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174B1 - 스마트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174B1
KR102183174B1 KR1020200052365A KR20200052365A KR102183174B1 KR 102183174 B1 KR102183174 B1 KR 102183174B1 KR 1020200052365 A KR1020200052365 A KR 1020200052365A KR 20200052365 A KR20200052365 A KR 20200052365A KR 102183174 B1 KR102183174 B1 KR 10218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ser
unit
communication termina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철원
Original Assignee
변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철원 filed Critical 변철원
Priority to KR102020005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174B1/ko
Priority to KR1020200154354A priority patent/KR102343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4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a proximity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연동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에 있어서, 여닫이형 도어(11), 도어(1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12), 및 도어(11)와 상기 프레임(12)을 결합시키는 힌지부(13)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10), 도어(11)에 장착되고, 도어(11)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부(20),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30), 및 통신부(30)가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부(2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 시스템{SMART DOOR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IoT 기반의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주택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시설물의 도어에는 출입을 통제하기 수단으로서 디지털 도어락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 또는 패턴을 입력하거나 전자키를 사용하여 잠금 수단을 해제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종래 디지털 도어락에 대해서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임시 사용자에게도 비밀번호나 패턴을 알려줘야 하고, 도어락에 남아 있는 지문이나 패턴 흔적을 통해 비밀번호나 패턴 등이 쉽게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전자키는 분실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습득한 제3자에 의해 범죄에 이용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해 실내에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었지만, 물리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지 않아, 여전히 보안에 취약한 문제를 안고 있다.
나아가, 비밀번호나 패턴 입력에 의해서만 도어가 개방되므로, 짐을 들고 출입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의 행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는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결국, 종래 디지털 도어락은 보안성 및 편의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
이에 종래 디지털 도어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KR 10-2018-0110440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되어, 통신단말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도어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이 제어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방문자를 통신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강제 개방이나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관련 기관에 즉각 알릴 수 있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여닫이형 도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 및 상기 도어와 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도어락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하면, 상기 도어락부로 하여금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부는, 실외를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공 내에 내장되었다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내장형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하면, 상기 내장형 손잡이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으로 실외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에 장착되는 방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방법 카메라가 촬영한 방범 영상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도어벨이 작동될 때에, 상기 방범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비정상적으로 개방하려는 강제 개방 시도를 감지하는 침입 감지부; 및 상기 강제 개방 시도가 감지될 때에, 기녹음된 상기 도어 조립체가 설치된 주거지 정보, 및 침입 위험 정보를, 기설정된 보안기관에 연락하여 음성 안내하는 침입 연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된 외시경을 통해 실외를 촬영하는 외시경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시경은, 다수 개로, 상하 및 좌우 배열되고, 상기 외시경 카메라의 렌즈가 각각의 상기 외시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외시경 카메라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온도 및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 및 상기 화재가 감지될 때에, 기녹음된 상기 도어 조립체가 설치된 주거지 정보, 및 화재 정보를, 기설정된 소방기관에 연락하여 음성 안내하는 화재 연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을 인증하는 기기 등록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기기 등록 코드가 수신된 때에,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인증하는 도어 등록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전송된 상기 도어 등록 코드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때에, 수신된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하는 코드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 인증부가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식할 때에,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ID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저장되고, 상기 코드 인증부가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할 때에, 상기 사용자의 ID 재전송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ID 재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ID 재전송 요청부; 및 재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ID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때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ID를 인증하는 ID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ID 재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ID 전송 명령 코드를 요청하고, 상기 ID 전송 명령 코드가 입력된 때에,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ID를 상기 통신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ID와 상이한 비상용 ID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 저장되고, 상기 비상용 ID로 접속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 간의 연동을 차단하는 연동 차단 명령을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연동 차단 명령이 수신된 때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 간의 연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의해 도어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이 제어되므로, 비밀번호나 패턴의 유출, 또는 전자키의 분실에 의해 야기되는 보안성의 허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도어 시스템이 별도의 사용자 인증 단계 없이 사용자의 통신단말을 감지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행동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나아가, 실외의 상황을 통신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적절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도어의 강제 개방 또는 화재를 자동 감지하여 자동으로 관련 기관에 연락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대비책이 마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연동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에 있어서, 여닫이형 도어(11), 도어(1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12), 및 도어(11)와 상기 프레임(12)을 결합시키는 힌지부(13)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10), 도어(11)에 장착되고, 도어(11)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부(20),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30), 및 통신부(30)가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부(2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되어 도어의 잠금과 열림이 제어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밀번호 또는 패턴을 입력하거나 전자키를 갖다 대는 방식으로 잠금 수단이 해제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에는 비밀번호나 패턴의 유출, 전자키의 분실, 비정상적인 강제 개방 등으로 인한 보안에 취약성을 가지고, 짐을 들고 출입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의 행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는 도어락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이 안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도어 조립체(10), 도어락부(20), 통신부(30), 및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
도어 조립체(10)는, 가정용 주택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시설물의 실내와 실외를 구분짓는 경계에 설치되는 구조체로서, 도어(11), 프레임(12), 및 힌지부(13)를 포함한다.
도어(11)는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문의 형태로, 프레임(12)에 고정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프레임(1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고 닫힐 수 있다.
프레임(12)은 시설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문틀이다. 이러한 프레임(12)은 도어(1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일례로 사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12)의 형태가 반드시 사각 링 형태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ㄷ"자형, "ㄱ"자형, "ㅣ"자형 등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힌지부(13)는 도어(11)가 프레임(12)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게 하는 연결부재이다. 일례로, 도어(11)와 프레임(12)에 각각 서로 마주보는 돌출부재가 결합되고, 그 돌출부재가 힌지축에 연결되어, 도어(11)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부(13)가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힌지부(13)가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어(11)와 프레임(12)을 연결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11)가 회동할 수 있게 구현되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힌지부(13)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어, 도어(11)의 상단부, 하단부, 그리고 그 사이의 중간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락부(20)는, 도어(11)에 장착되어 도어(11)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도어락부(20)는 도어(11)와 프레임(12)을 체결하는 잠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도어(11)를 프레임(12)에 체결하여 잠금 동작을 수행하고, 그 잠금 수단을 해제하여 열림 동작을 수행한다. 도어락부(20)는 전기 회로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프로세서(40)에 의해 잠금 수단이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도어락부(20)는 프로세서(40)에 의한 제어 외에도, 사용자가 비밀번호나 패턴, 생체정보를 입력하거나, 전자키에 의해 잠금 및 열림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통신부(30)는,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모듈이다. 여기서, 통신단말(2000)은 애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기기로서,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PC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무선 통신은 Wi-Fi, NFC, 블루투스, RFID 방식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30)는 실내의 무선 인터넷이나 랜(LAN) 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필요한 전력은 실내에서 공급되되,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배터리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도어 조립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연동되어 도어락부(20)가 제어되기 때문에, 실외의 통신단말(2000)과 Wi-Fi를 매개로 신호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Wi-Fi 신호 확장기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40)는, 도어락부(20)를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으로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이 통신부(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면, 통신부(30)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부(20)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통신단말(2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에 의해 생성 및 전송되는 신호이거나, 또는 블루투스나 RFID 등과 같이 통신단말(2000) 자체에서 발생하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APP)에 접속하여, 비밀번호나 패턴, 생체정보 등과 같은 기설정된 형태의 도어 열림 명령을 입력하면, 통신부(30)가 그 도어 열림 명령을 제어 신호로서 수신하고, 프로세서(40)가 그 도어 열림 명령에 응답하여 도어락부(20)로 하여금 도어(11)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도어 열림 명령이 반드시 비밀번호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로세서(40)는 통신단말(2000)이 접근에 대응하여, 도어락부(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면, 그 접근을 제어 신호로 인식하여, 도어락부(20)로 하여금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통신단말(2000)은 통신부(3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접근 거리 내에서, 통신단말(2000)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단말(2000)이 인식되지 않는 소정의 거리(L1)에 통신단말(200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어락부(2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다가, 통신단말(2000)을 인식할 수 있는 기설정된 거리(L0) 범위 내로 접근하면, 통신부(30)가 통신단말(2000)에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프로세서(40)는 도어락부(20)로 하여금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락부(20)의 동작 제어 방식에 의하면, 짐을 들고 있는 등과 같이 사용자의 행동이 제약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접근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도어락부(20)는 반드시 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도어(11)를 개방하도록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동으로 잠금 수단을 해제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락부(20)는 내장형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형 손잡이(21)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손잡이를 돌리거나, 또는 당기거나, 누를 수 있게 마련되고, 내장형 손잡이(2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도어(11)의 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내장형 손잡이(21)는 평상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다가, 통신단말(2000)에서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실외를 향하는 도어(11)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함몰공(14)이 형성되고, 그 함몰공(14) 내부에 내장형 손잡이(21)가 내장되었다가, 프로세서(4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노출된 손잡이를 돌리거나, 또는 당겨서 도어(11)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오고 나서 도어(11)가 폐쇄되면, 자동으로 원래 내장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노출된 내장형 손잡이(21)를 눌러 원래 내장되는 위치로 회복시킬 때에 도어(11)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장형 손잡이(21)는 통신단말(2000)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APP)에 도어 열림 명령이 입력되거나, 통신단말(2000)이 기설정된 거리(L0) 범위 내로 접근하면, 내장형 손잡이(21)가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수동식 내장형 손잡이(21)를 이용하는 도어(11)의 열림 동작은, 사용자가 접근할 때에 자동으로 열리는 전술한 방식과 별개로 구현될 수 있지만, 2가지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는 별개의 모드로 운용되어, 사용자가 그 모드 방식을 선택 설정할 수도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에 따르면,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 의해 도어(11)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이 제어되므로, 비밀번호나 패턴의 유출, 또는 전자키의 분실에 의해 야기되는 보안성의 허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사용자 인증 단계 없이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을 감지하여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행동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도어(11) 밖의 실외를 촬영할 수 있는 방범 카메라(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범 카메라(50)는 힌지부(13)에 장착될 수 있는데, 도어(11)의 상단부에 배치된 힌지부(13)에 장착되어 하향으로 실외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방범 카메라(50)는 도어(11)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방범 카메라(50)와 연결되는 전기 배선 등이 힌지부(13)를 통해 도어(11) 또는 프레임(12)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방범 카메라(5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방범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된 방범 영상은 방범 카메라(50)의 자체 메모리나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또는, 통신부(30)를 통해 그 방범 영상이 애플리케이션(APP)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방범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필요한 대처를 할 수 있다.
한편, 방범 카메라(50)는 실시간으로 지속해서 실외를 촬영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제3자가 도어벨을 누르는 경우에, 프로세서(40)가 도어벨의 작동을 감지하고, 이때 방범 카메라(50)를 작동시켜 제3자를 촬영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외시경 카메라(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에는, 실내에서 실외를 관찰할 수 있도록 도어(1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외시경(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외시경 카메라(60)는 실내에서 외시경(15)을 통해 실외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외시경 카메라(60)는, 외시경 카메라(60)의 렌즈가 외시경(15)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도어(11)의 타면, 즉 실내를 향하는 도어(11)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다.
외시경 카메라(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외시경 카메라(60)의 자체 메모리나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의 내부 메모리, 또는 별도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또는, 통신부(30)를 통해 해당 영상이 애플리케이션(APP)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로, 외시경 카메라(60)는 반드시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하면서 실외를 촬영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하 및 좌우 배열되는 다수 개의 외시경(15)이 도어(11)에 구비되고, 외시경 카메라(60)의 렌즈(61)가 다수의 외시경(15) 각각에 대응되도록 외시경 카메라(60)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70)로 구현될 수 있다.
이송장치(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 일실시예로서 카메라 장착블록(71), 가이드봉(73), 결합블록(75), 이송봉(77), 및 구동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장착블록(71)에 외시경 카메라(60)가 장착된다. 가이드봉(73)은 봉 형상으로, 카메라 장착블록(71)을 관통하면서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카메라 장착블록의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즉, 카메라 장착블록(71)은 가이드봉(73)을 따라 움직인다. 결합블록(75)은 가이드봉(73)의 말단에 연결되어, 가이드봉(73)과 이송봉(77)을 서로 연결한다. 이송봉(77)은 결합블록(75)을 관통하면서, 가이드봉(73)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결합블록(75)은 구동부(78)에 의해 이송되므로, 이송봉(77)은 결합블록(75)의 이송을 안내한다. 구동부(78)는 외부 전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78a)를 사용하여 결합블록(75)을 이송한다. 일례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구동모터(78a)에 벨트(78b)가 감기고, 그 벨트(78b)에 결합블록(75)이 연결되어, 구동모터(78a)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봉(73)은 X축 및 Y축 각각의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고, 각각의 가이드봉(73) 양말단에 하나씩 결합블록(75)이 결합되며, 사각 링(ring) 형태로 4개의 이송봉(77)이 배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외시경 카메라(60)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침입 감지부(80), 및 침입 연락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침입 감지부(80)는 도어(11)에 대한 강제 개방 시도를 감지한다. 강제 개방은 도어(11)를 설정된 방식이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개방하고자 하는 시도를 의미한다. 침입 감지부(80)는 도어(11)에 가해지는 진동 등을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에서 도어(11)에 외력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가해질 때에, 침입 감지부(80)가 이를 강제 개방으로 인지할 수 있다.
침입 연락부(90)는 침입 감지부(80)에서 강제 개방 시도를 감지할 때에, 기설정된 보안기관, 예를 들어 경찰서 보안업체에 침입 시도를 안내한다. 이때, 음성으로 그 침입 시도를 안내할 수 있는데, 안내 음성은 도어 조립체(10)가 설치된 주거지 정보, 및 침입 시도를 알리는 침입 위험 정보를 미리 녹음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침입 연락부(90)는 통신부(30)를 통해 연결된 홈 네트워크, 인터폰, 가정용 전화기 등을 이용해 음성 안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화재감지기(100), 및 화재 연락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는 실내의 온도, 및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화재 연락부(110)는, 화재감지기(100)가 화재를 감지하는 때에, 기설정된 소방기관(예를 들어, 소방서)에, 도어 조립체(10)가 설치된 주거지 정보, 및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화재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는 기녹음되어 음성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화재 연락부(110)는 통신부(30)를 통해 연결된 홈 네트워크, 인터폰, 가정용 전화기 등을 이용해 음성 안내를 실행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의 상황을 통신단말(2000)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적절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도어(11)의 강제 개방 또는 화재를 자동 감지하여 자동으로 관련 기관에 연락할 수 있으므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대비책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통신단말(2000)과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이 연동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연동되도록, 메모리(120),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130), 및 코드 인증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사용자의 ID, 및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을 인증하는 기기 등록 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매체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ID, 및 기기 등록 코드는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에 입력되어 전송되고, 통신부(30)에서 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기기 등록 코드는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을 인증할 수 있는 코드로서, 통신단말(2000)의 제조 일련번호를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별도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130)는, 사용자의 ID 및 기기 등록 코드가 통신부(30)에 의해 수신될 때에, 도어 등록 코드를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 전송한다. 도어 등록 코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을 인증하는 코드로서, 기설정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되었다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된 도어 등록 코드는 통신단말(2000)의 애플리케이션(APP)이나 텍스트 메세지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확인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APP)에 그 도어 등록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APP)은 입력된 도어 등록 코드를 통신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코드 인증부(140)는 통신부(30)가 수신한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한다. 코드 인증부(140)는 전송된 도어 등록 코드와 수신된 도어 등록 코드를 서로 비교하여, 수신된 도어 등록 코드가 정당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 결과, 코드 인증부(140)가 정당한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통신단말(2000)로부터 제어 신호를 통신부(30)가 수신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40)가 그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락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은, ID 재전송 요청부(150), 및 ID 인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APP)에 입력된 사용자의 ID는, 중앙서버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가 중앙서버에 저장되는 경우 유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ID를 통신단말(2000)에 직접 저장되는 방식을 취한다.
ID 재전송 요청부(150)는, 도어 등록 코드가 인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접근할 때에, 사용자의 ID 재전송을 요구하는 ID 재전송 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ID 재전송 명령을 통신부(3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APP)에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APP)은 ID 재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ID 전송 명령 코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APP)에 ID 전송 명령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ID를 통신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ID 전송 명령 코드는 반드시 숫자나 문자 형식으로만 구성되어 입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애플리케이션(APP)에서 ID 재전송 명령을 승인하는지를 묻고 이에 "예", "YES" 등을 탭하는 형식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ID 인증부(160)는, 통신단말(2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ID, 즉 재전송된 사용자의 ID가 통신부(30)에서 수신된 때에, 그 수신된 사용자의 ID가 정당한 ID인지를 인증한다. 이때, ID 인증부(160)는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ID와 재전송 사용자의 ID를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의 ID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ID가 추가적으로 인증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세서(40)가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과 연동된 통신단말(2000)을 분실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APP)에 사용자의 ID와 상이한 비상용 ID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비상용 ID는 애플리케이션(APP)에 저장되고, 비상용 ID로 애플리케이션(APP)에 접속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사용자의 통신단말(2000)과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 간의 연동을 차단하는 연동 차단 명령을 통신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연동 차단 명령이 통신부(30)에 전송된 경우에, 프로세서(40)는 사용자의 단말과 스마트 도어 시스템(1000) 간의 연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분실한 통신단말(2000)을 회수하는 경우에는, 비상용 ID로 애플리케이션(APP)에 접속하여 연동 회복 명령을 통신부(30)에 전송함으로써, 차단된 연동을 회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침입 연락부(90), 화재 연락부(110),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130), 코드 인증부(140), ID 재전송 요청부(150), ID 인증부(160)는 각각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이 통합되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어 조립체(10) 내부에 위치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회로 형태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칩 또는 모듈로 구현되어 도어 조립체(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내장 메모리(120)나 플로피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USB 등과 같은 외장 메모리(120)에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램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다른 내장 모듈(예를 들어, 프로세서(40)) 등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도어 조립체 11: 도어
12: 프레임 13: 힌지부
14: 함몰공 15: 외시경
20: 도어락부 21: 내장형 손잡이
30: 통신부 40: 프로세서
50: 방범 카메라 60: 외시경 카메라
70: 이송장치 80: 침입 감지부
90: 침입 연락부 100: 화재감지기
110: 화재 연락부 120: 메모리
130: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 140: 코드 인증부
150: ID 재전송 요청부 160: ID 인증부
1000: 스마트 도어 시스템 2000: 통신단말

Claims (13)

  1.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여닫이형 도어,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 및 상기 도어와 상기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 및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락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도어락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부는,
    실외를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공 내에 내장되었다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하는 내장형 손잡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하면, 상기 도어락부로 하여금 상기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하면, 상기 내장형 손잡이를 노출시키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향으로 실외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에 장착되는 방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방범 카메라가 촬영한 방범 영상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도어벨이 작동될 때에, 상기 방범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비정상적으로 개방하려는 강제 개방 시도를 감지하는 침입 감지부; 및
    상기 강제 개방 시도가 감지될 때에, 기녹음된 상기 도어 조립체가 설치된 주거지 정보, 및 침입 위험 정보를, 기설정된 보안기관에 연락하여 음성 안내하는 침입 연락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구비된 외시경을 통해 실외를 촬영하는 외시경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시경은, 다수 개로, 상하 및 좌우 배열되고,
    상기 외시경 카메라의 렌즈가 각각의 상기 외시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외시경 카메라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 온도 및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 및
    상기 화재가 감지될 때에, 기녹음된 상기 도어 조립체가 설치된 주거지 정보, 및 화재 정보를, 기설정된 소방기관에 연락하여 음성 안내하는 화재 연락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을 인증하는 기기 등록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의 ID, 및 상기 기기 등록 코드가 수신된 때에,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인증하는 도어 등록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도어 등록 코드 전송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되어 전송된 상기 도어 등록 코드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때에, 수신된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하는 코드 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드 인증부가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식할 때에,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연동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ID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저장되고,
    상기 코드 인증부가 상기 도어 등록 코드를 인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범위에 접근할 때에, 상기 사용자의 ID 재전송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ID 재전송 명령을 전송하는 ID 재전송 요청부; 및
    재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ID가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때에,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ID를 인증하는 ID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ID 재전송 명령에 대응되는 ID 전송 명령 코드를 요청하고, 상기 ID 전송 명령 코드가 입력된 때에,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ID를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ID와 상이한 비상용 ID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입력 저장되고,
    상기 비상용 ID로 접속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통신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 간의 연동을 차단하는 연동 차단 명령을 상기 통신부에 전송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 상기 연동 차단 명령이 수신된 때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과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 간의 연동을 차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0200052365A 2020-04-29 2020-04-29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183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365A KR102183174B1 (ko) 2020-04-29 2020-04-29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0200154354A KR102343233B1 (ko) 2020-04-29 2020-11-18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365A KR102183174B1 (ko) 2020-04-29 2020-04-29 스마트 도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354A Division KR102343233B1 (ko) 2020-04-29 2020-11-18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174B1 true KR102183174B1 (ko) 2020-11-25

Family

ID=736457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365A KR102183174B1 (ko) 2020-04-29 2020-04-29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0200154354A KR102343233B1 (ko) 2020-04-29 2020-11-18 도어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354A KR102343233B1 (ko) 2020-04-29 2020-11-18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83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0502A (zh) * 2021-10-12 2021-12-31 元气森林(北京)食品科技集团有限公司 陈列柜的警报方法、电子设备、介质及产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467U (ko) * 2009-10-29 2011-05-06 이호영 도어의 외시경 장치
KR20180107822A (ko) * 2017-03-23 2018-10-04 이상경 스마트폰 연계형 디지털 도어록
KR20180110440A (ko)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코맥스 도어락시스템 및 도어락 설정방법
KR101927692B1 (ko) * 2017-09-25 2018-12-11 주식회사 셀캅 사물인터넷 홈 방범시스템
KR20180136346A (ko) * 2017-06-14 2018-12-24 (주)참슬테크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20200017128A (ko) * 2018-08-08 2020-02-18 조시래 무선통신으로 열리는 도아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231B1 (ko) * 2017-11-14 2022-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467U (ko) * 2009-10-29 2011-05-06 이호영 도어의 외시경 장치
KR20180107822A (ko) * 2017-03-23 2018-10-04 이상경 스마트폰 연계형 디지털 도어록
KR20180110440A (ko)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코맥스 도어락시스템 및 도어락 설정방법
KR20180136346A (ko) * 2017-06-14 2018-12-24 (주)참슬테크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101927692B1 (ko) * 2017-09-25 2018-12-11 주식회사 셀캅 사물인터넷 홈 방범시스템
KR20200017128A (ko) * 2018-08-08 2020-02-18 조시래 무선통신으로 열리는 도아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0502A (zh) * 2021-10-12 2021-12-31 元气森林(北京)食品科技集团有限公司 陈列柜的警报方法、电子设备、介质及产品
CN113870502B (zh) * 2021-10-12 2023-08-22 元气森林(北京)食品科技集团有限公司 陈列柜的警报方法、电子设备、介质及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233B1 (ko) 2021-12-23
KR20210133848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444B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KR101960799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74360A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KR101872847B1 (ko)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594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WO2019245383A1 (en) Improv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ontrolling access of persons into restricted areas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7007965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다기능 방범 장치
KR10193186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WO2014157770A1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2401090B1 (ko) 이중인증 기반의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이중인증 도어락
KR101573887B1 (ko) 스마트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보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83174B1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JP2007247346A (ja) 電子錠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電子錠、サーバ及び携帯電話機
US107334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hysical object to be shared by several potential users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150035644A (ko) 디지털 도어락, 도어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87005B1 (ko) 카메라를 내장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과 출입통제 방법
JP200617228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7181710B2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20140056647A (ko) 도어카메라를 이용한 도어잠금 해제시스템
KR20200044223A (ko) Iot기반 스마트 도어락을 이용한 안심 서비스시스템
JP4344303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