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808B1 -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08B1
KR101716808B1 KR1020150030496A KR20150030496A KR101716808B1 KR 101716808 B1 KR101716808 B1 KR 101716808B1 KR 1020150030496 A KR1020150030496 A KR 1020150030496A KR 20150030496 A KR20150030496 A KR 20150030496A KR 101716808 B1 KR101716808 B1 KR 101716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portable terminal
sensing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577A (ko
Inventor
박은민
정상우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마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마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마다스
Priority to KR102015003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락 장치가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도어락 장치에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외부 침입이나 화재 등의 비상 상태를 알릴 수 있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측 레버를 구비한 외기부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레버를 구비한 내기부와, 상기 내측 레버 및 상기 외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기부는 상기 외기부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시에 휴대단말 및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단말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Door lock device having security function and security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락 장치가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도어락 장치에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외부 침입이나 화재 등의 비상 상태를 알릴 수 있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열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대부분 비밀번호나 지문 입력을 통해 문을 열 수 있는 전기 작동식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일반적으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본체, 본체와 연결되는 외측 레버 및 내측 레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에는 도어락의 잠금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잠금 해제를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종래의 도어락 시스템은 단순히 현관 단속에만 사용되며 방범 또는 방재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별도의 방범 또는 방재 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등록특허 제440660호를 보면, 건물 내의 여러 곳에 외부인의 침입이나 가스누설여부,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여 무선으로 도어락모듈에 전송하는 방범 및 방재센서모듈을 설치하고, 도어락모듈은 각각의 센서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대한 정보들을 관리모듈에 전송하며, 관리모듈은 도어락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각종정보를 분석하여 강도침입여부 및 가스누설, 화재발생 여부 등을 판단하여 지정된 관공서 및 보안회사 등에 전화 경보함으로써, 각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어락모듈을 이용하여 각종 방범 및 방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외부 침입이나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을 관리모듈에서 판단하기 때문에 도어락모듈 외에 별도의 처리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관리모듈에서 비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즉시 외부 기관에 통지하므로 신속한 신고가 가능할지는 몰라도 만약 판단에 오류가 있는 경우 외부 기관에 불필요한 업무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처리 장치가 필요없이 단순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침입이나 화재 등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비상 상황의 신고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은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단말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측 레버를 구비한 외기부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레버를 구비한 내기부와, 상기 내측 레버 및 상기 외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기부는 상기 외기부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시에 휴대단말 및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단말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방법은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외기부와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부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방법은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외기부와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내기부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감지신호를 이벤트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저장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감지장치는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감지신호의 종류를 확인하여 외부 침입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화재나 가스누출로 판단되는 경우 제2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된 경고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에서의 보안 방법은 감지장치나 도어락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장치나 도어락 장치로부터 경고신호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장치나 도어락 장치로부터 수신한 경고신호에 대응하는 경보 사항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장치나 도어락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처리하여 보안 경고 내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가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지신호의 종류를 판단하여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직접 도어락 장치에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휴대단말로 전송하므로 별도의 관리모듈 없이 단순한 구성으로 보안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태 발생 시 도어락 장치과 페어링되어 있는 휴대단말로 경고신호가 전송되어 휴대단말에서 경고신호에 대응하는 경고 사항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비상 상태의 종류를 즉시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단말에서 경고신호에 대응한 경고 사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비상 통지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이 도어락 장치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받게 되면 보안 경고 내역을 표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기 발생한 비상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재택 모드에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외출 모드에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경고신호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50)는 크게 내기부(100), 외기부(200) 및 잠금부(300)로 구성된다.
내기부(100)는 도어(4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도어 내벽에 부착되며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내측 레버 고정구(110), 내측 레버 고정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부품 및 배터리를 내장한 내측 레버(120), 내측 레버(120)에 의해 회전되도록 내측 레버 고정구(11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된 내측 회전 바(130) 등을 포함한다.
외기부(200)는 도어(400)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내기부(100)의 구성과 유사하다. 외기부(200)는 도어 외벽에 부착되며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외측 레버 고정구(210), 외측 레버 고정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을 내장한 외측 레버(220), 외측 레버(2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측 레버 고정구(21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된 외측 회전 바(230) 등을 포함한다.
잠금부(300)는 도어 모서리에 마련된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래치(10)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 잠금을 푸는 역할을 수행한다. 잠금부(300)는 내기부(100) 및 외기부(200)와 연결되어 내측 레버(120) 및 외측 레버(220)의 회전에 연동한다.
내기부(100)와 외기부(200)가 도어(400)의 내외측에 설치될 때 내측 회전 바(130) 및 외측 회전 바(230)가 잠금부(300)의 연동 구멍(305)에 삽입되고, 연동 구멍(305)에 마련된 전원단자와 회전 바(130, 230)에 마련된 전원단자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내기부(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압이 외기부(200)의 전자부품에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기부(200)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 입력부(204), 제어부(206), 도어락 구동부(208), 센서부(209) 등을 포함하고, 내기부(100)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 신호처리부(104), 배터리(106) 등을 포함한다.
외기부(200)의 각 부분을 살펴보면,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은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은 하나의 통신모듈에만 접속하는 슬레이브 모듈로서 오직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장치나 단말과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못한다.
입력부(204)는 도어락의 비밀번호을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푸시버튼이나 정전용량식의 터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04)는 외측 레버(220)에 숫자 및 기호 버튼이 일렬로 배치된 구성이다.
제어부(206)는 도어락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부(26)는 기본적으로 입력부(204)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부(208)로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도어의 닫힘이 확인되면 도어락 구동부(208)로 폐쇄 명령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6)는 센서부(209)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02)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감지신호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로 전송된다.
도어락 구동부(208)는 제어부(206)의 제어 명령에 따라 잠금부(30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도어락 구동부(208)는 제어부(206)로부터 개방 명령을 받으면 잠금부(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어부(206)로부터 폐쇄 명령을 받으면 잠금부(300)를 잠금 상태로 만든다.
센서부(209)는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외기부(200)에 구비되는 센서부(209)는 특히 외부의 무단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내기부(100)의 각 부분을 살펴보면,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은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은 여러 개의 통신모듈에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마스터 모듈로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동시에 휴대단말(250) 및 감지장치(27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4 참조).
신호처리부(104)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02)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여 인증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처리부(104)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02)에 접속한 휴대단말(250)로부터 방문자 정보를 받아 수신한 방문자 정보와 기 저장된 방문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04)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02)에 접속되어 있는 감지장치(2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감지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휴대단말(250)이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00)을 통해 내기부(100)와 페어링(근거리 통신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처리부(104)는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경고신호가 휴대단말(250)로 전송되도록 하나, 내기부(100)와 휴대단말(250) 간에 페어링이 없으면 신호처리부(104)는 감지신호를 이벤트 정보로서 저장한다.
배터리(106)는 도어락 장치(50)의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배터리(106)로는 건전지나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106)의 전력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300)의 연결 구조를 통해 외기부(2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02)과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02)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통신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사용하며, 특별히 저전력 및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블루투스 4.0을 적용한다.
외기부(200)와 내기부(100)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상태에서 내기부(100)는 감지장치(270) 및 휴대단말(250)과도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
내기부(100)는 창문이나 다른 문에 설치된 감지장치(2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지신호의 종류를 확인하여 휴대단말(250)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내기부(100)는 외기부(200)로부터도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기부(200)로부터 감지신호 수신 시 휴대단말(250)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휴대단말(250)은 내기부(10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에 대응하는 경고 사항을 출력한다. 경고사항은 플래시 온, 알람 메시지, 긴급 통화 버튼, 경고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고사항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장치(270)는 센서부(279), 경고램프(275), 신호 연결부(276), 슬레이브 근거리 통신 모듈(278) 등을 포함한다.
센서부(279)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79)는 인체감지 센서(271), 충격 센서(272), 가스 센서(273), 온도 센서(27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체감지 센서(271)로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인체감지 센서(271)나 충격 센서(272)는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로 사용되며, 가스 센서(273)나 온도 센서(274)는 화재나 가수 누출 등의 사고를 감지하는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279)가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감지신호가 신호 연결부(276)를 통해 경고램프(275)에 입력되는 동시에 슬레이브 근거리 통신 모듈(278)에 입력된다.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경고램프(275)는 램프를 점멸하여 비상 상태 발생을 알리고, 슬레이브 근거리 통신 모듈(278)은 근거리 통신으로 접속되어 있는 도어락 장치(50)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슬레이브 근거리 통신 모듈(278)은 1:1 통신만 할 수 있는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로서 오직 도어락 장치(50)와 페어링되고 다른 장치와는 페어링될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서 재택 모드 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도어락 장치(50)의 내부에서 외기부(200)와 내기부(100)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다(S10). 이어서 도어락 장치(50)의 내기부(100)와 휴대 단말(250) 간, 내기부(100)와 감지장치(270) 간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다(S12, S14).
휴대단말(250)에는 보안 앱이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보안 앱을 실행하여 도어락 장치(50)에 사용자 등록을 함으로써 휴대단말(250)이 도어락 장치(50)에 최초 연결되고 이후 휴대단말(250)이 도어락 장치(50)의 통신 범위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지장치(270)도 도어락 장치(50)에 등록함으로써 감지장치(270)와 도어락 장치(50) 간에 페어링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지장치(270)가 외부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생성한 감지신호를 도어락 장치(50)의 내기부(100)로 전송한다(S16). 또한 외기부(200)에 센서부(209)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센서부(209)에서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외기부(200)도 감지신호를 내기부(100)로 전송한다(S18).
내기부(100)는 외기부(200) 또는 감지장치(2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지신호의 종류를 확인하여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휴대단말(250)로 전송한다(S20).
내기부(100)는 감지신호의 종류를 확인하여 감지신호가 인체감지 센서나 압력 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이고 그 신호가 일정 범위의 값이면 외부 침입으로 판단하고 휴대단말(250)로 제1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만약 감지신호가 가스 센서나 온도 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이고 그 신호가 일정 범위의 값이면 화재나 가스 누출 등의 사고로 판단하고 휴대단말(250)로 제2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내기부(100)는 휴대단말(250)로 경고신호를 전송한 후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이벤트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22).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서 외출 모드 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재택 모드와 동일하게 먼저 도어락 장치(50)의 내부에서 외기부(200)와 내기부(100)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다(S50). 이어서 도어락 장치(50)의 내기부(100)와 감지장치(270) 간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다(S52).
이러한 상태에서 감지장치(270)가 외부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생성한 감지신호를 도어락 장치(50)의 내기부(100)로 전송한다(S54). 또한 외기부(200)에 센서부(209)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센서부(209)에서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외기부(200)도 감지신호를 내기부(100)로 전송한다(S56).
도 6에서 내기부(100)가 외기부(200) 또는 감지장치(27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지신호의 종류를 확인하여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휴대단말(250)로 전송하였으나, 외출 모드에서는 도어락 장치(50)에 페어링되어 있는 휴휴대단말(25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내기부(100)는 경고신호를 생성하는 대신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S58).
이후 외출에서 돌아온 사용자의 휴대단말(250)이 도어락 장치(50)의 통신 범위에 들어오면 휴대단말(250)과 도어락 장치(50)의 내기부(100) 간 페어링에 의해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다(S60). 그러면 도어락 장치(50)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 정보가 휴대단말(250)로 전송된다(S62).
휴대단말(250)은 도어락 장치(5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이벤트 정보를 처리하여 보안 경고 내역을 표시한다(S64).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감지장치의 내부 구성은 도 5의 감지장치와 유사하나, 감지장치(270)가 도어락 장치(50)로 경고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직접 휴대단말(250)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에 의해 도 5와 일부 구성이 상이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센서부(279) 및 경고램프(275)는 도 5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경고 처리부(280) 및 마스터 근거리 통신 모듈(28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부(279)가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감지신호가 경고 처리부(280)로 입력된다.
경고 처리부(280)는 감지신호를 경고램프(275)로 출력하여 경고램프(275)가 점멸하도록 하는 동시에 감지신호를 처리한다. 경고처리부(280)는 감지신호의 종류를 확인하여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경고처리부(280)는 입력된 감지신호가 인체감지 센서나 압력 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이고 그 신호가 일정 범위의 값이면 외부 침입으로 판단하고 제1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경고처리부(280)는 입력된 감지신호가 가스 센서나 온도 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이고 그 신호가 일정 범위의 값이면 화재나 가스 누출 등의 사고로 판단하고 제2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경고처리부(280)에서 생성된 제1 또는 제2 경고신호는 마스터 근거리 통신 모듈(282)로 입력되고, 마스터 근거리 통신 모듈(282)은 경고신호를 휴대단말(250)로 전송한다. 마스터 근거리 통신 모듈(282)은 1:N 통신을 할 수 있는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로서 도어락 장치(50) 및 복수의 휴대단말(250)과 동시에 페어링될 수 있다.
또한 경고처리부(280)는 감지장치(270)와 휴대단말(250) 간 페어링이 없으면 센서부(279)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처리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경고신호나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는 재택 모드 시 휴대단말의 화면이고, (b)는 외출 모드 시 휴대단말의 화면이다.
재택 모드에서 휴대단말(250)이 감지장치(270)나 도어락 장치(5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에 대응하는 경보 사항을 출력한다. 경보 사항의 출력 예로서, 휴대단말(250)은 램프를 켜거나 알람 메시지 또는 긴급 통화 버튼을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의 (a)에서 긴급 통화 버튼(1)으로서 '112' 통화 버튼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비상 상황별로 경보 사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사용자는 플래시 온/오프, 알람 메시지 온/오프, 경고음 온/오프, 긴급 통화 버튼 온/오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 기능의 온 시 비상 상황별로 출력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긴급 통화 버튼은 신속한 신고를 위해 사용자가 오프 설정을 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침입의 경우 LED 램프 2개가 교차 점멸하고, "외부 침입자가 있습니다"라는 알람 메시지가 표시되고, '112' 통화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재 사고의 경우 LED 램프 2개가 동시에 점멸하고,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라는 알람 메시지가 표시되고, 비상벨 소리가 출력되며, '119' 통화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단말(250)에 출력되는 경보 사항을 확인하여 비상 상태를 인지하고 신고 등의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9의 (b)는 휴대단말(250)이 도어락 장치(50)나 감지장치(27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표시되는 보안 경고 내역(2)을 나타낸 것이다.
보안 경고 내역(2)을 보면 2015년 1월 3일자 2건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감지신호에 따른 이벤트뿐만 아니라 도어락 장치(50)의 출입에 따른 이벤트도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50: 도어락 장치 100: 내기부
200: 외기부 250: 휴대단말
270: 감지장치 300: 잠금부
102: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104: 신호처리부
106: 배터리 202: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204: 입력부 206: 제어부
208: 도어락 구동부 209: 센서부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도어 내벽에 부착되며 제1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내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내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내측 레버로 구성된 내기부와, 도어 외벽에 부착되며 제2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외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외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측 레버로 구성된 외기부와, 상기 외측 레버 또는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내기부는 신호 처리부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부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입력부,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내기부와 상기 외기부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내기부는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해 인증신호 및 경고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접속한 휴대단말로부터 방문자 정보를 받아 수신한 방문자 정보와 기저장된 방문자 정보가 일치하면 인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기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접속한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감지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근거리 통신을 통해 감지신호를 상기 내기부로 전송하고, 상기 내기부는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부와 휴대단말 간 페어링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내기부가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지신호를 이벤트 정보로서 저장하고 이후 휴대단말과의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저장한 이벤트 정보를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7. 도어 내벽에 부착되며 제1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내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내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내측 레버로 구성된 내기부와, 도어 외벽에 부착되며 제2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외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외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측 레버로 구성된 외기부와, 상기 외측 레버 또는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기부는 신호 처리부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부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입력부,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기부와 상기 외기부가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휴대단말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고신호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방문자 정보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신호를 상기 외기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부가 상기 휴대단말로 경고신호를 전송한 이후 감지신호를 이벤트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
  9. 도어 내벽에 부착되며 제1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내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내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내측 레버로 구성된 내기부와, 도어 외벽에 부착되며 제2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외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외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측 레버로 구성된 외기부와, 상기 외측 레버 또는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기부는 신호 처리부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부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입력부,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기부와 상기 외기부가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외부의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감지신호를 이벤트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휴대단말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방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방문자 정보를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신호를 상기 외기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저장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부가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내기부가 상기 외기부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50030496A 2015-03-04 2015-03-04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1716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96A KR101716808B1 (ko) 2015-03-04 2015-03-04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96A KR101716808B1 (ko) 2015-03-04 2015-03-04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77A KR20160107577A (ko) 2016-09-19
KR101716808B1 true KR101716808B1 (ko) 2017-03-15

Family

ID=5710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496A KR101716808B1 (ko) 2015-03-04 2015-03-04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228B1 (ko) 2016-11-08 2018-04-13 오성환 보안강화 현관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638B1 (ko) * 2017-06-14 2020-05-13 (주)참슬테크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102345479B1 (ko) 2021-10-28 2021-12-29 박인자 건물 출입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691Y1 (ko) * 2001-09-08 2001-12-24 김양규 전자식 시건 장치
KR100869329B1 (ko) * 2007-06-29 2008-11-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276930B1 (ko) * 2011-12-29 2013-06-19 전영환 방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583A (ko) * 2012-01-05 2013-07-15 (주)서원인텍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691Y1 (ko) * 2001-09-08 2001-12-24 김양규 전자식 시건 장치
KR100869329B1 (ko) * 2007-06-29 2008-11-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1276930B1 (ko) * 2011-12-29 2013-06-19 전영환 방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228B1 (ko) 2016-11-08 2018-04-13 오성환 보안강화 현관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77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59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 security system
KR101676104B1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CN107430804A (zh) 智能屏障报警装置
CN101174352A (zh) 用于安全系统的无源解除收发器
CN104484970B (zh) 防盗方法及系统
CN109312576A (zh) 具有整合的到达角度(aoa)检测的无线锁具
US20190212086A1 (en) Gun lock with alarm system supervisory by zone
KR102328402B1 (ko) 스마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716808B1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US8026811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LF activated RFID tag
US20090295578A1 (en) Portab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50004569U (ko) 비밀번호 도어락을 구비한 보안시스템
JP2001355359A (ja) 無線式電子ロック装置
KR200352823Y1 (ko) 창호 보안시스템
TWI735121B (zh) 保全系統
KR102469066B1 (ko) 문 스트라이크 장치를 이용한 침입 방범 시스템
TWI715391B (zh) 保全系統
KR200364557Y1 (ko) 리모콘으로 경보를 발생하는 디지털 도어-락
JP2007164714A (ja) 入室管理装置
KR200295518Y1 (ko) 전자 도어 록킹 장치
KR20030080504A (ko) 침입 알림 기능을 가지는 도어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43713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KR200459992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비밀번호 입력오류 확인 및 처리 시스템
JP4511415B2 (ja) 複数の鍵で施錠される扉の防犯装置
JP2009167738A (ja) ドアロッ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