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424A - 스캐너가 상부 커버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너가 상부 커버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424A
KR20200089424A KR1020190006104A KR20190006104A KR20200089424A KR 20200089424 A KR20200089424 A KR 20200089424A KR 1020190006104 A KR1020190006104 A KR 1020190006104A KR 20190006104 A KR20190006104 A KR 20190006104A KR 20200089424 A KR20200089424 A KR 20200089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er
image forming
printing unit
forming apparatu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김용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0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424A/ko
Priority to US17/281,073 priority patent/US20210333740A1/en
Priority to PCT/US2019/055586 priority patent/WO2020149902A1/en
Publication of KR2020008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9Reproducing arrangements involving production of an electrostatic intermediate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H04N1/1074Apparatus incorporating a hardcopy reproducing device, e.g. a printer, not working directly by manu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C자형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정착기를 구비하는 인쇄 유닛; 인쇄유닛이 수용되는 하우징과,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으로서 인쇄 유닛의 상부에,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상기 정착기의 열원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는 스캐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캐너가 상부 커버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canner mounted on upper cover thereof}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인쇄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들이는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캐너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복합기라 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부 커버가 회동되어 개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로서, 적재대 부근을 보여준다.
도 6은 스캐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스캐너의 하면을 보여준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현상기(22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유닛(2)과 스캐너(3)를 구비한다. 이러한 형태의 화상형성장치(1)는 복합기로 지칭되기도 한다. 인쇄유닛(2)은 인쇄매체(P)에 화상을 인쇄한다. 스캐너(3)는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인다.
먼저 도 2를 보면, 인쇄 유닛(2)은 이송 경로(PA)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전자사진방식에 위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인쇄유닛(2)은 감광드럼(21)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기(210)와,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기(220)와, 토너화상을 이송 경로(PA)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전사시키는 전사기(230)와,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기(220)는 토너를 수용하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220)는 감광드럼(21), 대전롤러(22), 현상롤러(2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2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형성되는 광도전성층을 구비할 수 있다. 대전롤러(22)는 감광드럼(2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2)에는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대전롤러(2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23)는 현상기(220)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23)와 감광드럼(2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는 접촉현상방식을 채용한다. 이 경우 현상롤러(23)는 도전성 금속 코어(미도시)의 외주에 탄성층(미도시)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현상롤러(23)에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면, 토너가 현상닙을 가로질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비접촉방식이 채용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23)의 표면과 감광드럼(21)의 표면은 수백 미크론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현상기(22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2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2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2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2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규제부재(25)는 현상롤러(23)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한다. 규제부재(25)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현상롤러(23)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클리닝 부재(26)는 대전 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클리닝 부재(26)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이하에서,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폐토너로 지칭한다.
현상기(220)는 토너 수용부(221)와 폐토너 수용부(222)를 구비한다. 폐토너 수용부(222)에는 감광드럼(2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용된다. 도 2에 도시된 현상기(220)는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기로서, 토너 수용부(221)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토너 수용부(221)에는 교반기(27)가 설치된다. 교반기(27)는 토너를 현상롤러(23)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기(27)는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교반기(27)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너 수용부(221)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토너를 현상롤러(23)로 공급하기 위하여 토너 수용부(221)에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교반기(27)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기(27)의 형태는 회전축에 하나 또는 다수의 유연한 필름 형태의 교반날개가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또,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반기(27)는 나선형 교반날개를 구비하는 오거(auger)일 수도 있다.
현상제로서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제가 사용되는 경우에 토너 수용부(221)에는 자성 캐리어와 토너가 수용된다. 이 경우, 현상롤러(23)는 회전되는 슬리브 내부에 마그넷이 설치된 형태일 수 있다. 마그넷의 자기력에 의하여 캐리어가 현상롤러(23)의 외주에 부착되고, 토너는 정전력에 의하여 캐리어에 부착되어 현상롤러(23)의 외주에는 캐리어와 토너로 된 자기 브러쉬가 형성된다. 현상롤러(23)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토너가 감광드럼(2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된다. 규제부재(25)는 현상롤러(23)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어 현상롤러(23)의 외주에 형성되는 자기 브러쉬의 높이를 규제한다. 교반기(27)는 캐리어와 토너를 현상롤러(23)로 이송시키는 한편, 캐리어와 토너를 교반하여 토너를 마찰대전시킨다.
노광기(21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L)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주사한다. 노광기(21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2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기(230)는 감광드럼(2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사롤러에는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기(230)로서, 전사롤러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기(230)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240)는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인쇄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정착기(240)는 열원(heater)(243)을 구비한다. 정착기(240)는 예를 들어 서로 맞물려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열 부재(241)와 가압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열원(243)은 가열 부재(241)를 가열한다. 정착기(24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열 수단이 열원(243)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원(243)으로서 할로겐 램프, 세라믹 히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2)에 대전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고, 감광드럼(2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기(21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L)을 감광드럼(21)에 주사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는 교반기(27)에 의하여 공급롤러(24) 쪽으로 운반되며, 공급롤러(24)는 토너를 현상롤러(23)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규제부재(25)는 현상롤러(23)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23)에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23)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되어 감광드럼(21)의 표면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251)에 의하여 급지수단(250)으로부터 인출된 인쇄매체(P)는 이송 경로(PA)를 따라 이송된다. 인쇄매체(P)는 이송롤러(252)에 의하여 전사기(230)와 감광드럼(2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기(230)에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면, 토너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인쇄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24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인쇄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인쇄매체(P)는 배출롤러(253)에 의하여 배출된다. 인쇄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26)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수용부(222)에 수용된다.
스캐너(3)는 원고이송경로(DA)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D)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들이는 이미지 센서(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0)는 원고(D)에 광을 조사하고 원고(D)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한다. 이미지 센서(310)는 수광 광을 광전 변환하여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0)는 예를 들어, CIS(contact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0)는 주주사 방향, 다시 말하면 원고(D)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1차원 센서일 수 있다. 2차원 화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원고(D)가 부주사 방향, 다시 말하면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다른 예로서, 원고(D)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이미지 센서(310)가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스캐너(3)를 플랫베드형(flat bed type) 스캐너라 한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3)에는 이미지 센서(310)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D)가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 형태의 스캐너(bar type scanner)이다. 이러한 형태의 스캐너(3)는 플랫베드형(flatbed type) 스캐너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작은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송 롤러(320)는 이미지 센서(310)의 접촉창과 대향되어 독취 닙을 형성한다. 이송 롤러(320)는 원고(D)를 이미지 센서(310)의 독취창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송 롤러(320)는 이미지 센서(310)에 가압되어 회전되면서 원고(D)를 이송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독취 닙의 상류측에 원고(D)를 독취 닙으로 안내하는 공급 롤러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독취 닙의 하류측에는 독취가 완료된 원고(D)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독취 닙의 상류측에 다수의 원고(D) 중 한 장씩 분리하여 독취 닙으로 이송시키는 ADF(Automatic document feeder)가 배치될 수도 있다.
스캐너(3)를 이용하여 원고(D)로부터 읽어들인 화상 정보는 인쇄유닛(2)으로 전달되어 인쇄매체(P)에 인쇄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너(3)를 이용하여 원고(D)로부터 읽어들인 화상 정보를 전화 회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라인 컨트롤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스캐너(3)를 이용하여 원고(D)로부터 읽어들인 화상 정보는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사기능, 팩시밀리 기능, 및 이미지 스캔 기능을 갖는 복합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인쇄유닛(2)은 하우징(4)에 수용된다. 하우징(4)은 인쇄유닛(2)을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4)의 연직 투영 면적은 스캐너(3)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하우징(4)의 상부에는 개구(41)가 마련된다. 상부 커버(5)는 개구(41)를 개폐한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5)는 힌지(6)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구(41)를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캐너(3)가 인쇄유닛(2)의 상부에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스캐너(3) 위치의 최적화를 도모한다.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2)은 정착기(240)를 구비한다. 정착기(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240)의 작동 온도는 예를 들어 약 160~200℃ 정도이다. 정착기(240)에서 발생되는 열은 스캐너(3)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0)는 고온에 노출될 경우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정착기(240)와 스캐너(3) 사이에 적정한 이격 거리가 요구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2)은 C자형 이송 경로(PA)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P)에 화상을 형성한다. 급지수단(250)은 인쇄유닛(2)의 하부에 위치되며, 인쇄매체(P)는 C자형의 이송 경로(PA)를 따라 인쇄유닛(2)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송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는 인쇄유닛(2)의 상부로 배출된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는 인쇄유닛(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적재대(51)에 적재된다. 적재대(51)는 상부 커버(5)에 마련될 수 있다.
정착기(240)는 C자형 이송 경로(PA)의 하류측에 위치되므로, 인쇄유닛(2)의 상부에 위치되는 스캐너(3)와 가깝게 위치된다. 정착기(240)와 스캐너(3) 사이에 적정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3)를 정착기(240)의 위쪽에 정착기(24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1) 전체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정착기(240)와 스캐너(3) 사이에 적정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스캐너(3)를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의 외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면적(footprint)가 커지게 된다.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에서는 스캐너(3)가 인쇄유닛(2)의 상부에, 인쇄유닛(2)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P)의 배출방향(A1)을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 내에 위치된다. 또한, 정착기(240)와 스캐너(3) 사이에 적정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스캐너(3)는 정착기(240)의 열원(243)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된다. 즉, 스캐너(3)는 정착기(240)의 열원(243)으로부터 배출방향(A1)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스캐너(3)는 인쇄유닛(2)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P)의 배출방향(A1)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의 제1단부(31)와 하류측의 제2단부(32)를 구비한다. 스캐너(3)의 제1단부(31)와 제2단부(32)는 모두 배출방향(A1)을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 내에 위치된다. 제1단부(31)는 열원(243)으로부터 배출방향(A1)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즉, 제1단부(31)는 배출방향(A1)을 기준으로 하여 열원(243)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제1단부(31)와 열원(243)과의 연직 투영 거리를 X라 할 때 0≤X이다. 열원(243)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X는 제1단부(31)와 열원(243)의 중심과의 연직 투영 거리이다.
X가 0보다 작으면, 이미지 센서(310)가 열원(243)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을 받아 스캐너(3)의 동작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0≤X이 되도록 스캐너(3)를 열원(243)으로부터 인쇄매체(P)의 배출방향(A1)으로 이격시켜 배치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 전체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이미지 센서(310)와 열원(243) 사이에 적정 거리가 확보될 수 있으며, 스캐너(3)가 정착기(240)의 열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스캐너(3)를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 내에 배치함으로써, 설치면적을 증가시키지 않고 스캐너(3)가 통합된 화상형성장치(1)의 구현이 가능하다.
스캐너(3)는 인쇄매체(P)의 배출방향(A1)을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 내에 위치되고 0≤X를 만족하도록 상부 커버(5)에 설치될 수 있다. 스캐너(3)를 상부 커버(5)에 일체화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의 부품 수의 감소,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며, 제조 공정의 단순화로 제조 원가 절감 및 제조 불량률 감소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작 패널(7)은 화상형성장치(1)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 예를 들어 입력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패널(7)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작 패널(7)은 스캐너(3)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작 패널(7)은 상부 커버(5)의 상면에 적재대(51)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1)의 사시도로서, 상부 커버(5)가 회동되어 개구(41)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현상기(220)는 개구(41)를 통하여 인쇄 유닛(2)에 착탈될 수 있다.
스캐너(3)가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되면, 개구(41)를 개방하기 위하여, 스캐너(3)와 상부 커버(5)를 인쇄유닛(2)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회동시키는 구조가 되기 쉽다. 이렇게 되면, 화상형성장치(1)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현상기(220)를 인쇄유닛(2)에/으로부터 착탈하거나 잼 처리를 위하여 개구(41)를 개방할 때에 스캐너(3)와 상부 커버(5)를 별도로 회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번거로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캐너(3)는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 내에 위치되도록 상부 커버(5)에 설치된다. 현상기(220)를 착탈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5)를 회동시키면 스캐너(3)도 함께 회동되어 개구(41)가 개방된다. 따라서, 현상기(220)의 착탈 과정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5)를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인쇄유닛(2)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잼 처리 등을 위하여 인쇄유닛(2)의 내부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너(3)는 적재대(51)의 상방에 위치되며, 스캐너(3)의 하면(3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재대(51)와 마주한다. 스캐너(3)의 하면(33)은 적재대(51)와 함께 인쇄매체(P)의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스캐너(3)의 하면(33)은 인쇄유닛(2)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P)의 상부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X≤100mm일 수 있다. X가 100mm보다 크면, 인쇄유닛(2)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P)가 스캐너(3)의 하면(33)에 의하여 안내되는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져서 배출과정에서 인쇄매체(P)의 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스캐너(3)의 제2단부(32)가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을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0≤X≤100mm로 함으로서, 정착기(240)의 열이 스캐너(3)에 미치는 영향과 인쇄매체(P)의 잼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스캐너(3)를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 내에 배치하기 용이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면적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X≤100mm로 함으로서, 스캐너(3)의 제2단부(32)가 적재대(51)의 배출방향(A1)의 단부(52)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구조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재대(51)의 상부 영역 중에서 스캐너(3)의 제2단부(32)와 적재대(51)의 단부(52) 사이의 영역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적재대(51)에 적재된 인쇄매체(P)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0≤X≤100mm로 함으로서, 스캐너(3)가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의 내략 중앙부에 위치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스캐너(3)가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X9) 내에서 작동될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1)의 사용 공간의 최소화가 가능하다.
0≤X≤100mm로 함으로서 스캐너(3)의 하면(33)이 적재대(51)와 부분적으로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정착과정에서 정착기(240)로부터 받는 열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될 때에, 수증기가 스캐너(3)에 가려서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증기가 발화로 인한 연기로 오인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스캐너(3)의 하면(33)에는 인쇄매체(P)와의 접촉 저항을 줄이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캐너(3)의 하면(33)에는 그로부터 하방, 즉 적재대(51)를 향하여 돌출되고 인쇄매체(P)의 배출방향(A1)으로 연장되어 인쇄매체(P)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 리브(34)가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안내 리브(34)는 인쇄매체(P)의 폭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인쇄매체(P)가 안내 리브(34)에 의하여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인쇄유닛(2)으로부터 적재대(51)로 배출될 수 있다. 적재대(51)로 배출되는 인쇄매체(P)에 커얼(curl) 등이 발생되어 도 2에 C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가 상방으로 구부러져서 배출되는 경우에도, 인쇄매체(P)가 안내 리브(34)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스캐너(3)의 하면(33)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배출 잼 및 이로 인한 인쇄매체(P)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정착과정에서 정착기(240)로부터 받는 열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될 수 있다. 증발된 수분이 응결되어 스캐너(3)의 하면(33)이나 안내 리브(34)에 묻은 후에 다시 인쇄매체(P)에 묻어서 인쇄매체(P)를 오염시킬 수 있다.
도 5는 화상형성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로서, 적재대(51) 부근을 보여준다. 도 6은 스캐너(3)의 사시도로서, 스캐너(3)의 하면(33)을 보여준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스캐너(3)에는 응결 챔버(35)가 마련될 수 있다. 스캐너(3)의 하면(33)에는 응결 챔버(35)와 연결된 연통구(36)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3)의 하면(33)에는 폭방향으로 다수의 안내 리브(34)가 마련되고, 안내 리브들(34) 사이에 하면(33)을 관통하여 응결 챔버(35)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구(36)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출되는 인쇄매체(P)로부터 증발된 수증기가 연통구(36)를 통하여 응결 챔버(35)로 인입된다. 수증기는 응결 챔버(35) 내에서 응결된다. 따라서, 응결된 물에 의한 인쇄매체(P)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수증기가 응결 챔버(35)로 인입되므로, 수증기의 시인성이 약화된다. 따라서, 수증기가 발화로 인한 연기로 오인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스캔될 원고(D)를 스캐너(3)로 안내하는 인입 가이드(37)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입 가이드(37)를 따라 원고(D)를 스캐너(3)의 원고이송경로(DA)로 삽입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ADF가 채용되는 경우 인입 가이드(37)에 다수의 스캔될 원고(D)가 적재되고, ADF는 다수의 스캔될 원고(D)로부터 한 장씩의 원고(D)를 순차로 인출하여 독취 닙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인입 가이드(37)는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인입 가이드(37)의 설치 각도와 길이는 인입 가이드(37)가 전체적으로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면적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스캔된 후에 스캐너(3)로부터 배출되는 원고(D)를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38)를 구비할 수 있다. 스캔이 완료된 원고(D)는 배출 가이드(38)에 적재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38)를 채용함으로써, 원고(D)가 적재대(51)로 낙하되어 인쇄매체(P)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38)는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배출 가이드(38)의 설치 각도와 길이는 배출 가이드(38)가 전체적으로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면적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스캐너(3), 인입 가이드(37), 및 배출 가이드(38)가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된다고 설명되었다. 하우징(4)은 인쇄유닛(2)이 수용되는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므로, 실질적으로 하우징(4)의 연직 투영 영역은 인쇄유닛(2)의 연직 투영 영역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원고(D)의 이송방향은 인쇄매체(P)의 배출방향(A1)과 동일하나, 원고(D)의 이송방향은 인쇄매체(P)의 배출방향(A1)과 반대 방향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 인입 가이드(37)는 배출 가이드로, 배출 가이드(38)는 인입 가이드로 볼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C자형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정착기를 구비하는 인쇄 유닛;
    상기 인쇄유닛이 수용되는 하우징;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으로서, 상기 인쇄 유닛의 상부에,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상기 정착기의 열원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상기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의 제1단부와 하류측의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단부는 상기 배출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열원의 하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열원과의 연직 투영 거리를 X라 할 때 0≤X인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X≤100mm인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인쇄유닛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구;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는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인쇄 유닛에 착탈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인쇄 유닛을 통과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대가 마련되며,
    상기 스캐너의 하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적재대와 마주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인쇄매체의 배출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쇄매체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 리브;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응결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스캐너의 하면에는 상기 응결 공간으로 연결된 연통구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스캔될 원고를 상기 스캐너로 안내하는 인입 가이드;
    스캔되어 상기 스캐너로부터 배출되는 원고를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인입 가이드와 상기 배출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0. C자형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열원을 갖는 정착기를 구비하는 인쇄 유닛;
    상기 인쇄 유닛을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인쇄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대가 마련된 상부 커버;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것으로서,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적재대와 마주보고 인쇄 매체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되는 스캐너;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는 상기 인쇄매체의 배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의 제1단부와 하류측의 제2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열원으로부터 상기 배출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열원과의 연직 투영 거리를 X라 할 때 0≤X≤100mm인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기를 구비하며,
    상기 현상기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인쇄 유닛에 착탈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인쇄매체의 배출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쇄매체를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 리브;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응결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스캐너의 하면에는 상기 응결 공간으로 연결된 연통구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스캔될 원고를 상기 스캐너로 안내하는 인입 가이드;
    스캔되어 상기 스캐너로부터 배출되는 원고를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인입 가이드와 상기 배출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연직 투영 영역 내에 위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은 상기 인쇄 매체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화상형성장치.
KR1020190006104A 2019-01-17 2019-01-17 스캐너가 상부 커버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 KR20200089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04A KR20200089424A (ko) 2019-01-17 2019-01-17 스캐너가 상부 커버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
US17/281,073 US20210333740A1 (en) 2019-01-17 2019-10-10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canner mounted on upper cover thereof
PCT/US2019/055586 WO2020149902A1 (en) 2019-01-17 2019-10-10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canner mounted on upper cov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104A KR20200089424A (ko) 2019-01-17 2019-01-17 스캐너가 상부 커버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24A true KR20200089424A (ko) 2020-07-27

Family

ID=7161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104A KR20200089424A (ko) 2019-01-17 2019-01-17 스캐너가 상부 커버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33740A1 (ko)
KR (1) KR20200089424A (ko)
WO (1) WO20201499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2747B2 (ja) * 2005-02-28 2009-03-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35568B2 (ja) * 2008-09-11 2013-07-10 株式会社Pfu 外装カバー付きスキャナ装置
JP6790357B2 (ja) * 2015-12-24 2020-1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
JP2017195553A (ja) * 2016-04-21 2017-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902A1 (en) 2020-07-23
US20210333740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1303B2 (ja) プリンター装置
US2014037695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38830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53909B1 (ko) 스캐너기능을 갖는 프린팅기기
JP3592046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CN108459410A (zh) 光扫描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H03213887A (ja) 電子写真装置の転写装置
KR20200089424A (ko) 스캐너가 상부 커버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
KR101813640B1 (ko) 스캐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복합기
US2013028642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3031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4284050B (zh) 图像读取装置以及滑架的壳体、滑架
US6560425B1 (en) Shutter device for a photosensitive rotary drum on the process cartridge
KR100728028B1 (ko) 정렬 수단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US20240171691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60620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by the same
US20230375960A1 (en) Toner cartridge
JP719034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54552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ナー
JP2016208132A (ja) 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1184269A (ja) 画像形成装置
JP5487087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331580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50169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5031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