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568A -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568A
KR20200088568A KR1020190004976A KR20190004976A KR20200088568A KR 20200088568 A KR20200088568 A KR 20200088568A KR 1020190004976 A KR1020190004976 A KR 1020190004976A KR 20190004976 A KR20190004976 A KR 20190004976A KR 20200088568 A KR20200088568 A KR 2020008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parking
wireless communication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935B1 (ko
Inventor
조한일
이원경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참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참슬테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4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9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를 개시한다. 공동주택 편의장치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한편, 공동주택 편의장치의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과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적어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Apartment house convenience apparatus using a user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을 자동으로 제공하고, 주차장에서의 비상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며, 공동 주택의 세대현관이나 공동현관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 편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공 건물이나 공동 주택에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이 마련될 수 있다. 공공 건물은 백화점이나 마트 등과 같은 상업용 건물뿐만 아니라 구청이나 정부 청사 등과 같은 관공서 건물도 포함할 수 있다. 공동 주택은 2가구 이상의 세대가 형성된 집합 건물, 빌라, 연립, 빌라, 또는 타운 하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에는 복수의 카메라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한 카메라들은 요금정산, 감시, 보안, 주차 유도, 또는 주차위치 인식을 위해 주차장의 구역별로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들은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와 CCTV 용 감시 카메라로 분류될 수 있다. 차량 번호 인식에 필요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는 CCTV 용 감시 카메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들은 주차된 차량들의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차량들의 주차위치 인식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의 특정한 주차 구역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에 상기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는 상기 주차된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상기 차량 번호 인식용 카메라는 인식된 차량 번호를 상기 특정한 주차 구역에 매칭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에 주차위치 인식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위치 인식은 주차된 시점의 관리나 파악이 곤란하다.
한편, 사용자의 태그 동작이나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주차위치 인식이 수행될 수도 있다. 차량이 주차장의 특정 구역에 주차된 후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지닌 무선 주파수 인식(RFID)태그를 주차장의 소정 구역마다 설치된 주차위치 리더기에 태그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는 사용자가 지닌 RFID 키의 특정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주차위치 리더기는 RFID 태그나 RFID 키로부터 사용자의 ID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의 ID 정보는 상기 주차위치 리더기의 설치 구역 정보에 매칭된다. 따라서, RFID 태그나 RFID 키를 이용할 경우에 주차위치 인식이 설치 구역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위치 인식은 사용자의 태그 동작이나 사용자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
더구나, 주차장에서 비상상황이 발생 시에 비상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원활하게 되기 어려웠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차량용 비콘을 이용하여 주차위치의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차량용 비콘 등의 차량용 비치 장치를 차량 내에 항상 탑재하고 운용하여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한편, 공동주택에는 공동현관이나 세대현관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공동현관은 공동 주택의 출입 현관에 마련된다. 한편, 세대현관은 공동 주택의 세대 현관에 일반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세대현관의 출입문에는 도어록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공동현관의 출입문에는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가 설치될 수 있다.
통상의 디지털 방식의 도어록은 설정된 비밀번호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 개방(또는 오픈, 해정)될 수 있다. 만약, 도어록을 개방할 권원이 없는 자가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카메라 등을 통해 알아내는 경우에 도어록은 개방될 위험에 노출되어 버린다.
도어록을 개방하기 위해 세대 구성원들 모두는 동일한 비밀번호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3578"이 비밀번호로 설정된 경우에 키패드들 중에서 3번 키, 5번 키, 7번 키, 및 8번 키가 세대 구성원들 모두에게 눌려지거나 터치될 것이다. 따라서, 도어록을 개방할 권원이 없는 자는 해당 도어록의 키패드들을 확대경 등을 통해 살펴본 후 먼지 없이 지문이 많이 묻어 있는 키패드들이 3,5,7,8 번 키라는 것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권원이 없는 자는 키패드들의 순서 조합을 다양하게 시도하여 도어록의 비밀번호가 "3578"이라는 것을 마침내 알아낼 수 있다.
특정 키 패드들의 사용 빈번도에 따른 비밀번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허수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도 본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 방식은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3578"이라고 하면, "3578" 키를 누르기 전 또는 후에 다른 키 예를 들어 11122 혹은 67999를 이용자가 마구 눌러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패드들만에 한정됨이 없이 모든 키패드가 골고루 반질반질하게 닳게 되어, 사용 흔적이 모든 키패드들을 대상으로 확장된다. 이와 같은 허수 사용방식에 의한 도어록 개방은 비밀번호에 관련된 키패드의 사용 흔적을 숨기는 기능을 가지고는 있지만, 몰래 설치된 카메라 등을 통해 비밀번호가 일단 유출되는 경우에는 보안성이 여전히 취약하다.
한편, 도어록은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 및 이용자 터치 동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이용자가 지닌 고주파 키 혹은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도어록의 개방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가 미리 등록된 인증번호와 매칭되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기등록된 인증번호가 "3333"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 즉 도어 개방 요청 코드도 "3333"로 송출될 때 도어록이 개방된다.
도어록은 출입 제어장치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가 수신될 때 개방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는 도어폰, 도어록, 혹은 세대 기기(예를 들어 월패드)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는 도어폰 혹은 도어록에 내장됨이 없이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도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무선으로 개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의 개방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가 미리 등록된 인증번호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이루어진다.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는 공동현관용 출입 제어장치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가 수신될 때 개방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는 공동현관 출입문에 설치되거나 혹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는 이용자가 공동현관이나 세대현관으로 접근할 때 수백 kHz의 제1 고주파(RF)신호로 이용자가 지닌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이 출입 패스 키)를 웨이크업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제1 고주파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 된 후에 수백 MHz의 제2 고주파(RF)신호로 도어 개방 요청을 위한 고유번호를 송출한다. 출입 제어장치는 고유번호를 인증하여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2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 인증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현관이나 단위 세대의 외부에 사람이 접근하거나 도어록을 터치하면, 외부에 있는 사람이 허가된 사용자 단말기를 지니지 않더라도 도어 개방 신호가 생성되어 버린다. 이러한 인증 오동작은 출입 인증 동작이 공동현관의 내부나 단위 세대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위 세대의 내부에 위치하는 신발장 근처에 사용자 단말기가 놓여져 있고 외부의 방문자에 의해 도어록이 터치될 경우에 상기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웨이크업 되고 제2 고주파 신호로 송출되는 고유번호가 정상적으로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도어 개방 신호가 의도하지 않게 발생되어 버린다.
한편, 수 GHz 대역의 근거리 통신 신호를 이용하는 출입 인증 방식도 본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는 수 GHz 대역의 근거리 통신 신호로 도어 개방 요청을 위한 고유 번호를 송출한다. 출입 제어장치는 송출된 고유번호를 인증하여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가 2.4 GHz 대역의 블루투스 신호로 고유번호를 송출하면 출입 제어장치는 송출된 고유번호를 인증한다.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에 출입 제어장치는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한다.
근거리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인증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현관이나 단위 세대의 외부에 사람이 접근하거나 도어록을 터치하면, 외부에 있는 사람이 허가된 사용자 단말기를 지니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 개방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오동작은 공동현관의 내부나 단위 세대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출입 인증 동작이 수행되어 버릴 때 발생된다.
예를 들어, 공동현관의 내부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사람이 사용자 단말기를 지니고 있고 외부 잡상인이 공동현관의 외부에 접근할 경우에 상기 내부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고유번호가 정상적으로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도어 개방 신호가 의도하지 않게 발생되어 버린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증 오동작은 고주파(RF) 신호의 투과 특성이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이다. 수백 kHz 내지 수 GHz의 고주파 신호는 단단한 고체로 이루어진 벽체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체나 유리 벽체도 비교적 잘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동현관이나 세대현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고유번호가 출입 인증에 의도하지 않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식은 사용자 단말기가 개방 키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사용자 단말기가 분실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의 분실 시 해당 사용자 단말기를 습득한 타인도 공동현관이나 세대현관의 출입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의 분실은 사용자 단말기의 분실 자체에 한정됨이 없이 출입 보안까지도 해제해 버리는 위험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비치 장치를 이용함이 없이도 주차위치 인식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비치 장치를 이용함이 없이도 주차위치 인식을 동승자에게도 제공할 수 있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주차장에서의 비상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출입 인증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주택의 도어폰 혹은 도어록에 내장될 수 있는 출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는 출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는,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감지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는,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 편의장치에 따르면, 차량용 비치 장치를 이용함이 없이도 주차위치 인식이 사용자의 조작이나 개입 없이 사용자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자동으로 제공된다.
공동주택 편의장치에 따르면, 주차장의 비상발생 위치 인식이 사용자의 조작이나 개입 없이 사용자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자동으로 제공된다.
또한, 차량용 비치 장치를 이용함이 없이도 사용자 주차위치 인식은 물론, 동승자 주차위치 인식, 택배 알림 서비스, 엘리베이터 호출, 및 비상호출 추적 모니터링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비치 장치 예컨대 차량에 설치되는 비콘 장치가 제거됨에 따라 인식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구현 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용자 개별적인 출입 인증이 수행되므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멀티 보안 기능이 실행된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가 공동주택의 도어폰이나 도어록과 일체로 사용되거나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가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컨셉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통신 모드들의 모드 전환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주차장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신호 전송의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2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들을 갖는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컨셉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세대현관 출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7 내의 출입 제어장치(2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19는 도 17 내의 도어록(1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7 내의 도어폰(3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공동현관용 출입 제어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의 출입 기기 ID를 나타내는 송신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데이터의 전송 프레임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적용 실시 예에 따라 세대현관에 적용된 출입 제어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에 따른 통신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얻어지는 출입 제어의 보안성 및 편리성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장치(또는 모듈)이나 차번 인식 장치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컨셉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은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은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 웹서버(300), 및 종합 수신 제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은 스마트 폰 그룹(50),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 및 클라우드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상기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스마트 폰 그룹(50)내의 스마트 폰(예를 들어 운전자의 스마트 폰 10)과 통신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하나 이상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ID)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인 스마트 폰(예를 들어 10)으로 송출할 수 있다.
스마트 폰 그룹(50)은 복수의 스마트 폰들(10-14)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스마트 폰(예 10)은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의미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폰(예 10)은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주차장의 맵 정보를 다운 로딩하여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차량이 주차된 후에 보행을 시작하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가 감지된 때를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스마트 폰에 내장된 센서(예컨대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함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신망(80)과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80)은 라인(L6)을 통해 웹서버(300)와 연결되고 라인(L7)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600)와 연결된다.
웹서버(300)는 TCP/IP 통신을 통해 종합 수신 제어기(400)에 연결되어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00)는 보안(710), 관공서(720), 및 회사(730) 중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00)는 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상기 통신망(80)을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망(80)과 연결된 상기 웹서버(3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로서,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수신을 유효한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라인(L3)을 통해 스마트 폰(예 10)으로 송출된다. 상기 라인(L3)은 무선통신 라인이며 통신 채널들을 나타낸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은 주파수가 서로 동일하나 신호에 포함되는 구역 표식 정보(ID)가 서로 다르다. 상기 스마트 폰(예를 들어 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내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수신한다. 상기 스마트 폰(1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 중에서 스마트 폰(10)을 기준으로 가장 근거리에 위치된 주차장 단말기(예 101)를 찾는다. 결국, 수신된 신호들 중에서 가장 큰 세기로 수신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구역 표식 정보가 주차위치로서 결정된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 폰(10)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된 주차장 단말기(101)의 구역 표식 정보가 주차위치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각기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수신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단위는 dBm 이다. 수신전계강도(RSSI)의 측정은 비콘 신호의 PDU(Protocol Data Unit)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PDU에 들어 있는 데이터 내에는 TX 파워에 대한 파워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파워 데이터는 약 2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TX 파워 데이터와 수신전계강도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함에 의해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에 대한 수신전계강도가 분석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각각의 수신전계강도가 서로 비교된다.
복수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하면, 가장 가까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고 있는 주차장 단말기(예 101)가 인식된다. 결국 주차장 단말기(101)가 설치된 위치는 주차 위치로서 결정된다. 물론,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상술한 처리 동작에 의해 상기 주차장 단말기(예 101)를 찾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가 설치된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서 주차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의 정보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예 101)로부터 송출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콘(beacon)신호일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장치는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일 수 있다. 애플의 비콘 기술인 아이비콘(iBeacon)이 발표된 이후부터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기반의 비콘 기술을 일반적으로 비콘이라고 부른다. 비콘 기술의 경우 소량의 패킷 전송에 의해 동작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pairing)이 불필요하다. 또한 저전력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비콘 기술은 저비용으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비콘 장치로부터 최대 70m 이내에 위치된 수신 장치들로 제공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5~10㎝ 단위의 위치 구별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비콘 장치는 전력 소모가 적다. 따라서 비콘 장치는 사물 인터넷(IoT) 구현에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비콘 장치는 IoT 시대를 맞아 블루투스 기술을 다시 부활시키고 있는 통신 장치이다.
이외에도, 상기 스마트 폰(예 10)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들을 통해 주차장 단말기(예 101)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혹은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WLAN은 일반적인 무선 랜(LAN)일 수 있으며, 상기 WPAN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일 수 있다.
상기 초광대역 통신(UWB)의 전송 주파수대역은 수㎓ 이상이다. 초광대역 통신(UWB)은 30Mbps∼50Mbps급인 무선랜에 비해 최소 100Mbps∼1Gbps급 속도를 보장한다.
또한, 상기 밀리미터파 통신은 기존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WLAN 또는 UWB에 비해 10배 이상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갖고 있어 수 기가급 초고화질(풀HD급) 무압축 영상의 순간 전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스마트 폰(예 10)으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상기 스마트 폰(예 10)으로 송출할 수 있다. 결국, 스마트 폰(예 10)은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에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한다. 스마트 폰(예 10)은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한 이후에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은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가 주차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 내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중에서 가장 큰 신호 세기로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이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스마트 폰(예 10)으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주차장 단말기(예101)를 복수(101-105)로 구비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통신한다.
상기 스마트 폰(10)은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 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스마트 폰(10)은 상기 결정된 주차위치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웹서버(300)가 주차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은 주차위치 운영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폰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므로 차량용 비콘 장치와 같은 차량용 비치 장치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또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후술될 것이다.
도 2는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장 단말기(예 101)는 블루투스 모듈(1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120), 통화 회로(130), 통신부(140), 코덱(150), 및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도 1의 라인(L3)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이하 편의상 비콘 신호)를 상기 스마트 폰(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도 1의 라인(L4)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10)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이하 편의상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라인들(L3,L4)은 무선통신 라인(또는 무선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256 Kb 메모리 및 32-bit ARM CPU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또한 가속도 센서나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예컨대 "HBT2X3N" 으로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10)이 주차장 단말기의 ID가 들어 있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 폰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의 운영 체제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 내에서의 블루투스 장치는 활성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에는 비콘 SDK가 내장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 설치된다. 따라서, 스마트 폰이 마스터로서 역할을 할 경우에 도 2의 블루투스 모듈(110)은 슬레이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국, 블루투스 모듈(110)은 비콘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과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동일한 케이스(170)내에 수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라인(L10)을 통해 MCU(120)에 연결된다. 상기 라인(L10)은 UART 통신 라인일 수 있다. 상기 MCU(120)는 라인(L20)을 통해 통화 회로(130) 및 통신부(140)에 연결된다. 상기 라인(L20)은 통신 버스일 수 있다.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비상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비상버튼은 주차장에 있는 사용자가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해 누르는 버튼이다. 상기 비상버튼이 눌려지면 MCU(120)는 비상버튼의 입력을 수신하여 비상 상황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MCU(120)는 도 1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로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는 비상 발생 신호를 통신부(140)를 통해 인가할 수 있다. MCU(120)는 "ATmega128L"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상기 비상 발생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CCTV 제어기로 인가할 수 있다. CCTV 제어기는 아파트 단지의 중앙 방재실에 위치될 수 있다. CCTV 제어기는 상기 비상 발생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따라 주차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들을 제어한다. 따라서, 주차장 내에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가 설치된 구역에 대해 CCTV 카메라들에 의한 집중 추적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도 2의 통화 회로(130)는 도 1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화 회로(130)는 음성 통신 및/또는 화상 통신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는(140)는 도 1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TCP/IC 통신을 통해 상기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W3150A+"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코덱(150)은 상기 MCU(120)와 연결되고, 통신 신호들에 대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코덱(150)은 "VS1053B"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예 10)은 블루투스 모듈(2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220), 센서부(230), 배터리(240), 및 버튼 입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2.4Ghz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송신 전용의 단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및 수신동작을 행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된 이후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으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들을 수신하여 주차위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된 이후에 스마트 폰의 ID가 포함되어 있는 비콘 신호를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서 송출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은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30)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의 감지 기능도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 예컨대 움직임, 보행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임의의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대한 속도의 증감비를 감지한다. 결국, 가속도 센서는 물체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크기를 출력한다.
감지 범위가 x,y,z축 방향인 3축 가속도 센서는 3차원 공간에서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중력 가속도를 기준으로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와 각 방향의 가속도에 기반하여 물체의 움직임이 검출될 수 있다. 지구중력은 수직방향으로 중력가속도 1G이다. 따라서 중력 가속도의 감지에 의해 물체의 기울어진 상태 및 지면 방향이 감지된다. 결국, 중력 가속도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차량 하차를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Geomagnetic)는 지구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스마트 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지자기센서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각을 탐지한다. 3축 지자기센서는 자기장의 세기를 X,Y,Z 방향으로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한다. 센서들의 출력 벡터 합이 계산되면 물체의 이동 방향이 측정된다.
자이로 센서는 물체의 회전관성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한 축을 기준으로 단위 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도의 값을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면 물체(여기서는 스마트 폰)이 좌우로 움직이는지 상하로 움직이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물체가 운동할 때 코리올리의 힘이 발생하는데, 이 코리올리 힘에 대한 공식을 이용하여 관성계에 작용하는 각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자이로는 그 정확도가 10~100 deg/hr 급으로 센서 신호 처리를 잘하게 되면 1deg/hr급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1deg/hr급은 아무런 입력이 없을 때 1시간 동안 자세가 1도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이로 센서의 정밀성 보상은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를 행한 후에 차량에서 하차하여 보행을 시작할 수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의 걸음 주기는 사용자가 걷는 동안 동일한 발에 대하여 발생하는 두 개의 연속된 동일 이벤트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다. 걸음 주기는 발이 지면에 접촉할 때인 디딤 단계(stance phase)와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다음 걸음으로 진전하는 선회 단계(swing phase)의 두 단계로 구성된다. 디딤 단계의 시작 시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힐 스트라이크(heel strike)라고 하며, 선회 단계의 시작 시(또는 디딤 단계의 종료 시)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힐 오프(heel off)라고 한다.
논리적으로, 사용자 몸의 중력 방향 가속도는 사용자의 걸음 주기 중 힐 스트라이크에서 극대(local max)고, 힐 오프에서 극소(local min)다. 즉, 한쪽 발이 지면에 접촉해 있는 동안 사용자가 다른 쪽 발로 지면을 디디면(힐 스트라이크) 중력 방향 가속도는 극대가 된다. 이후, 지면을 디딘 다른 쪽 발이 지면에 접촉해 있는 동안 한쪽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면(힐 오프) 중력 방향 가속도는 극소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가 달릴 때에도 유사하게 발생한다. 즉, 한쪽 발이 공중에 떠있는 동안 사용자가 다른 쪽 발로 지면을 디디면(힐 스트라이크), 중력 방향 가속도는 극대가 된다. 이후, 공중에 떠있던 한쪽 발이 땅에 닿기 전에 지면을 디딘 다른 쪽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면(힐 오프) 중력 방향 가속도는 극소가 된다.
결과적으로, 중력 방향 가속도가 극대가 되기 직전 및 중력 방향 가속도가 극소가 된 직후의 인접한 두 포인트 쌍이 하나의 걸음에 대응한다. 그에 따라, 중력 방향 가속도의 연속된 극대-극소 피크 쌍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검음 시작과 걸음 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중력 방향 가속도에 대한 1차원 시퀀스의 극대-극소 피크를 기초로 사용자의 걸음 수를 판단하는 과정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연속된 극대-극소 피크를 탐색하는 방법의 예시는 발명자 권용진에 의해 발명되어 2016년 09월 21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6-0109712의 제목 "만보계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하에 개시된다.
상기 센서부(230)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일 때, 이동감지 신호를 활동 정보로서 MCU(220)로 인가한다.
MCU(220)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의 센서값(또는 측정값),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 지자기 센서의 센서값에 근거하여 스마트 폰 사용자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MCU(220)는 자이로 센서의 센서값으로부터 스마트 폰 사용자 또는 스마트 폰의 상하좌우 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은 시간에 따른 이동 거리 파악에 이용된다. 지자기 센서의 센서값은 스마트 폰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파악하는데 이용된다. 이동 거리의 파악은 가속도 센서의 센서값 및 RSSI를 이용하여 더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다.
MCU(220)는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주차 후 활동정보 즉, 상기 이동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를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MCU(220)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일정거리 이동을 하였을 때 시점을 소급하여 이동의 최초 시작 점을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보계의 운영의 경우에 사용자가 3걸음 정도를 이동하기까지는 디스플레이 상에는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는다. 그런 후에 사용자가 4걸음 이동한 순간에 만보계는 숫자 "4"를 표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일정거리 감지한 다음에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에 대한 결정이 소급 적용될 수 있다.
또한, MCU(220)는 걸음 검출 기법, 보폭 추정 기법, 또는 진행 방향 추정 기법을 이용한 보행 항법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MCU(220)는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되면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MCU(220)는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되면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함이 없이도,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으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주차위치 인식을 위한 유효한 신호로서 취급할 수 있다. 결국, MCU(220)는 스마트 폰을 소지한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가 감지된 때를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활동 정보는 스마트 폰에 내장된 센서부(23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들을 분석함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버튼 입력부(260)는 스마트 폰의 각종 제어 동작 예를 들어 셋, 리셋, 온, 또는 오프 등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신호 수신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간 ⓐ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가능 구간을 나타내고, ⓑ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의 수신 OFF 구간을 나타낸다. 블루투스 모듈의 OFF 구간에서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모듈은 동작 오프 상태로 되므로 비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는 비콘 신호의 전송 구간을 나타내고, ⓔ는 비콘 신호의 전송 대기 구간을 나타낸다. ⓕ는 비콘 신호의 전송 주기를 가리킨다. 따라서, ㉠은 비콘신호의 수신이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은 비콘신호의 수신이 무효임을 나타낸다.
파형 ①은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수신 주기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다. ②는 수신 구간의 중간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③은 수신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④는 수신 구간의 시작 초기에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파형 ⑤ 는 수신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②,③, 및 ④의 경우에 비콘 신호는 스마트 폰으로 유효하게 제공된다. 한편, ⑤ 의 경우에 수신 구간의 종료 시점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가 유효로 취급될 수 있다.
도 4의 수신 타이밍은 스마트 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 혹은 변경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의 스마트 폰의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은 제1,2,3 모드들로 나뉠 수 있다. 제1 모드는 제2 모드에 비해 블루투스 모듈(110)의 온 주기가 짧다. 예컨대 제1 모드의 온 주기는 1/10 초 이고, 제2 모드의 온 주기는 1/5 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의 전력 소모는 제2 모드에 비해 적다. 제3 모드는 상기 제2 모드에 비해 블루투스 모듈(110)의 온 주기가 길다. 예컨대 제3 모드의 온 주기는 1/2초이다. 따라서, 제3 모드의 전력 소모는 제2 모드에 비해 많다. 제3 모드에서는 정보 개시가 이루어진다. 정보 개시는 블루투스 모듈(210)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에 주차위치 통신 모드들이 3가지의 모드들로 나뉘어져 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동작 S610에서, 스마트 폰(예를 들어 10)은 스마트 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 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동작 S620에서, 스마트 폰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10)은 차량 탑승인 경우에 블루투스 통신에 대한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결국, 스마트 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을 하면, 제2 모드의 온 주기인 1/5 초마다 블루투스 모듈(110)이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폰(10)은 제2 모드에서 대기할 수 있다. 차량 탑승의 체크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스마트 폰이 자동으로 차량 탑승의 체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으로 차량 탑승의 체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10)은 GPS 신호 및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 여부에 근거하여 도 3의 센서부(230)의 감지신호들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주차를 하려고 주차장에 들어가는 경우에 GPS 신호는 수신되나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는 수신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의 센서부(230)의 감지신호들을 분석하면 차량 탑승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S630에서, 스마트 폰(10)은 단지 입구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단지 입구는 공동 주택 예컨대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를 가리킨다. 주차위치 운영 동작의 원활화를 위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장치가 아파트 단지의 입구에도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이 단지 입구를 통과 시에 단지 입구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S640에서, 스마트 폰은 주차장 관련 맵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주차장 관련 맵 정보의 확보는 웹서버(330)가 주차장 관련 맵 데이터를 스마트 폰(10)으로 제공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무관하게 주차장 관련 맵 정보 예컨대 주차장 지도데이터는 다운로딩을 통해 스마트 폰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동작 S650에서,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는 정보 개시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드이다.
상기 동작들 S610 내지 S650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동작들 S610 내지 S650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동작 S660에서, 스마트 폰(10)은 도 3의 센서부(230)를 이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즉, 스마트 폰 사용자가 주차를 행한 후에 보행을 시작하였는 지를 감지한다.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은 주차위치 인식의 수행에 유효한 신호로서 취급된다.
동작 S670에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를 찾는다. 스마트 폰(10)은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검출하고, 검출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10)은 스마트 폰에 가장 가까이 위치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 관련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즉, 주차장의 맵에 주차위치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차위치의 데이터는 메시지 형태나 텍스트 형태로 스마트 폰(10)내에 저장될 수 있다.
웹서버(300)가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인식된 주차위치 정보는 스마트 폰(10)에 의해 웹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인식된 주차위치 정보를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엘리베이터 호출 제어기 및/또는 세대의 월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를 행한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을 누름이 없이도 엘리베이터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 행위 자체 만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셈이 된다. 상기 월패드는 각 세대마다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월패드의 모니터 화면에는 상기 주차위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웹서버(300)가 설치된 경우에 주차 위치를 인식하는 수행 주체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동작 S670에서, 스마트 폰(10)은 복수의 비콘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웹서버(300)로 전달한다. 웹서버(300)는 수신된 비콘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센 비콘 신호를 찾는다. 웹서버(300)는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각기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웹서버(300)는 스마트 폰(10)에 가장 근접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주차위치로서 인식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인식된 주차 위치 정보를 스마트 폰(10)으로 3G, 4G, 5G, 또는 와이파이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의 설치 구역을 주차 위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차량의 주차위치를 스마트 폰(10)의 메시지 확인을 통해 알 수 있다.
한편, 웹서버(300)가 없을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과 통신하는 종합 수신 제어기(400)가 주차 위치 인식의 주체로 될 수 있다. 동작 S670에서, 주차된 차량에서 사용자와 함께 하차된 스마트 폰(10)은 도 3의 센서부(230)를 이용하여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일정 주기마다 고유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고유 신호는 상술된 바와 같은 비콘 신호의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이 상기 비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서 수신한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10)과 거리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주차장 단말기(예 101)가 스마트 폰(10)의 비콘 신호를 가장 센 전계강도로 수신할 것이다.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각기 수신한 스마트 폰(10)의 비콘 신호를 종합 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한다.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비콘 신호들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각기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전계강도(RSSI)를 삼각측량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스마트 폰(10)의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인식된 주차 위치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을 향해 역으로 전송한다.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인식된 주차 위치 정보를 스마트 폰(10)으로 인가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주차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상기 설치 구역을 텍스트의 형태로 주차 위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결국,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스마트 폰(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10)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10)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에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의 블루투스 신호를 일단 받은 다음,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폰(10)과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간에 양방향 통신이 수행되는 것이다.
동작 S680에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에서 제공되는 비콘 신호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인지를 체크한다. 주차장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이거나 수신이 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스마트 폰(10)은 주차장을 벗어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비콘 신호들이 설정된 수신 감도 이하이면 동작 S690이 실행된다.
동작 S690에서, 스마트 폰(10)은 동작 모드를 제3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드에서의 스마트 폰(10)의 배터리 소모는 제3 모드의 경우에 비해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 블루투스 4.0 이상의 통신 스펙의 경우에 저전력 통신이 기본적으로 지원되므로, 상기 모드 전환은 필요한 경우에 한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 모드의 전환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7은 도 5의 통신 모드들에 따른 모드 전환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기 이전에 스마트 폰(10)의 동작 모드는 제1 모드이다. 시점(t1)에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 스마트 폰(10)은 차량 탑승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결국, 차량 탑승의 감지 시에, 스마트 폰(10)의 동작 모드는 배터리 파워 세이빙 용을 위해 마련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된다. 차량이 아파트 단지 입구를 통과 시 시점(t2)에서 스마트 폰(10)은 단지 입구에 설치된 비콘 장치(25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폰(10)은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만약 단지 입구에 비콘 장치(25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고 하면 스마트 폰의 동작 모드는 여전히 제2 모드일 수 있다.
차량이 지하의 주차장으로 진입 시 시점(t3)에서 스마트 폰은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비콘 장치(28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10)은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시점(t4)에서 차량이 주차장의 비어 있는 주차 구역으로 이동된다. 시점(t4)이 지난 이후에 제3 모드에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이전이므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비콘 신호들은 무효이다. 주차 후에 스마트 폰(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다.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이 결정된 이후에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들은 주차위치 인식에 유효한 신호들이다.
상기 제3 모드는 주차가 완료된 후 스마트 폰(10)이 주차장을 벗어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주차장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이 수신되지 않으면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한다. 결국, 주차의 완료 후에 사용자가 주차장을 벗어나면 스마트 폰(10)의 동작 모드는 제1 모드로 복귀된다. 제1 모드에서는 스마트 폰의 파워 세이빙이 최대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6의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주차장 도면이다.
주차장에는 복수의 주차 구역들(Z101-Z104)이 마련된다. 주차 구역들(Z101-Z104)에는 주차장 단말기들(102-104)이 각기 대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차량(200)이 주차 구역(Z102)에 주차되면, 사용자는 출입 경로들(C102,C104)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통해 주차장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입 경로(C102)를 통해 주차 구역(Z102)을 벗어날 경우 주차장 단말기(102)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스마트 폰(10)에 가장 센 신호로서 수신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예 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3,104)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 보다 주차장 단말기(102)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 강도가 가장 강한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들(101-104)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의 세기는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2)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설치 위치 ID는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가 출입 경로(C104)를 통해 주차 구역(Z102)을 벗어날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104)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다른 비콘 신호들에 비해 가장 센 신호로서 스마트 폰(10)에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4)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한편, 스마트 폰(10)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라고 하면, 상기 주차장 단말기(102) 또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104)가 스마트 폰(10)의 비콘 신호를 가장 세게 수신할 것이다. 따라서, 주차장 단말기들(102-105)과 연결된 종합 수신 제어기(400)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102)의 설치 위치 ID 및 상기 주차장 단말기(104)의 설치 위치 ID 중 하나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플로우챠트이다.
하나의 차량 내에는 운전자 이외에도 한 사람 이상의 동승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동승자들이 존재할 경우에 동승자들도 스마트 폰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는 이에 관련된 주차위치 인식 제공의 제어 흐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동작 S911에서, 복수의 스마트 폰들(예 10-14)은 각기 대응되는 사용자가 차량 탑승 중인지를 체크한다.
탑승 중인 경우, 동작 S912에서, 스마트 폰들은 각기 동작 모드를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S913에서, 스마트 폰들은 단지 입구 및/또는 주차장 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상기 단지 입구 및/또는 주차장 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동작 S914에서, 스마트 폰들은 주차장 관련 맵 정보를 웹서버를 통해 다운 로딩하거나 기 저장된 주차장 관련 맵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동작 S915에서, 스마트 폰들은 주차위치 인식을 위해 제2 모드에서 제3 모드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제3 모드로의 동작 전환은 상기 단지 입구 및/또는 주차장 단말기의 비콘 신호가 수신될 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에서 스마트 폰들(예 도 1의 10-14)은 웹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동작 S916에서, 스마트 폰들 중 동승자의 스마트 폰(예 11)은 차량 하차 이후에 동승자의 활동 정보를 체크한 후(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결정 후)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의 비콘 신호들을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한다. 즉, 동승자는 차량이 주차되기 이전에 미리 하차할 수 있다.
동작 S917에서,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은 복수의 비콘 신호들을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 측량 알고리즘으로 처리함에 의해 예를 들어 "A"위치를 주차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은 웹서버(300)로 "A"위치를 주차 위치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18에서, 운전자의 스마트 폰(예10)도 주차 후에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의 비콘 신호들을 수신한다. 즉, 동승자가 하차한 이후에 운전자는 차량을 주차하고 난뒤에 비로소 하차할 수 있다.
동작 S919에서,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은 복수의 비콘 신호들을 삼각 측량 알고리즘으로 처리함에 의해 예를 들어 "B"위치를 주차 위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은 웹서버로 "B"위치 주차위치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920에서, 웹서버(300)는 최후에 전송된 "B"위치를 주차 위치로서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300)는 최종적으로 하나의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주차 "A"위치를 모두 "B"위치로 갱신한다. 웹서버(300)는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으로 갱신된 주차 위치를 전송한다. 따라서,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에는 주차 위치가 "B"위치로 갱신되어 최종적으로 표시된다.
도 10은 도 9의 동승자 관련 주차위치 인식 제공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유사하게, 주차장에는 복수의 주차 구역들(Z101-Z104)이 마련된다. 주차 구역들(Z101-Z104)에는 주차장 단말기들(102-105)이 각기 대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차량(200)이 주차장의 주차 구역(P102)에 주차되기 이전에, 동승자는 출입 경로(C105)를 통해 주차장을 벗어날 수 있다. 동승자가 출입 경로(C105)를 통해 주차장을 벗어날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105)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하게 동승자의 스마트 폰(예 11)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동승자의 스마트 폰(예 11)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2,103,104)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 보다 주차장 단말기(105)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가장 강하게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들의 세기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5)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상기 설치 위치 ID는 웹서버로(3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운전자가 차량(200)을 주차 구역(P102)에 주차한 후 하차를 할 경우, 운전자의 스마트 폰(예10)은 출입 경로(C200)를 통해 주차 위치(Z200)을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 주차장 단말기(103)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가장 강한 세기로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103)의 설치 위치 ID를 주차위치로서 결정한다. 운전자의 스마트 폰(10)에 의한 상기 설치 위치 ID도 웹서버로(300)로 제공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차량 탑승자들의 스마트 폰들로부터 수신된 설치 위치 ID들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받은 설치 위치 ID를 현재 주차된 차량에 대한 주차 구역으로 서 최종 결정한다. 웹서버(300)는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으로 최종 결정된 주차 위치를 전송한다. 따라서, 동승자의 스마트 폰(11)에는 최종적으로 갱신된 주차 위치가 표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S110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각기, 제1 비콘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100)내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주차 위치 인식의 운영을 위해 블루투스 신호 예컨대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를 설명의 편의상 제1 비콘 신호라고 칭한다. 제1 비콘 신호가 송출되는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스마트 폰의 사용자에게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범죄의 피해자가 되거나 신체에 이상이 발생되면 비상 상황이 되는 것이다. 이 때, 스마트 폰(예 10)의 사용자는 도 2의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를 통해 비상벨을 누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예 10)의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폰에 미리 설정된 비상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동작 S111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비상벨 누름 및/또는 비상 호출을 체크한다. 비상벨 누름은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비상벨을 눌렀을 때 감지된다. 비상 호출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미리 설정된 비상 버튼을 눌렀을 때에도 감지된다.
동작 S1110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동작 S1120이 실행된다. 동작 S112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중 비상벨이 눌려진 주차장 단말기(예 101)는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상황 발생이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통보되어 CCTV 집중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예 제1 비콘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예 제2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제2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 중 상기 스마트 폰(10)과 가장 근접한 주차장 단말기(101)이다. 즉, 다른 주차장 단말기들(102-105)은 여전히 제1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결국, 주차장 단말기(101)는 비상상황 발생에 응답하여 주차위치 인식 모드(일반 동작)에서 스마트 폰의 위치 추적 모드(비상 동작)로 전환한다.
스마트 폰(10)은 비상알림 위치 추적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스마트 폰(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앱)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웹서버(300)를 통해 다운로딩할 수 있다.
동작 S113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송출되는 비상신호를 설정 타임마다 수신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이 비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은 스마트 폰(10)이 비상신호를 비콘 신호 혹은 BLE 통신 신호로서 송출하기 때문이다.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비콘 신호를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로서 수신한다.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를 분석하여 수신 세기가 일정한 세기 이상인 경우에 비상 신호 송출모드로 진입한다. 비상 신호 송출모드에서 상기 비상신호가 송출된다. 한편, 비상 신호 송출모드는 상기 비상 호출의 발생 시에도 실행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 미리 설정된 비상 버튼을 눌렀을 때에 스마트 폰(10)은 상기 비상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동작 S1130의 실행에 의해, 스마트 폰(10)은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응답하여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도면에서는 간략히 비상신호로 칭해짐)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동작 S114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각기,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수신한 비상신호를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150에서,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을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스마트 폰(10)의 비상신호(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의미)를 분석하여 상기 스마트 폰(10)의 이동 경로를 판단한다. 즉,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전송된 비상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종합수신 제어기(400)의 맵 데이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맵 데이터 상에 표시된 이동 경로의 정보를 웹서버(330)로 제공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비상 해제의 상황 발생 시 비상 해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비상 해제 신호를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아파트 단지의 단지 서버와 통신 가능하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단지 서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동작 S1160에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비상 해제의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비상 해제 신호의 수신 시에 비상 해제가 이루어진다.
동작 S1170에서, 주차장 단말기(101)는 제2 비콘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제1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한편, 스마트 폰(10)은 상기 비상 해제 신호의 수신시에 상기 비상신호 송출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은 상기 비상 해제 입력 명령이 들어오면 상기 비상신호 송출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1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제어 동작은 웹서버(300)의 지원 없이도 수행될 수 있으므로, 웹서버(30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종합수신 제어기(400)와의 연동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12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 즉 스마트 폰(예 10)과 통신 가능한 웹서버(300)가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제어에 지원된다.
동작 S1200에서, 스마트 폰들(예 10,11)은 주차장 단말기(예 101)로부터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은 각기, 일반 동작에서는 제1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1 비콘 신호가 송출되는 상태에서 비상 상황이 스마트 폰의 사용자에게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될 때 스마트 폰(예 10)의 사용자는 비상벨을 누를 수 있다. 비상벨의 누름에 응답하여 주차장 단말기(예 101)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인 제1 비콘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인 비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비상 신호는 예컨대 상기 제1 비콘 신호와는 데이터 구성이 다른 제2 비콘 신호일 수 있다.
스마트 폰들(10,11)은 동작 S1200에서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S1210을 수행한다.
동작 S1210에서, 스마트 폰들(10,11)은 각기, 상기 비상신호를 웹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폰들(10,11)은 각기, 비상 송출 해당 시라고 판단 시 에 비상 위치 정보를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 단말기들(101-105)과 연결된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맵 정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종합수신 제어기(40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상기 주차장 단말기(101)의 설치 구역에 대한 CCTV 집중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결국, 비상상황 시에 CCTV를 연동한 추적이 가능해진다.
한편, 웹서버(300)는 상기 스마트 폰들(10,11)중에서 비상 모드로 전환되어야 할 스마트 폰(예 10)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웹서버(300)는 스마트 폰들(10,11)을 통해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분석하여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스마트 폰(10)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S1220에서, 스마트 폰(10)은 비상모드 수행 명령의 수신을 체크할 수 있다. 스마트 폰들(10,11)중에서 스마트 폰(10)이 비상모드 수행 명령을 수신한 이유는 상기 웹서버(300)에 의해 상기 스마트 폰(10)이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동작 S1230에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제1 비콘신호를 받아 웹서버(300)로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혹은 추가적으로,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들(101-105)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송출되는 비상신호를 받아 웹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S1240에서, 웹서버(300)는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통신하여 주차장 단말기들(101-105)로부터 받은 제1 비콘 신호들을 종합수신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300)는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맵 정보상에 표시하고 추적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스마트 폰(10)을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인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분석(예를 들어 삼각 측량 기법을 통해 분석)한다. 따라서 상기 웹서버(300)는 주차장의 맵 상에서 스마트 폰(10)의 이동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10)은 주기적으로 증거 수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증거 수집 모드에서 상기 스마트 폰(10)은 사진 촬영 및 음성 녹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S1250에서, 스마트 폰(10)은 해제 명령의 수신을 체크한다. 해제 명령의 수신 시에 스마트 폰(10)은 비상호출 모니터링의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도 13은 도 1 내의 주차장 단말기의 신호 전송의 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주차장 단말기(103)는 주차위치 인식 동작(도면에서는 편의 상 "일반 동작")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또 다른 주차장 단말기들(104,105)도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비콘 신호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주차장 단말기(103)는 비상벨이 눌려진 경우에 비상 호출 모니터링 동작을 시작한다. 주차장 단말기(103)는 비상 호출 모니터링 동작에서 스마트 폰(10)으로 비상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또 다른 주차장 단말기들(104,105)은 여전히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10)은 주차장 단말기(103)로부터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10)는 상기 비상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비상 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상기 주차장 단말기(103)는 상기 스마트 폰(10)으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주차장 단말기들(104,105)은 비콘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구간(수신 구간)에서 상기 스마트 폰(10)의 비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 단말기들(103,104,105)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비상호출 모니터링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호출 모니터링에 관련된 주차장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명의 사용자들이 주차장에 있다. 사용자들은 구별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들(PP1,PP2,PP3)로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PP1)가 비상 호출을 일으킨 경우라 하면 사용자(PP1)가 지닌 스마트 폰(10)은 도 11 혹은 도 12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은 비상호출 모니터링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들(PP1,PP2,PP3)중에서 사용자(PP3)는 주차장 단말기(103)의 모니터링 범위에서 벗어나므로 비상호출 모니터링 관련 동작으로부터 배제된다. 또한, 사용자(PP2)는 사용자(PP1)와는 주차장 단말기(103)의 모니터링 범위에 같이 속해 있으나, 주차장 단말기(103)를 기준으로 사용자(PP1)에 비해 더 멀리 위치되어 있으므로, 비상호출 모니터링 관련 동작으로부터 배제된다.
도 14에서는 주차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101-106)에 의해 모니터링을 위한 범위들(Z101-Z106)이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PP1)의 스마트 폰(10)이 이동 경로(C103)를 따라 이동하였다고 하면, 주차장 단말기들(103,104,105)이 이동 경로를 맵 데이터 상에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2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5에서, 주차장 단말기(102)의 구성은, 블루투스 모듈(110)이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로부터 떨어져 설치된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다.
블루투스 모듈(110)은 주차장의 설치 구조물 예컨대 천정, 벽면, 또는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된다. 레이스 웨이(181)는 주차장의 천정 아래에 설치된다. 레이스 웨이(181)는 주차장에 배치된 조명등들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10)은 주차장 단말기의 ID가 들어 있는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의 도달 거리 내에서 스마트 폰(예 10)은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10)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의 운영 체제가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10) 내의 블루투스 장치는 활성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마트 폰(10)의 블루투스 모듈(210)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는 주차장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비상벨 버튼 입력부(160)에 마련된 비상벨이 눌려지면 비상 신호가 무선으로 송출된다.
MCU(120)는 무선으로 송출되는 상기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상황의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MCU(120)는 통신부(140)로 비상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통신부는(140)는 도 1의 종합 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TCP/IC 통신을 통해 상기 종합 수신 제어기(400)로 비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들을 갖는 주차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주차장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210-1),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 제어부(2000), 영상 처리부(3000), 및 통신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10-1)은 도 15의 블루투스 모듈(110)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10-1)은 도 15의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과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0)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일반적인 스마트 폰 에 탑재된 카메라 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스마트 폰의 카메라 모듈보다 더 큰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은 일반적인 차번 인식용 카메라 모듈이나 CCTV 용 카메라 모듈에 비해 사이즈가 월등히 콤팩트하다.
상기 제1,2 카메라 모듈들(1100,1200)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1)은 하나의 부품 단위로 결합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181)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100)로부터 제1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어부(2000)는 상기 제2 카메라 모듈(1200)로부터 제2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어부(2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을 변환 처리하여 채널별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0)는 예를 들어, 고 해상도 보안 처리 카메라용 프로세서인 "ASC8852A"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0)는 차량번호 인식에 사용되도록하는 스틸 컷 즉 정지 영상을 상기 제1,2 이미지들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정지 영상은 복수의 채널들 중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어부(2000)와 연결된다.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 및 상기 정지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000)는 상기 제1,2 이미지들 및 상기 정지 영상을 처리하거나 압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전송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통신부(400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00)에 연결된다. 상기 통신부(400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00)의 이미지 데이터를 라인(I/O)을 통해 수신한다. 통신부(4000)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라인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전송라인은 이더넷 통신을 위한 TCP/IP 통신라인일 수 있다. 또한, 전송라인은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전송라인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복수의 채널들로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들은 제1 동영상 채널, 제2 동영상 채널, 및 정지영상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2채널의 동영상과 1채널의 정지영상이 단일의 통신라인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000)는 종합수신 제어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주차위치 서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400)는 통신 라인을 통해 주차위치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주차위치 서버는 공동주택의 홈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주차위치 서버는 주차장에 주차되는 차량들에 대한 주차 위치 인식 및 제반 주차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10-1)이 설치되는 레이스 웨이(181)에는 주차위치 인식 이나 주차 유도를 위해 센서부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주차구역마다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금속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는 설정된 주차구역에 물체가 존재하는 지의 유무에 따라 주차 감지신호나 주차 해제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주차 감지신호는 차량이 주차구역에 주차될 때 상기 센서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주차 해제신호는 차량이 주차구역을 벗어날 때 상기 센서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는 사람의 출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컨셉의 공동주택 편의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컨셉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세대현관 출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2 컨셉에서 도면들의 부호들은 제1 컨셉에 관련된 도면들의 부호들과 중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구성들을 칭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세대현관 출입 시스템은 도어록(100), 출입 제어장치(200), 도어폰(300), 세대 기기(400), 및 홈 네트워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도 1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어록(100)은 출입 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디지털 도어록일 수 있다. 도어록(100)은 비밀번호 등의 등록을 위한 등록 키(103)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세대의 내부 측에 설치된 손잡이(1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어록(100)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나 지문이나 홍채 인식을 위한 인식부(10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번호가 키패드를 통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경우에 도어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록(100)은 홍채인식이나 지문인식을 통해 도어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도어록(100)은 활성화된 후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도어록(100)는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출입 제어장치(200)로부터 도어개방 신호가 제공될 때 도어개방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 록킹의 해제에 의해 출입문은 개방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0)는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와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0)는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0)는 도 1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출입 제어장치(20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8 혹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출입 패스키 혹은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스마트 폰에는 출입 인증관련 어플리케이션(이하 앱)프로그램이 미리 다운로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폰인 경우에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받은 출입 인증관련 앱이 스마트 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의 운영 체제가 탑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인증 요청 코드와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생성하여 출입 제어장치(200)에 송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 폰을 주로 의미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는 고주파 패스키 이외에도,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폰(300)은 도 20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어폰(300)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세대 기기(400)는 라인(S1)을 통해 도어폰(300)과 연결된다. 세대 기기(400)는 라인(S2)을 통해 출입 제어장치(200)와 연결된다. 세대 기기(400)는 라인(S3)을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500)와 연결된다. 세대 기기(400)는 단위 세대의 거실 벽체에 설치되는 월패드일 수 있다. 상기 라인들(S1,S2,S3)은 유선라인 혹은 무선 채널일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500)는 공동주택의 단지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공동주택의 단지에는 복수의 동이 포함되며, 각각의 동은 복수의 단위 세대로 이루어진다.
도 17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어폰(300), 세대 기기(400), 및 홈 네트워크 서버(500)의 일반적인 기능 및 동작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69888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200)의 세부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8은 도 17 내의 출입 제어장치(2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출입 제어장치(200)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40), 및 고주파 통신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0)는 필요한 경우에 도어폰(300)의 하우징 내에 일체로 수용될 수 있다. 도어폰(300)의 하우징은 도어폰(300)을 이루는 전자 회로 블록들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의미한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200)는 도어록(100)의 하우징 내에도 일체로 수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40)는 예를 들어 447MHz의 무선 통신 신호를 도어록(1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40)는 도어록(100)으로부터 제공되는 447 MHz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통신 모듈인 경우에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통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구현되는 통신에 따라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혹은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WLAN은 일반적인 무선 랜(LAN)일 수 있다. 상기 WPAN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일 수 있다.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이 블루투스 모듈인 경우에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256 Kb 메모리 및 32-bit ARM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전용의 단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BLE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모두 행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가속도 센서나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예컨대 "HBT2X3N" 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컨트롤러(220)와 메모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고유하게 생성되는 단말기 식별번호일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고유하게 생성되는 단말기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개별 패스워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미리 설정되거나, 도어폰(300)과 연결된 월패드(400), 혹은 도어록(10)을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의 컨트롤러(220)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FPGA로 이루어진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펌웨어, 미들웨어, 혹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의 메모리부(230)는 이용자의 출입에 관련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사용등록 인증 코드는 기 등록된 인증 코드이다.
컨트롤러(220)는 라인(S2)를 통해 세대 기기(400)와 연결되고, 라인(S4)을 통해 도어폰(3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라인(S2)과 라인(S4)상에는 유선 통신부가 개재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을 통해 출입 기기 ID가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출입 기기 ID는 출입 제어장치(200)의 고유한 식별번호이다.
컨트롤러(2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상기 인증 동작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도어록(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도 6과 같은 플로우챠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HDD, 메모리 카드, 또는 SSD와 같은 비휘발성 스토리지 장치일 수 있다. 비휘발성 스토리지 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ROM, MRAM, 또는 EEPROM 일 수 있다. EEPROM은 낸드 혹은 노어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부(230)의 다양한 종류들이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메모리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에서 컨트롤러(220)와 연결된 접근 감지부(116)는 접근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접근 감지부(116)는 세대현관에 사람이 접근될 경우에 상기 접근 감지신호를 생서한다. 접근 감지부(116)로부터 발생된 접근 감지신호는 고주파 통신 모듈(250)을 활성화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신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7 내의 도어록(1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01), 메모리부(102), 입력부(104), 전원공급부(106), 통신부(108), 터치 센싱부(116), 구동부(114), 록킹 메카니즘(120), 도어개폐 감지부(124), 및 등록 입력부(112)를 포함하는 장치구성이 보여진다.
도 19의 구성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69888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9의 제어부(101)는 통신부(108)를 통해 도 18의 컨트롤러(220)와 통신한다. 제어부(101)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통신부(108)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될 때 도어록(10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1)가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두자리의 숫자 "06"로서 받은 경우라면, 이용자는 도어록(100)의 입력부(104)를 통해 0과 6을 눌러야 할 것이다.
한편, 세대의 또 다른 이용자의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06"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대의 또 다른 이용자의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1"로 주어질 수 있다.
도 19의 제어부(101)는, 도 2의 컨트롤러(220)가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하는 경우에, 통신부(108)를 통해 도어 개방 신호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7중 도어폰의 구성 예를 보인 회로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어폰(300)은 제어부(310), 마이크 및 스피커(320), 카메라 모듈(330), 호출 버튼(340), 발광다이오드부(350), 전원공급부(380), 메모리부(360), 및 통신부(370)를 포함한다.
도 20의 구성도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69888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20의 도어폰(300)은 도 18의 출입 제어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폰의 하우징은 출입 제어장치(200)를 더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20의 제어부(310)와 도 18의 컨트롤러(220)는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공동현관용 출입 제어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출입 제어장치(201)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40), 및 고주파 통신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1)는 공동현관의 출입문 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1)는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로 도어 개방 신호를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1)는 공동현관 출입기와 분리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한 경우에 공동현관 출입기의 하우징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1의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40), 및 고주파 통신모듈(250)의 동작 및 기능은 도 18을 통해 설명된 것과 같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의 컨트롤러(220)는 도 18과는 달리 공동현관 출입기와 연결될 수 있다. 공동현관 출입기는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를 포함한다. 공동현관 출입기는 외부 방문자가 세대 내부자에게 출입을 요청하는 키 입력부 및 통화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현관 출입기는 카메라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공동현관 출입기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의 출입 기기 ID를 나타내는 송신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출입 제어장치는 제2 출입 제어장치와는 다른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입 제어장치가 세대현관의 출입을 제어하는 도 18의 출입 제어장치(200)인 경우에 제1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를 "0011 000"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 "0011 000"은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기(10)의 출입 인증 동작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단위 세대의 세대현관에 적용된 제1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를 "0011 001"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출입 제어장치가 102동 공동현관의 출입을 제어하는 도 21의 출입 제어장치(201)인 경우에 제2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를 "0100 000"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103동 공동현관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2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를 "0100 001"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출입 제어장치의 출입 제어 동작은 동작 S701 내지 동작 S709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출입 제어 동작은 도 18 또는 도 21의 출입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의 출입 제어장치(200)가 도 23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경우에 세대현관 출입을 위한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도 21의 출입 제어장치(201)가 도 23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경우에 공동현관 출입을 위한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동작 S710에서, 출입 제어장치의 컨트롤러(220)는 움직임 감지 신호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움직임 감지 신호가 존재하면, 동작 S720에서, 컨트롤러(220)는 인증 요청 코드 수신 대기 타임을 카운팅하기 위한 타이머를 초기화한다. 타이머는 컨트롤러(22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동작 S703에서, 컨트롤러(220)는 출입 제어장치(200)의 기기 ID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기 ID는 근거리 통신 신호 예를 들어 BLE 통신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S704에서, 컨트롤러(220)는 인증 요청 코드가 수신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컨트롤러(220)는 상기 인증 요청 코드를 BLE 통신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송출되는 BLE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상기 기기 ID에 의해 웨이크 업되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웨이크 업된 후 내부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예컨대 BLE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인증 요청 코드가 예를 들어 BLE 통신 신호로서 수신되면, 동작 S705에서, 컨트롤러(220)는 BLE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등록된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한다. 인증 작업은 인증 요청 코드와 기 등록된 인증 코드를 비교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의 결과가 일치될 때 인증 패스로 결정된다. 즉 인증 이 성공한 것으로 판정된다.
동작 S706에서, 컨트롤러(220)는 인증 성공의 여부를 체크한다.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체크되면, 동작 S707에서, 컨트롤러(220)는 도어 개방 조건 코드를 전송한다. 컨트롤러(220)는 미리 등록되어 있던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20)는 상기 인증 요청 코드의 수신 시에 수신되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록(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100)은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수신 시에 도 25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동작 S704에서 인증 요청 코드가 수신되지 않았으며, 컨트롤러(220)는 동작 S708을 수행한다. 동작 S708에서 상기 타이머의 카운팅 값이 증가된다. 즉, 인증 요청 코드 수신 대기 타임의 카운팅 값이 증가된다.
동작 S709에서 컨트롤러(220)는 상기 카운팅 값이 설정된 타임 값 예를 들어 10초를 오버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타임 오버가 아닌 경우에는 동작 S703이 수행된다. 타임 오버인 경우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으로 돌아간다.
도 23의 동작들은 출입 제어장치(200)가 도어록(100)으로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전송할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출입 제어장치(200)가 도어록(100)에 내장되는 경우에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록(100)으로 전송될 필요가 없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24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동작은 동작 S801 내지 동작 S806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작 S801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BLE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BLE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는 동작 802에서, BLE 신호에 포함된 기기 ID가 기 등록된 기기 ID 인지를 검증한다.
동작 S803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검증 동작의 결과로서 상기 기기 ID가 사용자 단말기에 기 등록된 기기 ID 인지를 체크한다.
동작 S804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인증 요청 코드를 생성한다.
동작 S805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생성한다.
동작 S806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인증 요청 코드와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결합하여 BLE 신호를 송출한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와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서로 결합된 후 BLE 통신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25에서 도어록의 제어 동작은 동작 S901 내지 동작 S910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작 S901에서, 도어록(100)은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되는 경우에 도어록(100)은 동작 S902에서,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양태에 따른 개별적 인증을 준비한다.
동작 S903에서, 도어록(100)은 해당 인증부 혹은 키패드를 활성화하여 이용자 입력을 대기한다.
동작 S904에서, 도어록(100)은 이용자 입력이 도어 개방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체크한다.
이용자 입력이 도어 개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동작 S905에서, 도어록(100)은 도어록을 개방한다.
한편, 동작 S906 내지 동작 S910은 도어록(100)의 노말 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동작 S906에서, 도어록(100)은 도어록이 터치되었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도어록이 터치된 경우에 동작 S907에서, 도어록(100)은 허수 번호 생성 후에 해당 번호 입력 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S908에서, 도어록(100)은 허수 번호가 터치되었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허수 번호가 터치된 경우에 동작 S909에서, 도어록(100)은 입력 패드에 있는 전체 번호를 활성화한 후 공용 비밀번호 입력을 대기한다.
이용자의 공용 비밀번호 입력이 수신될 경우에 동작 S910에서, 도어록(100)은 공용 비밀번호의 인증 여부를 체크한다. 인증이 성공되면 도어록(100)은 도어를 개방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데이터의 전송 프레임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6에서 10A는 기기 ID의 전송 프레임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기기 ID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는 도 18의 컨트롤러(220)가 고주파 통신 모듈(25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10A는 D_STX, D_DEV, D_CMD, 기기 ID, 및 D_ETX로 구성될 수 있다. 10A는 BLE(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신호 포맷 중에서 데이터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D_STX는 신호 전송의 시작을 나타내고, D_ETX는 신호 전송의 끝을 나타낸다. D_DEV는 디바이스 정보를 가리키며,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_CMD는 커맨드를 나타낸다. 기기 ID는 송신하는 기기의 ID를 나타낼 수 있다.
10B는 인증 요청 코드 및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결합된 통신 신호의 전송 프레임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통신 신호는 도 18의 사용자 단말기(10)가 고주파 통신 모듈(250)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이다. 10B는 D_STX, D_DEV, D_CMD, 인증 요청 코드(편의상 인증 ID로 표시됨), 도어 개방조건 코드(편의상 조건 코드로 표시됨), 및 D_ETX로 구성될 수 있다. 10B도 BLE(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신호 포맷 중에서 데이터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 및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수 내지 수십 비트의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신호는 도 18의 컨트롤러(220)가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도어록(1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이다.
10C는 D_STX, D_DEV, D_CMD, 도어 개방조건 코드(편의상 조건 코드로 표시됨), 및 D_ETX로 구성될 수 있다. 10C는 447 MHz 신호 포맷 중에서 데이터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6의 전송 프레임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적용 실시 예에 따라 세대현관에 적용된 출입 제어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27에서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에 적용된 출입 제어장치가 도어폰에 내장된 경우이다.
먼저, 이용자가 세대현관에 접근하면, 도 18의 접근 감지부(116)는 이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 경우에 접근 감지부(116)는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일 수 있다.
이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도 18의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기기 ID가 포함된 BLE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BLE 신호에 응답하여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는 웨이크 업 된다.
사용자 단말기(10) 예컨대 스마트 폰은 어플 실행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 고주파 무선 통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는 인증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BLE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8의 다중 보안 출입제어부(220)는 고주파 통신 모듈(250)을 통해 스마트 폰이 송출한 BLE 신호를 수신한다. 다중 보안 출입제어부(220)는 상기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가 서로 일치되는 경우에 인증은 성공한 것으로 판정된다.
인증이 성공된 경우에 다중 보안 출입제어부(220)는 2차적 보안 인증을 위해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도어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 개방 신호와는 다르다. 즉, 도어 개방 신호가 도어록에 제공되면 도어록은 도어를 개방한다.
그러나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도어록에 제공되면 도어록은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만족되는 이용자의 입력 행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도어를 개방한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숫자 "19"를 눌러야 되는 것으로 설정 되었다면, 도어록은 번호입력 패드를 활성화한 후에 이용자가 숫자 "19"를 누르는 지를 체크한다. 숫자 "19"는 이용자에게 고유하게 주어진 개별 패스워드인 셈이다.
이용자가 숫자 "19"를 누른 경우에 도어록은 2차적 보안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를 비로소 개방한다.
한편, 상기 숫자 "19"의 설정은 이용자에 의해 고유하게 설정된 번호이다. 이용자는 스마트 폰 어플 상에서 제공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 등록 과정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코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세대의 또 다른 이용자가 자신이 지닌 스마트 폰을 통해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34*"으로 미리 설정하였다면 이 경우에 도어록은 상기 "34*"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도어를 개방한다. 따라서, 숫자 패드들의 사용 흔적이 전체 숫자 패드들을 대상으로 확장되므로 키패드의 사용 흔적에 의한 보안 노출은 기본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개별 패스워드 즉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몰래 카메라 등을 통해 유출되었다고 하더라도, 스마트 폰을 통한 1차적 인증 없이는 도어록은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 폰이 분실된 경우에 스마트 폰을 습득한 자가 세대현관에 접근하면, 1차적 인증은 되나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만족하는 입력을 하지 못하면 도어록은 여전히 개방되지 않는다. 결국, 다중 보안의 기능이 달성된다.
한편, 스마트 폰이 세대 내부의 도어폰 근방에 위치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1차적 인증까지는 될 수 있으나 세대 외부에서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만족하는 이용자의 행위 입력이 주어지지 않는 한, 도어록은 개방되지 않는다.
도 28은 도 27에 따른 통신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 도어폰, 및 도어록 간의 동작 절차가 나타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BLE 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록으로 전송될 때, 447MHz로 전송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록 터치, 1자리 비밀번호 입력, 2자리 비밀번호 입력, 패턴 입력, 음성 입력, 지문 입력, 또는 홍채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스마트 폰을 지닌 이용자 마다 고유하게 정해질 수 있고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쉬우면서도 보안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수준에서 설정되는 것이 권고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얻어지는 출입 제어의 보안성 및 편리성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종래의 도어록 자체 보안에 비해, 입력 편리성, 보안성, 및 보안 편리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본 발명의 공동주택 편의 장치에 관련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통신 방식이나 통신 기기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Claims (32)

  1.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상기 주차장 내에 설치된 지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혹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주차위치로서 결정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여 주차장 내의 비상 상황 발생 시에 비상 호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주차장 단말기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주차 이후에 사용자의 도보 움직임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와이파이 신호, 블루투스 신호, 혹은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 폰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설정된 타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활성화 모드에서 파워 세이빙 모드로 전환을 수행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4.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혹은 구역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한 이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여 주차장 내의 비상 상황 발생 시에 비상 호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부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주차장 단말기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한 것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BLE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폰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6.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고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적어도 2 이상 포함하며,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혹은 구역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 시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내의 주차장 단말기들 중에서 가장 큰 신호 세기로 수신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주차위치로서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결정된 주차위치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지정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은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여 주차장 내의 비상 상황 발생 시에 비상 호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주차장 단말기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도보 움직임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8.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통신하며 단지서버와 통신 가능한 종합수신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 벨 누름이나 비상 호출이 감지되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비상알림 위치 추적 운영과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혹은 구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하며, 상기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에 응답하여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감지한 후인 주차위치 및 비상발생 위치 인식 제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도보 이동 상태가 적어도 2보 이상 진행된 이후에 결정되는 주차위치 및 비상발생 위치 인식 제공장치.
  10.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각기 수신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며,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은 비상 벨 누름이나 비상 호출이 감지되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비상알림 위치 추적 운영과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혹은 구역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 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하며, 상기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에 응답하여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위치 및 비상발생 위치 인식 제공장치.
  11.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통신하며 단지서버와 통신 가능한 종합수신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 벨 누름이나 비상 호출이 감지되면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비상알림 위치 추적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혹은 구역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 후로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이 수신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된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 상에 주차위치로서 결정하며, 상기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에 응답하여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내부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감지한 때인 주차위치 및 비상발생 위치 인식 제공장치.
  12.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포함하며,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결정한 후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받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되는 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주차위치로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결정된 주차위치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표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주차위치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차량의 주차위치로서 인식하고 엘리베이터 호출 및 해당 세대 통보를 수행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주차장 단말기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13.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들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포함하며,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와 통신하는 웹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은, 주차위치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각기 결정한 후부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들을 받아 상기 웹서버로 각기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들을 각기 수신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주차위치를 개별적으로 결정 및 통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중 마지막으로 전송을 행한 사용자 단말기에 근거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에서 신호 세기가 가장 세게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송출한 주차장 단말기의 설치 구역을 최종 주차위치로서 결정하고, 이전에 개별적으로 결정하고 있던 각각의 개별 주차위치를 상기 최종 주차위치로 갱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은 상기 결정된 최종 주차위치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 차량에 대한 주차위치로서 표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최종 주차위치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주차위치로서 인식하고 엘리베이터 호출 및 해당 세대 통보를 수행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주차장 단말기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이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14.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통신하며 단지서버와 통신 가능한 종합수신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의 비상 벨 누름이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비상 호출이 감지될 때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로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비상알림 위치 추적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도보 이동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에 응답하여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며,
    상기 종합수신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주차장 단말기들을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비상 호출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는 비상호출 운영을 가지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주차장 단말기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한 것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15.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웹서버; 및
    주차위치 운영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통신하며 단지서버와 통신 가능한 종합수신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비상 벨을 누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상 호출이 발생될 때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비상알림 위치 추적 운영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상기 주차장의 맵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주차위치 인식 모드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도보 이동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비상용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차장 단말기들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장의 맵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는 비상호출 운영을 가지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주차장 단말기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한 것인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16. 주차장 내의 설정 주차 구역에 대한 구역 표식 정보를 가지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상기 주차장 내에 위치되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가지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을 판단한 후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가 각각의 주차장 단말기를 통해 다중으로 수신되면, 가장 근접 위치한 주차장 단말기를 찾아 주차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주차장 단말기는 상기 주차장에 설치되는 비상벨 버튼 입력부와, 상기 주차장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의 주차장 단말기로부터 각기 송출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출 강도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주차위치 인식의 시작 시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속도 센서를 적어도 포함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차량 하차 후 도보 이동 상태를 판단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17. 감지 범위 내에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고주파 무선 통신을 시작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를 송출한 후, 상기 출입 기기 ID에 응답하여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한 다음,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추가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상기 이용자의 행위 입력이 있는 때에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제어장치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에 설치된 도어폰이나 도어록에 내장되도록 구성된 출입 제어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출입 기기 ID를 수신 한 후에, 상기 인증 요청 코드와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포함된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스마트 폰인 출입 제어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상기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고유하게 생성되는 단말기 전화번호인 출입 제어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독립적으로 설정되거나 도어폰과 연결된 월패드를 통해 독립적으로 미리 설정되는 이용자별 패스워드 정보인 출입 제어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된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23. 도어폰에 내장되는 출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고주파 무선 통신을 시작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를 송출한 후,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추가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상기 이용자의 행위 입력이 주어질 때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될 때 활성화된 후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디지털 도어록인 출입 제어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독립적으로 설정되거나 도어폰과 연결된 월패드를 통해 독립적으로 미리 설정되는 개별 패스워드 정보인 출입 제어장치.
  26. 제23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된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27. 도어록에 내장되는 출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를 송출한 후,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후 추가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이용자 행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개방 대상이 되는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출입 기기 ID를 수신 한 후에, 상기 인증 요청 코드와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포함된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스마트 폰인 출입 제어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인증이 성공한 후에,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와 상기 이용자 행위 입력이 일치하는 지를 2차적으로 인증하고 인증이 재차로 성공한 경우에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디지털 도어록인 출입 제어장치.
  30. 도어폰에 내장되는 출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을 기준으로 감지 범위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를 송출한 후,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추가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이용자 행위 입력이 상기 도어폰의 조작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만 도어 개방 신호를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31. 도어폰에 내장되는 출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을 기준으로 감지 범위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웨이크 업되어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를 송출한 후,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후 추가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이용자 행위 입력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만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행위 입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홍채 입력부, 혹은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출입 제어장치의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되는 출입 제어장치.
KR1020190004976A 2019-01-15 2019-01-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KR10217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976A KR102177935B1 (ko) 2019-01-15 2019-01-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976A KR102177935B1 (ko) 2019-01-15 2019-01-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68A true KR20200088568A (ko) 2020-07-23
KR102177935B1 KR102177935B1 (ko) 2020-11-12

Family

ID=7189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976A KR102177935B1 (ko) 2019-01-15 2019-01-15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748A (ko) * 2020-11-20 2022-05-27 (주)수지원넷소프트 차량을 주차한 층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454A (ko) * 2017-03-22 2018-10-02 (주)참슬테크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KR20180136346A (ko) * 2017-06-14 2018-12-24 (주)참슬테크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454A (ko) * 2017-03-22 2018-10-02 (주)참슬테크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KR20180136346A (ko) * 2017-06-14 2018-12-24 (주)참슬테크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748A (ko) * 2020-11-20 2022-05-27 (주)수지원넷소프트 차량을 주차한 층을 자동으로 파악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935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0743B2 (en) Wireless reader system
CN108205836B (zh) 一种基于云锁的红外人体感应的智能家居联动方法及系统
AU2017361867B2 (en) Controlling a lock based on an activation signal and position of portable key device
ES2948892T3 (es) Control de acceso usando dispositivos electrónicos portátiles
KR101692993B1 (ko) 스마트 도어락
JP5956355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US20160307385A1 (en) Passive locking system comprising means for inside and outside detection
KR102347668B1 (ko) 전자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모바일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991477B1 (ko) 무선주파수 인식 기반의 실시간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물의 공동 편의시설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2652180B1 (ko) 도어 잠금 장치,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 잠금 장치 해제 방법
CN103943106A (zh) 一种手势语音识别的智能手环
JP2007080248A (ja) 人が出入りできる区域、特に扉によって閉ざされた空間への出入りを規制する方法
CN106104294B (zh) 本地化系统
KR20180121274A (ko) 니어 홈 유도 기능을 갖는 주차 유도 장치
CN104850220B (zh) 基于动作侦测的作业启始方法及系统
KR101969638B1 (ko)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KR102177935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KR102110638B1 (ko)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20120123635A (ko) 공동주택에 채용하기 적합한 주차 감지모듈 및 사용자 키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확인 운영 시스템
KR20190038769A (ko)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102087361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201414180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2071027B1 (ko)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JP2021096134A (ja) 位置測定システム、位置測定方法、位置測定指示方法、位置測定指示プログラム、及び車両制御装置
JP6724093B2 (ja) 起動・受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