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801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801A
KR20230117801A KR1020220013974A KR20220013974A KR20230117801A KR 20230117801 A KR20230117801 A KR 20230117801A KR 1020220013974 A KR1020220013974 A KR 1020220013974A KR 20220013974 A KR20220013974 A KR 20220013974A KR 20230117801 A KR20230117801 A KR 2023011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er
transaction
vehicle
digital ke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7801A/ko
Priority to US18/060,081 priority patent/US20230242072A1/en
Priority to JP2022195570A priority patent/JP2023113565A/ja
Publication of KR2023011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디지털키의 인증을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은, 디지털키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리더기;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상기 디지털키와의 트랜잭션(transaction)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presence)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는 상기 디지털키가 검출되더라도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키의 인증을 보다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은,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통신 기술 중 하나이다.
NFC 통신은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결제뿐 만 아니라 정보 전송 및 출입 통제의 용도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NFC 통신의 편리함으로 인해, NFC 통신은 차량 출입을 위한 인증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디지털키를 차량에 마련된 NFC 리더기에 지속적으로 태깅하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차량의 기능이 실행되거나 의도하고자 하는 차량의 기능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는 디지털키와 차량의 트랜잭션이 종료된 이후, 트랜잭션의 결과에 따라 트랜잭션을 반복하거나 중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디지털키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리더기;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상기 디지털키와의 트랜잭션(transaction)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presence)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는 상기 디지털키가 검출되더라도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폴링 신호(polling signal)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폴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대기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대기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어기로부터 시작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실패 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3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누적된 실패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도어의 핸들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를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시스템에게 시동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디지털키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리더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기가, 상기 리더기를 통해 상기 디지털키와의 트랜잭션에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가,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는 상기 디지털키가 검출되더라도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폴링 신호(polling signal)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폴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리더기가,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대기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리더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대기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어기로부터 시작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3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리더기가, 상기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실패 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3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누적된 실패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도어의 핸들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의 제어기가, 상기 리더기와 상기 디지털키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를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의 제어기가, 상기 리더기와 상기 디지털키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시스템에게 시동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트랜잭션이 실패하더라도 디지털키의 언태깅 동작 없이 트랜잭션을 재시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트랜잭션을 성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키를 지속적으로 태깅하는 경우, 트랜잭션이 연속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필요한 트랜잭션을 수행한 이후 리더기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시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디지털키, 리더기 및 제어기 간의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더기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리더기가 폴링 신호를 전송하는 모습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개시된 실시예들은 개시된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개시된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은 디지털키(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리더기(100)와, 리더기(100)를 통해 디지털키(200)와 간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기(150)와,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되는 출입 시동 시스템(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키(2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키(200)는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키(2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카드 형태의 카드 키를 포함할 뿐 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키(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예: 스마트 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전자 장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키(200)는 자체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자체 전원 공급 장치 없이 리더기(100)로부터 유도된 전력을 사용하여 차량(1)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키(200)가 카드키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카드 형태의 디지털키(200)는 자체 전원 공급 장치 없이 리더기(100)로부터 유도된 전력을 사용하여 차량(1)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지털키(2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지털키(200)는 자체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와 근거리 통신(예: NFC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키(2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리더기(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예: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예: NF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안테나와, 통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또는 통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신호를 가공하는 정합부와, 근거리 통신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MCU와 근거리 통신의 종류에 대응되는 집적 회로(예: NFC READ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도어의 핸들에 마련되는 제1 리더기 및/또는 차량(1)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1)은 차량(1)의 트렁크에 마련되는 제3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제2 리더기는 디지털키(200)(예: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1) 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예: AVN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키(200)에게 각종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제2 리더기에 디지털키(200)를 배치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지털키(200)에 대한 각종 권한(예: 출입 권한, 시동 권한 등)을 부여할 수 있다.
디지털키(200)는 NFC 통신을 통해 제2 리더기로부터 차량(1)의 등록 정보 및/또는 권한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키(20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ISO 14443에 정의된 NFC 통신 시작(NFC Initialize) 과정과 ISO 7816에 정의된 데이터 트랜잭션(Data Transaction) 과정을 통해 디지털키(20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기(15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차량 통신 네트워크(예: CAN 통신)를 통해 제어기(1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100)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예: CAN 통신)를 통해 제어기(15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 트랜잭션을 통해 디지털키(200)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 통신 네트워크는 이더넷(Ethernet), 모스트(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플렉스레이(Flexray),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리더기(10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키(200)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를 인증할 수 있으며, 디지털키(200)의 인증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과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기(150)가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에 성공하였다는 것은 디지털키(200)의 인증이 성공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어기(150)가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에 실패하였다는 것은 디지털키(200)의 인증이 실패하였거나 디지털키(200)로부터 추가적인 인증 정보가 요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키(200)로부터 추가적인 인증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 디지털키(200)는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키(2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에게 차량(1) 등록 정보 외에 스마트폰을 통한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통한 인증 정보로는, PIN 정보 및/또는 생체 인증 정보(예: 얼굴 인증, 지문 인증, 홍채 인증 등)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키(200)를 리더기(100)에 태그(tag)함으로써 디지털키(200)를 인증하고, 인증 성공과 관련된 차량(1)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1)의 도어를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하기 위해 디지털키(200)를 도어 핸들에 태그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도어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도어의 핸들에 태그된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출입 시동 시스템(16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도어가 잠금 해제상태에 있는 경우, 도어의 핸들에 태그된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에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도어를 잠그도록 출입 시동 시스템(160)을 제어할 수 있다.
출입 시동 시스템(160)은 도어 잠금 장치 및/또는 시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는 제어기(15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도어를 락하거나 언락할 수 있다. 시동 시스템은 제어기(150)로부터 시동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시동 시스템이 시동 권한을 부여 받은 경우, 사용자가 시동을 온시키기 위한 시동 버튼을 가압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의 시동이 온될 수 있다.
반대로, 시동 시스템이 시동 권한을 부여 받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시동 버튼을 가압하더라도 차량(1)의 시동이 켜지지 않을 수 있다.
제어기(150)는 차량(1)의 출입 시동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50)가 복수의 메모리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메모리와 복수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칩에 집적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각 메모리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메모리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로세서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메모리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차량(1)의 시동이 꺼져있는 경우,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제2 리더기에 태그된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에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도어를 잠그도록 출입 시동 시스템(16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트렁크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트렁크에 마련된 제3 리더기에 태그된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트렁크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출입 시동 시스템(16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1)의 각종 구성요소를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기술 범위 내에서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거나 설명된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디지털키, 리더기 및 제어기 간의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더기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기 전까지 리더기(100)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도 3의 S1, 도 4의 1000).
일실시예에서, 저전력 모드는 디지털키와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대기하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는 슬립 모드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저전력 모드에서 리더기(100)는 적은 전력을 소모하면서도 디지털키(200)의 근접 및/또는 인체의 근접까지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의 근접 및/또는 인체의 근접에 따른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더기(100)는 저전력 모드에서 통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안테나 신호의 진폭 또는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리더기(100)는 저전력 정전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근거리 통신(예: NFC 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차량(1)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제어기(150)로부터 시작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도 4의 1000의 예) 트랜잭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도 4의 1200).
일 예로, 리더기(100)는 저전력 모드에서 통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안테나 신호의 진폭 또는 위상을 측정하여, 전자기장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저전력 모드에서 트랜잭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기(150)는 차량(1)의 근접센서(예: 초음파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었거나, 차량(1)의 무선 통신 모듈(예: 블루투스 통신 모듈, UWB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감지되었거나, 차량(1)의 접촉센서(예: 터치센서)를 통해 차량(1) 핸들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된 것에 기초하여 리더기(100)를 트랜잭션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시작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트랜잭션 모드는, 리더기(100)가 디지털키(200)와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모드로서, 리더기(100)가 NFC 통신을 통해 디지털키(2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일 예로, 트랜잭션 모드는 정상 폴링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트랜잭션 모드에서, 리더기(100)는 ISO 14443에 정의된 NFC 통신 시작(NFC Initialize) 과정과 ISO 7816에 정의된 데이터 트랜잭션(Data Transaction) 과정을 통해 디지털키(20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 모드에서,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기(150)로 전달하고, 제어기(15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지털키(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리더기(100)는 트랜잭션 모드에서 폴링 신호(polling signal)(S2)를 송출할 수 있고, 폴링 신호를 전송 받은 디지털키(200)는 폴링 신호(S2)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S3)를 송출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응답 신호(S3)를 수신 받은 것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의 존재(presence)를 확인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응답 신호(S3)를 수신 받은 것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와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S4).
리더기(100)와 디지털키(200)가 교환하는 데이터는 ISO 14443에 정의된 NFC 통신 시작(NFC Initialize) 과정에 대응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키(200)는 리더기(100)에게 유아이디(UI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의 유아이디에 대한 선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키(200)는 리더기(100)의 선택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SAK; Select Acknowledgement)를 전송할 수 있으며,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에게 APDU-C(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Command)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키(200)는 APDU-C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APDU-R(APDU Respons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의 종류(예: 카드 또는 스마트폰)를 식별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NFC 통신 시작(NFC Initialize) 과정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교환을 완료한 것에 기초하여, 제어기(150)를 웨이크업시키는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
제어기(150)는 리더기(10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될 수 있으며, 리더기(100)는 웨이크업된 제어기(150)에게 디지털키(200)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NFC 통신 시작(NFC Initialize) 과정 이후에, 제어기(150)는 리더기(100)를 통해 디지털키(200)와 트랜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50)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리더기(100)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리더기(100)는 제어기(15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NFC 통신을 통해 디지털키(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키(200)는 NFC 통신을 통해 리더기(100)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기(1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150)와 디지털키(200)는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S6).
트랜잭션 과정에서,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에게 APDU-C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디지털키(200)는 제어기(150)에게 APDU-R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를 인증할 수 있다. 디지털키(2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는 차량(1)에 대응되는 암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차량(1)에 대응되는 암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차량(1)에 대응되는 암호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S7의 예)에 기초하여 리더기(100)에게 트랜잭션 성공 메시지(S8)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S7의 예)에 기초하여 리더기(100)를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S8)을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S7의 예)에 기초하여 차량(1)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기(150)는 제1 리더기를 통해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의 시동 시스템에게 시동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기(150)는 제2 리더기를 통해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도어를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기(150)는 제3 리더기를 통해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트렁크를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S7의 아니오)에 기초하여 리더기(100)에게 트랜잭션 실패 메시지(S9)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들(S4 내지 S6)에 있어서, 디지털키(200)와 리더기(1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디지털키(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S7의 아니오)에 기초하여 리더기(100)를 저전력 모드 또는 트랜잭션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S9)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리더기(100)는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1300의 예)에 기초하여 디지털키(200)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1400).
일 예로, 리더기(100)는 제어기(150)로부터 트랜잭션 성공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리더기(100)를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디지털키 검출 모드란, 근접한 디지털키(200)의 존재만을 검출하면서 트랜잭션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ISO 14443에 정의된 NFC 통신 시작 과정과 ISO 7816에 정의된 데이터 트랜잭션 과정)을 실행하지 않는 모드를 의미한다.
즉, 리더기(100)는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는 디지털키(200)가 검출되더라도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리더기가 폴링 신호를 전송하는 모습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더기(100)는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디지털키(200)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폴링 신호(P)를 미리 설정된 주기(pd1)마다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키(200)가 리더기(100)에 태그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폴링 신호(P)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r)를 수신할 수 있다.
리더기(100)가 디지털키(200)로부터 폴링 신호(P)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r)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디지털키(200)가 리더기(100)에 태그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더라도(S3) 데이터 교환 과정(S4)으로 넘어가지 않을 수 있다.
즉,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리더기(100)는 제어기(150)를 웨이크업 시키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리더기(100)는 제어기(150)에게 디지털키(200)가 검출되었다는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더기(100)는 폴링 신호(P)를 주기적으로 송출하고,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r)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리더기(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d1) 동안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한 것(1500의 예)에 기초하여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리더기(100)는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d1)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의 동작을 중지하고,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시간(d1)은 약 5초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트랜잭션이 성공한 이후 지속적으로 디지털키(200)가 리더기(100)에 태그되어 있더라도, 불필요한 트랜잭션을 다시 시작하지 않아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리더기(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pd1)에 따라 폴링 신호(P)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다가, 폴링 신호(P)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r)를 수신하지 못하면, 폴링 신호(P)를 미리 설정된 주기(pd1)보다 더 짧은 주기(pd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기(100)는 폴링 신호(P)를 미리 설정된 주기(pd1)보다 더 짧은 주기(pd2)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전송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리더기(100)는 폴링 신호(P)를 미리 설정된 주기(pd1)보다 더 짧은 주기(pd2)로 전송하는 중에 폴링 신호(P)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r)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pd1)마다 폴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리더기(100)는 폴링 신호(P)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r)를 수신하지 못하다가, 폴링 신호(P)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r)를 수신하게 되면 다시 정상적인 주기(pd1)로 폴링 신호(P)를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리더기(100)는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d1)에 도달한 것에 기초하여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의 동작을 중지하고,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도 7과 같이, 리더기(100)는 폴링 신호(P)를 미리 설정된 주기(pd1)보다 더 짧은 주기(pd2)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전송하는 중에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1500의 예)에 기초하여,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의 동작을 중지하고,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더기(100)는 미리 설정된 시간(d1)보다 짧은 시간(d2) 동안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디지털키(200)가 리더기(100)에서 언태깅된 것이 확실한 경우에는, 리더기(100)가 즉각적으로 디지털키 검출 모드를 중단하고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디지털키(200)가 언태깅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pd1)보다 더 짧은 주기(pd2)로 폴링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디지털키(200)가 리더기(100)에서 확실하게 언태깅되었는지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다.
요약하면, 도 5와 같이 리더기(100)에 디지털키(200)가 지속적으로 태그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d1)이 경과하면 리더기(100)는 자동으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리더기(100)에 디지털키(200)가 지속적으로 태그되어 있다고 순간적으로 언태그된 후 다시 태그되는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d1)이 경과하면 리더기(100)는 자동으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리더기(100)에 디지털키(200)가 지속적으로 태그되어 있다가 언태그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d1)이 경과하기 이전이라도 리더기(100)는 자동으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지털키 검출 모드에 의하면, 트랜잭션이 성공한 후 디지털키(200)가 지속적으로 태그되어 있어도 미리 설정된 시간(d1) 동안 트랜잭션이 시작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트랜잭션 성공에 따른 추가 기능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1)의 도어를 언락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디지털키(200)를 리더기(100)에 태그시킴으로써 차량(1)의 도어가 다시 락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서, 리더기(100)는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1300의 아니오)에 기초하여 실패 횟수를 누적하고, 누적된 실패 횟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다(1600).
리더기(100)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누적된 실패 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패 횟수는 저전력 모드의 리더기(100)가 디지털키(200)와 통신을 시작한 시점부터 카운트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값(n)은 2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더기(100)는 트랜잭션이 실패한 경우 누적된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하면(1600의 예),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1400).
즉, 트랜잭션이 미리 설정된 값(n)에 대응되는 횟수만큼 실패한 경우에, 리더기(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트랜잭션을 시도하기 위해 디지털키(200)를 언태그한 후 태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반면에, 리더기(100)는 트랜잭션이 실패한 경우 누적된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1600의 아니오), 트랜잭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1200).
즉,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n-1)번 실패하였더라도, 다시 한번 트랜잭션 모드로 전환하여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값이 2로 설정된 경우, 리더기(100)는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1번 실패한 경우, 다시 한번 트랜잭션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ISO 14443에 정의된 NFC 통신 시작 과정과 ISO 7816에 정의된 데이터 트랜잭션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지털키(200)를 리더기(100)로부터 언태깅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태그함으로써 (n-1)번 동안 트랜잭션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키(2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기(150)는 디지털키(200)에게 추가적인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키(200)는 스마트폰에게 추가적인 생체 인증 정보(예: 지문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키(200)를 리더기(100)에서 언태깅하지 않고 지문을 입력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경우, 리더기(100)가 트랜잭션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 번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후에도 사용자가 디지털키(200)를 리더기(100)에 지속적으로 태깅하는 경우, 다시 한번 트랜잭션 과정이 재개되어 불필요한 트랜잭션 과정이 진행된다.
반대의 예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키(200)와의 트랜잭션이 실패한 경우, 리더기(100)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 번의 트랜잭션이 실패한 후에 사용자가 재차 인증을 위해 디지털키(200)를 리더기(100)에 지속적으로 태깅하는 경우, 트랜잭션 과정이 재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재차 인증을 위해 디지털키(200)를 언태깅 한 후에 다시 한번 태깅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트랜잭션이 성공하거나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만큼 트랜잭션이 실패한 경우 리더기(100)를 디지털키 검출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트랜잭션이 미리 설정된 횟수보다 적은 횟수만큼 실패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트랜잭션의 기회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필요한 NFC 통신이 종료된 이후에는 리더기(100)가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어,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00: 리더기
150: 제어기 160 : 출입 시동시스템
200: 디지털키

Claims (20)

  1. 디지털키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리더기;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상기 디지털키와의 트랜잭션(transaction)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presence)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는 상기 디지털키가 검출되더라도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폴링 신호(polling signal)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폴링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대기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대기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어기로부터 시작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3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실패 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3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누적된 실패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도어의 핸들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를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하는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리더기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시스템에게 시동 권한을 부여하는 차량.
  11. 디지털키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리더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기가, 상기 리더기를 통해 상기 디지털키와의 트랜잭션에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리더기가,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는 상기 디지털키가 검출되더라도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폴링 신호(polling signal)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폴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가, 상기 폴링 신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폴링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대기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대기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상기 제어기로부터 시작 명령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3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가, 상기 트랜잭션이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실패 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시작하기 위한 제3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누적된 실패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과 동일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도어의 핸들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의 제어기가, 상기 리더기와 상기 디지털키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를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의 제어기가, 상기 리더기와 상기 디지털키의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잭션이 성공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시스템에게 시동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220013974A 2022-02-03 2022-02-03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30117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74A KR20230117801A (ko) 2022-02-03 2022-02-03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8/060,081 US20230242072A1 (en) 2022-02-03 2022-11-30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2195570A JP2023113565A (ja) 2022-02-03 2022-12-07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74A KR20230117801A (ko) 2022-02-03 2022-02-03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801A true KR20230117801A (ko) 2023-08-10

Family

ID=8743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974A KR20230117801A (ko) 2022-02-03 2022-02-03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42072A1 (ko)
JP (1) JP2023113565A (ko)
KR (1) KR2023011780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13565A (ja) 2023-08-16
US20230242072A1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3381A1 (en) Batteryless contact fingerprint-enabled smartcard that enables contactless capability
US10922598B2 (en) Fingerprint authorisable device
US8692655B2 (en) Dynamically programmable RFID transponder
US20200082656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nfc-based unlocking method and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US9997000B2 (en) Door unlocking system and door unlocking method
EP2485407B1 (en) Coordinating Multiple Contactless Data Carriers
CN108729762A (zh) 电子锁的控制系统、控制方法及智能门锁
US20130113606A1 (en) Passive Wireless Article with Passcode Touch Sensor Array
JP2019508816A (ja) 攻撃耐性生体認証デバイス
US9111084B2 (en) Authentication platfor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US103191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less access control system
JP2009031877A (ja) 非接触icカード、携帯端末装置、起動制御方法、および起動制御プログラム
US20190156098A1 (en) Fingerprint authorisable device
US20070236329A1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US20190251236A1 (en) Biometric device
KR101546610B1 (ko)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0638B1 (ko)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JPH0916737A (ja) 情報記憶カード
KR2023011780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3392047A (zh) 进出室管理装置
KR100537388B1 (ko) 도어락의 멀티카드 인증 방법
JP2023178671A (ja) 認証装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