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520A -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Google Patents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9520A KR20200089520A KR1020190006358A KR20190006358A KR20200089520A KR 20200089520 A KR20200089520 A KR 20200089520A KR 1020190006358 A KR1020190006358 A KR 1020190006358A KR 20190006358 A KR20190006358 A KR 20190006358A KR 20200089520 A KR20200089520 A KR 202000895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ing door
- roller
- main body
- door
- rai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폴딩도어(A)를 구성하는 단위도어(B)의 하부에 설치되어 폴딩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폴딩도어의 개폐 시 레일(D)을 따라 이동하며 단위도어(B)의 절첩 작동을 안내하는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D)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원활한 이동이 위하여 본체(10) 외측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롤러바퀴(20); 상기 본체(10)의 일측 중앙에 설치되어 단위도어(B)의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대(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바퀴를 본체(10)의 평면과 측면에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본체의 높이가 낮은 슬림한 구조를 만족하면서도, 이동 중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폴딩도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구름 이동 과정에서 레일 내부의 긁힘 및 소음과 진동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폴딩도어의 개폐가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바퀴를 본체(10)의 평면과 측면에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본체의 높이가 낮은 슬림한 구조를 만족하면서도, 이동 중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폴딩도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구름 이동 과정에서 레일 내부의 긁힘 및 소음과 진동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폴딩도어의 개폐가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바퀴를 가로세로 방향으로 설치하되, 본체의 평면과 측면에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슬림한 구조를 만족하면서도,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폴딩도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여 구름 이동 과정에서 레일 내부의 긁힘 및 소음과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한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라 함은 절첩식 도어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도 1과 같이 절첩식으로 구성된 다수의 단위도어(B)가 천장부의 레일(D)에 매달려 이동 가능케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회전식 내지는 미닫이식 도어에 비하여 개방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됨에 따라 개방감과 시야가 우수하여 전시 기능이 필요한 의류점이나, 내부 공간의 개방성을 고려한 레스토랑 등을 위한 상가 건물에 주로 사용되며, 근래에는 일반 주택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폴딩도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단위도어(B)가 레일(D)을 따라 이동 가능케 하는 롤러장치(E)라 할 수 있다.
롤러장치는 폴딩도어(A)를 구성하는 단위도어(B)의 하부에 설치되어 폴딩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폴딩도어의 개폐 시 구름 이동을 통해 단위도어(B)의 절첩 작동이 원활하게 안내한다.
따라서 롤러장치는 단위도어(B)의 프레임 등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데, 근래의 폴딩도어는 상업용 건물이나 주택 내부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레일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통행의 불편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슬림형 레일(D)의 설치가 보편화되면서 레일 내부에서 구름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롤러장치도 높이가 낮은 슬림한 구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하여 종래의 롤러장치는 롤러바퀴를 지지하는 몸체의 높이를 최대한 낮게 만들고, 그에 따라 몸체 양 측면에 설치되는 롤러바퀴의 직경도 점차 축소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롤러장치는 몸체의 양측면에 직경이 작은 롤러바퀴가 세로 방향으로만 설치됨으로써, 폴딩도어의 개폐 중 롤러장치의 본체가 롤러바퀴가 설치된 좌우 양측으로 흔들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롤러장치가 좌우로 흔들리는 과정에서 롤러바퀴 또는 롤러바퀴를 지지하는 회전축이 레일(D)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긁힘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폴딩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롤러장치가 좌우로 흔들리는 과정에서 본체 일측면 롤러바퀴에 폴딩도어의 하중이 과도하게 쏠리면서 롤러바퀴가 폴딩도어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파손되는 경우도 빈번한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에 롤러바퀴를 가로세로 방향으로 설치하되, 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의 평면과 측면에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본체의 슬림한 구조를 만족하면서도,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폴딩도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한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는, 폴딩도어(A)를 구성하는 단위도어(B)의 하부에 설치되어 폴딩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폴딩도어의 개폐 시 레일(D)을 따라 이동하며 단위도어(B)의 절첩 작동을 안내하는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D)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원활한 이동이 위하여 본체(10) 외측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롤러바퀴(20);
상기 본체(10)의 일측 중앙에 설치되어 단위도어(B)의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대(30);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저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1롤러설치홈(101);
상기 제1롤러설치홈(101)와 엇갈리게 본체(10) 양 측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2롤러설치홈(1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바퀴(20)는, 상기 제1롤러설치홈(101)에 설치되어 레일(D)의 내측면에 접하는 가로롤러바퀴(201);
상기 제2롤러설치홈(102)에 설치되어 레일(D)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는 세로롤러바퀴(2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체(10)의 전후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브러시부재(40); 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시부재(40)는, 브러시부재(40)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본체(10)의 전후면에서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착탈홈(10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부(401);
브러시부재(40)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레일(D)의 양측 내면과 저면에 밀착되게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브러시(4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롤러바퀴가 가로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되, 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롤러바퀴가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높여 높이가 낮은 슬림한 구조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림한 구조임에도 가로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롤러바퀴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중 좌우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폴딩도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되어 구름 이동 과정에서 레일 내부의 긁힘 및 소음과 진동 발생을 억제하여 폴딩도어의 개폐가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전후면에 브러시를 구비하여 롤러바퀴가 설치된 롤러설치홈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 유입에 따른 롤러바퀴의 회전 저항 발생을 방지하여 우수한 작동감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폴딩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부재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부재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통상의 폴딩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측면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는 폴딩도어(A)를 구성하는 단위도어(B)의 하부에 설치되어 폴딩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폴딩도어의 개폐 시 레일(D)을 따라 이동하며 단위도어(B)의 절첩 작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본체(10), 롤러바퀴, 설치대(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레일(D)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되, 제1롤러설치홈(101), 제2롤러설치홈(102)을 구비한다.
상기 제1롤러설치홈(101)은 본체(10)의 전후 길이 방향을 따라 저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되되, 본체(10)의 일측면으로 개구되도록 본체(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롤러설치홈(101)의 수는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10)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앞쪽으로 좌우에 각 1개씩 2개, 뒤쪽으로 좌우에 각 1개씩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롤러설치홈(102)은 제1롤러설치홈(101)와 엇갈리게 본체(10) 양 측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되되, 본체(10)의 상하부로 개구되도록 본체(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평면상에서 볼 때, 하나의 제1롤러설치홈(101) 일측에 하나의 제2롤러설치홈(102)이 형성되는 형태가 되어, 본체(10)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면서 제1롤러설치홈(101)과 제2롤러설치홈(102)이 번갈아 형성된다.
상기 롤러바퀴는 본체(10)에 설치되어 레일(D)을 따라 본체(1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로롤러바퀴(201), 세로롤러바퀴(202)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롤러바퀴(201)는 본체(10)의 제1롤러설치홈(101)에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되되, 외주면이 본체(10)의 일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레일(D)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1롤러설치홈(101)은 본체(10)의 일측면으로 개구되도록 본체(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롤러설치홈(101) 내부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가로롤러바퀴(201)의 일측이 제1롤러설치홈(101)의 개구부를 통해 본체(10)의 일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레일(D)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가 레일(D)을 따라 이동할 때, 본체(10)의 양 측면으로 지그재그 돌출된 가로롤러바퀴(201)가 레일(D)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어 본체(10)가 이동할 때, 좌우 진동을 억제하여 본체(10)의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세로롤러바퀴(202)는 본체(10)의 제2롤러설치홈(102)에 세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되되, 외주면이 레일(D)의 내측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가 레일(D)을 따라 이동할 때, 본체(10)의 양 측면으로 지그재그 설치된 세로롤러바퀴(202)가 찬넬 형태로 된 레일(D)의 양측 바닥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본체(10)가, 이동할 때 단위도어(B)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본체(1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케 된다.
상기 가로롤러바퀴(201)와 세로롤러바퀴(202)를 본체(10)의 제1롤러설치홈(101)과 제2롤러설치홈(102) 내에 회전 가능케 설치함에 있어서,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제1롤러설치홈(101)과 제2롤러설치홈(102) 내에 가로롤러바퀴(201)와 세로롤러바퀴(202)를 각각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대(30)는 일단부가 본체(10)의 일측에 볼트 체결되고, 타단부는 단위도어(B)의 일측 또는 단위도어(B) 일측에 설치되는 경첩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본체(10)가 단위도어(B)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단위도어(B)를 지탱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된 레일(D)을 따라 절첩식으로 폴딩도어가 개폐될 때, 레일(D)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10)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롤러바퀴가 설치되되, 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롤러바퀴를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본체(10)의 높이가 낮은 슬림한 구조를 만족하면서도 이동 중 좌우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폴딩도어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되어 폴딩도어의 개폐 시 레일(D) 내부의 긁힘 및 소음과 진동 발생이 억제되어 폴딩도어의 개폐가 부드럽고 원활하게 되어 우수한 작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러시부재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10)의 전후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브러시부재(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부재(40)는 결합돌부(401), 브러시(402)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돌부(401)는 브러시부재(40)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본체(10)의 전후면에서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착탈홈(10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402)는 브러시부재(40)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레일(D)의 양측 내면과 저면에 밀착되게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 일측면에서 브러시부재(40)의 결합돌부(401)를 본체(10)의 착탈홈(10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케 결합하면, 브러시부재(40)의 일측에서 양측면과 저면으로 돌출 형성된 브러시(402)가 레일(D)의 내측면과 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본체(10)가 레일(D)을 따라 이동할 때, 본체(10)의 전후면에 설치된 브러시부재(40)가 레일(D)의 양측 내면과 저면을 쓸어내면서 본체(10)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D) 내부에 쌓인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본체(10)의 제1롤러설치홈(101)이나 제2롤러설치홈(10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1롤러설치홈(101)과 제2롤러설치홈(102) 내부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된 가로롤러바퀴(201) 및 세로롤러바퀴(202)의 회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작동감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폴딩도어 B: 단위도어
C: 도어프레임 D: 레일
E: 롤러장치 10: 본체
101: 제1롤러설치홈 102: 제2롤러설치홈
103: 착탈홈 20: 롤러바퀴
201: 가로롤러바퀴 202: 세로롤러바퀴
30: 설치대 40: 브러시부재
C: 도어프레임 D: 레일
E: 롤러장치 10: 본체
101: 제1롤러설치홈 102: 제2롤러설치홈
103: 착탈홈 20: 롤러바퀴
201: 가로롤러바퀴 202: 세로롤러바퀴
30: 설치대 40: 브러시부재
Claims (5)
- 폴딩도어(A)를 구성하는 단위도어(B)의 하부에 설치되어 폴딩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폴딩도어의 개폐 시 레일(D)을 따라 이동하며 단위도어(B)의 절첩 작동을 안내하는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D)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원활한 이동이 위하여 본체(10) 외측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롤러바퀴(20);
상기 본체(10)의 일측 중앙에 설치되어 단위도어(B)의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대(30); 를 포함하는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저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1롤러설치홈(101);
상기 제1롤러설치홈(101)와 엇갈리게 본체(10) 양 측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된 제2롤러설치홈(1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바퀴(20)는,
상기 제1롤러설치홈(101)에 설치되어 레일(D)의 내측면에 접하는 가로롤러바퀴(201);
상기 제2롤러설치홈(102)에 설치되어 레일(D)의 내측 바닥면에 접하는 세로롤러바퀴(2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전후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브러시부재(40); 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재(40)는,
브러시부재(40)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본체(10)의 전후면에서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착탈홈(10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부(401);
브러시부재(40)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레일(D)의 양측 내면과 저면에 밀착되게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브러시(4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358A KR20200089520A (ko) | 2019-01-17 | 2019-01-17 |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358A KR20200089520A (ko) | 2019-01-17 | 2019-01-17 |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9520A true KR20200089520A (ko) | 2020-07-27 |
Family
ID=7189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6358A KR20200089520A (ko) | 2019-01-17 | 2019-01-17 |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8952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8395A (ko) | 2021-07-07 | 2023-01-16 |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 폴딩도어용 롤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1239Y1 (ko) | 2003-11-26 | 2004-02-11 | 황동길 | 폴딩 도어 |
-
2019
- 2019-01-17 KR KR1020190006358A patent/KR202000895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1239Y1 (ko) | 2003-11-26 | 2004-02-11 | 황동길 | 폴딩 도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8395A (ko) | 2021-07-07 | 2023-01-16 |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 폴딩도어용 롤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007264A1 (zh) | 冰箱 | |
KR101669620B1 (ko) | 다중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 |
KR101551173B1 (ko) | 슬라이딩 및 스윙식 기능성 방 도어 | |
KR20200089520A (ko) | 폴딩도어용 슬림형 롤러장치 | |
KR20140146446A (ko) | 회전이동식 도어구조 | |
JP2008248654A (ja) | 引き戸用扉体案内装置 | |
KR200467041Y1 (ko) | 도어 조립체 | |
JP5017526B2 (ja) | 引き戸装置 | |
CN209924801U (zh) | 一种变轨多轨吊轨门 | |
JP2009019466A (ja) | フラット引戸装置 | |
CN211229963U (zh) | 滑动装置、推拉门及推拉窗 | |
KR101110872B1 (ko) |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의 착탈 장치 | |
JPH10153039A (ja) | 折りたたみ戸 | |
CN220184946U (zh) | 一种开合窗 | |
JP2021085291A (ja) | 開閉体 | |
WO2008050390A1 (fr) | Cabine d'ascenseur | |
JPH0113187Y2 (ko) | ||
CN116464371A (zh) | 一种开合窗 | |
JP4028825B2 (ja) | パネルカーテン用レール | |
JP2002089125A (ja) | キャビネットのスライドドア構造 | |
JP3502675B2 (ja) | 折畳み扉のガイド取付構造 | |
JP2947786B1 (ja) | 開き戸開閉装置 | |
JPS6221645Y2 (ko) | ||
KR20230022464A (ko) | 슬라이딩 도어 | |
KR20180107436A (ko) |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