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467U - 도어의 외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외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467U
KR20110004467U KR2020090014075U KR20090014075U KR20110004467U KR 20110004467 U KR20110004467 U KR 20110004467U KR 2020090014075 U KR2020090014075 U KR 2020090014075U KR 20090014075 U KR20090014075 U KR 20090014075U KR 20110004467 U KR20110004467 U KR 201100044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doscope
cover
cover holder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영
강승범
조의현
Original Assignee
이호영
조의현
강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영, 조의현, 강승범 filed Critical 이호영
Priority to KR2020090014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467U/ko
Publication of KR20110004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4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에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에 렌즈를 구비한 외시경이 삽입 설치된 도어의 외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 내면으로 노출된 외시경의 주변에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 부착할 수 있게 이루어진 원통형의 커버홀더와; 상기 커버홀더에 분리할 수 있게 나사 결합되어 외시경의 입구를 차단하게 이루어지면서, 외면에 개폐수단이 구비된 원판형의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도어 외시경 장치는 도어의 내면에 커버홀더가 스크류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커버홀더에 커버가 나사 결합되어 외시경 설치구멍을 차단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에서 도어에 설치된 외시경 설치구멍을 통하여 날카로운 도구나 도난기구를 삽입할 수 없게 하는 한편, 외시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홀더에 결합된 커버를 간단하게 돌려 분리함으로써 도어 외시경을 통하여 실내에서 바깥을 살필 수 있게 한다.
도어 외시경, 커버홀더, 커버

Description

도어의 외시경 장치{Door Viewer}
본 고안은 도어 외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외시경이 설치되는 설치구멍을 통하여 외부에서 내시경 등과 같은 도난 장치를 실내로 투입하지 못하게 하는 도어 외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현관에 설치되는 도어에는 도어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실내에서 외부를 살필 수 있게 하기 위해, 도어의 내벽과 외벽을 가로 질러 도어 외시경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 외시경은 통상 도어의 외벽과 내벽을 가로 질러 외시경 설치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이 외시경 설치구멍에 렌즈가 내장된 원통형의 외시경이 삽입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도어 외시경은 외부에서 원통형의 외시경 케이스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도어의 설치구멍에서 빠져나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외시경 설치구멍을 통하여 도난용 내시경 기구를 투입하여 도어의 자물쇠를 풀고 불법 침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어에 설치되는 외시경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설치구조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외시경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므로 비용이 만만하지가 않은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일반적인 도어에 설치된 외시경 구조에 따른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새로운 외시경 구조를 사용하여서는 기존의 도어에 설치된 외시경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이 외시경 설치구멍을 통하여 도난기구를 투입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한편, 근래의 아파트 등 주택에서는 도어에 비디오 폰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문자가 있는 경우에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비디오 폰을 통하여 외부의 방문자 등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러나, 비디오 폰은 고정된 시야를 갖는 카메라의 렌즈 구조 때문에 반드시 카메라 렌즈 앞에 방문자가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방문자가 카메라 렌즈 앞의 정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나 불순한 의도를 갖고 도어의 한쪽 측방에 숨어 있는 경우에는 비디오폰만으로는 확인할 수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을 감안하여 비디오폰이 설치된 경우에도 도어에 외시경을 장착하고 있는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시경 설치구멍을 통하여 도난기구용 내시경을 투입하여 불법 침입을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20-254767호의 "광각 도어뷰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시경 설치구멍을 통하여 도난기구용 내시경을 투입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지만, 이 고안의 장치를 이루는 구조에서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없게 하는 차단막과 차단막 고정부로 이루어진 차단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 실용신안으로 등록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고안에 따른 장치에서 차단막이라는 칭하는 것은 단순히 상하로 회동하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차단막 고정부는 사각형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도어의 내면에 부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안에 따른 장치는 사각형 케이스를 도어의 내면에 고정 설치하면, 도어의 내면으로 돌출된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단막이 외시경의 시선만 차단해 줄 뿐이지 외시경의 설치구멍을 완전하게 차단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도어의 외부에서 뾰쪽하고 날카로운 도구 등을 이용하여 외시경 설치구멍을 찌르면 차단막이 들려지게 되므로, 외부에서 도난기구용 내시경장치를 투입하는데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안에 따른 장치는 본 고안에서와 같이 외시경 설치구멍을 통하여 도난기구용 내시경 장치를 투입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가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도어 외시경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외시경 설치구멍을 통하여 외부에서 도난기구용 내시경장치를 투입할 수가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외시경을 통하여 외부를 살피고자 할 때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외부를 살필 수 있게 하는 한편, 기존의 외시경 구조에도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도어 외시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어 외시경 장치는 본 고안은 도어에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설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에 렌즈를 구비한 외시경이 삽입 설치된 도어의 외시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 내면으로 노출된 외시경의 주변에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 부착할 수 있게 이루어진 원통형의 커버홀더와; 상기 커버홀더에 분리할 수 있게 나사 결합되어 외시경의 입구를 차단하게 이루어지면서, 외면에 개폐수단이 구비된 원판형의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도어 외시경 장치는 도어의 내면에 커버홀더가 스크류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커버홀더에 커버가 나사 결합되어 외시경 설치구멍을 차단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에서 도어에 설치된 외시경 설치구멍을 통하여 날카로운 도구나 도난기구를 삽입할 수 없게 하는 한편, 외시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홀더에 결합된 커버를 간단하게 돌려 분리함으로써 도어 외시경을 통하여 실내에서 바깥을 살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외시경 장치는 커버홀더를 도어의 내면에 장착하고, 이 커버홀도에 커버를 나사 결합하면 되므로, 도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외시경 구조에도 간단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도어의 내면에 장착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도어의 내면에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면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 홀더의 평면도이며, 도면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외시경 장치는 도어(1)의 내벽(11)과 외벽(12)을 가로질러 외시경 설치구멍(1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설치구멍(13) 속에 외시경(2)이 삽입되어 상기 외시경(2)의 양단이 도어(1)의 내면(14)과 외면(15)으로 각각 노출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의 내면(14)으로 노출된 외시경(2)의 주변에 커버홀더(3)가 고정 부착되고, 상기 커버홀더(3)에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커버(4)가 분리할 수 있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외시경(2) 속에는 렌즈(21)가 장착되어 외시경(2)을 통하여 실내에서 바깥을 보았을 때 넓은 시야를 확보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홀더(3)는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에 외시경(2)의 입구가 위치하는 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양쪽에 스크류를 끼워 넣어 도어(1)의 내벽(11)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구멍(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커버홀더(3)는 도어(1)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외시경(2)의 입구가 커버홀더(3)의 구멍(31) 속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장착구멍(32) 속에 스크류를 끼워 넣어 조이면, 도면 1과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홀더(3)가 외시경(2)을 가운데 두고 도어(1)의 내벽(11)에 고정 부착된다.
한편, 상기 커버홀더(3)의 측벽 내면에는 나사산(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커버홀더(3)의 나사산(33)에 커버(4)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커버(4)는 원판형으로 도면 1과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가장자리의 원주면에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이 나사산(41)을 통하여 커버홀더(3)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외시경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4)에는 커버(4)를 커버홀더(3)에 손쉽게 나사 결합하고 분리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도면 1과 도면 4에서는 상기 개폐수단으로서 커버(4)의 표면에 오목한 홈(42)을 형성시킨 실시예를 도시하여 나타내었다.
이렇게 오목한 홈(42)을 형성시키면 끝이 뾰쪽한 도구나 동전 등을 상기 홈(42) 속에 끼워 넣어 간편하게 돌리면서 커버(4)를 개폐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으로서 볼록한 손잡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이 볼록한 손잡이의 구조로 만들면 별다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커버(4)를 손으로 개폐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개폐수단으로서 오목한 홈(42)을 형성시키면 개폐할 때 도구가 필요하기는 하지만 제작할 때 별도의 금형을 만들지 않고 절삭 및 컷팅 가공작업만으로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제작비가 적게 되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볼록한 손잡이의 형태로 만들면 별도의 개폐 보조도구가 필요하지 않기는 하지만 손잡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필요하므로 제작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외시경 장치는, 도어에 설치된 도어(1)의 실내 쪽에서 외시경(2)의 주변에 커버홀더(3)를 장착하고, 이 커버홀더(3)에 커버(4)를 나사 결합하여 결속시키면, 외시경(2)을 장착하기 위해 도어(1)에 관통하여 뚫은 설치구멍(13)을 내면에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침입자가 도어(1)에 설치된 외시경(2)을 빼내고, 외시경 설치구멍(13)을 통하여 침입도구나 내시경 도구 같은 것을 집어넣을 때 상기 커버홀더(3)와 커버(4)가 침입하지 못하게 막아주게 되므로 불법 도구를 이용한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커버(4)가 외시경(2)의 내부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외시경(2)을 통하여 외부를 살피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4)의 표면 에 구비된 개폐수단을 통하여 커버(4)를 회전시켜 빼낸 다음, 외부를 살피고 다시 커버(4)를 원상태로 결속시켜 두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외시경 장치는 불법 침입자가 도어에 관통 형성된 설치구멍에 단순하게 삽입되어 있는 외시경을 외부에서 빼낸 다음, 상기 설치구멍을 통하여 도난기구를 삽입하려고 할 때, 도어의 내면에 설치된 커버홀더(3)와 커버(4)가 설치구멍의 한쪽 선단을 막아 주게 되므로, 외부에서 외시경 설치구멍(13)을 통하여 불법도구를 삽입하려 하는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커버홀더(3)와 커버(4)만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도어에 설치된 외시경 구조에서도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간단하게 그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도어의 내면에 장착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도어의 내면에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버 홀더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도어 11 - 내벽
12 - 외벽 13 - 설치구멍
2 - 외시경 21 - 렌즈
3 - 커버홀더 31 - 구멍
32 - 설치구멍 33 - 나사산
4 - 커버 41 - 나사산
42 - 홈

Claims (2)

  1. 도어에 관통 형성된 설치구멍에 렌즈를 구비한 외시경이 삽입 설치된 도어의 외시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내면으로 노출된 외시경의 주변에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 부착할 수 있게 이루어진 원통형의 커버홀더(3)와; 상기 커버홀더(3)에 분리할 수 있게 나사 결합되어 외시경의 입구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면서, 외면에 개폐수단이 구비된 원판형의 커버(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외시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의 개폐수단이 표면에 형성된 오목홈(42) 또는 볼록한 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외시경 장치
KR2020090014075U 2009-10-29 2009-10-29 도어의 외시경 장치 KR201100044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75U KR20110004467U (ko) 2009-10-29 2009-10-29 도어의 외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75U KR20110004467U (ko) 2009-10-29 2009-10-29 도어의 외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467U true KR20110004467U (ko) 2011-05-06

Family

ID=4423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075U KR20110004467U (ko) 2009-10-29 2009-10-29 도어의 외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46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82B1 (ko) 2015-05-20 2016-09-28 심정식 현관문 렌즈 덮개 장치
KR102183174B1 (ko) * 2020-04-29 2020-11-25 변철원 스마트 도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882B1 (ko) 2015-05-20 2016-09-28 심정식 현관문 렌즈 덮개 장치
KR102183174B1 (ko) * 2020-04-29 2020-11-25 변철원 스마트 도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6726B1 (en) Tamper-proof padlock box
US20140311390A1 (en) Safe and Lock Mechanism
US11064621B1 (en) Security covers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20110004467U (ko) 도어의 외시경 장치
US20110099907A1 (en) Door viewer blocker
US20100117382A1 (en) Dual function door lock plate with built-in lock opening(s)
US20130036675A1 (en) Door peephole blocking device
JP2016075134A (ja) 屋内側施錠装置
US9932755B2 (en) Door security device
JP3783193B2 (ja) 管理室制御盤
KR101024304B1 (ko) 출입문용 안전 고리
KR100648073B1 (ko) 건축물의 도난방지용 여닫이 방범창 잠금장치
KR100340671B1 (ko) 미닫이식 도어와 창문의 자동해정장치
JP3177828U (ja) 施錠機能付きハンドルカバー
JP7343165B2 (ja) 補助錠
KR100552585B1 (ko) 도어잠금장치
KR200201639Y1 (ko) 도어의 배달물 투입구조
JP2004116028A (ja) レバー式施錠装置の開錠防止具
KR20100127576A (ko) 디지털 도어록
KR100634945B1 (ko) 보조자물쇠용 덮개장치
KR200189385Y1 (ko) 출입문용 보조정의 도난 방지구조
KR200477723Y1 (ko) 자물쇠 보호장치
KR20110001733U (ko) 현관문 외시경을 통한 무단침입방지 장치
KR200340775Y1 (ko) 보조자물쇠용 덮개장치
JP3885089B2 (ja) 管理室制御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