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638B1 -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638B1
KR102110638B1 KR1020170075305A KR20170075305A KR102110638B1 KR 102110638 B1 KR102110638 B1 KR 102110638B1 KR 1020170075305 A KR1020170075305 A KR 1020170075305A KR 20170075305 A KR20170075305 A KR 20170075305A KR 102110638 B1 KR102110638 B1 KR 102110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cess control
door
input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346A (ko
Inventor
한정태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참슬테크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슬테크,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참슬테크
Priority to KR102017007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638B1/ko
Priority to PCT/KR2017/014442 priority patent/WO2018174376A1/ko
Publication of KR2018013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1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system having a variable access-code, e.g. varied as a function of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를 개시한다.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과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는,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Access control device with multi security function}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출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 주택의 세대현관이나 공동현관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 주택은 아파트, 오피스텔, 아파텔, 펜션, 빌라, 연립, 또는 타운 하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 주택에는 공동현관이나 세대현관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공동현관은 공동 주택의 출입 현관에 마련된다. 한편, 세대현관은 공동 주택의 세대 현관에 일반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세대현관의 출입문에는 도어록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공동현관의 출입문에는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가 설치될 수 있다.
통상의 디지털 방식의 도어록은 설정된 비밀번호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 개방(또는 오픈, 해정)될 수 있다. 만약, 도어록을 개방할 권원이 없는 자가 도어록의 비밀번호를 카메라 등을 통해 알아내는 경우에 도어록은 개방될 위험에 노출되어 버린다.
도어록을 개방하기 위해 세대 구성원들 모두는 동일한 비밀번호를 공통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3578"이 비밀번호로 설정된 경우에 키패드들 중에서 3번 키, 5번 키, 7번 키, 및 8번 키가 세대 구성원들 모두에게 눌려지거나 터치될 것이다. 따라서, 도어록을 개방할 권원이 없는 자는 해당 도어록의 키패드들을 확대경 등을 통해 살펴본 후 먼지 없이 지문이 많이 묻어 있는 키패드들이 3,5,7,8 번 키라는 것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권원이 없는 자는 키패드들의 순서 조합을 다양하게 시도하여 도어록의 비밀번호가 "3578"이라는 것을 마침내 알아낼 수 있다.
특정 키 패드들의 사용 빈번도에 따른 비밀번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허수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도 본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 방식은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3578"이라고 하면, "3578" 키를 누르기 전 또는 후에 다른 키 예를 들어 11122 혹은 67999를 이용자가 마구 눌러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 패드들만에 한정됨이 없이 모든 키패드가 골고루 반질반질하게 닳게 되어, 사용 흔적이 모든 키패드들을 대상으로 확장된다. 이와 같은 허수 사용방식에 의한 도어록 개방은 비밀번호에 관련된 키패드의 사용 흔적을 숨기는 기능을 가지고는 있지만, 몰래 설치된 카메라 등을 통해 비밀번호가 일단 유출되는 경우에는 보안성이 여전히 취약하다.
한편, 도어록은 통신 단말기의 접근 및 이용자 터치 동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는 이용자가 지닌 고주파 키 혹은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도어록의 개방은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가 미리 등록된 인증번호와 매칭되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기등록된 인증번호가 "3333"인 경우에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 즉 도어 개방 요청 코드도 "3333"로 송출될 때 도어록이 개방된다.
도어록은 출입 제어장치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가 수신될 때 개방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는 도어폰, 도어록, 혹은 세대 기기(예를 들어 월패드)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는 도어폰 혹은 도어록에 내장됨이 없이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도 통신 단말기에 의해 무선으로 개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의 개방도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가 미리 등록된 인증번호와 매칭되는 경우에 한해 이루어진다.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는 공동현관용 출입 제어장치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가 수신될 때 개방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는 공동현관 출입문에 설치되거나 혹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는 이용자가 공동현관이나 세대현관으로 접근할 때 수백 kHz의 제1 고주파(RF)신호로 이용자가 지닌 통신 단말기(예를 들이 출입 패스 키)를 웨이크업 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는 제1 고주파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 된 후에 수백 MHz의 제2 고주파(RF)신호로 도어 개방 요청을 위한 고유번호를 송출한다. 출입 제어장치는 고유번호를 인증하여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2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 인증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현관이나 단위 세대의 외부에 사람이 접근하거나 도어록을 터치하면, 외부에 있는 사람이 허가된 통신 단말기를 지니지 않더라도 도어 개방 신호가 생성되어 버린다. 이러한 인증 오동작은 출입 인증 동작이 공동현관의 내부나 단위 세대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단위 세대의 내부에 위치하는 신발장 근처에 통신 단말기가 놓여져 있고 외부의 방문자에 의해 도어록이 터치될 경우에 상기 내부에 있는 통신 단말기가 웨이크업 되고 제2 고주파 신호로 송출되는 고유번호가 정상적으로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도어 개방 신호가 의도하지 않게 발생되어 버린다.
한편, 수 GHz 대역의 근거리 통신 신호를 이용하는 출입 인증 방식도 본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 통신 단말기는 수 GHz 대역의 근거리 통신 신호로 도어 개방 요청을 위한 고유 번호를 송출한다. 출입 제어장치는 송출된 고유번호를 인증하여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가 2.4 GHz 대역의 블루투스 신호로 고유번호를 송출하면 출입 제어장치는 송출된 고유번호를 인증한다.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에 출입 제어장치는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한다.
근거리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인증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현관이나 단위 세대의 외부에 사람이 접근하거나 도어록을 터치하면, 외부에 있는 사람이 허가된 통신 단말기를 지니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 개방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오동작은 공동현관의 내부나 단위 세대의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에 의해 출입 인증 동작이 수행되어 버릴 때 발생된다.
예를 들어, 공동현관의 내부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사람이 통신 단말기를 지니고 있고 외부 잡상인이 공동현관의 외부에 접근할 경우에 상기 내부에 있는 통신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고유번호가 정상적으로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도어 개방 신호가 의도하지 않게 발생되어 버린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증 오동작은 고주파(RF) 신호의 투과 특성이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이다. 수백 kHz 내지 수 GHz의 고주파 신호는 단단한 고체로 이루어진 벽체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체나 유리 벽체도 비교적 잘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동현관이나 세대현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고유번호가 출입 인증에 의도하지 않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식은 통신 단말기가 개방 키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통신 단말기가 분실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만약, 통신 단말기의 분실 시 해당 통신 단말기를 습득한 타인도 공동현관이나 세대현관의 출입을 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의 분실은 통신 단말기의 분실 자체에 한정됨이 없이 출입 보안까지도 해제해 버리는 위험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출입 인증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주택의 도어폰 혹은 도어록에 내장될 수 있는 출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는 출입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는,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용자 개별적인 출입 인증이 수행되므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멀티 보안 기능이 실행된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가 공동주택의 도어폰이나 도어록과 일체로 사용되거나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가 공동주택의 공동현관에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세대현관 출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내의 출입 제어장치(2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내의 도어록(1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 내의 도어폰(3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공동현관용 출입 제어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의 출입 기기 ID를 나타내는 송신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데이터의 전송 프레임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적용 실시 예에 따라 세대현관에 적용된 출입 제어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통신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얻어지는 출입 제어의 보안성 및 편리성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또는 장치)나 출입 인증의 구체적 동작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세대현관 출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대현관 출입 시스템은 도어록(100), 출입 제어장치(200), 도어폰(300), 세대 기기(400), 및 홈 네트워크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어록(100)은 출입 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디지털 도어록일 수 있다. 도어록(100)은 비밀번호 등의 등록을 위한 등록 키(103)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세대의 내부 측에 설치된 손잡이(1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어록(100)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나 지문이나 홍채 인식을 위한 인식부(10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번호가 키패드를 통해 직접적으로 입력될 경우에 도어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록(100)은 홍채인식이나 지문인식을 통해 도어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도어록(100)은 활성화된 후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도어록(100)는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어록(100)은 출입 제어장치(200)로부터 도어개방 신호가 제공될 때 도어개방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어 록킹의 해제에 의해 출입문은 개방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0)는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단말기(10)와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0)는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출입 제어장치(20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 혹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통신 단말기(10)는 출입 패스키 혹은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스마트 폰에는 출입 인증관련 어플리케이션(이하 앱)프로그램이 미리 다운로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이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폰인 경우에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받은 출입 인증관련 앱이 스마트 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4.3 이상의 운영 체제가 탑재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는 인증 요청 코드와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생성하여 출입 제어장치(200)에 송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단말기(10)는 스마트 폰을 주로 의미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0)는 고주파 패스키 이외에도,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폰(300)은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어폰(300)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세대 기기(400)는 라인(S1)을 통해 도어폰(300)과 연결된다. 세대 기기(400)는 라인(S2)을 통해 출입 제어장치(200)와 연결된다. 세대 기기(400)는 라인(S3)을 통해 홈 네트워크 서버(500)와 연결된다. 세대 기기(400)는 단위 세대의 거실 벽체에 설치되는 월패드일 수 있다. 상기 라인들(S1,S2,S3)은 유선라인 혹은 무선 채널일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500)는 공동주택의 단지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공동주택의 단지에는 복수의 동이 포함되며, 각각의 동은 복수의 단위 세대로 이루어진다.
도 1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어폰(300), 세대 기기(400), 및 홈 네트워크 서버(500)의 일반적인 기능 및 동작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69888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200)의 세부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 내의 출입 제어장치(2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입 제어장치(200)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40), 및 고주파 통신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0)는 필요한 경우에 도어폰(300)의 하우징 내에 일체로 수용될 수 있다. 도어폰(300)의 하우징은 도어폰(300)을 이루는 전자 회로 블록들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의미한다. 또한, 출입 제어장치(200)는 도어록(100)의 하우징 내에도 일체로 수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40)는 예를 들어 447MHz의 무선 통신 신호를 도어록(1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40)는 도어록(100)으로부터 제공되는 447 MHz의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이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통신 모듈인 경우에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통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10)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할 수 있다.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구현되는 통신에 따라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혹은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WLAN은 일반적인 무선 랜(LAN)일 수 있다. 상기 WPAN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또는 밀리미터파 통신일 수 있다.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이 블루투스 모듈인 경우에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256 Kb 메모리 및 32-bit ARM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4.0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수신 전용의 단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BLE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모두 행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또한 가속도 센서나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예컨대 "HBT2X3N" 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컨트롤러(220)와 메모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통신 단말기(10)로부터 고유하게 생성되는 단말기 식별번호일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통신 단말기(10)로부터 고유하게 생성되는 단말기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개별 패스워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10)를 통해 미리 설정되거나, 도어폰(300)과 연결된 월패드(400), 혹은 도어록(10)을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의 컨트롤러(220)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FPGA로 이루어진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펌웨어, 미들웨어, 혹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의 메모리부(230)는 이용자의 출입에 관련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사용등록 인증 코드는 기 등록된 인증 코드이다.
컨트롤러(220)는 라인(S2)를 통해 세대 기기(400)와 연결되고, 라인(S4)을 통해 도어폰(3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라인(S2)과 라인(S4)상에는 유선 통신부가 개재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을 통해 출입 기기 ID가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출입 기기 ID는 출입 제어장치(200)의 고유한 식별번호이다.
컨트롤러(220)는 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상기 인증 동작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도어록(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도 6과 같은 플로우챠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30)는 HDD, 메모리 카드, 또는 SSD와 같은 비휘발성 스토리지 장치일 수 있다. 비휘발성 스토리지 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ROM, MRAM, 또는 EEPROM 일 수 있다. EEPROM은 낸드 혹은 노어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부(230)의 다양한 종류들이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메모리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컨트롤러(220)와 연결된 접근 감지부(116)는 접근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접근 감지부(116)는 세대현관에 사람이 접근될 경우에 상기 접근 감지신호를 생서한다. 접근 감지부(116)로부터 발생된 접근 감지신호는 고주파 통신 모듈(250)을 활성화하기 위한 웨이크 업 신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내의 도어록(100)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1), 메모리부(102), 입력부(104), 전원공급부(106), 통신부(108), 터치 센싱부(116), 구동부(114), 록킹 메카니즘(120), 도어개폐 감지부(124), 및 등록 입력부(112)를 포함하는 장치구성이 보여진다.
도 3의 구성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69888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의 제어부(101)는 통신부(108)를 통해 도 2의 컨트롤러(220)와 통신한다. 제어부(101)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통신부(108)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될 때 도어록(10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1)가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두자리의 숫자 "06"로서 받은 경우라면, 이용자는 도어록(100)의 입력부(104)를 통해 0과 6을 눌러야 할 것이다.
한편, 세대의 또 다른 이용자의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06"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대의 또 다른 이용자의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1"로 주어질 수 있다.
도 3의 제어부(101)는, 도 2의 컨트롤러(220)가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하는 경우에, 통신부(108)를 통해 도어 개방 신호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중 도어폰의 구성 예를 보인 회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폰(300)은 제어부(310), 마이크 및 스피커(320), 카메라 모듈(330), 호출 버튼(340), 발광다이오드부(350), 전원공급부(380), 메모리부(360), 및 통신부(370)를 포함한다.
도 4의 구성도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69888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 세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4의 도어폰(300)은 도 2의 출입 제어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폰의 하우징은 출입 제어장치(200)를 더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4의 제어부(310)와 도 2의 컨트롤러(220)는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공동현관용 출입 제어장치의 예시적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출입 제어장치(201)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40), 및 고주파 통신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1)는 공동현관의 출입문 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1)는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로 도어 개방 신호를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출입 제어장치(201)는 공동현관 출입기와 분리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한 경우에 공동현관 출입기의 하우징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 무선 통신부(240), 및 고주파 통신모듈(250)의 동작 및 기능은 도 2를 통해 설명된 것과 같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의 컨트롤러(220)는 도 2와는 달리 공동현관 출입기와 연결될 수 있다. 공동현관 출입기는 공동현관 출입 개폐기를 포함한다. 공동현관 출입기는 외부 방문자가 세대 내부자에게 출입을 요청하는 키 입력부 및 통화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현관 출입기는 카메라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210)는 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250)에 수신될 때,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근거하여 공동현관 출입기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의 출입 기기 ID를 나타내는 송신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출입 제어장치는 제2 출입 제어장치와는 다른 송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입 제어장치가 세대현관의 출입을 제어하는 도 2의 출입 제어장치(200)인 경우에 제1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를 "0011 000"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 "0011 000"은 통신 단말기(10)로 제공되어 통신 단말기(10)의 출입 인증 동작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단위 세대의 세대현관에 적용된 제1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를 "0011 001"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출입 제어장치가 102동 공동현관의 출입을 제어하는 도 5의 출입 제어장치(201)인 경우에 제2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를 "0100 000"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103동 공동현관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2 출입 제어장치는 고주파 무선 송신 데이터를 "0100 001"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제어장치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출입 제어장치의 출입 제어 동작은 동작 S701 내지 동작 S709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출입 제어 동작은 도 2 또는 도 5의 출입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출입 제어장치(200)가 도 7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경우에 세대현관 출입을 위한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도 5의 출입 제어장치(201)가 도 7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경우에 공동현관 출입을 위한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동작 S710에서, 출입 제어장치의 컨트롤러(220)는 움직임 감지 신호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움직임 감지 신호가 존재하면, 동작 S720에서, 컨트롤러(220)는 인증 요청 코드 수신 대기 타임을 카운팅하기 위한 타이머를 초기화한다. 타이머는 컨트롤러(220)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동작 S703에서, 컨트롤러(220)는 출입 제어장치(200)의 기기 ID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기 ID는 근거리 통신 신호 예를 들어 BLE 통신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S704에서, 컨트롤러(220)는 인증 요청 코드가 수신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컨트롤러(220)는 상기 인증 요청 코드를 BLE 통신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송출되는 BLE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0)는 상기 기기 ID에 의해 웨이크 업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10)는 웨이크 업된 후 내부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예컨대 BLE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인증 요청 코드가 예를 들어 BLE 통신 신호로서 수신되면, 동작 S705에서, 컨트롤러(220)는 BLE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등록된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한다. 인증 작업은 인증 요청 코드와 기 등록된 인증 코드를 비교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의 결과가 일치될 때 인증 패스로 결정된다. 즉 인증 이 성공한 것으로 판정된다.
동작 S706에서, 컨트롤러(220)는 인증 성공의 여부를 체크한다.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체크되면, 동작 S707에서, 컨트롤러(220)는 도어 개방 조건 코드를 전송한다. 컨트롤러(220)는 미리 등록되어 있던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20)는 상기 인증 요청 코드의 수신 시에 수신되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록(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록(100)은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수신 시에 도 9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동작 S704에서 인증 요청 코드가 수신되지 않았으며, 컨트롤러(220)는 동작 S708을 수행한다. 동작 S708에서 상기 타이머의 카운팅 값이 증가된다. 즉, 인증 요청 코드 수신 대기 타임의 카운팅 값이 증가된다.
동작 S709에서 컨트롤러(220)는 상기 카운팅 값이 설정된 타임 값 예를 들어 10초를 오버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타임 오버가 아닌 경우에는 동작 S703이 수행된다. 타임 오버인 경우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으로 돌아간다.
도 7의 동작들은 출입 제어장치(200)가 도어록(100)으로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전송할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출입 제어장치(200)가 도어록(100)에 내장되는 경우에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록(100)으로 전송될 필요가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8에서 통신 단말기의 제어 동작은 동작 S801 내지 동작 S806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작 S801에서, 통신 단말기(10)는 BLE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BLE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통신 단말기(10)는 동작 802에서, BLE 신호에 포함된 기기 ID가 기 등록된 기기 ID 인지를 검증한다.
동작 S803에서, 통신 단말기(10)는 검증 동작의 결과로서 상기 기기 ID가 통신 단말기에 기 등록된 기기 ID 인지를 체크한다.
동작 S804에서, 통신 단말기(10)는 인증 요청 코드를 생성한다.
동작 S805에서, 통신 단말기(10)는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생성한다.
동작 S806에서, 통신 단말기(10)는 인증 요청 코드와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결합하여 BLE 신호를 송출한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와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서로 결합된 후 BLE 통신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의 동작 플로우챠트이다.
도 9에서 도어록의 제어 동작은 동작 S901 내지 동작 S910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작 S901에서, 도어록(100)은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되는 경우에 도어록(100)은 동작 S902에서,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양태에 따른 개별적 인증을 준비한다.
동작 S903에서, 도어록(100)은 해당 인증부 혹은 키패드를 활성화하여 이용자 입력을 대기한다.
동작 S904에서, 도어록(100)은 이용자 입력이 도어 개방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체크한다.
이용자 입력이 도어 개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동작 S905에서, 도어록(100)은 도어록을 개방한다.
한편, 동작 S906 내지 동작 S910은 도어록(100)의 노말 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동작 S906에서, 도어록(100)은 도어록이 터치되었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도어록이 터치된 경우에 동작 S907에서, 도어록(100)은 허수 번호 생성 후에 해당 번호 입력 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S908에서, 도어록(100)은 허수 번호가 터치되었는 지를 체크할 수 있다.
허수 번호가 터치된 경우에 동작 S909에서, 도어록(100)은 입력 패드에 있는 전체 번호를 활성화한 후 공용 비밀번호 입력을 대기한다.
이용자의 공용 비밀번호 입력이 수신될 경우에 동작 S910에서, 도어록(100)은 공용 비밀번호의 인증 여부를 체크한다. 인증이 성공되면 도어록(100)은 도어를 개방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데이터의 전송 프레임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에서 10A는 기기 ID의 전송 프레임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기기 ID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는 도 2의 컨트롤러(220)가 고주파 통신 모듈(250)을 통해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10A는 D_STX, D_DEV, D_CMD, 기기 ID, 및 D_ETX로 구성될 수 있다. 10A는 BLE(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신호 포맷 중에서 데이터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D_STX는 신호 전송의 시작을 나타내고, D_ETX는 신호 전송의 끝을 나타낸다. D_DEV는 디바이스 정보를 가리키며, 송신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D_CMD는 커맨드를 나타낸다. 기기 ID는 송신하는 기기의 ID를 나타낼 수 있다.
10B는 인증 요청 코드 및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결합된 통신 신호의 전송 프레임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통신 신호는 도 2의 통신 단말기(10)가 고주파 통신 모듈(250)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이다. 10B는 D_STX, D_DEV, D_CMD, 인증 요청 코드(편의상 인증 ID로 표시됨), 도어 개방조건 코드(편의상 조건 코드로 표시됨), 및 D_ETX로 구성될 수 있다. 10B도 BLE(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신호 포맷 중에서 데이터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 및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수 내지 수십 비트의 데이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신호는 도 2의 컨트롤러(220)가 무선 통신 부240)를 통해 도어록(1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이다.
10C는 D_STX, D_DEV, D_CMD, 도어 개방조건 코드(편의상 조건 코드로 표시됨), 및 D_ETX로 구성될 수 있다. 10C는 447 MHz 신호 포맷 중에서 데이터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의 전송 프레임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적용 실시 예에 따라 세대현관에 적용된 출입 제어장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에 적용된 출입 제어장치가 도어폰에 내장된 경우이다.
먼저, 이용자가 세대현관에 접근하면, 도 2의 접근 감지부(116)는 이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 경우에 접근 감지부(116)는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일 수 있다.
이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도 2의 고주파 통신 모듈(250)은 기기 ID가 포함된 BLE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BLE 신호에 응답하여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10)는 웨이크 업 된다.
통신 단말기(10) 예컨대 스마트 폰은 어플 실행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 고주파 무선 통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는 인증 요청 코드를 포함하는 BLE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이 송출하는 BLE 신호에는 상기 이용자에 의해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도 2의 다중 보안 출입제어부(220)는 고주파 통신 모듈(250)을 통해 스마트 폰이 송출한 BLE 신호를 수신한다. 다중 보안 출입제어부(220)는 상기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가 서로 일치되는 경우에 인증은 성공한 것으로 판정된다.
인증이 성공된 경우에 다중 보안 출입제어부(220)는 2차적 보안 인증을 위해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도어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 개방 신호와는 다르다. 즉, 도어 개방 신호가 도어록에 제공되면 도어록은 도어를 개방한다.
그러나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도어록에 제공되면 도어록은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만족되는 이용자의 입력 행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도어를 개방한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숫자 "19"를 눌러야 되는 것으로 설정 되었다면, 도어록은 번호입력 패드를 활성화한 후에 이용자가 숫자 "19"를 누르는 지를 체크한다. 숫자 "19"는 이용자에게 고유하게 주어진 개별 패스워드인 셈이다.
이용자가 숫자 "19"를 누른 경우에 도어록은 2차적 보안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를 비로소 개방한다.
한편, 상기 숫자 "19"의 설정은 이용자에 의해 고유하게 설정된 번호이다. 이용자는 스마트 폰 어플 상에서 제공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 등록 과정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코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세대의 또 다른 이용자가 자신이 지닌 스마트 폰을 통해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34*"으로 미리 설정하였다면 이 경우에 도어록은 상기 "34*"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도어를 개방한다. 따라서, 숫자 패드들의 사용 흔적이 전체 숫자 패드들을 대상으로 확장되므로 키패드의 사용 흔적에 의한 보안 노출은 기본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개별 패스워드 즉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몰래 카메라 등을 통해 유출되었다고 하더라도, 스마트 폰을 통한 1차적 인증 없이는 도어록은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스마트 폰이 분실된 경우에 스마트 폰을 습득한 자가 세대현관에 접근하면, 1차적 인증은 되나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만족하는 입력을 하지 못하면 도어록은 여전히 개방되지 않는다. 결국, 다중 보안이 달성된다.
한편, 스마트 폰이 세대 내부의 도어폰 근방에 위치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1차적 인증까지는 될 수 있으나 세대 외부에서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만족하는 이용자의 행위 입력이 주어지지 않는 한, 도어록은 개방되지 않는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통신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 도어폰, 및 도어록 간의 동작 절차가 나타나 있다.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BLE 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록으로 전송될 때, 447MHz로 전송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도어록 터치, 1자리 비밀번호 입력, 2자리 비밀번호 입력, 패턴 입력, 음성 입력, 지문 입력, 또는 홍채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스마트 폰을 지닌 이용자 마다 고유하게 정해질 수 있고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쉬우면서도 보안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수준에서 설정되는 것이 권고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얻어지는 출입 제어의 보안성 및 편리성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종래의 도어록 자체 보안에 비해, 입력 편리성, 보안성, 및 보안 편리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본 발명의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통신 방식이나 통신 기기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도어록
200: 출입 제어장치
240: 무선 통신부
250: 고주파 통신 모듈
300: 도어폰
400: 세대 기기

Claims (3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소정 거리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가 송출되도록 한 후, 상기 출입 기기 ID에 응답하여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한 1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2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상기 이용자의 행위 입력이 있는 경우에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마다 고유하게 정해지고 변경 가능한 것인, 출입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출입 제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제어장치는 공동주택의 세대현관에 설치된 도어폰이나 도어록에 내장되도록 구성된 출입 제어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는 상기 출입 기기 ID를 수신 한 후에, 상기 인증 요청 코드와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포함된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스마트 폰인 출입 제어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 코드는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유하게 생성되는 단말기 전화번호인 출입 제어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독립적으로 설정되거나 도어폰과 연결된 월패드를 통해 독립적으로 미리 설정되는 개별 패스워드 정보인 출입 제어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된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디지털 도어록을 통해 독립적으로 미리 설정되는 개별 패스워드 정보인 출입 제어장치.
  18. 도어폰에 내장되는 출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가 송출되도록 한 후,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한 1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2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상기 이용자의 행위 입력이 주어질 때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를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마다 고유하게 정해지고 변경 가능한 것인, 출입 제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수신될 때 활성화된 후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맞는 이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디지털 도어록인 출입 제어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독립적으로 설정되거나 도어폰과 연결된 월패드를 통해 독립적으로 미리 설정되는 개별 패스워드 정보인 출입 제어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된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22. 삭제
  23. 도어록에 내장되는 출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가 송출되도록 한 후,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한 1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후 2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이용자 행위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개방 대상이 되는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마다 고유하게 정해지고 변경 가능한 것인, 출입 제어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는 상기 출입 기기 ID를 수신 한 후에, 상기 인증 요청 코드와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가 포함된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를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스마트 폰인 출입 제어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인증이 성공한 후에,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와 상기 이용자 행위 입력이 일치하는 지를 2차적으로 인증하고 인증이 재차로 성공한 경우에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디지털 도어록인 출입 제어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된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문자입력, 패턴입력, 지문입력, 홍채입력, 및 음성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27. 도어폰에 내장되는 출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가 송출되도록 한 후,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한 1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2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이용자 행위 입력이 상기 도어폰의 조작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 도어 개방 신호를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마다 고유하게 정해지고 변경 가능한 것인, 출입 제어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도어 개방 신호가 수신될 때 도어록킹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디지털 도어록인 출입 제어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의 설정은 인체 감지입력, 인체 터치입력, 설정된 자리수의 비밀번호 입력, 및 음성 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정을 포함하는 출입 제어장치.
  30. 도어폰에 내장되는 출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폰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 접근된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인체를 감지하였을 때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와 고주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고주파 통신 모듈; 및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을 통해 출입 기기 ID가 송출되도록 한 후,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가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될 때, 상기 이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한 1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고주파 무선 통신 신호에 포함된 인증 요청 코드가 기등록된 사용등록 인증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한 후 2차적 인증을 위해 상기 이용자에 따라 고유하게 설정된 도어 개방조건 코드에 일치되는 이용자 행위 입력이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 도어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다중 보안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조건 코드는 상기 이용자마다 고유하게 정해지고 변경 가능한 것인, 출입 제어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행위 입력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홍채 입력부, 혹은 지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상기 출입 제어장치의 상기 고주파 통신 모듈에 수신되는 출입 제어장치.
KR1020170075305A 2017-03-22 2017-06-14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102110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305A KR102110638B1 (ko) 2017-06-14 2017-06-14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PCT/KR2017/014442 WO2018174376A1 (ko) 2017-03-22 2017-12-11 차량용 비치 장치를 제거한 주차위치 인식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305A KR102110638B1 (ko) 2017-06-14 2017-06-14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390A Division KR20190038769A (ko) 2019-03-25 2019-03-25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46A KR20180136346A (ko) 2018-12-24
KR102110638B1 true KR102110638B1 (ko) 2020-05-13

Family

ID=6501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305A KR102110638B1 (ko) 2017-03-22 2017-06-14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935B1 (ko) * 2019-01-15 2020-11-12 현대건설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KR102183174B1 (ko) * 2020-04-29 2020-11-25 변철원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316893B1 (ko) 2021-01-07 2021-10-26 에이치티액세스 주식회사 블루투스 모듈 이중화를 이용한 출입문 자동열림 오동작 방지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08B1 (ko) * 2015-03-04 2017-03-15 주식회사 아마다스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1767496B1 (ko) * 2015-08-11 2017-08-11 (주)혜강씨큐리티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46A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5252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device and access control method
US9800570B1 (en) Method of persistent authentication with disablement upon removal of a wearable device
US20190026731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176655B2 (en) Controlling lockable devices using electronic key
TWI629611B (zh) 密碼修改方法及鎖系統、鎖具配對方法及系統
KR102110638B1 (ko)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EP3129569B1 (en) Temporarily pairing a mobile device with a peripheral device
WO2013123058A1 (e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KR20090079515A (ko) 휴대용 무선 지문인식 시스템 및 방법
CN113924569A (zh) 认证输入设备
US20200098207A1 (en) Smart locking system with biometrics authentication
US9639684B2 (en) Remote control method with identity verification mechanism and wearab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90038769A (ko)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101546610B1 (ko)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02130B2 (en) Smart locking system with biometrics authentication
TW202036383A (zh) 權限控管系統
KR101382877B1 (ko) Nfc 기능이 담긴 기기를 이용한 암호 노출 방지 전자 도어락 시스템 및 작동 방법
KR20200022590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장애인 운전차량의 스마트 액세스 시스템
JP2018071227A (ja) 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装置、及び電気錠用プログラム
JP2016188477A (ja) 入室管理装置
KR20200088568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공동주택 편의장치
KR102291715B1 (ko) 웨어러블 단말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KR2023011780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5206005A (zh) 一种信息发送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TWM444413U (zh) 以智慧型裝置一對多開啟電門鎖之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9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325

Effective date: 2020033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