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177A -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 - Google Patents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177A
KR20200089177A KR1020190005931A KR20190005931A KR20200089177A KR 20200089177 A KR20200089177 A KR 20200089177A KR 1020190005931 A KR1020190005931 A KR 1020190005931A KR 20190005931 A KR20190005931 A KR 20190005931A KR 20200089177 A KR20200089177 A KR 20200089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traight pipe
pipe
bypass pip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근
한용희
위현명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177A/ko
Publication of KR2020008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시험압력 도달을 위해 대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가압운전 시에는 송풍 공기의 흐름을 대형의 직관으로 안내하여 시험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이는 한편, 소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정압운전 시에는 송풍 공기의 흐름을 소형의 바이패스관으로 안내하여 운전정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누기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BYPASS TYPE DUCT LEAK TESTER}
본 발명은 덕트 누기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험압력 도달을 위해 대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가압운전 시에는 송풍 공기의 흐름을 대형의 직관으로 안내하여 시험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이는 한편, 소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정압운전 시에는 송풍 공기의 흐름을 소형의 바이패스관으로 안내하여 운전정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누기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는 환기 또는 냉, 난방을 목적으로 화이버 글라스나 함석으로 덕트를 제작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덕트는 각종 건물의 용도에 따라 그 등급을 결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건물에 설치되는 덕트는 환기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공장에서는 그 압력이 300Pa 이내에서 결정하고, 병원, 반도체 공장, 정밀기기 생산공장, 연구소 등의 냉난방을 목적으로 하는 덕트는 500Pa 이내, 병원, 반도체 공장, 정밀기기 생산공장, 연구소 등의 크린룸에는 덕트의 압력이 1000Pa 이내로 설치하고, 반도체공장, 무균실, 크린룸에는 덕트 압력을 2000Pa 이내로 결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건물의 용도에 따라 설치되는 덕트는 관로가 긴 경우와 누기량의 증가가 예상되는 곳은 기준이 되는 등급압력보다 한 등급 높여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덕트계통의 과다한 누설은 공조설비 기능의 마비뿐만 아니라 에너지 낭비 및 소음발생 등을 초래한다.
각종 건물에 환기 및 냉, 난방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덕트의 새는 부위를 점검하기 실시하는 기밀시험은 종전에는 연기를 피워서 덕트내로 송풍하는 연막시험, 플랜지이음, 분기이음 등의 접합부위에 불빛을 조사하는 불꽃시험 등 시험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결정되는 육안검사를 주로 행하여 왔다.
하지만 이처럼 시험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지하는 덕트의 새는 부위를 점검하는 기밀시험은 덕트의 누기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시험기준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없어 설계자, 시공자 및 감독자 간에 마찰이 발생하곤 하였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고가의 직관형 누기시험기를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직관형 누기시험기는 플랙시블관에 의해 시험대상이 되는 덕트와 연결되는 대형의 직관, 송풍기, 풍량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같은 누기시험기를 이용하여 먼저 측정 대상이 되는 덕트를 완전 밀폐시킨 상태에서 송풍기를 작동시켜 최대한 송풍하여 덕트의 내부압력이 시험압력에 도달하도록 한 후, 풍량 조절밸브에 의해 송풍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법으로 시험압력을 유지하는 정압운전을 하면서 풍량측정기에 의해 누기량을 측정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누기시험기의 경우 대형의 직관을 통해서만 송풍하는 관계로 초기 시험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이는 데는 유리할 수 있으나 시험압력 도달 후 송풍량을 조절하면서 일정시간 시험압력 상태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정압운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밀한 누기량 측정도 곤란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84483호(1999.12.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험압력 도달을 위해 대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가압운전 시에는 송풍 공기의 흐름을 대형의 직관으로 안내하여 시험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이는 한편, 소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정압운전 시에는 송풍 공기의 흐름을 소형의 바이패스관으로 안내하여 운전정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누기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는 덕트를 시험대상으로 하여 덕트의 누기량을 측정하는 덕트 누기시험기로서, 선단부가 시험대상인 덕트에 연결되는 직관; 상기 직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를 향해 송풍할 수 있도록 한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송풍팬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직관에 설치되어 상기 직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직관으로부터 분기된 후 다시 합기되며 상기 직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를 더 포함하여, 덕트의 누기량 측정을 위해, 덕트 내 압력을 시험압력까지 높일 때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직관을 통해 덕트에 송풍하며, 덕트 내 압력이 시험압력까지 도달하여 시험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정압운전 시에는 소량 송풍에 맞춰 상기 제1개폐밸브에 의해 상기 직관의 유로는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덕트에 송풍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송풍되는 풍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누기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의 직경은 상기 직관 직경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관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관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상기 직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버퍼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이 상기 버퍼챔버로부터 분기되어, 정압운전 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버퍼챔버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관에 송풍 공기가 유입될 때 와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챔버의 직경(D3)은, D3 = CD1(D1/D2) (C: 상수, D1: 직관의 직경, D2: 바이패스관의 직경)에 의해 산출되되 상기 C는 2~6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험압력 도달을 위해 대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가압운전 시에는 송풍 공기의 흐름을 대형의 직관으로 안내하여 시험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이는 한편, 소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정압운전 시에는 송풍 공기의 흐름을 소형의 바이패스관으로 안내하여 운전정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누기량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압운전 시 소량의 공기를 송풍하는데도 불구하고 바이패스관 내부의 송풍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누기량을 측정함으로써 정밀한 누기량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에서 시험압력에 도달하기 위한 가압운전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에서 정압운전 시 바이패스관을 통한 소량 송풍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에서 시험압력에 도달하기 위한 가압운전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에서 정압운전 시 바이패스관을 통한 소량 송풍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는, 직관(110), 바이패스관(120), 플랙시블관(130), 송풍기(140), 제어기(150), 제1개폐밸브(160), 제2개폐밸브(170), 운전정압 측정기(190A), 누기량 측정기(190B)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는 도 3과 같이 덕트(D) 내 압력을 시험압력까지 높일 때에는 송풍기(140)를 최대한 가동하면서 대량 송풍에 맞춰 직관(110)을 통하여 덕트(D)로 송풍하며, 시험압력에 도달하여 정압운전을 유지하면서 누기량을 측정할 때에는 도 4와 같이 송풍기(140)를 감속하여 가동하면서 소량 송풍에 맞춰 공기의 흐름이 바이패스관(120)을 통하여 덕트(D)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누기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시험압력 도달 후 정압운전을 위하여 송풍되는 소량의 공기가 바이패스관(120)을 통하여 높은 밀도감을 갖고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되어 시험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정밀한 누기량 측정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누기시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직관(110)은 바이패스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유로를 갖는 것으로 플랙시블관(130)에 의해 덕트에 연결되며 주로 대량의 공기를 송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누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정압운전을 하기 전 덕트 내 압력을 시험압력으로 높여야 하는데, 이때 송풍기(140)의 송풍량의 최대로 하면서 대량 송풍이 가능한 직관(110)을 통해 덕트로 송풍하면 최대한 신속하게 시험압력에 도달 할 수 있다. 상기 직관(110)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개폐밸브(160)가 설치되며 직관(110)의 후단부 쪽에는 송풍기(140)가 연결된다.
상기 바이패스관(120)은 직관(110)으로부터 분기된 후 다시 합기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직관(110)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것으로 설치된다. 상기 바이패스관(120)의 직경은 직관 직경의 2/3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이하로 형성되며, 덕트의 크기 및 송풍량 등 시험조건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관(120)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170)가 설치된다.
이같이 직관(110)에 더해 바이패스관(120)이 설치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덕트의 누기량 측정을 위해 덕트 내 압력을 시험압력까지 높일 때에는 도 3과 같이 최대한 송풍기(140)를 가동하면서 송풍기(140)로부터 직관(110)을 통해 덕트에 대량의 공기를 송풍하지만, 덕트 내 압력이 시험압력까지 도달하여 시험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소량만 송풍하는 정압운전 시에는 제1개폐밸브(160)로 직관(110)의 유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바이패스관(120)을 통해 송풍되는 소량의 공기가 흐르도록 우회시켜 안내하게 된다. 이로써 정압운전 시 소량의 공기가 송풍되더라도 송풍되는 공기가 직관(110) 대신 바이패스관(120)을 통과하는 관계로 바이패스관(120) 내에서 높은 밀도감을 유지하면서 안정감 있는 흐름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시험압력을 안정되게 유지해야 하는 정압운전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참고로, 종래와 같이 정압운전 시 소량의 송풍임에도 불구하고 대형의 직관(110)을 통해 공기를 흐르게 하면 직관(110) 내 공기의 흐름 속도 및 밀도감이 떨어지면서 직관(110) 내 마찰 등의 영향으로 송풍 공기의 흐름은 쉽게 불규칙해지고, 이로 인해 시험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큰 유로를 갖는 대형의 직관(110)과 작은 유로를 갖는 소형의 바이패스관(120)을 함께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구성에 의하여 덕트 내 압력을 시험압력까지 높일 때에는 송풍기(140)를 최대한 가동하면서 대량 송풍에 맞춰 공기의 흐름이 직관(110)을 통하도록 하고, 시험압력에 도달하여 정압운전을 유지하면서 누기량을 측정할 때에는 송풍기(140)의 감속 조절에 의한 소량 송풍에 맞춰 공기의 흐름이 바이패스관(120)을 통하도록 안내함으로써 시험압력(운전정압)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하게 누기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버퍼챔버(180)는 상기 직관(110)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관(120)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서로 간의 크기에서 차이가 큰 직관(110)과 바이패스관(120)을 유동 충격을 최소화한 상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버퍼챔버(180)는 정압운전 시 송풍기(14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 흐름의 속도를 충분한 수준으로 줄여주어 공기의 흐름방향 변화에 따른 난류 형성의 영향력을 극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버퍼챔버(180)는 직관(110)의 직경에 비해 기본적으로 크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직관(110)의 직경이 바이패스관(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배율보다 높은 배율에 의해 직관(110)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그에 더해 버퍼챔버(180)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흐름속도가 충분한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배수를 적용하여 버퍼챔버(180)의 직경을 최종 결정하는데 이때 적용하는 배수는 2~6이 적당하다. 이때 적용되는 배수가 2미만인 경우 버퍼챔버(180)에서 바이패스관(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난류가 형성될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고 바이패스관(120)의 직경이 커지는 경우 지관과 바이패스관(120)을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가 6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버퍼챔버(180)의 크기가 비대해져 덕트 누기시험기의 설치 및 이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D3 = CD1(D1/D2)
(단, 상기 버퍼챔버(180)의 직경(D3)라 할 때 C는 전술된 배수를 결정하는 상수, D1은 직관(110)의 직경, D2는 바이패스관(120)의 직경이다.)
이처럼 상기 버퍼챔버(180)가 구비되면 직관(110)에 비해 관경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방향까지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는 바이패스관(120)이 마치 직관(110)처럼 송풍되는 공기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중간에서 유동 충격을 완화하고 난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랙시블관(130)은 직관(11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직관(110)의 선단부와 시험대상이 되는 덕트에 편하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기(140)는 직관(110)의 후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직관(110)이나 바이패스관(120)을 통해 덕트에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기(140)는 날개차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송풍하며 연속 송풍에 의해 진동이 작아 공기조화설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심 송풍기(140)가 적당하다.
상기 제어기(150)는 상기 송풍기(140)의 송풍팬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기(150)는 덕트 내 압력을 시험압력으로 높일 때에는 송풍기(140)의 송풍팬 회전속도를 최대한 높여 송풍량을 최대로 하며, 덕트 내 압력이 시험압력에 도달하여 정압운전을 유지할 때에는 송풍기를 감속 운전하여 송풍량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어기(150)는 송풍기(140)에 대한 제어뿐 아니라 상기 송풍기(140)와 연계 작동할 수 있도록 제1개폐밸브(160)와 제2개폐밸브(170)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개폐밸브(160)는 직관(110)에 설치되어 상기 직관(110)의 유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개폐밸브(160)는 덕트 내 압력을 시험압력까지 높일 때에는 완전 개방되어 있다가 정압운전 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개폐밸브(170)는 바이패스관(120)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관(120)의 유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개폐밸브(170)는 덕트 내 압력을 시험압력까지 높일 때에는 폐쇄된 상태로 있다가 정압운전 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운전정압 측정기(190A)는 마그네헤릭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덕트, 직관(110), 바이패스관(120)에 튜브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같은 운전정압 측정기(190A)는 정압운전 시 시험압력으로 형성된 운전정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측정해준다.
상기 누기량 측정기(190B)는 덕트 내 압력이 시험압력까지 도달한 상태에서 정압운전을 유지하는 동안 바이패스관(120)을 통과하는 풍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덕트의 누기량을 측정한다. 이때 누기량 측정기(190B)에서 측정된 누기량이 허용 누기량 이내이면 덕트의 누기시험은 합격이지만, 측정된 누기량이 허용 누기량을 초과하면 덕트의 누기시험은 불합격하여 보수 후 재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종래기술의 경우 누기량 측정기(190B)가 대형의 직관(110)을 통과하는 풍량을 측정하여 누기량을 측정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누기량 측정기(190B)가 소형의 바이패스관(120)을 통과하는 풍량을 측정하여 누기량을 측정한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정압운전 시 감속 조절된 송풍기(14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양이 많지 않을지라도 송풍되는 공기가 대형의 직관(110)이 아닌 소형의 바이패스관(120)을 통과하는 관계로 충분한 밀도감과 흐름속도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누기량 측정기(190B)가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에는 운전정압 측정기(190A)와 누기량 측정기(190B)가 직관(110)과 바이패스관(120) 모두에 연결되어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전술된 것처럼 이들 모두 소형의 바이패스관(120)에 연결되어 측정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다만, 이왕이면 운전정압 측정기(190A)와 누기량 측정기(190B)가 바이패스관(120)에 더해 직관(110)까지 연결되어 측정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직관 120 : 바이패스관
130 : 플랙시블관 140 : 송풍기
150 : 제어기 160 : 제1개폐밸브
170 : 제2개폐밸브 180 : 버퍼챔버
190A : 운전정압 측정기 190B : 누기량 측정기

Claims (5)

  1. 덕트를 시험대상으로 하여 덕트의 누기량을 측정하는 덕트 누기시험기로서,
    선단부가 시험대상인 덕트에 연결되는 직관;
    상기 직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를 향해 송풍할 수 있도록 한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송풍팬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직관에 설치되어 상기 직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개폐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직관으로부터 분기된 후 다시 합기되며 상기 직관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바이패스관; 및 상기 바이패스관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2개폐밸브를 더 포함하여,
    덕트의 누기량 측정을 위해, 덕트 내 압력을 시험압력까지 높일 때에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기 직관을 통해 덕트에 송풍하며, 덕트 내 압력이 시험압력까지 도달하여 시험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정압운전 시에는 소량 송풍에 맞춰 상기 제1개폐밸브에 의해 상기 직관의 유로는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덕트에 송풍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누기시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송풍되는 풍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덕트 누기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누기시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직경은 상기 직관 직경의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누시시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관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상기 직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버퍼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이 상기 버퍼챔버로부터 분기되어, 정압운전 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버퍼챔버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관에 송풍 공기가 유입될 때 와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누기시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챔버의 직경(D3)은,
    D3 = CD1(D1/D2)
    (C: 상수, D1: 직관의 직경, D2: 바이패스관의 직경)
    에 의해 산출되되 상기 C는 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누기시험기.
KR1020190005931A 2019-01-16 2019-01-16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 KR20200089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31A KR20200089177A (ko) 2019-01-16 2019-01-16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31A KR20200089177A (ko) 2019-01-16 2019-01-16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77A true KR20200089177A (ko) 2020-07-24

Family

ID=7189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931A KR20200089177A (ko) 2019-01-16 2019-01-16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91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245B1 (ko) * 2021-01-12 2021-10-26 오충록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CN114354053A (zh) * 2021-12-20 2022-04-15 深圳莫微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管路的压力测量装置
CN116793663A (zh) * 2023-08-25 2023-09-22 江苏华东正大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风阀性能测试设备
KR20240045797A (ko) 2022-09-30 2024-04-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공조설비의 관체 누설 시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483A (ko) 1998-05-07 1999-12-06 김두성 덕트 누기 시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483A (ko) 1998-05-07 1999-12-06 김두성 덕트 누기 시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245B1 (ko) * 2021-01-12 2021-10-26 오충록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CN114354053A (zh) * 2021-12-20 2022-04-15 深圳莫微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管路的压力测量装置
CN114354053B (zh) * 2021-12-20 2024-06-07 深圳莫微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医疗管路的压力测量装置
KR20240045797A (ko) 2022-09-30 2024-04-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공조설비의 관체 누설 시험장치
CN116793663A (zh) * 2023-08-25 2023-09-22 江苏华东正大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风阀性能测试设备
CN116793663B (zh) * 2023-08-25 2024-01-12 江苏华东正大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风阀性能测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9177A (ko)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시험기
WO2018198165A1 (ja) 冷媒検知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204165185U (zh) 一种实验室通风系统的变风量控制系统
CN102047013B (zh) 流动控制阀
Delwati et al. Impact of demand controlled ventilation on system performance and energy use
US75166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uct leakage and fan flow efficiency
CN106679899A (zh) 一种风管严密性测试方法
JP2019011884A (ja) 室圧制御システム
CN101936288B (zh) 用于测试压缩机的设备和方法
CN210801548U (zh) 出风装置及空调机组
KR20210001675U (ko) 미세 정압 조절이 가능한 바이패스형 덕트 누기 시험장치
OPMP Characterizing air leakage in parallel fan-powered terminal units
CN110645692A (zh) 出风装置及空调机组
JP4784268B2 (ja) 変動風発生装置
KR100269797B1 (ko) 덕트 누기 시험기
Yuill et al. Development of a fan airflow station for airflow control in VAV systems
KR102448002B1 (ko)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Kabbara et al. Characterization of a Constant Air Volume (CAV) Box Based on Measurements
Khoo et al. Variable-air-volume terminal units I: Steady-state models
CN209640374U (zh) 一种皮托管流速仪的检定装置
JP2017223553A (ja) 環境試験装置及び空調装置
Szymański et al. Large buildings airtightness measurements using ventilation systems
JP7291003B2 (ja) 圧力計測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4019842A (zh) 校准工装和校准方法
Liu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fan airflow station and pump water flow station in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HVAC)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