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735B1 -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735B1
KR100803735B1 KR1020060085938A KR20060085938A KR100803735B1 KR 100803735 B1 KR100803735 B1 KR 100803735B1 KR 1020060085938 A KR1020060085938 A KR 1020060085938A KR 20060085938 A KR20060085938 A KR 20060085938A KR 100803735 B1 KR100803735 B1 KR 10080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information
main processing
terminal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filed Critical 김선희
Priority to KR102006008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46Resolving address allocation conflicts; Testing of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8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specially adapted for link layer protocols, e.g.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or point-to-point protocol [PP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경비대상지역내의 비상상황 발생시에 각종 감지센서에 의한 비상상황에 관한 내용을 유동 IP주소로 TCP/IP 접속을 통하여 데이터통신망인 지역유선케이블망을 이용하여 보안서버로 전송하고, 이러한 비상상황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저비용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보안 시스템은 경비대상지역내의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보안서버를 구비한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경비대상지역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사용자 관련 자료의 입출력 및 보안 작동 유무의 모드설정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주처리보안단말기;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에 결합되고, 비상상황관련 정보에 관한 신호 및 사용자 관련 자료 등의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송출하거나 보안서버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통신모듈부; 상기 케이블통신모듈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경비대상구역의 비상상황관련 정보가 인가된 IP주소에 따라 PPP 접속 및 TCP/IP 연결을 통하여 보안서버로 전송되는 지역유선케이블망; 및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와 연결되고, 고유번호가 입력된 RFID카드의 정보를 식별/인식하여 주처리보안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카드리더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 시스템, RFID 카드, 유동 IP, 고정 IP, 감지센서

Description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
도 1은 종래의 보안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주처리보안단말기의 구서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처리보안단말기의 이상현상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안서버 200: 주처리보안단말기
210: 감지센서 220: 케이블통신모듈부
230: 카드리더기부 300: 지역유선케이블망
본 발명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경비대상지역내의 비상상황 발생시에 각종 감지센서에 의한 비상상황에 관한 내용을 유동 IP주소로 TCP/IP 접속을 통하여 데이터통신망인 지역유선케이블망을 이용하여 보안서버로 전송하고, 이러한 비상상황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저비용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2차 산업이 중심이 되었던 산업사회가 점차 지식 기반의 정보화사회로 변천됨에 따라서 그 과도기적인 사회변화에 의해 고실업률, 고물가, 저금리, 빈부격차 등의 역작용 산물이 발생하였다.
빈부격차와 고실업률 등은 각종 범죄에 노출된 사회풍토를 만들었으며, 이러한 사회 속에서 개인의 안전 및 사유 재산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보안 산업이라는 새로운 산업을 탄생시키게 하였다.
보안 산업은 개인의 안전 및 사유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사병 등이 존재했던 역사까지 거슬러 올라간 사회에서도 존재하였던 바, 최근에는 각종 전자 통신장비의 활성화에 의해 보안 시스템에 구성된 보안장비가 첨단화되었으며, 이러한 보안장비를 무력화시키는 범죄 장비 역시 첨단화되어 창과 방패 같은 기능으로서, 지속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예컨대, 첨부 도면 중, 도 1은 종래의 보안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는 개략도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안 시스템은 도난이나 침입감지를 행하는 각종 감지센서(10)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신호가 데이터통신망(20)을 통해 보안센 터(30)로 원격 송신되어 출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도난이나 침입감지신호가 발생하면 각종 경고음이 발생하고, 경광등이 구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감지센서(10)는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외부와의 경계구간인 창문이나 문에 설치하여 일정이상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등이 있는바, 이러한 감지 센서는 외출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설정되어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광등이나 경고음의 발생은 침입자로 하여금 침입 후 도난 행위시의 판단력을 순간 흐리게 함으로써 출동요원이 현장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 사유재산의 약탈 행위가 더 많이 진행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한국통신에서 제공하고 있는 KT선로망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의 사용에 따른 과다한 사용료로 인해 보안 시스템 자체의 유지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난이나 침입감지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받은 감지신호가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보안센터로 원격 송신되어 출동신호를 발생시키며, 이때 미리 지정된 IP주소에 따라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보안센터로 신호가 송신되는데, 이러한 고정된 IP주소를 사용함에 따른 IP주소의 부족을 가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데이 터 통신망으로서 기간망인 한국통신에서 제공하고 있는 KT선로망의 사용에 따른 과다한 사용료로 인한 통신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지역유선데이터망을 사용하여 일반인들이 저렴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처리보안단말기와 보안서버의 통신시 고정 IP주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동 IP주소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IP주소의 부족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보안 시스템은 경비대상지역내의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보안서버를 구비한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경비대상지역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사용자 관련 자료의 입출력 및 보안 작동 유무의 모드설정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주처리보안단말기;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에 결합되고, 비상상황관련 정보에 관한 신호 및 사용자 관련 자료 등의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송출하거나 보안서버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통신모듈부; 상기 케이블통신모듈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경비대상구역의 비상상황관련 정보가 인가된 IP주소에 따라 PPP 접속 및 TCP/IP 연결을 통하여 보안서버로 전송되는 지역유선케이블망; 및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와 연결되고, 고유번호가 입력된 RFID카드의 정보를 식별/인식하여 주처리보안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카드리더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는 각종 감지센서를 통해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증폭하는 감지부와; 보안설정 명령 및 각종 운용 등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고 표시하는 프로그램설정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침입감지신호나 사용자 관련 입력정보 및 각종 운용 등에 관한 상황을 인식하여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와; 제어프로그램, 주처리보안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 관련 정보가 저장된 롬, 및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침입감지정보와 보안 시스템의 이상현상 등의 정보가 저장된 램으로 구성된 메모리; 및 외부하드웨어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소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는 자신이 주메인 또는 서브가 될 것인지 여부를 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제1딥스위치, 및 서브가 되었을 경우 자신의 식별번호를 설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제2딥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에 연결시 감시센서의 연결 여부 및 감시센서의 종류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자신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된 감지센서메모리가 포함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안 시스템은 유동 IP주소에 따라 지역유선케이블망을 통해 주처리보안단말기와 보안서버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주처리보안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인 보안 시스템은 보안서버(100)와,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와, 케이블통신모듈부(220)와, 지역유선케이블망(300), 및 카드리더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안서버(100)는 경비대상구역내의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장소, 시간 및 비상내역을 파악한 후, 이를 해당 경비대상구역의 순찰요원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보안서버(100)는 하술할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며, 또한 가입자측에 설치된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와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여 이상 현상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는 경비대상구역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210)로부터 외부침입 등의 비상상황 상태를 감지한 후, 이 감지신호를 지역유선케이블망(300)을 통해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상기 보안서버(100)로 원격 전송하거나 상기 보안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원격제어가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러한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는 각종 감지센서(210)를 통해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증폭하는 감지부(201)와, 보안설정 명령 및 각종 운용 등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고 표시하는 프로그램설정부(201)와, 상기 감지부(201)를 통해 출력된 침입감지신호나 사용자 관련 입력정보 및 각종 운용 등에 관한 상황을 인식하 여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203)와, 제어프로그램, 주처리보안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 관련 정보가 저장된 롬 및 감지센서(210)에 의해 감지된 침입감지정보와 보안 시스템의 이상현상 등의 정보가 저장된 램으로 구성된 메모리(203'), 및 외부하드웨어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소켓부(20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의 프로그램설정부(201)에는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 자신이 주메인 또는 서브가 될 것인지 여부를 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제1딥스위치와,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 자신이 서브가 되었을 경우에 자신의 식별번호를 설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제2딥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는 상기 제1, 2딥스위치의 조작으로 독립된 유닛으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위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하위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를 연결하여 메인 및 서브로서 여러 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는 프로그램설정부(201)에 구비된 버튼을 동작하여 사용자 관련 정보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보안 설정 또는 해제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 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추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사용자 관련 정보의 등록은 상기 보안서버(100)와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서 각각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안서버(100)와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 사이의 데이터는 관련 데이터를 입력받 은 곳에서 각각 보안서버(100) 또는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로 전송하여 동기화된다.
먼저,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사용자를 추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구비된 시작버튼을 이용하여 작동을 시작하고(S1), 가입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S2), 가입자의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의 메모리에 사용자가 저장되고(S3), 보안서버(100)로 접속이 이루어진 후(S4), 보안서버(100)의 메모리에 사용자 추가가 이루어지며(S5), 다시 사용자측의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데이터 처리 정보를 전송이 이루어진다(S6).
또한, 상기 보안서버(100)에서 사용자 추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보안서버(100)에 사용자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면(S1'), 보안서버(100)의 메모리에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고(S2'), 사용자측의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로 접속이 이루어져(S3'), 사용자측의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의 메모리(203')에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며(S4'), 이를 다시 보안서버(100)로 사용자 정보완료의 데이터가 전송된다(S5').
한편, 첨부 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처리보안단말기의 이상현상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본 발명인 보안 시스템은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와 보안서버(100)와의 통신은 하술할 TCP/IP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보안 설정 후, 침입자의 선로 절단 등의 비상시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와 보안서버(100) 간의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보안센터에 구비되는 관리모터니에 즉시 통신 단절에 의한 이상 현상이 표시되며, 통신 단절시의 모든 이 상 현상에 대한 정보는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통신 재게시 이를 보안서버(1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210)는 도어감지센서, 인체감지센서, 충격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센서(210)는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형성된 입출력소켓부(204)에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센서로서, 이에 대한 각각의 상세한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210)는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의 입출력소켓부(204)에 연결시,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서 감지세서의 연결 여부 및 감시센서의 종류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감지센서(210) 자신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된 감지센서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통신모듈부(220)는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결합되어 비상상황관련 정보에 관한 신호 및 사용자정보 등의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송출하거나 보안서버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뎀이다. 이러한 케이블통신모듈부(220)는 지역유선케이블망(300)에 연결되어 상기 보안서버(100)에 보안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데, 이는 인가된 IP주소에 따라 PPP 접속 및 TCP/IP 연결을 통하여 지역유선케이블망(300)을 이용하여 보안서버(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IP주소는 유동 IP주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동IP주소 방식은 하나의 IP를 하나의 컴퓨터가 고정적으로 가지고 있는 고정IP주 소 방식과는 달리, 컴퓨터를 껐다 켰을때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 address resolution protocol)라는 신호를 보내어 DHCP server로부터 IP address를 할당받아 사용하고, 이를 반납 후 다시 받아오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고정 IP주소가 아닌 유동 IP주소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IP가 현실적으로 많이 부족한 상황에서 많은 사람이 본 발명인 보안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역유선케이블망(300)은 상기 케이블통신모듈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경비대상구역 비상상황관련 정보가 인가된 유동 IP주소에 따라 PPP 접속 및 TCP/IP 연결을 통하여 보안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망이다.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의 데이터통신망인 KT 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이를 이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사용료가 많아 보안 시스템의 구축에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일반인들이 쉽게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통신망으로서 지역유선케이블망(300)을 이용함으로써, 통신망 사용료를 종래 기술 대비 약 10%의 저가로 이용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저가의 보안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현재 KT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요금은 한 달에 35,000원의 유지비용이 들지만, 지역유선케이블망(300)을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의 경우 한 달에 3,500원의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드리더기부(230)는 13.56Mhz의 중간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카드와, 상기 카드에 입력된 정보를 읽고 처 리할 수 있도록 관련 운용프로그램이 입력된 카드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ID카드를 이용한 시스템은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으로서, RFID카드에 기입력된 정보를 읽어 무선주파수로 전송/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RFID카드에는 0~15까지의 섹터가 존재하고, 각 섹터에는 0~2번까지의 블록이 존재하며, 상기 각각의 블록에 관련정보의 기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인 RFID카드를 이용한 시스템은 기존의 데이터가 있는 카드(교통카드, 신용카드)의 데이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새로운 영역에 카드의 고유번호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데이터(카드 고유번호)를 그대로 주처리보안단말기 및 보안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RFID카드의 고유번호는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해 읽혀지며, 이로써 보안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안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를 통해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면, 각종 감지센서(210)로부터 경비대상지역내의 비상상황을 감시하고(S10), 감지부(201)를 통해 침입 등에 대한 비상상황이 감지되어 입력되면(S20), 컨트롤러(203)는 입력된 감지신호를 판독/해독한 후, 메모리(203')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침입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케이블통신모듈부(220)로 출력하고(S30), 지역유선케이블망(300)을 통해 TCP/IP 연결하여 보안서버(100)에 접속을 시도한다(S40).
상기 지역유선케이블망(300)을 통해 접속을 시도하여(S50) 보안서버(100)에 PPP 접속한 후(S60), 비상상황관련 데이터를 보안서버(100)로 전송하고(S70), 데이터가 전송이 이루어지면 TCP/IP 연결을 해제하여 PPP접속을 완료하게 된다(S80).
이 경우, 통신단절 등에 의한 이상현상이 발생하여 보안서버(100)로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내장된 메모리(203')에 이상현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보안센터의 관리모니터에 통신단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S90~S100), 추후 통신이 재게 되었을 때에 이상현상에 대한 정보가 보안서버(100)로 재전송하게 된다(S110).
한편, 사용자 관련 정보의 등록은 상기 보안서버(100)와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서 각각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안서버(100)와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 사이의 데이터는 관련 데이터를 입력받은 곳에서 각각 보안서버(100) 또는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로 전송하여 동기화된다.
그리고, 보안 설정 후 해제의 경우, 사용자가 RFID 카드를 이용하여 카드리더기부(230)에 인증 확인을 통하여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게 되면, 보안 해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는 보안서버(100)와의 양방향 통신에 의해 변경, 추가되는 소프트웨어의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는데, 먼저 업데이트, 추가된 드라이버 및 펌웨어를 보안서버에 등록시키면, 보안서버(100)는 새로 등록된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의 이전 버전을 비교하여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의 버전이 하위 버전일 경우 업데이트 내용을 전송하게 되 고, 업데이트 내용의 전송완료 후 보안서버(100)의 메모리에 주처리보안단말기(MPU,200)의 내용이 변경되었음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의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기간망인 한국통신에서 제공하고 있는 KT선로망을 사용하는 대신에 지역유선데이터망을 이용하여 통신함으로써, 통신비용을 기존 대비 10% 이상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 저렴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처리보안단말기와 보안서버의 통신시 고정 IP주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동 IP주소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IP주소 부족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경비대상지역내의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비상상황관련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보안서버를 구비한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경비대상지역내에 설치된 각종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원격 전송하고, 사용자정보의 입출력 및 보안 작동 유무의 모드설정을 통해 관련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주처리보안단말기;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에 결합되고, 비상상황관련 정보에 관한 신호 및 사용자정보 등의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송출하거나 보안서버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통신모듈부;
    상기 케이블통신모듈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에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경비대상구역의 비상상황관련 정보가 인가된 IP주소에 따라 PPP 접속 및 TCP/IP 연결을 통하여 보안서버로 전송되는 지역유선케이블망; 및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와 연결되고, 고유번호가 입력된 RFID카드의 정보를 식별/인식하여 주처리보안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카드리더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에 연결시 감시센서의 연결 여부 및 감시센서의 종류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자신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된 감지센서메모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는 각종 감지센서를 통해 출력된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증폭하는 감지부와; 보안설정 명령 및 각종 운용 등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고 표시 하는 프로그램설정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침입감지신호나 사용자 관련 입력정보 및 각종 운용 등에 관한 상황을 인식하여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와; 제어프로그램, 주처리보안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사용자 관련 정보가 저장된 롬, 및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침입감지정보와 보안 시스템의 이상현상 등의 정보가 저장된 램으로 구성된 메모리; 및 외부하드웨어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소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보안단말기는 자신이 주메인 또는 서브가 될 것인지 여부를 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제1딥스위치, 및 서브가 되었을 경우 자신의 식별번호를 설정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제2딥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유동 IP주소에 따라 지역유선케이블망을 통해 주처리보안단말기와 보안서버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시스템.
KR1020060085938A 2006-09-07 2006-09-07 보안 시스템 KR10080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938A KR100803735B1 (ko) 2006-09-07 2006-09-07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938A KR100803735B1 (ko) 2006-09-07 2006-09-07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735B1 true KR100803735B1 (ko) 2008-02-15

Family

ID=3934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938A KR100803735B1 (ko) 2006-09-07 2006-09-07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19U (ko) 2015-10-12 2017-04-20 (주) 비전에프에이 시트형 압력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57B1 (ko) 2003-06-30 2004-02-25 주식회사 가드텍 출입 통제 시스템과 연동하는 정보 보안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KR20060078203A (ko) * 2004-12-30 2006-07-05 메트로나코리아(주) 케이블 티브이 망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및 보안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957B1 (ko) 2003-06-30 2004-02-25 주식회사 가드텍 출입 통제 시스템과 연동하는 정보 보안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KR20060078203A (ko) * 2004-12-30 2006-07-05 메트로나코리아(주) 케이블 티브이 망을 이용한 원격 검침 및 보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19U (ko) 2015-10-12 2017-04-20 (주) 비전에프에이 시트형 압력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8427314B2 (en) Silent anti-theft protection system for goods presented to the public
US9179317B2 (en) Method for preventing the malicious use of a SIM card inserted in an M2M device and M2M device
US10484196B1 (en) System component installation
US201803592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of a cyber attack in a security system
KR20130080583A (ko)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US1044075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ctivating wireless connection
KR101211661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WO2016081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node authentication
CN111989671A (zh) 安全系统
JP3933976B2 (ja) 携帯電話を用いた警備システム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31284B2 (ja) 盗撮カメラ検知装置、盗撮カメラ検知システムおよび盗撮カメラ検知方法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0803735B1 (ko) 보안 시스템
KR102234164B1 (ko)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40114113A1 (en) Monitoring system
KR101999377B1 (ko) 이웃을 이용한 독거인의 위험상황 처리방법
JP2001307238A (ja) 防犯システム及び切削音検出方法
KR20110042813A (ko) 관리 대상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087772A (zh) 用于受保护财产的安全面板上的图像通知
KR100751676B1 (ko) 소리 검출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241993Y1 (ko) 유/무선 전자 무인경비시스템 신용정보조회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