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002B1 -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002B1
KR102448002B1 KR1020200090720A KR20200090720A KR102448002B1 KR 102448002 B1 KR102448002 B1 KR 102448002B1 KR 1020200090720 A KR1020200090720 A KR 1020200090720A KR 20200090720 A KR20200090720 A KR 20200090720A KR 102448002 B1 KR102448002 B1 KR 10244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uri
conduit
type
diameter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899A (ko
Inventor
박소영
Original Assignee
박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영 filed Critical 박소영
Priority to KR102020009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0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G01F1/44Venturi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G01F1/46Pitot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유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유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벤추리형 공기유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유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는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유량 측정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관로 개폐부; 및 상기 유량 측정부의 유량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는 공기 흐름의 층류화에 필요한 긴 직관부가 없이 정확한 유량의 측량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날로 복잡해가는 현대식 건물의 공조 장치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Hybrid Venturi Air valve and a method for control of Air volumn}
본 발명은 공기 유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유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벤추리형 공기유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유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덕트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댐퍼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댐퍼 블레이드의 개폐율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여 풍량을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하지만, 개폐율과 풍량이 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댐퍼 블레이드의 개폐 정도로 풍량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댐퍼의 전단에 개폐율에 따른 실제 풍량을 측정할 수 있는 풍량 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해서 다시 개폐율을 추가로 조절하는 방식들이 사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35122호에 개시된 도 7과 같은 가변 풍량조절장치를 예로 들면, 원통형덕트(10)의 내부에 원판형 댐퍼 블레이드(12)를 축(17)을 이용하여 설치한 후, 제어부(15)가 실내온도(14)를 이용하여 필요한 풍량을 결정하면, 목표 풍량에 맞추어 액튜에이터(13)로 댐퍼 블레이드(12)의 개폐율을 조절하게 된다. 전단의 차압 검출부(16)를 이용해서 실제 풍량을 측정하고, 목표 풍량과 실제 풍량을 비교한 후, 엑츄에이터(13)을 작동시켜 댐퍼 블레이드(17)의 각도를 추가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실제 풍량과 목표 풍량을 일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댐퍼 블레이드(12)의 조절을 통한 풍량 제어에 있어서는 차압을 이용해서 실제 풍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차압을 이용한 풍량 측정은 층류 흐름을 전제로 한 것이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차압 측정전에 공기의 흐름을 층류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기 흐름의 층류화는 차압 측정 전에 설치되는 직관부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ISO 5167-4: 2003에 따르면 벤추리를 이용해서 유량을 측정할 경우 관로의 직경(D)의 6배 정도의 길이에 해당하는 직관부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나 직관부는 건물의 천정 구조가 갈수록 복잡화지는 최근 건물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새로운 공기유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새로운 공기유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층류층 형성을 위한 직관부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층류층 형성을 위한 직관부의 도입이 어려운 복잡한 공간에서 공기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밀하게 공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유량 측정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관로 개폐부; 및
상기 유량 측정부의 유량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유량계로 이루어진 유량 측정 장치를 이용해서 관로의 풍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유량계로 이루어진 유량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벤추리형 관로의 입구로 진입한 공기들이 벤추리형 관로 전단의 좁은 수축부를 통과하면서 층류화되어 벤추리형 관로의 목부분에 위치하는 유량 측정부에 측정되는 풍량 측정의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수축부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빨라져 저속에서 측정 오차가 커지는 유량 측정 장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용 벤추리형 관로는 관의 내경이 점점 줄어드는 전단부와 피토튜브가 설치되는 병목부와 내경이 확대되는 후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전단은 공기의 층류 형성이 용이하도록 병목부까지는 서서히 관의 내경이 줄어들고, 피토튜브가 설치되는 병목부를 지난 후에는 개폐 장치, 예를 들어, 댐퍼 블레이드를 설치할 수 있도록, 관의 직경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용 벤추리형 관로는 벤추리형 관로에서 개폐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후단부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벤추리형 관로는 전단은 입구의 직경이 유지되는 도입부와 직경이 급격히 줄어드는 수축부와 줄어든 직경이 유지되는 병목부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벤추리형 관로는 병목부의 직경은 입구 직경에 비해 10% 이상 줄어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이상 줄어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40% 줄어들 수 있으며, 병목부는 병목점(최소 직경)의 100~120%이 영역, 예를 들어 100~110%인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는 병목부, 바람직하게는 병목점에 설치되어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피토튜브 유량계 또는 열선식 유량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피토튜브 유량계는 병목부의 중심부에서부터 내벽까지 전체 영역에서 차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병목부를 일측 내벽에서부터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는 이중관에 다수의 정압홀과 전압홀들이 형성되는 이중관형 다점식 피토튜브를 포함하는 유량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형 다점식 피토튜브 유량계에서 정압과 전압 사이의 차압은 박막이 변환이나 유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전압과 정압 사이의 차압을 박막의 변환으로 측정하는 장치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전압과 정압 사이의 차압을 유량의 변화를 이용해서 측정하는 방식은 본 발명자의 다른 특허 제10-1590520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열선식 유량계는 병목부의 내벽에서 중심부로 연장되는 측정튜브를 가지는 열선식 유량계일 수 있다. 상기 측정 튜브를 가지는 열선식 유량계는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irMoter사의 ELECTRA-flo/S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량계에 의해 측정되는 유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아 관로를 흐르는 실측된 공기 유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측정된 공기유량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서 개폐 장치의 개폐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벤추리형 관로의 후단에 설치되는 댐퍼 블레이드와, 상기 댐퍼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에 제어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는 댐퍼 블레이드가 결합된 축을 회전 또는 전후진시키는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댐퍼 블레이드는 공지된 다양한 댐퍼 블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댐퍼 블레이는 벤추리 관로의 후단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 예를 들어, 동일 직경의 원판일 수 있으며, 상기 원판을 가로질러 벤추리 관로의 후단부를 관통하는 회동축에 결합되고, 회동축의 회동에 의해서 개폐율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의 외면은 필요시 단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체부는 다른 관체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로 돌출되는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에 있어서,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피토 튜브 유량계 또는 열선식 유량계;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후단에 설치되는 댐퍼 블레이드;
상기 댐퍼 블레이트의 개폐 조절 장치; 및
상기 개폐 조절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풍량 제어 방법은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피토 튜브 유량계;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후단에 설치되는 댐퍼 블레이드;
상기 댐퍼 블레이트의 개폐 조절 장치; 및
상기 개폐 조절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를 덕트에 설치하고, 댐퍼 블레이드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풍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풍량 제어 방법은 제어부에서
실내와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차이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목표 유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유량에 따라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의 개폐율을 조절하는 단계;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를 통과하는 실측 유량을 피토튜브 유량계를 이용해서 측정하는 단계; 및
개폐율을 조절하여 실측 유량과 목표 유량의 차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율을 조절은 제어부가 엑츄에이터의 조절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는 공기 흐름의 층류화에 필요한 긴 직관부가 없이 정확한 유량의 측량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날로 복잡해가는 현대식 건물의 공조 장치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에서 피토튜브 유량계가 설치된 병목부의 단면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가 직관부가 없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의 3 m/s 유속 제어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의 5 m/s 유속 제어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의 7 m/s 유속 제어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의 10 m/s 유속 제어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 에어밸브가 직관부 없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 에어밸브의 3 m/s 유속 제어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 에어밸브의 5 m/s 유속 제어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 에어밸브의 7 m/s 유속 제어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 에어밸브의 10 m/s 유속 제어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 에어밸브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10)는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100)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피토 튜브유량계(200)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후단에 설치되는 댐퍼 블레이드(300)와, 상기 댐퍼 블레이트의 개폐 조절 장치(400)와 상기 개폐 조절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부(100)는 내부의 벤추리형 관체(110)과 상기 관체를 둘러싸는 외장재(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의 벤추리형 관체(110)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관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유입부(111)와, 관로의 직경이 서서히 줄어드는 감축부(112)와, 줄어든 좁은 직경이 유지되는 병목부(113)와 관로의 직경이 급격히 늘어나는 확장부(114)와, 확장된 직경이 유지되는 유출부(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벤추리형 관체(110) 외부의 외장재(120)는 직사각형 단면의 외부 케이스(121)과 단열재(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토튜브 유량계(200)는 벤추리형 관체(110)의 일측 내벽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된 후 벤추리형 관체(110)를 가로질러 타측 내벽까지 연장되고, 벤추리형 관체의 병목부(11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이중관형 피토 튜브(201)와, 상기 수직 이중관형 피토튜브(201)에서 발생하는 차압을 이용하여 외장재(120)의 외부에서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260)과, 유량 측정부(260)를 덕트에 고정하기 위한 프렌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중관형 피토튜브(201)는 전압이 가해지는 내관인 전압관(202)과 정압이 가해지는 외관인 정압관(203)으로 이루어진다. 정압관(203)의 외면에는 전압관(202)으로 연통되는 전압 구멍(210)들과, 정압관(203)으로 연통되는 정압 구멍(220)들이 다수 형성된다. 전압구멍(110)들과 정압 구멍(120)들은 수직 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내관인 전압관(202)으로 연통되는 전압 구멍(210)들은 정압관의 전면부에 개구가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정압과 동압을 동시에 받게 되며, 정압 구멍(220)은 공기의 흐름 방향에 수평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유량 측정부(260)의 내부에는 이중관형 피토튜브(201)의 전압관(202)과 연통되어 전압이 가해지는 전압실(211)과 정압관(203)과 연통되어 정압이 가해지는 정압실(221)이 형성된다. 전압실(211)과 정압실(221)사이에는 차압 유로(230)가 형성되고, 차압유로(230)는 차압 유로 입구(231)를 통해서 전압실(211)과 연통되고, 차압 유로 출구(232)를 통해서 정압실(221)과 연결된다. 상기 차압 유로(230)에는 상기 이중관형 피토 튜브(201)에 가해지는 전압과 정압 사이의 차압에 의해 흐르는 유체의 차압유량을 측정하는 열선식 유속센서(240)가 설치된다. 측정된 차압 유량은 1차적으로 차압으로 변환되고, 차압은 유량으로 변환된다. 측정된 유량은 제어부(500)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된다.
상기 댐퍼 블레이드(300)는 벤추리형 관체(110)의 유출부(115)에 설치되어, 개폐 정도에 따라서 벤추리형 관체(110)에서 유출되는 공기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댐퍼 블레이드(300)는 원판형 블레이드(310)와 회동축(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판형 블레이드(310)는 벤추리형 관체에서 유출부(115)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상기 회동축(320)은 원판형 블레이드(310)의 회전축(311)을 테두리에서 양쪽으로 연장되는 소정길이의 2개의 원형막대형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축(320)들은 관체부(1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댐퍼 블레이드 구동장치(400)인 엑추에이터에 의해서 회동된다.
상기 댐퍼 블레이드 구동장치(400)은 중심부에 회동축(320)이 관통 결합되는 회전 모터(M)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모터(M)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한다. 모터(M)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은 제어부(500)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피토튜브 유량계(200)와 엑추에이터를 이용해서 통과되는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상기 제어부(500)는 메인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24 VAC Power가 공급되고, RS485 네트워크를 통해서 메인제어부에 연동될 수 있다.
상기 관체부(10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전후 연결부(600)이 형성되어 동일 직격의 다른 관체에 삽착된다.
메인 제어부에서 제어부(500)에 목표 풍량을 지시하면, 제어부(500)는 피토튜브 유량계(200)에서 입력되는 유량과 대비하여 댐퍼 블레이드(30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한다. 목표 풍량이 피토튜브 유량계(200)에서 입력되는 유량에 대비하여 많을 경우, 제어부(500)는 댐퍼 블레이드(300)를 개방시켜 유량을 높이게 된다. 댐퍼 블레이드(300)의 개방율을 높이기 위해서, 댐퍼 블레이드 구동장치(400)를 가동시켜 댐퍼 블레이드의 회동축(320)을 회동시키게 된다. 회동축(320)을 회동시켜 개폐율을 높인 상태에서 목표 풍량과 피토튜브 유량계(200)에서 측정되는 풍량을 비교한다. 이를 반복하여 풍량을 제어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10)가 공기 유량 제어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풍동시험을 실시하였다.
풍동시험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10)를 직관부가 없는 덕트 관로에 삽입하여 설치한 후, 목표 풍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풍량은 유속x지름으로 측정하였으며, 실험은 유속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목표 유속을 3 m/s, 5 m/s, 7 m/s, 및 9 m/s로 고정한 상태에서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를 사용하여 유속을 제어하였다. 결과를 표 1(b:하이브리드 에어밸브) 및 각각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10)가 공기 유량 제어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비교 풍동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 풍동시험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관로 형상을 제외하고는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일반 에어 밸브(20)를 직관부가 없는 덕트 관로에 삽입하여 설치한 후, 목표 풍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풍량은 유속x지름으로 측정하였으며, 실험은 유속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목표 유속을 각각 3 m/s, 5 m/s, 7 m/s, 및 9 m/s로 고정한 상태에서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를 사용하여 유속을 제어하였다. 결과를 표 1(a: 일반에어밸브) 및 도 9, 도 10, 도 11, 도 12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20076319798-pat00001
풍량은 Airtoro을 이용해서 측정하였으며, 측정온도는 26℃이며, 직관부는 것의 없는 조건(0.3D)이며, 덕트 관경은 250mm 에서 이루어졌다. 실시예와 비교예를 볼 때, 동일한 기준 유속을 제어함에 있어서 일반 에어밸브의 오차가 5~10배 정도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100: 관체부
200: 피토튜브 유량계
300: 댐퍼 블레이드
400: 댐퍼 블레이드 구동장치
500: 제어부

Claims (8)

  1.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
    여기서 상기 벤추리형 관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관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유입부와, 관로의 직경이 서서히 줄어드는 감축부와, 줄어든 좁은 직경이 유지되는 병목부와, 관로의 직경이 급격히 늘어나는 확장부와, 확장된 직경이 유지되는 관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유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유량 측정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유출부에 설치되는 관로 개폐부; 및
    상기 유량 측정부의 유량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부는 피토튜브 유량계 또는 열선식 유량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측정부는 이중관형 다점식 피토튜브 유량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개폐부는 벤추리형 관로의 후단에 설치되는 댐퍼 블레이드와, 상기 댐퍼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5.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
    여기서 상기 벤추리형 관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관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유입부와, 관로의 직경이 서서히 줄어드는 감축부와, 줄어든 좁은 직경이 유지되는 병목부와, 관로의 직경이 급격히 늘어나는 확장부와, 확장된 직경이 유지되는 관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유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피토 튜브 유량계;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후단에 설치되는 댐퍼 블레이드;
    상기 댐퍼 블레이트의 개폐 조절 장치; 및
    상기 개폐 조절 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6. 내부에 벤추리형 관로가 형성된 관체부,
    여기서 상기 벤추리형 관로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관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유입부와, 관로의 직경이 서서히 줄어드는 감축부와, 줄어든 좁은 직경이 유지되는 병목부와, 관로의 직경이 급격히 늘어나는 확장부와, 확장된 직경이 유지되는 관로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유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병목부에 설치되는 유량 측정부;
    상기 벤추리형 관로의 유출부에 설치되는 관로 개폐부; 및
    상기 유량 측정부의 유량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를 이용해서 관로의 풍량을 제어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는 피토튜브 또는 열선식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KR1020200090720A 2020-07-22 2020-07-22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KR10244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20A KR102448002B1 (ko) 2020-07-22 2020-07-22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720A KR102448002B1 (ko) 2020-07-22 2020-07-22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899A KR20220011899A (ko) 2022-02-03
KR102448002B1 true KR102448002B1 (ko) 2022-09-27

Family

ID=8026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720A KR102448002B1 (ko) 2020-07-22 2020-07-22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0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643A (ja) * 1999-11-05 2003-04-15 アダム コーエン 換気式ケージ及びラックシステムの環境監視及び制御システム
JP2012053530A (ja) * 2010-08-31 2012-03-15 Ace:Kk 排気圧力/流量コントローラ
KR101884306B1 (ko) * 2018-01-15 2018-08-01 서진공조주식회사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643A (ja) * 1999-11-05 2003-04-15 アダム コーエン 換気式ケージ及びラックシステムの環境監視及び制御システム
JP2012053530A (ja) * 2010-08-31 2012-03-15 Ace:Kk 排気圧力/流量コントローラ
KR101884306B1 (ko) * 2018-01-15 2018-08-01 서진공조주식회사 밴츄리 차압으로 몸체에 설치된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가변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899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135B1 (ko) 가변 풍량 조절장치
US20020020446A1 (en) Pressure based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integrated with blades of a damper
US60796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irflows in HVAC systems
AU2004217498B2 (en) Device and method enabling fluid characteristic measurement utilizing fluid acceleration
CN101275976B (zh) 一种声场中的热线风速仪标定装置及标定方法
CN109059217A (zh) 一种基于运行曲线的变风量空调系统总风量控制方法
CN208534819U (zh) 用于风扇气动性能测试的装置
KR102448002B1 (ko)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JPH03170739A (ja) 室内換気用装置
CN110530597A (zh) 一种低气压下风速标定系统
KR101789543B1 (ko) 평균피토관 타입의 유량측정장치
CN113483983B (zh) 一种孔壁横流特性测定装置及其测定方法
CN108709666A (zh) 一种基于射流风洞的风速、压力、温度标定系统
KR101635555B1 (ko) 유량측정 장치 및 방법
US6543932B1 (en) Enthalpy tunnel
JPH04133108A (ja) 流量制御バルブ及びこのバルブを用いた流量測定装置
JP2004198271A (ja) ダクト内流量計測装置
JPH10320057A (ja) 流量制御弁装置
JP2021535501A (ja) ガスアナライザを線形化または校正するためのガス混合装置
JP3155814B2 (ja) 流量計測制御システム
CN115111691B (zh) 地铁混风室压差测量装置及方法
KR20200082078A (ko) 에너지 유량이 도출되는 공기압축기용 질량유량계 및 압력제어방법
CN111677683B (zh) 一种基于流量补偿法的微型风扇气动性能测试方法及装置
KR102150604B1 (ko) 벤추리형 가변 풍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KR102158294B1 (ko) 음속 및 아음속에서 측정이 가능한 가스 유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