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93893A1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93893A1
WO2015093893A1 PCT/KR2014/012584 KR2014012584W WO2015093893A1 WO 2015093893 A1 WO2015093893 A1 WO 2015093893A1 KR 2014012584 W KR2014012584 W KR 2014012584W WO 2015093893 A1 WO2015093893 A1 WO 20150938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vent
home device
mobile terminal
messag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25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세훈
김준형
공동건
천재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4031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5093893(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05,32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21090B2/en
Priority to EP20176827.2A priority patent/EP3739911B1/en
Priority to CN201480068104.4A priority patent/CN105814917B/zh
Priority to EP14872219.2A priority patent/EP3086577B1/en
Priority to CN202010459699.3A priority patent/CN111757281B/zh
Publication of WO20150938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93893A1/ko
Priority to US16/918,410 priority patent/US1151604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home network system.
  • the home network system refers to a system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home devices by connecting home devices installed in a home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 the change of specific information of the home devices in the home network system means that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home device.
  • an event of a home device may include opening a door of a refrigerator.
  • FIG.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for event notification of a general home device.
  • the mobile terminal 110 When the event occurs in the home device (for example, a refrigerator) (or when certain information is changed in the home device) in step 101, the mobile terminal 110 requests subscription to notify that the event has occurred. Request the home device 100 to the home device 100. That is, the home device 100 transmits an event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event (eg, a door open) in step 103. To send.
  • the home device for example, a refrigerator
  • the mobile terminal 110 requests subscription to notify that the event has occurred.
  • the home device 100 to the home device 100. That is, the home device 100 transmits an event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event (eg, a door open) in step 103. To send.
  • an application not used by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ff (that is, the application is not running). Therefore, if the application is not running, the mobile terminal 110 performs a subscription process with the home device 110.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receive event notif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event notification even if the applicati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is not runn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load on a push server.
  • a method of receiving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of a home device in a mobile terminal of a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receiving a push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f a home device in which an event occurs from a push server; Driving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home device.
  •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of a home device in a mobile terminal of a home network system receives a push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f a home device in which an event occurs from a push server, and receives the push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driving an application of the application and receiving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home device.
  • a method of transmitting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of a home device in a home device of a home network system may include: detecting an event; Transmitting an even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f a home device where the event occurred to a push server; And transmitting the event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 a device for transmitting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of a home device from a home device of a home network system detects an event and pushes an even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f the home device in which the event occurred.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event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 FIG.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for event notification of a typical home device
  • 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for event notification of a hom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for event notification of a hom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n event notification windo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ush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for event notification of a hom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a home device 200 having a control and communication function, a push server 220, and a mobile terminal 210.
  • the home device 200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a home and includes a smart home appliance, security devices, lighting devices, energy devices, and the like.
  • An event to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n event occurring in a smart home appliance, a security device, a lighting device, an energy device, and the like.
  • the smart home appliance may be a smart TV, an Internet TV, a general TV,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or a robot cleaner.
  • the security device may be a door lock, a security camera, a security sensor, and the like
  • the lighting device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device
  • the energy device may be a power meter, a power socket, an electrical outlet, a power strip, or the like.
  • the home devices may be, for example, personal computers (PCs), IP cameras, Internet phones, wired / wireless phones, mobile phones in the home, and the like.
  • the home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push server 220 according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push server 220, and push the reques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to the push server 220. It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to.
  • the home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push server 220 via a home gateway (not shown).
  • the push server 220 is a push service (eg, Samsung Push Platform) or GCM (Google Cloud) that receives specific event information using an operating system (OS) or a system level message service even when a specific service application does not operate. Message), etc.) server.
  • a push service eg, Samsung Push Platform
  • GCM Google Cloud
  • the push server 220 includes communication modules for communicating with the home device 200 according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 the push server 220 may register the information of the home device 200, control the operation and state of the home device 200, and collect and manag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home device 200.
  • the push server 220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nternet), that is, the IP network, allowing the connection by the mobile terminal 210 via the Internet,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10 May be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home device 200.
  • the push server 220 receives an event notification including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door open from the home device 200
  • the push server 220 transmits a push service for notifying the door opening to the mobile terminal 207 having a subscription relationship.
  • the event may be, for example, a refrigerator door open or a security camera intrusion detection.
  • the mobile terminal 210 execute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push server.
  • the mobile terminal 210 execute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that can communicate with a home device.
  • the application may be limited to be installed only in the mobile terminal 210 of the user who has passed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procedure.
  • home entertainment services such as Internet TV (IPTV), Smart TV, Video on Demand (VoD) through the Internet, data sharing, Internet telephony (eg, Voice over IP: VoIP)
  • home automation services such as home data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ideo telephony, remote control of home appliances, remote meter reading,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That is, the home network system connects and controls all types of home devices used in the home / outside home as one network.
  • the user may remotely access each home device provided in the home network system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the mobile terminal 210 from the outside.
  • the mobile terminal may be, for exampl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computer, a laptop, or the like. Access your home network system.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the mobile terminal 210 pushes a subscription for requesting to notify that the event has occurred. Request to the home device 200 through the 220. (Step 201 and Step 203) The mobile terminal 210 to receive the event notification is registered in advance to the home device 200 (that is, the mai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stration process is performed before this is made.) In addition, when the specific information is changed, the mobile terminal which wants to receive the specific information registers in advance with the push server 220. In operation 205, the home device 200 transmits an event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event (eg, a door open) to the push server 220.
  • an event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event (eg, a door open) to the push server 220.
  • the home device 200 transmits a message indicating that specific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to the push server 220.
  • the push server 220 provides the push service includ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ent to the mobile terminal 210 or the push service including the specific information changed to the mobile terminal 210.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210 may know that an event such as a door open has occurred in the home device 200.
  • the type of event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oor opening, but the type of event is, for example, motion detection, sound detection, fire detection, and gas detection. , A refrigerator event, an aircon event, a washer event, and the like.
  •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essage size that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push service is limited, and because the message size is large, it takes time to deliver the push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registered by the push server.
  •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ll individual events of the home device must be registered in the push server.
  • An embodiment that supplements these shortcomings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for event notification of a hom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310 when an event occurs in the home devices, the mobile terminal 310 receives a subscription through the push server 320 to request that the event be generated. In addition, when the specific information is changed, the mobile terminal 310 which wants to receive the changed specific information registers in advance with the push server 320.
  • the subscription process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310, which wants to receive an event notification, registers in advance with the home device 300.
  • the mobile terminal 310 assumes that the application is not running.
  • the home device 300 uses, for example, a device discovery operation and a presence server. The home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10 is not running in step 307. If the home device 300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10 is not running, the home device 300 determines an event (eg, a door) in step 309. Opening, etc.) is notified to the push server 320 through an event (or event message or push message) including the resource information in which the event occurred.
  • an event eg, a door
  • the event of step 309 may not include all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vent notification of step 321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vent of step 309 includes the minimum information that must be known to the mobile terminal 310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vent notification of step 321.
  • the minimum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the type of event, the URI of the home device, and the like.
  • the push server 320 provides the push message including the resource information on which the event occurred to the mobile terminal 310.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310 automatically drives the application in step 313.
  • the mobile terminal 310 displays a controllable information window on a notification bar of the mobile terminal 310.
  • the notification bar of the mobile terminal 3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home device 300 checks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10 is running in step 317.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9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10 is running, the home device 300 directly transmits an event notif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10 in step 321.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310 may know that an event such as a door open has occurred in the home device.
  • the home device 30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10 is running, the home device 300 directly sends an event notif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10 in step 321 by the request of the mobile terminal 310. Can transmit
  • the type of event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oor opening, but the type of event is, for example, motion detection, sound detection, fire detection, and gas detection. , A refrigerator event, an aircon event, a washer event, and the like.
  •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but also information not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as shown in FIG. 4.
  •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is resource information of the home device in which the event occurs.
  • the information 401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may be, for example, a resource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403.
  • URI resource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may include an indicator indicating the type of event.
  • Table 1 indicates an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event type (that is, values in Table 1).
  • the motion detection is set to "01”
  • the sound detection is set to “02”
  • the fire detection is set to "03”
  • Gas detection is set to "04”
  • the refrigerator event is set to "05”
  • the aircon event is set to “06”
  • the washing machine event is set to "07”. Can be.
  • the mobil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indicator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the mobile terminal can know the type of event that has occurred in the home device.
  •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may be a time when an event occurs, an identifier of a home device, status information of a home device, an alarm of a home device, an identifier of a push server, and the like.
  •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n event notification windo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may control an information window that can be controlled based on resource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the home device where the event has occurred).
  • resource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the home device where the event has occurred.
  • the notification bar of. 5 shows an example of such a notification bar 510.
  • the notification bar includes, for example, an execution icon 501, a stop icon 503, a 119 icon 505, and the like.
  • the 119 icon 505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vent type.
  • the shape of the notification bar may be added /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event, the typ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 the execution icon 501 is used when a control command to execute an operation of the home device is required.
  • the mobile terminal executes the smart home application.
  • the stop icon 503 is used when a control comm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ome device is needed.
  • a user gesture for example a touch
  • the mobile terminal stops the smart home application.
  • the 119 icon 505 is used to immediately call 119 when the event of the home device is fire detection.
  • detecting a user gesture on the 119 icon 505, for example, a touch the mobile terminal dials 119.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assumes that the application is not running in step 601. In step 603,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home device. In this case, when an event occurs in step 603 in the home device,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push message including resource information from the push server in step 605.
  • the resource information may include a URL.
  •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resour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executes the application in step 607.
  •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controllable information window based on the resour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sh message.
  • the mobile terminal may inform the home device that the application is running.
  • the home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driving the application.
  • the mobile terminal can request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to the home device in step 611. However, operation 611 can be omitted.
  •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 event notification (or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home device which confirm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running in step 613.
  •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home device, and then receives an event notification (or event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home device.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hom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me device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step 701. If it is detect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the hom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runs the app in step 703.
  • a device discovery operation, a presence server, and the like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10 is driven. In order to detect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home device may inquire whether the application is running. In addition, the home device may be notified that the application is running from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detect application driving of the mobile terminal.
  • step 707 the home device receives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request from a mobile terminal running an application. Operation of step 707 may be omitted.
  • the home device determine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running or receives an event notification message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home device transmits an event notification (or event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in step 709.
  • the event notification (or event notification message) in step 709 is the same as the notification message of FIG. 4.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ush ser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ush server receives an event no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home device where an event has occurred.
  • the push server converts the received event notification into a push message for providing a push service.
  • the push server transmits a push message including resource information (ie, information on the home device where the event occurred) to the mobile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n event notification even if the applicati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is not running.
  •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load of the push server.
  • the mobile terminal can correctly receive the notification message by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a separate push server.
  • the configuration,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push message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file data and / or the software may be, for example,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s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or the like, whether or not erasable or rewritable, or,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Memory such as a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or a machine (eg,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such as, for example, a compact disk (CD), a digital versatile disc (DVD), a magnetic disk or a magnetic tape It can of course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 ROM Read Only Memory
  • RAM random access memory
  • Memory such as a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 a machine eg,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 CD compact disk
  • DVD digital versatile dis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꺼져 있더라도, 이벤트 발생에 대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푸시 서버를 별도로 구비한다. 본 발명은 푸쉬 서버를 이용하여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푸쉬 서버에서 이동 단말로 전송되는 통지 메시지에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에 해당하는 리소스 정보가 포함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 내에 설치된 홈 디바이스(device)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홈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특정 정보가 변경되었다는 것은 홈 디바이스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는 일 예로, 냉장고의 문 열림 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도이다.
이동 단말(110)은 101 단계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일 예로, 냉장고)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또는 홈 디바이스에서 특정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 주기를 요청하는 가입(subscription)을 홈 디바이스(100)로 요청한다.(즉, 가입 과정) 그러면, 홈 디바이스(100)는 103 단계에서 이벤트(예컨대, 문 열림 등)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통지를 이동 단말(110)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은 사용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은 꺼져 있다.(즉,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니다.) 따라서, 이동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닌 경우, 홈 디바이스(110)와 가입 과정을 수행했더라도, 이벤트 통지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통지 메시지를 받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니더라도,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푸쉬 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서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 메시지 수신 방법에 있어서, 푸쉬 서버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과정; 및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서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 메시지 수신 장치에 있어서, 푸쉬 서버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디바이스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푸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디바이스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푸쉬 서버로 전송하고,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이벤트 알림창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동작 흐름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쉬 서버의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일 예로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은 동일한 의미이기 때문에 혼용하여 기재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는 것과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은 동일한 의미이기 때문에 혼용하여 기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어 및 통신 기능을 가지는 홈 디바이스(200), 푸쉬 서버(220), 및 이동 단말(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홈 디바이스만을 기재하였으나, 복수 개의 홈 디바이스들이 존재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홈 디바이스로 기재하기로 한다. 홈 디바이스(200)는 집 안(혹은 외부)에 위치하며, 스마트 가전기기, 보안기기(security devices), 조명기구(Lighting devices), 에너지 기기(Energy devices)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될 이벤트는 일 예로, 스마트 가전기기, 보안기기, 조명기구, 에너지 기기 등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 스마트 가전기기는 스마트 TV, 인터넷 TV, 일반 TV, 냉장고, 세탁기, 로봇청소기 등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기기는 도어락, 보안 카메라, 보안 센서 등이 될 수 있고, 조명기구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기구 등이 될 수 있고, 에너지 기기는 전력측정기, 전력 소켓, 전기 콘센트, 멀티탭 등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홈 디바이스들은 일 예로,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IP 카메라, 인터넷 전화, 유/무선 전화, 가정 내의 이동 전화 등이 될 수 있다.
홈 디바이스(200)는 유선 혹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푸쉬 서버(220)와 통신 가능하며, 푸쉬 서버(2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요구된 정보를 푸쉬 서버(220)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홈 디바이스(2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홈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푸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푸쉬 서버(220)는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지 않아도 OS(Operating System), 시스템 레벨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푸쉬 서비스(일 예로, SSP(Samsung Push Platform), GCM(Google Cloud Message) 등)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푸쉬 서버(220)는 홈 디바이스(200)과 유선 혹은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들을 구비한다. 또한 푸쉬 서버(220)는 홈 디바이스(200)의 정보를 등록하고, 홈 디바이스(200)의 동작 및 상태를 제어하고, 홈 디바이스(2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푸쉬 서버(220)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 즉, IP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해 이동 단말(210)에 의한 접속을 허용하며, 이동 단말(2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해당하는 홈 디바이스(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푸쉬 서버(220)은 홈 디바이스(200)로부터 문 열림 등의 관련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면, 가입(subscription) 관계를 맺은 이동 단말(207)로 문 열림을 알리는 푸쉬 서비스를 전송한다. 이벤트는 일 예로, 냉장고 문 열림, 보안 카메라 침입 탐지 등이 될 수 있다.
이동 단말(210)은 푸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설치한다. 이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210)은 홈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설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인증 절차를 통과한 사용자의 이동 단말(210)에만 설치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인터넷 TV(IPTV), 스마트 TV,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VoD) 등과 같은 홈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데이터 공유, 인터넷 전화(예컨대, Voice over IP: VoIP) 및 영상전화와 같은 홈 데이터 통신 서비스, 가전 기기의 원격제어, 원격 검침, 방범, 방재와 같은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부/외부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홈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한다.
한편, 사용자는 외부에서 이동 단말(210)과 같은 무선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 구비된 각 홈 디바이스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일 예로써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tablet) 컴퓨터, 노트북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업자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210)은 상기 홈 디바이스들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또는 특정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 주기를 요청하는 가입(subscription)을 푸쉬 서버(220)를 통해 홈 디바이스(200)로 요청한다.(201 단계 및 203 단계)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210)이 홈 디바이스(200)에 미리 등록한다.(즉,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등록 과정을 진행함) 또한 특정 정보 변경시,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이 푸쉬 서버(220)에 미리 등록한다. 그러면, 홈 디바이스(200)는 205 단계에서 이벤트(예컨대, 문 열림 등)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이벤트 통지를 푸쉬 서버(220)로 전송한다. 또는 홈 디바이스(200)는 205 단계에서 특정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푸쉬 서버(220)로 전송한다. 그러면, 푸쉬 서버(220)는 207 단계에서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푸쉬 서비스를 이동 단말(210)로 제공하거나 특정 정보가 변경되었음이 포함된 푸쉬 서비스를 이동 단말(21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10)은 홈 디바이스(200)에서 문 열림 등의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이벤트의 종류는 일 예로 문 열림으로 설명하지만, 이벤트의 종류는 일 예로, 움직임(motion) 검출, 소리(sound) 검출, 불(fire) 검출, 가스(gas) 검출, 냉장고(refrigerator) 이벤트, 에어컨(aircon) 이벤트, 세탁기(waxher) 이벤트 등이 있다.
전술한 실시 예는 푸쉬 서비스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 사이즈에 제약이 있고, 메시지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푸쉬 서버가 등록한 이동 단말에게 푸쉬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는 푸쉬 서버에 홈 디바이스의 개별 이벤트를 모두 등록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한 실시 예가 후술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는 상기 홈 디바이스에 직접 등록됨을 가정한다.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310)은 상기 홈 디바이스들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려 주기를 요청하는 가입(subscription)을 푸쉬 서버(320)를 통해 홈 디바이스(300)로 요청한다.(즉, 가입 과정) 또한 특정 정보 변경 시, 변경된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310)이 푸쉬 서버(320)에 미리 등록한다. 가입 과정은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310)이 홈 디바이스(300)에 미리 등록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301 단계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310)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음을 가정한다. 303 단계에서, 홈 디바이스에서 특정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즉,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홈 디바이스(300)는 일 예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 동작, 프리젠스 서버(presence server)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310)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확인한다.(305 단계) 홈 디바이스(300)는 307 단계에서 이동 단말(31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309 단계에서 이벤트(예컨대, 문 열림 등)가 발생하였음을, 이벤트가 발생한 리소스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Event)(또는 이벤트 메시지 또는 푸쉬 메시지)를 통해 푸쉬 서버(320)로 알린다. 309 단계의 이벤트는 텍스트 길이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후술될 321 단계의 이벤트 통지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없다. 따라서 309 단계의 이벤트에 포함된 정보는 321 단계의 이벤트 통지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이동 단말(310)로 꼭 알려줘야 하는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최소한의 정보는 예컨대, 이벤트의 종류, 홈 디바이스의 URI 등을 포함한다. 그러면, 푸쉬 서버(320)는 311 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리소스 정보를 포함한 푸쉬 메시지를 이동 단말(31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310)은 313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310)은 315 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리소스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가능한 정보창을 이동 단말(310)의 통지 바(notification bar)에 나타낸다. 이동 단말(310)의 통지 바는 후술될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홈 디바이스(300)는 317 단계에서 이동 단말(31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319 단계에서, 이동 단말(31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홈 디바이스(300)는 321 단계에서 이동 단말(310)로 직접적으로 이벤트 통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310)은 홈 디바이스에서 문 열림 등의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실시 가능한 예로써, 이동 단말(31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음이 확인되면, 이동 단말(310)의 요청에 의해, 홈 디바이스(300)는 321 단계에서 이동 단말(310)로 직접적으로 이벤트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이벤트의 종류는 일 예로 문 열림으로 설명하지만, 이벤트의 종류는 일 예로, 움직임(motion) 검출, 소리(sound) 검출, 불(fire) 검출, 가스(gas) 검출, 냉장고(refrigerator) 이벤트, 에어컨(aircon) 이벤트, 세탁기(washer) 이벤트 등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지 메시지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뿐만 아니라, 푸쉬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까지 포함한다.
도 3의 311 단계에서 푸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리소스 정보이다. 도 4에서는 푸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401)는 참조번호 403과 같이, 일 예로 리소스 URI(resource Uniform Resource Identifier)(또는 URI)가 될 수 있다.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URI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은 어떤 홈 디바이스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알 수 있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푸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이벤트 타입에 해당하는 지시자(즉, 표 1의 값)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KR2014012584-appb-T0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예컨대, 움직임(motion) 검출은 "01"으로 설정하고, 소리(sound) 검출은 "02"으로 설정하고, 불(fire) 검출은 "03"으로 설정하고, 가스(gas) 검출은 "04"으로 설정하고, 냉장고(refrigerator) 이벤트는 "05"으로 설정하고, 에어컨(aircon) 이벤트는 "06"으로 설정하고, 세탁기(washer) 이벤트는 "07"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지시자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은 홈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이벤트 종류를 알 수 있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푸쉬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홈 디바이스의 식별자, 홈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홈 디바이스의 알람, 푸쉬 서버의 식별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이벤트 알림창의 예시도이다.
도 5의 이동 단말의 이벤트 알림창이 디스플레이되기 이전에, 어떤 홈 디바이스에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의 313 단계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이 자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315 단계에서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한 리소스 정보(즉,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가능한 정보창을 이동 단말의 통지 바(notification bar)에 나타낸다. 도 5는 이러한 통지 바(510)의 일 예를 나타낸다. 통지바는 일 예로, 실행 아이콘(501), 중지 아이콘(503), 119 아이콘(505) 등을 포함한다. 119 아이콘(505)은 이벤트 타입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벤트의 타입, 이동 단말의 종류, 이동 단말의 특징 등에 따라 통지 바의 형태는 추가/변경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행 아이콘(501)은 홈 디바이스의 동작을 실행하라는 제어 명령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실행 아이콘(501)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서 터치를 감지할 경우, 이동 단말은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중지 아이콘(503)은 홈 디바이스의 동작을 중지하라는 제어 명령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중지 아이콘(503)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서 터치를 감지할 경우, 이동 단말은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을 중지한다.
119 아이콘(505)은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가 불 검출일 경우, 즉시 119로 전화할 때 사용된다. 119 아이콘(505) 상에서 사용자 제스처, 일 예로서 터치를 감지할 경우 이동 단말은 119로 전화를 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동 단말은 601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이 미실행 상태임을 가정한다. 603 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홈 디바이스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한다. 이때, 홈 디바이스에서 603 단계에서 이벤트 발생했을 경우, 605 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푸쉬 서버로부터 리소스 정보를 포함한 푸쉬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리소스 정보는 UR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리소스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이동 단말은 607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이동 단말은 609 단계에서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리소스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가능한 정보창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이동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임을 홈 다바이스에 알려 줄 수도 있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홈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611 단계에서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홈 디바이스로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611 단계의 동작은 생략 가능하다.
이동 단말은 613 단계에서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임을 확인한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또는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는 이동 단말은 613 단계에서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홈 디바이스로 요청한 후,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또는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홈 디바이스의 동작 흐름도이다.
홈 디바이스는 701 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 홈 디바이스는 703 단계에서 이동 단말의 앱 구동 여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디스커버리(device discovery) 동작, 프리젠스 서버(presence server)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310)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감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구동 여부를 문의할 수도 있다. 또한, 홈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감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임을 통지 받을 수 있다.
홈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이 앱이 실행되고 있지 않을 경우, 705 단계에서 푸쉬 서버로 이벤트를 통지한다. 이후, 홈 디바이스는 707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인 이동 단말로부터 이벤트 통지 메시지 요청을 수신한다. 707 단계의 동작은 생략 가능하다. 홈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임이 확인되거나 이동 단말로부터 이벤트 통지 메시지 요청을 수신하면, 709 단계에서 이벤트 통지(또는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709 단계에서 이벤트 통지(또는 이벤트 통지 메시지)는 도 4의 통지 메시지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쉬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푸쉬 서버는 801 단계에서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통지를 수신한다. 푸쉬 서버는 수신한 이벤트 통지를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푸쉬 메시지로 변환한다. 푸쉬 서버는 803 단계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리소스 정보(즉,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한 푸쉬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통지 메시지를 받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 아니더라도, 이벤트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푸쉬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푸쉬 서버를 통해 통지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이 정확하게 통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푸쉬 메시지의 구성, 저장 및 관리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파일 데이터 및/또는 상기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5)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서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 메시지 수신 방법에 있어서,
    푸쉬 서버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과정; 및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 수신 방법.
  2.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서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 메시지 수신 장치에 있어서,
    푸쉬 서버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 수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푸쉬 서버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가능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함.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통지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었음을 확인한 상기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메시지는 상기 이벤트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이동 단말로 알려줘야 하는 최소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통지 메시지는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를 모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함.
  7.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디바이스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푸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 전송 방법.
  8.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디바이스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 통지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푸쉬 서버로 전송하고, 이벤트 통지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 전송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푸쉬 서버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함.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통지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었음을 확인한 상기 홈 디바이스에서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함.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는 상기 홈 디바이스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함.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는 상기 홈 디바이스의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함.
  13.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푸쉬 서버에서 통지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푸쉬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 전송 방법.
  14.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푸쉬 서버에서 통지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홈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홈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푸쉬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지 메시지 전송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메시지는 상기 이벤트 통지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중 상기 이동 단말로 알려줘야 하는 최소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통지 메시지는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푸쉬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를 모두 포함함을 특징으로 함.
PCT/KR2014/012584 2013-12-20 2014-12-19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WO2015093893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05,323 US10721090B2 (en) 2013-12-20 2014-12-19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EP20176827.2A EP3739911B1 (en) 2013-12-20 2014-12-19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CN201480068104.4A CN105814917B (zh) 2013-12-20 2014-12-19 用于家庭网络系统中的事件通知的方法和设备
EP14872219.2A EP3086577B1 (en) 2013-12-20 2014-12-19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CN202010459699.3A CN111757281B (zh) 2013-12-20 2014-12-19 用于家庭网络系统中的事件通知的方法和设备
US16/918,410 US11516041B2 (en) 2013-12-20 2020-07-01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535A KR102121918B1 (ko) 2013-12-20 2013-12-20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KR10-2013-0160535 2013-12-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105,323 A-371-Of-International US10721090B2 (en) 2013-12-20 2014-12-19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US16/918,410 Continuation US11516041B2 (en) 2013-12-20 2020-07-01 Method and device for event notification in home network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893A1 true WO2015093893A1 (ko) 2015-06-25

Family

ID=5340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2584 WO2015093893A1 (ko) 2013-12-20 2014-12-19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721090B2 (ko)
EP (2) EP3086577B1 (ko)
KR (1) KR102121918B1 (ko)
CN (2) CN111757281B (ko)
WO (1) WO2015093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660B1 (ko) * 2013-09-23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21918B1 (ko) * 2013-12-20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KR102651875B1 (ko) 2016-05-04 202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965899B1 (en) * 2017-04-17 2021-03-30 Alarm.Co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a television into a connected-home monitoring system
EP3441951B1 (en) 2017-08-08 2020-03-18 Carrier Corporation Door lock with display unit
KR102090692B1 (ko) * 2018-11-20 2020-03-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락 및 창문 파손 감지 장치
CN110474980A (zh) * 2019-08-13 2019-11-19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数据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498A (ko) * 2004-02-19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전송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10047764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099428A2 (ko) * 2011-01-19 201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271769B1 (ko) * 2013-03-29 2013-06-05 황정철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조건의 조합을 이용한 상황 조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KR20130080583A (ko) * 2012-01-05 2013-07-15 (주)서원인텍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3921B2 (en) * 1997-07-01 2011-12-06 Advanced Technology Company, LLC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ppliances over a computer network
DE10232265B3 (de) * 2002-07-16 2004-02-26 Motorenfabrik Hatz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leuels einer Hubkolbenmaschine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101188573B1 (ko) * 2003-11-07 2012-10-05 감브로 룬디아 아베 필터용 펌프 호스를 지닌 단부 캡 조립체 및 이 단부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필터
US20080068995A1 (en) 2004-07-05 2008-03-20 Robert Skog Devices and Methods for Push Message Initiated Service
CN101218790A (zh) * 2005-07-04 2008-07-09 Sk电信股份有限公司 家庭网络系统及其控制方法、设置家庭网络系统的住宅网关的方法以及处理家庭网络系统的事件协议的方法
JP4777725B2 (ja) * 2005-08-31 2011-09-21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サーバ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39796B2 (en) * 2007-03-14 2010-11-23 Cisco Technology, Inc. Monitor for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s
CN101374117A (zh) * 2007-08-21 2009-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电子邮件的方法、电子邮件服务器和客户端
CN101729675B (zh) * 2009-12-24 2014-01-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彩信业务的适配方法及适配器装置
US20110195695A1 (en) * 2010-02-11 2011-08-11 Rashim Gupta Managing event distribution to application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02316423B (zh) 2010-07-06 201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方法、装置和系统
KR101552864B1 (ko) 2010-12-02 2015-09-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EP2666257B1 (en) * 2011-01-19 2019-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nhanced event notification in an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environment
US9477734B2 (en) * 2011-05-10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ta synch notification using a notification gateway
KR101276857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CN103023681B (zh) * 2011-09-22 2016-03-02 北京天成信宇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家居控制设备、更新方法
KR101896573B1 (ko) 2011-11-07 2018-10-05 주식회사 케이티 푸쉬 서버 및 단말
CN102497397A (zh) * 2011-11-30 2012-06-13 广东电子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家居监控系统及其方法
KR101822940B1 (ko) 2011-12-12 201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행 시간에 기초하여 장치 관리 명령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188653B (zh) 2011-12-27 2016-06-08 华为终端有限公司 接收数据的方法、发送数据的方法、移动终端和服务器
DE102012211715A1 (de) * 2012-07-05 2014-01-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kleidungsvorrichtung sowie eine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der Verkleidungsvorrichtung
KR102010295B1 (ko) * 2012-09-20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이의 푸시 서비스 방법
US8769030B2 (en) * 2012-09-28 2014-07-01 Google Inc. Device event notification registration through direct interaction with mobile device
CN102938787B (zh) 2012-11-14 2015-01-07 王玉娇 事件源设备和事件展示设备及相关方法
CN104349288B (zh) * 2013-07-25 2020-04-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消息传输方法及装置
WO2015066358A1 (en) * 2013-10-30 2015-05-07 Qwas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ssages via smpp bridge for multiple delivery channels and push notification management
KR102121918B1 (ko) * 2013-12-20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498A (ko) * 2004-02-19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전송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10047764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099428A2 (ko) * 2011-01-19 201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30080583A (ko) * 2012-01-05 2013-07-15 (주)서원인텍 도어 침입자 알리미 시스템 및 방법.
KR101271769B1 (ko) * 2013-03-29 2013-06-05 황정철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조건의 조합을 이용한 상황 조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086577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9911B1 (en) 2022-02-02
CN105814917A (zh) 2016-07-27
EP3739911A1 (en) 2020-11-18
KR102121918B1 (ko) 2020-06-11
US20170005825A1 (en) 2017-01-05
EP3086577A1 (en) 2016-10-26
EP3086577A4 (en) 2017-08-16
EP3086577B1 (en) 2020-07-01
CN111757281A (zh) 2020-10-09
US20200336330A1 (en) 2020-10-22
US11516041B2 (en) 2022-11-29
KR20150072885A (ko) 2015-06-30
US10721090B2 (en) 2020-07-21
CN111757281B (zh) 2022-05-24
CN105814917B (zh)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93893A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CN101771707A (zh) 实现终端间资源共享的方法、资源处理系统及终端
WO200909122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event of third party device in home network supporting upnp remote protocol
WO201102801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mote user interface in a home network
WO201109969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of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remote access
EP270780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of peripher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KR101460112B1 (ko) 동영상 출력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 감시 카메라를 포함하는 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WO2014035094A1 (ko) 통화 시도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1136526A2 (en)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and device therefor
WO2014084490A1 (en) Method of executing application installed in outside ser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ame
KR20180117989A (ko) 스마트 단말기와 IoT 디바이스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5093844A1 (ko) 마스터 게이트웨이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19135543A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169364A1 (ko)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JP5208076B2 (ja) 操作対象装置の周辺に存在する遠隔操作装置の離脱を検出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45140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WO2019189953A1 (ko) 이웃을 이용한 독거인의 위험상황 처리방법
EP2359528A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pplication deployment in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framework
WO2016080739A1 (ko) 방범방재 및 방송 통합 시스템
WO2011129630A2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device included in home network
WO2016117723A1 (ko) 화상형성장치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사용 시스템
JP2007164299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303427Y1 (ko) 블루투스 전화기
JP2007133736A (ja) 住棟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90114882A (ko) 컴퓨터 도난 감지 및 네트워크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72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10532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72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72219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