쿠커 시험, 121 ℃, 습도 100 % RH, 2기압) 48시간 후 박리 테스트에 의해 EVA/백시트 층 사이의 밀착성을 측정한다. 측정 샘플의 EVA/백시트 부분을 1 cm×15 cm의 폭으로 잘라내고, Tensilon(오리엔텍 제조)으로 180도 박리 테스트를 수행하여, N/cm를 단위로, EVA/백시트 사이의 접착 강도를 측정한다.
(도막 파단)
박리 강도와 마찬가지로, 초기 상태 및 PCT에서 48시간 후의 도막에 대해 육안으로 평가한다.
(도막/PET 박리)
박리 강도와 마찬가지로, 초기 상태 및 PCT에서 48시간 후의 도막에 대해 육안으로 평가한다.
(막 두께)
JIS C-2151에 따라, 마이크로미터(미쓰도요사에 의해 제조됨)로 측정한다.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12
도료의 성분을 표 1 또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도료를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층 구조의 백시트, 유리/EVA/백시트의 접착 샘플을 제조한다.
결과를 표 1 또는 표 2에 열거한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1: 태양전지 모듈
2: 밀봉재 층
3: 표면 층
4: 백시트
5: 비투수성 시트
6: 경화성 도막
7: 기타 도막

Claims (15)

  1.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 및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경화성 관능기를 함유한 불소 함유 중합체는, 불소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 및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 단위를 함유하고, 상기 경화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및 실리콘계 비닐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불소 함유 단량체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민 수지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 화합물 및 멜라민 수지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 촉매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료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도료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12. 기재,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3. 제12항에 있어서, 기재는 금속,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적층체.
  14. 비투수성 시트; 및
    상기 비투수성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도막을 구비하고, 상기 도막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15. 비투수성 시트;
    상기 비투수성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도막; 및
    상기 도막 위에 형성되는 밀봉재 층을 구비하고, 상기 도막은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0207018136A 2017-11-24 2018-11-20 조성물, 도료, 도막,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KR102449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91440.X 2017-11-24
CN201711191440.XA CN109988466A (zh) 2017-11-24 2017-11-24 组合物、涂料、涂膜、太阳能电池组件背板以及太阳能电池组件
PCT/CN2018/116412 WO2019101065A1 (zh) 2017-11-24 2018-11-20 组合物、涂料、涂膜、太阳能电池组件背板以及太阳能电池组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25A true KR20200090225A (ko) 2020-07-28
KR102449432B1 KR102449432B1 (ko) 2022-09-30

Family

ID=6663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136A KR102449432B1 (ko) 2017-11-24 2018-11-20 조성물, 도료, 도막,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46252B2 (ko)
JP (1) JP7023362B2 (ko)
KR (1) KR102449432B1 (ko)
CN (2) CN109988466A (ko)
CA (1) CA3083003A1 (ko)
TW (1) TWI744568B (ko)
WO (1) WO2019101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9976B (zh) * 2020-09-29 2023-01-24 合肥河钢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彩色钢板的制备方法
CN113948598B (zh) * 2021-10-18 2024-04-02 北京工业大学 一种柔性薄膜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694A (ja) 2005-07-22 2007-02-08 Daikin Ind Ltd 太陽電池のバックシート
JP2007526366A (ja) * 2004-02-23 2007-09-13 ライプニッツ−インスティトゥート フィア ノイエ マテリアーリエン ゲマインニュッツィゲ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 ハフトゥンク 低エネルギー表面を有する耐磨耗性及び耐アルカリ性コーティング又は成形体
JP2011162598A (ja) * 2010-02-05 2011-08-25 Dic Corp 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4441B (en) * 2003-12-05 2006-10-21 Daikin Ind Ltd Cold curing aqueous composition
KR20120123535A (ko) * 2010-02-05 2012-11-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이면 밀봉 시트용 필름
MX2012009871A (es) * 2010-02-26 2012-09-12 Asahi Glass Co Ltd Composicion de recubrimiento para reflector recolector de calor solar y reflector recolector de calor solar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on.
EP2554554B1 (en) * 2010-03-31 2015-04-29 DIC Corporation Curable fluorine-containing resin and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sition using same
CN103347852B (zh) 2011-03-09 2016-04-13 三井化学株式会社 戊二异氰酸酯、戊二异氰酸酯的制造方法、多异氰酸酯组合物、聚氨酯树脂及聚脲树脂
CN105960441B (zh) * 2014-01-24 2019-04-16 关西涂料株式会社 用于形成具有耐冲击性的涂膜的涂料组合物
WO2016152631A1 (ja) 2015-03-26 2016-09-2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塗膜保護フィルム
JP6142938B2 (ja) 2015-03-31 2017-06-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170166772A1 (en) * 2015-12-09 2017-06-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cesses for coating substrates with polymers formed from trans-1,3,3,3-tetrafluoropropene and vinylidene difluoride
JP7060586B2 (ja) 2017-04-17 2022-04-26 関東電化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共重合体
WO2018194070A1 (ja) * 2017-04-18 2018-10-25 Agc株式会社 フッ素系塗料、フッ素系塗料の製造方法、塗装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6366A (ja) * 2004-02-23 2007-09-13 ライプニッツ−インスティトゥート フィア ノイエ マテリアーリエン ゲマインニュッツィゲ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 ハフトゥンク 低エネルギー表面を有する耐磨耗性及び耐アルカリ性コーティング又は成形体
KR101317010B1 (ko) * 2004-02-23 2013-10-11 라이브니츠-인스티투트 퓌어 노이에 마테리알리엔 게마인누찌게 게엠베하 저 에너지 표면을 갖는 내마모성 및 내알칼리성 코팅층또는 성형체
JP2007035694A (ja) 2005-07-22 2007-02-08 Daikin Ind Ltd 太陽電池のバックシート
JP2011162598A (ja) * 2010-02-05 2011-08-25 Dic Corp 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4518A (ja) 2021-02-15
KR102449432B1 (ko) 2022-09-30
CN109988466A (zh) 2019-07-09
CA3083003A1 (en) 2020-05-19
CN111511852A (zh) 2020-08-07
US20200392363A1 (en) 2020-12-17
US11746252B2 (en) 2023-09-05
JP7023362B2 (ja) 2022-02-21
WO2019101065A1 (zh) 2019-05-31
TW201930493A (zh) 2019-08-01
TWI744568B (zh)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8967B1 (en) solar cell
JP550016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バックシート
TWI550034B (zh) Coating, coating, solar cell module backplane, and solar module
TWI638014B (zh) Coating, coating film, back panel of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KR20140139627A (ko) 태양 전지 모듈용 내후성 시트 및 상기 시트를 사용한 제품 및 상기 태양 전지 모듈용 내후성 시트의 제조 방법
TW201216488A (en) Weatherable backsheet for solar cell module
KR102449432B1 (ko) 조성물, 도료, 도막, 태양전지 모듈 백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CN107429073B (zh) 组合物和层积体
JP5464258B2 (ja) 塗料、塗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07408596B (zh) 太阳能电池组件的背板和太阳能电池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