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853A -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 Google Patents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853A
KR20200086853A KR1020190003156A KR20190003156A KR20200086853A KR 20200086853 A KR20200086853 A KR 20200086853A KR 1020190003156 A KR1020190003156 A KR 1020190003156A KR 20190003156 A KR20190003156 A KR 20190003156A KR 20200086853 A KR20200086853 A KR 20200086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gar
bovin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현
Original Assignee
김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현 filed Critical 김병현
Priority to KR102019000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853A/ko
Publication of KR2020008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28Saccharose, suc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태나무 추출액 10~30중량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사탕 고유의 단맛과 함께 소태나무에서 유래되는 쓴맛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독특한 맛을 제공하며, 나아가 졸음을 방지하는 효능이 있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Apparatus for manufacturing vinyl cover for car seat}
본 발명은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태나무 추출액 10~30중량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사탕 고유의 단맛과 함께 소태나무에서 유래되는 쓴맛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독특한 맛을 제공하며, 나아가 졸음을 방지하는 효능이 있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나 노인들이 특히 좋아하는 기호식품 중 하나인 사탕은 주원료인 설탕이나 물엿에다 소비자들의 입맛에 따라 향료와 색소 등을 혼합하고, 이를 가열한 후 냉각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여서 제조된다.
이러한 사탕은 기본적으로 강한 단맛을 제공하는 식품이지만,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하기 위하여 주원료인 설탕이나 물엿에다 천연 생약성분들을 첨가한 기능성 사탕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10-0775964호(2007년 11월 06일)에는 삼백초 건조 분말을 함유하고 있어서 항산화 효능을 갖는 기능성 사탕의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10-0883835호(2009년 02월 09일)에는 동백꽃 및 동백잎에서 추출한 동백 엑기스를 포함하는 사탕 등의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10-1693752호(2017년 01월 02일)에는 도라지 발효추출물 50~60중량부와, 생강분말 20~25중량부, 및 곽향분말 20~25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식 또는 객담 개선용 발효 도라지 사탕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다.
한편,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는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활엽 교목으로서, 콰시노이드(quasinoids), 콰신(quassin), 피크라스민(picrasmin), 피크라신(picrasin), 이오논(ionone), 알칼로이드(alkalroids)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콰신(quassin)으로 인해서 소태나무 추출액은 강한 쓴맛을 나타낸다.
과거에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는 소태나무 추출액을 건위제, 구충제, 소화제, 염증 치료 등에 사용해 왔으며, 통상적으로 소태나무를 끓는 물로 장시간 달여서 제조한 열수 추출물을 복용하거나 외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리고, 종래에도 특허등록 제10-1245076호(2013년 03월 12일)에는, 소태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삼의 향기성분이 증가되는 산삼 배양근의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10-1262813호(2013년 05월 03일)에는 소태나무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10-1312025호(2013년 09월 17일)에는 혈관신생 억제효과와 인터루킨-4(IL-4), 인터페론-감마(IFN-γ)의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새로운 소태나무 추출액의 제조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특허등록 제10-0775964호(2007년 11월 06일) 특허등록 제10-0883835호(2009년 02월 09일) 특허등록 제10-1245076호(2013년 03월 12일) 특허등록 제10-1262813호(2013년 05월 03일) 특허등록 제10-1312025호(2013년 09월 17일) 특허등록 제10-1693752호(2017년 01월 02일)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사탕은 당연히 단맛이 나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사탕 고유의 단맛과 함께 은근하고 중독성이 있는 쓴맛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동시에 소태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은,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태나무 추출액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은, 세절(細切)한 소태나무를 중량비로 40~60배량의 정제수에 투입하고 이를 90~100℃의 온도에서1~2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여 수득된 것으로,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이 0.2~1 브릭스(Brix)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은, 설탕과 물엿이 1 : 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이 0.2~1 브릭스(Brix)인 소태나무 추출액 15~20중량부와, 이소말트 25~50중량부와, 바닐린 0.03~0.04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사탕 조성물은 사탕 고유의 단맛과 함께 소태나무에서 유래되는 은근하고 중독성 있는 쓴맛이 오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미각적 호기심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사탕 조성물을 소태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특유의 쓴맛으로 인해서 특히 수험생이나 운전자들의 졸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은,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태나무 추출액 10~3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탕은 본 발명에 따른 사탕 조성물의 기본이 되는 구성성분으로서 사탕 고유의 단맛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설탕은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의 강하고 자극적인 쓴맛을 마스킹 하여 부드럽고 중독성 있는 쓴맛으로 변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물엿은 상기 설탕과 함께 단맛을 제공하면서 특히 상기 설탕의 결정화를 방지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만일 상기 물엿을 사용하지 않고 설탕만으로 사탕을 성형할 경우,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설탕이 재결정화 되면서 사탕이 쉽게 부서지거나 날카로운 파편이 발생하여 입안에 상처를 입힐 우려가 있고,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은 설탕과 물엿이 중량비로 1 : 0.5~1.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사탕에 대한 물엿의 중량비가 0.5배량 미만이면, 사탕에서 설탕의 재결정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1.5배량을 초과하면,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의 쓴맛이 너무 강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은, 예컨대 세절(細切)한 1~2년생 소태나무를 건조하고, 이를 중량비로 40~60배량의 정제수에 투입하여 90~100℃의 온도에서1~2시간 동안 가열 농축한 다음,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여 얻어진 농축액이다. 이렇게 하면, 초기에 추출액으로 투입한 정제수의 사용량에 대비하여 그 부피가 약 30~40%로 감소되고,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이 0.2~1 브릭스(Brix) 인 농축액, 즉 소태나무 추출액이 수득된다.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에는 콰신(quassin)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강한 쓴맛을 나타낸다.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의 함량이 상기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만큼의 쓴맛을 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쓴맛이 너무 강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사탕 조성물은, 상기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말트 25~5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말트(isomalt)는 설탕과 같은 물리적 성질이 필요한 곳에 주로 사용되는 당알코올 형태의 설탕 치환체로서, 6-D-글루코피라노실-D-글루시톨과 1-Ο-β-D-글루코피라노실-D-만니톨의 동량 혼합물이다. 이러한 이소말트는 약간 흡습성이 있는 흰색의 결정으로서 냄새가 없고, 당도는 설탕의 45% 정도에 불과하지만 설탕과 비슷한 단맛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소말트는 설탕과 달리 혈당치와 인슐린을 상승시키는 부작용이 없으며, 체내 열량 이용률이 설탕의 약 1/2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가열에 의한 갈변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160℃까지 가열하여도 거의 분해되지 않으며, 다른 당류보다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식품가공 조건하에서 산과 알칼리에 안정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소말트의 함량이 상기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5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이소말트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가 없고, 반대로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설탕의 사용량이 감소하여 사탕의 단맛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사탕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소비자들의 기호에 따라 적정량의 향료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로는 예컨대 바닐린(vanillin)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색소로는 과자류에 사용하는 통상적인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소태나무 추출액에 대한 제조예와 상기 추출액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사탕 조성물을 제조하는 실시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제조예 1] 소태나무 추출액의 제조
1~2년생 국산 소태나무를 세절 및 건조하고, 정제수 2리터가 들어있는 추출용기에다 상기 소태나무 40g을 투입하였다. 상기 추출용기를 95~98℃의 온도에서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고 남겨진 농축액, 즉 소태나무 추출액 650cc를 수득하였다.
당도측정기(제품명; RHB-32ATC)를 이용하여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에 대한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0.5브릭스 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제조예 2] 소태나무 추출액의 제조
1~2년생 국산 소태나무를 세절 및 건조하고, 정제수 2리터가 들어있는 추출용기에다 상기 소태나무 40g과 설탕 50g을 투입하였다. 상기 추출용기를 95~98℃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고 남겨진 농축액, 즉 소태나무 추출액 720cc를 수득하였다.
당도측정기(제품명; RHB-32ATC)를 이용하여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에 대한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0.6브릭스 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실시예 1~3] 사탕 조성물의 제조
통상적인 사탕 제조용 농축용기에다 다음 [표 1]과 같은 배합비율로 바닐린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성분을 함께 투입하고 서서히 가열하였다. 이때, 실시예 1,2에서는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소태나무 추출액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3에서는 상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소태나무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농축용기의 온도가 145℃에 이르렀을 때 바닐린을 투입하고, 150℃에이를 때 까지 더 농축하여 사탕 제조용 액상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 액상 농축물을 냉각판에 부어서 유동성 슬러지 형태로 1차 냉각한 다음, 소정 형상의 성형틀에 부어서 2차 냉각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사탕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배합비율( g / 중량부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설 탕 1,500 / 50 1,800 / 60 1,200 / 40
물 엿 1,500 / 50 1,200 / 40 1,800 / 60
이소말트 1,500 / 50 750 / 25 1,500 / 50
소태나무 추출액 600 / 20 500 / 17 600 / 20
바닐린 1 / 0.03 1 / 0.03 1 / 0.03
[미각 시험]
어린이 3명, 청소년 3명, 성인 15명, 노인 3명으로 구성된 24명의 시식대상자(남자 14명, 여자 10명)를 선정하고, 상기 시식대상자들에게 각각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사탕을 무작위로 시식하게 하였다.
시험 결과, 어린이들은 모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더 이상 먹고 싶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나머지 시식대상자들은 대체로 상당한 관심과 호기심을 보였고, 일부 시식대상자들은 또 먹어 보고 싶다는 반응을 보였다.
특히 청소년들은 학습 시간 중에 졸음이 올 때 상기 사탕을 시식한 결과, 특유의 쓴맛으로 인해 졸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고, 또한 성인들은 운전 도중에 상기 사탕을 시식한 결과 졸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만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사탕들 사이에는 쓴맛과 단맛의 강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그 외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Claims (3)

  1. 설탕과 물엿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태나무 추출액 10~3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태나무 추출액은, 세절(細切)한 소태나무를 중량비로 40~60배량의 정제수에 투입하고, 이를 90~10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여 수득된 것으로,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이 0.2~1 브릭스(Br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3. 설탕과 물엿이 1 : 0.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이 0.2~1 브릭스(Brix)인 소태나무 추출액 15~20중량부와, 이소말트 25~50중량부와, 바닐린 0.03~0.04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KR1020190003156A 2019-01-10 2019-01-10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KR20200086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56A KR20200086853A (ko) 2019-01-10 2019-01-10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56A KR20200086853A (ko) 2019-01-10 2019-01-10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853A true KR20200086853A (ko) 2020-07-20

Family

ID=7183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56A KR20200086853A (ko) 2019-01-10 2019-01-10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85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64B1 (ko) 2006-09-22 2007-11-1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삼백초 사탕 제조 방법
KR100883835B1 (ko) 2008-06-27 2009-02-16 신선주 동백 엑기스 및 그 엑기스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과자, 사탕, 제리의 제조 방법
KR101245076B1 (ko) 2010-12-09 2013-03-18 (주)풀무원홀딩스 소태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산삼배양근의 향기 성분 증진 방법
KR101262813B1 (ko) 2009-12-15 2013-05-09 서정희 소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312025B1 (ko) 2011-04-26 2013-09-27 주식회사 참 존 소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추출물의 용도
KR101693752B1 (ko) 2014-11-11 2017-01-0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도라지 사탕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64B1 (ko) 2006-09-22 2007-11-1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삼백초 사탕 제조 방법
KR100883835B1 (ko) 2008-06-27 2009-02-16 신선주 동백 엑기스 및 그 엑기스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과자, 사탕, 제리의 제조 방법
KR101262813B1 (ko) 2009-12-15 2013-05-09 서정희 소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245076B1 (ko) 2010-12-09 2013-03-18 (주)풀무원홀딩스 소태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산삼배양근의 향기 성분 증진 방법
KR101312025B1 (ko) 2011-04-26 2013-09-27 주식회사 참 존 소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추출물의 용도
KR101693752B1 (ko) 2014-11-11 2017-01-0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도라지 사탕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53339A2 (en) Stevia based sweetening composition
KR20170063094A (ko) 꿀 및 부재료를 포함하는 캔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16772A (ko) 정미가 개선된 첨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JPS6141543B2 (ko)
RU2367215C1 (ru) Композиция ингредиентов для безалкогольного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лесовичок"
KR20170092956A (ko) 아로니아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초콜릿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3740B1 (ko) 야관문 추출물이 함유된 초콜릿 조성물 제조방법
KR20140074234A (ko) 한방약재를 이용한 총명 캔디 및 그 제조방법
RU2551096C1 (ru) Композитный пищевой сахаросодержащий продукт с уменьшенными питатель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JP4514210B2 (ja) 甜茶飲料
KR20200086853A (ko) 쓴맛이 나는 기능성 사탕 조성물
JPH08317781A (ja) 紅茶配合甜茶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56785B2 (ja) 月桃葉及び茎抽出物組成物、月桃葉及び茎抽出物含有飲食物、並びに月桃葉及び茎抽出物の呈味改善方法
JP2008278828A (ja) ブドウ果皮由来固形物を含有する呈味改善された油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4098B1 (ko) 산머루 비타민 캔디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머루 비타민 캔디
KR101025812B1 (ko) 알로에를 함유한 녹차잎 액상차 제조방법
KR20130050502A (ko) 오미자 석류혼합차의 제조방법
JP2002095414A (ja) 抹茶組成物および抹茶入り食品の製造方法
KR102268220B1 (ko) 수박, 레몬머틀 및 야관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상차 조성물
JPH0558904A (ja) 精神安定用食品
JPH0984553A (ja) 甜茶とミント類とを含む食品
JPH03292860A (ja) トンガットアリ抽出物含有チューインガム
KR100619425B1 (ko) 손바닥 선인장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KR20220006147A (ko) 커피가 함유된 사탕의 제조방법
JP2000093122A (ja) 抗炎症用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