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583A -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583A
KR20130080583A KR1020120001447A KR20120001447A KR20130080583A KR 20130080583 A KR20130080583 A KR 20130080583A KR 1020120001447 A KR1020120001447 A KR 1020120001447A KR 20120001447 A KR20120001447 A KR 20120001447A KR 20130080583 A KR20130080583 A KR 20130080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mart terminal
terminal
open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윤
Original Assignee
(주)서원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원인텍 filed Critical (주)서원인텍
Priority to KR102012000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0583A/ko
Publication of KR20130080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Door)가 침입자에 의해 강제로 열렸을 때 거주자의 스마트단말기로 도어의 강제 열림사실이 보고되도록 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와 연계되어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범위 안쪽에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만일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수신범위 안쪽에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있을 경우 거주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보고하는 접속단말기와,구동시 전송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상기 도어가 개폐된 시각과 거주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되었다는 사실을 표출하여 알려 주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콤이나 기타 보안회사를 거치지 않고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강제로 열렸다는 사실을 안내받을 수 있는 개인의 시큐리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도어(Door)가 침입자에 의해 강제로 열렸을 때 거주자의 스마트단말기로 도어의 강제 열림사실이 보고되도록 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세콤이나 기타 보안회사를 거치지 않고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강제로 열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의 시큐리티 시스템이다. 또한, 전문보안업체와의 연결관계가 끊어지더라도 지정된 스마트단말기로 도어의 열림사실이 보고되어 보다 안전하게 자신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콤이나 보안회사의 시큐리티(Security) 시스템은, 도어의 강제열림 사실이나 침입사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나 카메라 혹은 감지장치를 주변에 설치하고, 상기 감지장치가 감지한 사실을 바탕으로 불법 침입사실을 보고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침입사실을 보고받아 해당 장소로 출동지령을 내리는 보안회사의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큐리티(Security) 시스템은 내부에 카메라나 센서 등을 비롯한 다양한 감지장치와 단말기를 설치하고 특히 전문 보안업체와 계약 체결이 이루어지면서 보험료와 유지비용 그리고 관리비 등이 일정하게 납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큐리티(Security) 시스템은 특정기업이나 회사 혹은 고가의 귀금속을 소지한 상점 주변에만 이루어지지, 일반 가정집이나 소규모 매장 등과 같은 장소에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이나 소규모 매장과 같이, 별도의 유지비용이나 보험료 지불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개인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시큐리티 시스템이 요구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전문보안업체에 의해 시큐리티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더라도, 귀금속을 소지하고 있는 매장이나 회사에 침입하려는 사람은 단순 충동에 의해 범법행위를 자행하는 침입자가 아니라 대부분 전문 지식을 가지고 계획된 시도에 의해 범법행위를 자행하는 특수 절도범들이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절도범은 보안회사의 메인서버와 접속단말기 사이의 연결관계를 차단한 상태에서 귀금속 상점 내부로 침입하여 귀금속이나 화폐 등을 절취한다.
즉, 보안회사는 가입자의 상점이나 회사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끊겨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보안회사에서는 침입 사실을 전혀 보고받지 못하거나 혹은 이를 확인하였더라도 이미 늦어버려 버려 상당한 손실을 보게 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개인의 시큐리티 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안회사와의 연결관계가 끊어져 버렸더라도 바로 절도범이 도어를 강제로 오픈하고 침입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와 연계되어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와의 거리를 파악하고, 설정된 거리 밖에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있을 경우 상기 도어가 열고 닫히게 되면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로 보고토록 지시하는 접속단말기와, 상기 접속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외부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로 도어의 열고 닫힌 사실을 혹은 강제로 상기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전송하여 알리는 모바일 라우트와, 상기 모바일 라우터를 통해 전송된 도어의 열고 닫침 사실을 혹은 강제로 상기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표출하여 안내하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말기는 보안회사의 메인서버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된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를 메인서버로 보고토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먼저, 스마트단말기는 수신범위 안쪽에 있는 접속단말기를 확인하고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단말기가 접속을 시도하는 스마트단말기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등록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접속단말기가 입력된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 그리고 이후 감지장치가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이를 접속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단말기가 전송된 감지정보를 확인하고, 수신범위 혹은 설정거리 안쪽에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있는지 스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가 수신범위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가 있다면 해당 스마트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가 거주자에 의해 오픈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는 거주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를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구동시 전송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표출하여 주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출입을 감시하는 카메라와 각종 센서들로 이루어진 감지장치를 동작시켜 시큐리티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단계와, 도어 개폐시 상기 감지장치가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감지하는 단계와 이를 접속단말기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접속단말기가 감지정보를 확인하고,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된 사실을 인식하는 한편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메인서버의 IP주소를 확인하는 단계와, 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전송된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로 경비대를 출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침입자 알림 방법에 있어서,
이후, 접속단말기가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실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모바일 라우터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가 모바일 라우터를 거쳐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전송된 알람 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갱신된 알람정보를 표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개폐시 수신범위 안쪽에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거주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었는지, 혹은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시큐리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문보안업체에 의해 시큐리티 시스템이 구축된 상태에서 침입자에 의해 보안업체와 귀금속 상점 간의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끊어지더라도 침입자가 도어를 강제로 열고 침입한 사실을 보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자신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보안업체에 의해 구축된 시큐리티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리미 시스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리미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단말기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단말기의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리미 시스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를 들어 보여준 예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거리에 따라 동작하는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와 연계되어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도어가 개폐된 사실 혹은 침입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된 사실을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리는 접속단말기와,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되었을 경우, 접속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외부에 있는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로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 사실을 전송하여 알리는 모바일 라우트와,
상기 접속단말기을 통해 전송된 도어의 개폐 사실 혹은 모바일 라우터를 통해 전송된 도어가 강제로 개폐 사실을 전송받아 확인하고 화면상에 디스플레하는 스마트단말기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감지장치는 도어를 개폐 사실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어를 열고 통과하는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나 혹은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도어를 오픈할 때 현관문 상단에서 자동으로 점등되는 램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인터폰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도어폰이거나 주변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일 수 있고, 특히 전자키나 비밀번호 입력 혹은 신체정보(지문, 홍채) 인식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상기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알려줄 수 있는 디지털 락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감지장치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접속단말기는, 상기 감지장치가 감지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확인하고,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여 알리거나, 혹은 거리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된 사실을 파악하여 모바일 라우터를 통해 원거리에 있는 스마트단말기로 보고하는 장치이다.
즉,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를 소지한 거주자가 도어를 열고 밖으로 나가게 되면, 상기 접속단말기는 감지장치인 디지털 락 장치나 센서 등을 통해 상기 도어가 동작한 사실을 전송받게 된다.
그리고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말기는 수신범위 이내에 혹은 설정된 거리 이내에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만일 수신범위 이내에 혹은 설정된 범위 이내에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있다면, 거주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거주자의 스마트단말기로 도어가 오픈된 사실을 전송하여 알린다.
또한, 도 3b와 같이, 거주자가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 외부에 있고,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되게 되면, 접속단말기는 수신범위 이내에 혹은 설정된 거리 이내에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거주자가 원거리에 있기 때문에 주변에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없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단말기는 거주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된 것이 아니라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강제로 오픈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는 실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모바일 라우터를 확인하고 원거리에 있는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 상기 도어가 강제로 오픈되었다는 사실을 전송하여 알려 주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문 보안업체가 없더라 개인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시큐리티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접속단말기는 홈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홈서버나 인터폰 등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락 장치 안쪽에 통신모듈을 내장하여 상기 접속장치와 감지장치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접속단말기는 후술할 모바일 라우터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접속단말기는 실시 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라우터를 통해 실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도 있지만, 인터넷 망을 통해 직접 보안회사의 메인서버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즉, 평상시 침입자가 침입한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 인터넷망을 통해 보안회사의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보고할 수도 있지만, 메인서버와 접속단말기의 네트워크 관계가 끊어질지라도 모바일 라우터를 통해 실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메인서버로 혹은 스마트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여 침입자가 강제로 도어를 오픈하고 침입한 사실을 보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안회사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끊겨 질지 라도 모바일 라우터를 통해 스마트단말기로 침입사실이 보고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자신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모바일 라우터는 접속단말기와 실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등록된 스마트단말기와 실외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때, 모바일 라우터는 IEEE 802.16e 표준을 따르는 와이맥스(Wi-MAX) 모듈을 내장하거나 혹은 IEEE 802.11b/g/n의 표준을 따르는 와이파이(WiFi) 모듈을 내장하여 접속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라우터는 4G망에 접속하여 직교주파수분할(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방식과 다중입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방식에 따라 고속의 패킷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모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GSM(Global Systme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ople Access) 또는 WCDMA(Wir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 Packet Access)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등록된 스마트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접속단말기가 전송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혹은 상기 도어가 침입자에 의해 강제로 개폐된 사실을 표출하여 알려준다.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과, 영상처리모듈, 메시지확인모듈, 타이머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며, 노출된 화면은 도 5a와 도 5b이다. 참고로, 도 5a와 도 5b는 상기 도 3a과 도 3b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거주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었을 경우와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 되었을 경우의 화면이다.
먼저, 메시지확인모듈은 상기 접속단말기가 전송한 알람정보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장소에 보관토록 한다. 참고로, 상기 메시지 확인모듈은 알람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이러한 사실을 제어모듈에 인가하여 지킴이 앱을 자동으로 구동토록 하거나 혹은 알람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바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은 지킴이 앱 구동시 메시지 확인모듈을 통해 전송받은 알람정보와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타이머모듈을 통해 언제 알람정보와 상태정보가 전송되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화면상에 전송받은 알람정보와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마지막으로 언제 상기 도어가 개폐되었는지 그리고 오픈된 도어가 강제로 개폐되었는지 표출하여 주도록 한다.
참고로, 타이머모듈은 지킴이 앱 구동시 제어모듈에 의해 전송받은 알람정보와 상태정보의 시각을 기록하고,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도어가 마지막으로 언제 개폐되었는지 체크하여 안내해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영상처리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컨트롤 되어 상태표시부에 마지막으로 도어가 언제 개폐되었는지 그 시각을 표출하여 주도록 하고, 더불어 개폐사실부에는 집형상의 아이콘 안쪽에 온/오프되어 있는 자물쇠 형상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집안이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는 혹은 강제로 도어가 오픈되어 있는지의 모습을 표출하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전문보안회사를 거치지 않더라도 언제 도어가 오픈되었는지 그리고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강제로 오픈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의 시큐리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첨부된 도 7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은 거주자에 의해 도어가 온/오프 되었을 경우의 알리미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거주자가 소지한 스마트단말기를 등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참고로, 스마트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수신범위 안쪽에 있는 AP(Access Point)를 검색한다. 이때 검색된 AP중 접속단말기를 확인하고 접속을 시도하게 되면, 상기 접속단말기는 접속을 시도한 스마트단말기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등록정보(ID,패스워드, 식별정보 입력)의 입력을 요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등록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접속단말기는 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등록하는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저장된 등록정보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 외에 스마트단말기의 식별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시간이 지난 후 거주자가 도어를 열고 외출하게 되면, 상기 감지장치는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생성된 감지정보는 접속단말기로 전송되어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보고하고, 상기 접속단말기는 감지장치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를 바탕으로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접속단말기는 수신범위 혹은 설정거리 이내에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있는지 스캔한다.
그리고 만일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수신범위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있게 된다면, 위치정보 혹은 식별정보를 접속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참고로, 이때의 위치정보는 GPS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정보일 수도 있으나, 단순히 수신범위 안쪽에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는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 또는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스마트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만일 수신범위 혹은 설정된거리 안쪽에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만일 수신범위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스마트 단말기가 있다면 거주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을 인식하고, 상기 도어가 거주자에 의해 개폐되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단말기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지킴이 앱이 구동되게 되면 전송받은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언제 마지막으로 도어가 개폐되었는지 갱신하여 표출하여 준다.
또한, 도 8은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온/오프 되었을 경우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먼저, 감지장치가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 접속단말기로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말기는 감지장치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를 확인한 후, 수신범위 안쪽에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가 있는 확인한다.
이때, 스마트단말기는 수신범위 밖에 있기 때문에 접속단말기는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나 식별정보 등을 전송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접속단말기는 거주자가 원거리에 있을 때 도어가 개폐된 것임으로 침입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된 것으로 인식하고, 침입사실을 알리는 알람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는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라우터를 확인한다. 그리고 지정된 스마트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호출하고, 해당 스마트단말기로 알람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접속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자동으로 지킴이 앱이 구동되면서 화면상에 도어가 강제로 오픈되었다는 사실을 표출하여 알려준다.
참고로, 실시 예에 따라 알람정보 수신시, 단순히 도어가 강제로 오픈되었다는 사실을 안내해는 알람음을 출력하여 거주자가 집안에 도둑이 침입한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안회사의 시큐리티 시스템과 연계되어 동작할 경우의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참고로, 거주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었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과정과 동일하다.
그리고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강제로 오픈되었을 경우에는, 먼저 카메라와 각종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감지장치를 동작시키는 버튼이나 스위치를 눌러 시큐리티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그리고 이후 침입자가 회사나 은행 등을 침입하게 되면, 상기 감지장치는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접속단말기로 보고하게 된다.
이때, 접속단말기는 감지정보를 확인하고,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된 사실을 확인하고 알람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말기는 보안회사의 메인서버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따라서 상기 접속단말기는 지정된 보안회사의 IP정보를 확인하고 생성된 알람정보를 메인회사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알람정보를 전송받은 메인서버는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어떠한 상점이나 회사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인지 인식한 후 경비대에게 출동지령을 내리게 된다.
이때, 만일 침입자가 접속단말기와 메인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끊고 침입하게 되면, 상기 접속단말기는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모바일 라우터를 확인하고 원거리에 있는 스마트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스마트단말기는 침입자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끊기더라도 모바일 라우터를 통해 전송된 알람 정보에 의해 침입자가 도어를 강제로 열고 침입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감지장치 20:접속단말기
30:모바일 라우터 40:스마트단말기
41:메시지확인모듈 42:제어모듈
43:타이머모듈 44:영상처리모듈
44a:개폐사실부 44b:상태표시부
50:메인서버

Claims (10)

  1.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와 연계되어 도어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범위 안쪽에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만일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수신범위 안쪽에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있을 경우 거주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하여 보고하는 접속단말기와,
    구동시 전송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상기 도어가 개폐된 시각과 거주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개폐되었다는 사실을 표출하여 알려 주는 스마트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말기와 실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외부에 있는 스마트 단말기와 실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모바일 라우터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수신범위 밖에 혹은 설정된 거리 밖에 존재할 경우, 침입자에 의해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된 것으로 판단하여 인식하고,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상기 모바일 라우터를 통해 실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는 접속단말기를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리미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접속단말기가 전송한 알람 정보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장소에 보관토록 하는 한편, 알람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는 제어모듈을 통해 알람음을 출력하거나 혹은 지킴이 앱을 자동으로 구동토록 하는 메시지확인모듈과,
    지킴이 앱 구동시 메시지확인모듈을 통해 전송받은 알람정보와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타이머모듈을 통해 언제 알람정보와 상태정보가 전송되었는지 갱신하여 표출토록 컨트롤하는 제어모듈과,
    전송받은 알람정보와 상태정보의 시각을 체크하여 언제 마지막으로 도어가 개폐되었는지 안내하기 위한 타이머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컨트롤 되어 상태표시부에 마지막으로 도어가 언제 개폐되었는지 그 시각을 표출하여 주는 한편,
    개폐 사실부에는 집형상의 아이콘 안쪽에 온/오프되는 자물쇠 형상의 아이콘을 겹쳐 디스플레이하여 도어가 거주자에 의해 개폐되었는지 혹은 침입자에 의해 강제로 개폐되었는지의 표출하여 주는 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말기는 보안회사의 메인서버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도어가 강제로 개폐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이를 메인서버로 보고토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리미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말기는 홈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인터폰이나 홈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리미시스템.
  6. 먼저, 스마트단말기는 수신범위 안쪽에 있는 접속단말기를 확인하고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단말기가 접속을 시도하는 스마트단말기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등록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접속단말기가 입력된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등록을 완료한 후, 감지장치가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면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접속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단말기가 전송된 감지정보를 확인하고, 수신범위 혹은 설정거리 안쪽에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있는지 스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가 수신범위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가 있다면 해당 스마트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가 거주자에 의해 오픈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는 거주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를 등록된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구동시 전송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상태정보를 갱신하여 표출하여 주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말기가 수신범위 안쪽에 혹은 설정거리 안쪽에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있는지 스캔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단말기가 수신범위 안쪽에 있는 스마트단말기로 위치정보/혹은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접속단말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위치정보 혹은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확인토록 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림 방법.
  8. 먼저, 스마트단말기는 수신범위 안쪽에 있는 접속단말기를 확인하고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단말기가 접속을 시도하는 스마트 단말기에게 등록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접속단말기가 입력된 스마트단말기의 등록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하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등록을 완료한 후, 도어가 개폐되게 되면, 감지장치가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단말기가 감지장치로부터 인가된 감지정보를 확인하고, 수신범위 혹은 설정거리 안쪽에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가 있는지 스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가 수신범위 혹은 설정된 거리 안쪽에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등록된 스마트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도어가 침입자에 의해 강제로 오픈되었다는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는 강제로 도어가 오픈되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실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모바일 라우터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는 모바일 라우터를 거쳐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전송된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갱신된 알람정보를 표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림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전송된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갱신된 알람정보를 표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알람 정보 수신시 자동으로 알람음이 출력되거나 혹은 지킴이 앱이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화면상에 알람정보를 표출하여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림 방법.
  10. 먼저 입출입을 감시하는 카메라와 각종 센서들로 이루어진 감지장치를 동작시켜 시큐리티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단계와, 도어 개폐시 상기 감지장치가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통해 상기 도어가 개폐된 사실을 감지하는 단계와 이를 접속단말기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접속단말기가 감지정보를 확인하고, 침입자에 의해 도어가 오픈된 사실을 인식하는 한편 알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메인서버의 IP주소를 확인하는 단계와, 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전송된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로 경비대를 출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침입자 알림 방법에 있어서,
    이후, 접속단말기가 거주자의 등록된 스마트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실외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모바일 라우터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단말기가 모바일 라우터를 거쳐 등록된 스마트 단말기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단말기가 전송된 알람 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상에 갱신된 알람정보를 표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침입자 알림 방법.
KR1020120001447A 2012-01-05 2012-01-05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0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447A KR20130080583A (ko) 2012-01-05 2012-01-05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447A KR20130080583A (ko) 2012-01-05 2012-01-05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583A true KR20130080583A (ko) 2013-07-15

Family

ID=4899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447A KR20130080583A (ko) 2012-01-05 2012-01-05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0583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93A1 (ko) * 2013-12-20 2015-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KR20150114373A (ko) * 2014-03-31 2015-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장 스펙트럼의 상관계수의 변화 패턴을 이용한 보안 감시 장치 및 그것의 보안 감시 방법
KR20150122399A (ko) * 2014-04-23 2015-11-02 (주)엘지하우시스 방범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07920A (ko) * 2014-07-10 2016-01-21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
KR101616267B1 (ko) * 2015-07-10 2016-04-28 (주) 가드텍 방범 모드 자동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13307B1 (ko) * 2015-08-17 2016-04-29 희 남 건물 위험 상황 통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7577A (ko) *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아마다스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WO2019031801A1 (ko) * 2017-08-08 2019-02-14 에이치아이엘(주) 스마트 문손잡이 커버
WO2019066521A1 (en) 2017-09-28 2019-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O2019139269A3 (ko) * 2018-12-19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장치
KR20200069274A (ko) * 2020-06-05 2020-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KR102188982B1 (ko) * 2020-05-12 2020-12-09 김지영 위치 기반 상태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75111A (ko) 2021-11-22 2023-05-31 (주)넥스트팩토리 활동 센서와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이용하여 댁내 경보 상황을 지능형으로 판단하는 시스템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6041B2 (en) 2013-12-20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KR20150072885A (ko) * 2013-12-20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CN105814917B (zh) * 2013-12-20 2020-06-1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家庭网络系统中的事件通知的方法和设备
CN105814917A (zh) * 2013-12-20 2016-07-27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家庭网络系统中的事件通知的方法和设备
US10721090B2 (en) 2013-12-20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WO2015093893A1 (ko) * 2013-12-20 2015-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KR20150114373A (ko) * 2014-03-31 2015-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장 스펙트럼의 상관계수의 변화 패턴을 이용한 보안 감시 장치 및 그것의 보안 감시 방법
KR20150122399A (ko) * 2014-04-23 2015-11-02 (주)엘지하우시스 방범 창호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07920A (ko) * 2014-07-10 2016-01-21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
KR20160107577A (ko) * 2015-03-04 2016-09-19 주식회사 아마다스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1616267B1 (ko) * 2015-07-10 2016-04-28 (주) 가드텍 방범 모드 자동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13307B1 (ko) * 2015-08-17 2016-04-29 희 남 건물 위험 상황 통지 시스템 및 방법
WO2019031801A1 (ko) * 2017-08-08 2019-02-14 에이치아이엘(주) 스마트 문손잡이 커버
WO2019066521A1 (en) 2017-09-28 2019-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0666453B2 (en) 2017-09-28 2020-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111149136A (zh) * 2017-09-28 2020-05-12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控制电子装置的方法
EP3673467A4 (en) * 2017-09-28 2020-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N111149136B (zh) * 2017-09-28 2022-02-1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控制电子装置的方法
KR20190036944A (ko) * 2017-09-28 2019-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9139269A3 (ko) * 2018-12-19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장치
KR102188982B1 (ko) * 2020-05-12 2020-12-09 김지영 위치 기반 상태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69274A (ko) * 2020-06-05 2020-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KR20230075111A (ko) 2021-11-22 2023-05-31 (주)넥스트팩토리 활동 센서와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이용하여 댁내 경보 상황을 지능형으로 판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0583A (ko)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US9965908B2 (en) Mobil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AU2018312581B2 (en) Supervising property access with portable camera
US20220301401A1 (en) Control access utilizing video analytics
US20190031146A1 (en) Vehicle security system
CN104967825A (zh) 一种看门电子狗系统
CN103247094A (zh) 电子门禁系统
US20190392691A1 (en) Entry security system and method
EP2592830A1 (en) Video door entry system
JP3722087B2 (ja) 監視方法、監視システム、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US20220383680A1 (en) Touchless smart storage box with face recognition system
JP3772878B2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サービス提供方法、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US11523485B1 (en) Reduced false alarms for outdoor IP security cameras
KR102343233B1 (ko) 도어락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20160057751A (ko)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JP4540456B2 (ja) 不審者検出装置
KR20110042813A (ko) 관리 대상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9612B1 (ko) 방범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803735B1 (ko) 보안 시스템
JP5048976B2 (ja) 警備装置、警備システム、携帯端末、警備方法、警備プログラム
KR100751676B1 (ko) 소리 검출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WO2019186789A1 (ja) 無線通信機及び入退室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