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353A - 아코디언형 골반 절첩부를 갖는 측면 에어백 - Google Patents

아코디언형 골반 절첩부를 갖는 측면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353A
KR20200086353A KR1020207017376A KR20207017376A KR20200086353A KR 20200086353 A KR20200086353 A KR 20200086353A KR 1020207017376 A KR1020207017376 A KR 1020207017376A KR 20207017376 A KR20207017376 A KR 20207017376A KR 20200086353 A KR20200086353 A KR 2020008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airbag
airbag cushion
folded
accordion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321B1 (ko
Inventor
데렉 존 위스콤
찰리 폴 딘스데일
돈 래리 파커
테리 알란 휠라이트
앤드류 로렌스 홀리데이
크리스틴 엘리자벳 데비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8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5Pelv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전개시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골반 커버리지의 개선된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측면 에어백 쿠션, 측면 에어백 조립체, 및 커버 내에 측면 에어백 쿠션을 격납시키기 위한 관련 방법이 제공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은 바람직하게는 제1 말린 부분 및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을 포함하고, 전개시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은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더 양호한 골반 커버리지를 허용하는 개선된 타이밍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코디언형 골반 절첩부를 갖는 측면 에어백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안전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충격 또는 충돌의 사건 또는 발생에서 차량 탑승자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팽창가능한, 예를 들어 특히 착석한 차량 탑승자의 보호에 적합하거나 이를 위한 에어백 쿠션(airbag cushion), 및 그러한 에어백 쿠션을 절첩하거나 격납하기(stowing)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측면 에어백 쿠션의 사용은 현대의 자동차 기술에 널리 퍼져 있다. 전형적으로, 측면 에어백 쿠션은 차량의 내부 측면 구조 내에 또는 시트의 등받이 내에 저장 또는 위치되고, 충격 또는 충돌의 경우에, 측면 충격 또는 충돌 중에, 탑승자의 흉부, 복부 및 골반 구역들을 포함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을 돕는다.
새로운 측면 충격 내충돌성(crashworthiness) 요건, 및 내충돌성 요건의 충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때때로 더 통상적으로 "충돌 시험 더미(crash test dummy)"로 지칭되는 인체 모형 시험 장치(anthropomorphic test device, ATD)는 (특히 골반 영역 또는 구역 부근의) 시험 장치와 도어 라이너(door liner) 사이의 간극 또는 공간의 치수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은 새로운 시험 장치의 보다 넓은 골반으로 인해 골반과 도어 라이너 사이의 체적 내로 확장할 시간이 더 적을 수 있다.
차량 측면 충격 안전 구속(safety restraint)을 위한 점점 더 엄격한 성능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자동차 제조자 및 설계자에 의해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바와 같은 박형의 세련된 안전 구속 조립체 또는 모듈 설계를 제공하는 것은 산업계의 것들에 진행 중인 난제를 제기한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목적은, 예를 들어 전개시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골반 커버리지(pelvis coverage)의 개선된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개선된 측면 에어백 조립체, 개선된 팽창가능 절첩된 측면 에어백 쿠션, 및/또는 커버 내에 측면 에어백 쿠션을 격납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구체적인 목적은 전술된 문제들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골반 커버리지의 개선된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팽창가능 절첩된 측면 에어백 쿠션이 제공된다. 팽창가능 절첩된 측면 에어백 쿠션은 제1 말린 부분(rolled portion) 및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accordion folded portion)을 포함한다. 그렇게 절첩된 측면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은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개선된 원하는 골반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역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측면 에어백 조립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 에어백 조립체는 공동(cavity)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하는 벽을 갖거나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측면 에어백 조립체는 커버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팽창기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팽창기 장치는 작동시 팽창 가스를 제공하도록 작용하거나 역할한다. 조립체는 측면 에어백 쿠션을 추가로 포함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은 팽창기 장치의 작동시 팽창기 장치와 팽창 가스 유동 연통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은 격납 구성으로 커버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격납 구성의 측면 에어백은 제1 말린 주 부분(main portion) 및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distal portion)을 포함한다. 격납 구성은, 전개시 에어백 쿠션 내로의 또는 그 내부의 팽창 가스가 쿠션 말단 부분 내로 통과하기 전에 쿠션 주 부분을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하여야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팽창기 장치가 작동시 팽창 가스를 제공하여 연관된 측면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키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에서, 전개시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골반 커버리지의 개선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커버 내에 측면 에어백 쿠션을 격납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그러한 방법은 팽창기 장치를 커버와 결합시키는 단계; 및 측면 에어백 쿠션의 기부 주 부분(proximal main portion)에서의 유입 개구를 통해 팽창 가스 유동 연통하여 팽창기 장치를 측면 에어백 쿠션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은 기부 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말단 부분을 포함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의 기부 주 부분이 말려 제1 말린 주 부분을 형성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의 말단 부분은 절첩되어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전개시, 에어백 쿠션 내로의 또는 그 내부의 팽창 가스는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 내로 통과하기 전에 측면 에어백 쿠션의 기부 주 부분을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하여야 한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취해지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에어백 조립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면 에어백 조립체의 단순화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펼침 포맷(laid out format)의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combination)의 평면도.
도 4는 에어백 쿠션의 상부 섹션이 절첩된, 도 3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및 쿠션 조합체의 단순화된 측단면도.
도 6은 에어백 쿠션의 상부 좌측 코너가 추가로 절첩된, 도 4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7-7을 따라 취해진, 도 6에 도시된 커버 및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단순화된 측단면도.
도 8은 에어백 쿠션의 제1 주 부분이 부분적으로 말린 구성으로 있는, 도 6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버 및 쿠션 조합체의 단순화된 측단면도.
도 10은 에어백 쿠션의 제1 주 부분이 추가로 부분적으로 말린 구성으로 있는, 도 8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커버 및 쿠션 조합체의 단순화된 측단면도.
도 12는 에어백 쿠션의 제1 주 부분이 추가로 부분적으로 말린 구성으로 있고 추가로 부분적으로 말린 에어백 쿠션이 반대편으로 변위된, 도 10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 및 쿠션 조합체의 단순화된 측단면도.
도 14는 커버가 이제 뒤집혀 있는, 도 12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평면도.
도 15는 이제 에어백 쿠션의 주 부분이 커버 내로 삽입된, 도 14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평면도.
도 16 내지 도 20은 커버가 연관된 팽창기 장치를 수용하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말단 부분의 순차적 아코디언형 절첩을 추가로 도시하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단순화된 개략 측면도.
도 21은 이제 에어백 쿠션의 말단 부분이 또한 커버 내로 삽입된 것을 추가로 도시하는, 도 15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그리고 적용 표면에 적용된 바대로의 측면 에어백 조립체의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조립된 측면 에어백 조립체의 평면도.
도 24는 커버의 폐쇄 플랩(closure flap)의 폐쇄를 추가로 도시하는, 도 23에 도시된 커버, 팽창기 장치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측면도.
도 25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커버, 팽창기 장치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태양에 따른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골반 부분을 갖는 측면 에어백 및 표준 절첩된 측면 에어백 쿠션의 전개의 시간 관찰 비교를 도시하는 도면.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가 더욱 완전히 기술될 것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지 않은 소정의 표준 요소는 예시와 이해를 용이하게 할 목적을 위해 도면으로부터 생략 또는 제거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 장치, 및 방법의 예와 같은 많은 특정 상세사항이 기재된다. 특정 상세사항이 채용될 필요가 없다는 것과,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공정, 잘 알려진 장치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이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이제, 몇몇 도면들 전반에 걸쳐 유사한 도면 부호들이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지시된 측면 에어백 조립체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측면 에어백 쿠션 및 연관된 에어백 팽창가능 구속 시스템 설치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히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지만, 당업계에서 숙련되고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 내용에 의해 안내되는 자는 본 발명이 요구될 수 있는 바대로 예를 들어 무릎 에어백, 운전자 및 승객 전방 에어백을 포함한 다른 유형 또는 종류의 에어백 조립체에의 일반적인 적용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가 반드시 그렇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며, 예를 들어, 예컨대 밴(van), 픽업 트럭, 및 특히 자동차를 포함한 자동차 차량을 위한 다양한 구속 조립체에서의 응용을 발견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면 에어백 조립체(10)는 커버 또는 랩(wrap)(12), 팽창기 장치(14), 및 측면 에어백 쿠션(16)을 포함하며, 이때 측면 에어백 쿠션(16)은 그러한 고속 충격의 경우에 전개시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개선된 골반 커버리지 타이밍을 야기하거나 제공하거나 생성하는 방식으로 절첩되고 달리 격납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같은 측면 에어백 쿠션(16) 및 연관된 측면 에어백 조립체 구성요소의 그러한 절첩 및/또는 격납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내에서의 적절한 통합에 특히 적합한 패키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커버 또는 랩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팽창기 장치(14) 및 절첩되고 격납된 에어백 쿠션(16)을 수용하거나 보유하기 위해,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공동" 또는 "포켓"으로 지칭되는 바와 같은 수용 체적(18)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거나 형상화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팽창기 장치(14)는, 작동시,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되거나 채용되는 것과 같은 팽창 가스를 제공하도록 역할한다. 당업계에서 숙련되고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 내용에 의해 안내되는 자는 팽창기 장치 및 에어백 쿠션이 팽창 가스 유동 연통으로 조립체 내에 적절하게 배치된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팽창기 장치는 팽창기 장치로부터 배출되거나 해제된 팽창 가스가 에어백 쿠션 내로 직접 배출 또는 해제되어 에어백 쿠션의 팽창을 야기하도록 에어백 쿠션 내에 보관 또는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는 반드시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천 확산기(fabric diffuser) 등이 팽창기 장치와 에어백 쿠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 재료는 팽창 가스가 배출되거나 해제되어 나오는 팽창기 장치의 부분과 팽창될 에어백 쿠션 섹션 또는 격실 사이에 배치된 재봉선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에 적절히 격납되기 위한 에어백 쿠션(16)의 절첩 및 측면 에어백 조립체(10)의 패키징이 이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3으로 가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조합체(20)를 형성하는 커버(12) 및 측면 에어백 쿠션(16)이 펼침 포맷으로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 및 커버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은 나일론 66 등 또는 등가물로 제조 또는 구성될 수 있다. 커버 또는 래퍼(wrapper)는 폴리에스테르 등 또는 등가물로 제조 또는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펼침 포맷에서, 측면 에어백 쿠션(16)은, 초기에 평평해지고 펴진 형태로 펼쳐진다. 에어백 쿠션(16)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 쿠션은, 절첩되고, 예컨대 절반으로 또는 다른 선택된 절첩된 형태로 절첩되고, 재봉된 시임(seam)(21)에 의해 또는 이를 이용하여 주연부 주위에서 적절하게 결합되는 에어백 쿠션 주 패널을 형성하거나 이를 포함하여, 에어백 쿠션이 적절한 팽창시 확장되어 충격 흡수 쿠션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설계 및 구성의 에어백 쿠션이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가 반드시 특정 또는 특별 형태 또는 구성의 에어백 쿠션에 의해 또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한다면, 하나 이상의 재봉된 시임에 의해 결합되거나 연결되는 것과 같은 전방 및 배면 쿠션 패널들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다편(multiple piece) 구성의 에어백 쿠션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6)은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작동 동안에 팽창 가스가 에어백 쿠션으로부터 적절하게 해제되거나 통기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배기 통기 개구(22, 24)를 포함하거나 가질 수 있다. 에어백 쿠션(16)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팽창기 장치-관련 개구(26)(더 큼) 및 팽창기 장치-관련 개구(28)(더 작음)를 포함하거나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기 장치는 개구(26)를 통해 쿠션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팽창기 장치에 부착되거나 이로부터 연장되는 스터드(stud) 등의 특징부가, 예를 들어 쿠션을 팽창기 장치 상에 부착하도록 역할하도록, 개구(28)를 통과할 수 있다.
예시된 펼침 포맷에서, 커버(12)는 뒤집힌 형태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전방 패널(30) 및 후방 또는 배면 패널(32)과 같은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는 대체로 대향된 제1 및 제2 단부(34, 36)들과, 대체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부(38, 40)들을 형성하거나 포함하는데, 이때 전방 패널(30) 및 후방 패널은, 예를 들어 제1 단부(34)를 따르고 제1 단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및 제2 측부(38, 40)들을 따라 연장되는 재봉된 시임(41)에 의해, 함께 결합 또는 연결된다.
후방 패널(32)은 제1 측부(38)에 배치되거나 위치된 것과 같은 측부 폐쇄 플랩(42), 제2 단부(36)에 배치되거나 위치된 것과 같은 저부 폐쇄 플랩(44), 및 저부 폐쇄 플랩(44)의 제1 측부(38)로부터 연장하는 것과 같은 래퍼 탭(45)을 형성하거나 포함한다. 측부 폐쇄 플랩(42)은 바람직하게는, 에어백 쿠션(16) 내의 연관된 팽창기 장치-관련 개구(26, 28)들과 일치하는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팽창기 장치-관련 개구(46)(더 큼) 및 팽창기 장치-관련 개구(48)(더 작음)를 형성하거나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30)은 예를 들어 커버(12) 내에 수용된 팽창기 장치의 후속적인 부착 또는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착 노치(4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계에서 숙련되고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 내용에 의해 안내되는 자는 다양한 설계의 커버, 랩 또는 하우징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며, 형태 및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가 반드시 본 발명의 특정 응용에 이용되는 커버 요소의 설계, 형태 또는 구성에 의해 또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로 가면, 도 3에 도시되고 커버(12)와 측면 에어백 쿠션(16)으로 구성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20)는 이제, 에어백 쿠션(16)의 상부 섹션(50)이 이제 적절히 절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되고 커버(12)와 측면 에어백 쿠션(16)으로 구성되지만 이제 에어백 쿠션(16)의 상부 좌측 코너(54)가 예를 들어 커버 내에서의 에어백 쿠션의 후속적인 격납을 용이하게 하도록 추가로 절첩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20)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되고 커버(12)와 측면 에어백 쿠션(16)으로 구성되지만 이제 에어백 쿠션(16)의 자유 단부(58)(즉, 커버에 부착된 단부로부터 반대편에 있는 에어백의 단부)가 전방으로부터 배면으로 말린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20)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되고 커버(12)와 측면 에어백 쿠션(16)으로 구성되지만 이제 에어백 쿠션(16)의 자유 단부(58)가 예를 들어 4개의 180° 내측 롤을 형성하도록 전방으로부터 배면으로 추가로 말린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20)를 도시한다. 당업계에서 숙련되고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 내용에 의해 안내되는 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그러한 롤의 개수는 그러한 절첩된 또는 격납된 조립체를 채용하는 특정 또는 특별 응용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되고 커버(12)와 측면 에어백 쿠션(16)으로 구성되며 절첩이 추가의 180° 외측 롤을 통해 진행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20)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2와 도 13에 도시되고 커버(12)와 측면 에어백 쿠션(16)으로 구성되지만 이제 커버(12)가 그의 작동 형태로 그리고 예를 들어 깨끗한 외양을 제공하도록 뒤집힌 상태인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20)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되고 커버(12)와 측면 에어백 쿠션(16)으로 구성되지만 이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6)의 말린 상단 또는 상부 부분이 커버(12)의 전방 및 후방 패널(30, 32)들 사이에 형성된 포켓(18) 내에 적절하게 격납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20)를 도시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의 그렇게 격납된 말린 부분은 연관된 팽창기 장치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즉 대체로 측방향으로 나란히 격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격납된 에어백 쿠션(16)은 에어백 쿠션(16)의 말린 상단 또는 상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것과 같은 말단 부분(60)을 포함한다.
도 16 내지 도 20은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되고 커버(12)와 측면 에어백 쿠션(16)으로 구성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20)의 단순화된 개략 측면도로서, 커버(12)가 연관된 팽창기 장치(14)를 수용하는 것을 또한 도시하고,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에어백 쿠션(16)의 말단 부분(60)의 순차적인 아코디언형 절첩을 추가로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 쿠션 말단 부분(60)을 도시한다.
도 17은 에어백 쿠션 말단 부분(60)의 아코디언형 절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1 절첩부(63)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절첩 블레이드(62)의 적용을 도시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추가의 절첩 블레이드(64, 66, 68, 70, 72, 74, 76)들의 후속적인 순차적인 부가 및 후속적인 순차적으로 형성된 아코디언형 절첩부(65, 67, 69, 71, 73, 75, 77)들을 도시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적합한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은 대체로 단순한 지그재그 또는 전후 절첩부들을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2개의 인접한 절첩부는 예를 들어 아코디언의 벨로우즈(bellows)와 유사한 것과 같은 주름들을 형성하거나 나타내기 위해 반대 방향들로 진행한다.
인접한 절첩부들 사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더 균일한 외양을 제공하거나 야기하도록 대체로 균일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는 인접한 절첩부들 사이에 상이한 길이들을 갖는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이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므로 반드시 그렇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1은 도 15에 도시된 커버 및 측면 에어백 쿠션 조합체를 도시하지만, 이제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처리로부터 기인하는 것과 같은, 또한 커버(12) 내로 삽입된 에어백 쿠션(16)의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60)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그리고 차량 내의 에어백 모듈의 부착을 위한 시트 프레임 또는 다른 적합한 표면과 같은 적용 표면(A)에 적용된 바와 같은 측면 에어백 조립체(1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에어백 조립체(110)는, 예를 들어 현대의 자동차 차량 설계에 포함시키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는 그리고 예를 들어 자동차 제조자 및 설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바람직하게는 좁은 또는 슬림한 측면 프로파일을 제공하거나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측면 에어백 설치는 전형적으로 탑승객의 시트 내에서의 에어백 모듈 또는 조립체의 포함 또는 통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또는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박형 에어백 모듈 및 조립체는 차량 인테리어, 예컨대 승객 시트 내에서의 측면 에어백 모듈 또는 조립체의 포함 또는 통합을 허용하거나 용이하게 하면서, 더 큰 차량 설계 유연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바대로 시트 스타일링이 세련되고/되거나 박형인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허용 또는 가능하게 한다.
도 23 내지 도 25는 팽창기 장치(14) 및 측면 에어백 쿠션(16)을 수용하는 커버(12)를 도시하며, 이때 쿠션의 제1 말린 주 부분 및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이 커버(12) 내에 적절히 내장되거나 격납된다.
저부 폐쇄 플랩(44)은 절첩된 쿠션 주위에 부착되며, 예를 들어 당업계에 알려진 방식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절첩된 에어백 쿠션을 제위치에서 보유하고 차량 설계 패키징 요건을 유지하도록, 팽창기 장치(14)로부터 연장되는 팽창기 스터드에 부착된다.
도 1 및 도 2로 돌아가면, 팽창기 장치(14)와 연관된 와이어 하니스(80)가 적절하게 위치되고, 래퍼 탭(45)은 하니스를 제위치에서 적절히 보유하도록 와이어 하니스(80) 둘레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더 넓은 실시가 반드시 치수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쿠션 체적의 10% 이상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의 형태인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됨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쿠션 체적의 65% 이하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의 형태인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됨이 밝혀졌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 체적의 30% 이상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의 형태인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됨이 밝혀졌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 체적의 55% 이하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의 형태인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됨이 밝혀졌다.
소정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 체적의 40% 이상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의 형태인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됨이 밝혀졌다.
소정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 체적의 50% 이하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의 형태인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됨이 밝혀졌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쿠션 체적의 약 45%가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코디언형 절첩부(들)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20 리터의 팽창 체적을 갖는 에어백 쿠션의 경우, 약 8.9 리터의 에어백 쿠션 체적은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코디언형 절첩부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에어백 조립체에서, 측면 에어백 쿠션은 측면 에어백 쿠션이 격납 구성으로 커버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팽창기 장치의 작동시 팽창기 장치와 팽창 가스 유동 연통한다. 그러한 격납 구성에서, 에어백 쿠션은 제1 말린 주 부분 및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을 포함하고, 전개시, 에어백 쿠션 내로의 또는 그 내부의 팽창 가스는 쿠션 말단 부분 내로의 통과 전에 쿠션 주 부분을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하여야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태양에 따른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골반 부분을 갖는 측면 에어백 및 표준 절첩된 측면 에어백 쿠션의 전개의 시간 관찰 비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태양에 따른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골반 부분을 갖는 측면 에어백 쿠션은 매우 양호한 커버리지 타이밍 결과를 제공하거나 야기하였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팽창기 장치가 작동시 팽창 가스를 제공하여 연관된 측면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키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에서, 예를 들어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더 양호한 또는 개선된 골반 커버리지를 허용하거나 가능하게 하거나 야기하기 위해, 전개시 개선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커버 내에 측면 에어백 쿠션을 격납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그러한 방법은 팽창기 장치를 커버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팽창기 장치는 측면 에어백 쿠션의 기부 주 부분에서의 유입 개구를 통해 팽창 가스 유동 연통하여 측면 에어백 쿠션과 결합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은 기부 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말단 부분을 포함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의 기부 주 부분이 말려 제1 말린 주 부분을 형성한다. 측면 에어백 쿠션의 말단 부분은 적절히 절첩되는데, 즉 아코디언형 절첩되어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을 형성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전개시, 측면 에어백 쿠션 내로의 또는 그 내부의 팽창 가스는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 내로 통과하기 전에 측면 에어백 쿠션의 기부 주 부분을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측면 에어백 쿠션의 아코디언형 절첩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자동차 제조 차량 설계 요구 및 기대를 충족시키도록, 바람직하게는 박형인 형상 또는 패키징을 야기하거나 생성하거나 형성하면서 동시에 또는 함께, 매우 양호한 전개 커버리지 및 타이밍을 제공하거나 생성하는 에어백 쿠션 및 연관된 조립체를 제공하거나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측면 에어백 쿠션의 아코디언형 절첩은 바람직하게는, 측면 에어백 쿠션에 대한, 그리고 차량 탑승자와 차량 측면 도어 또는 패널 사이의 점점 더 좁아지는 설계 간극 또는 공간 내로 에어백 쿠션을 적절하게 전개시키는 연관된 조립체에 대한 설계 요구들을 해결하면서, 또한 측면 에어백 쿠션 및 연관된 조립체에 부과되는 점점 더 요구되는 천장골(sacroiliac) 힘 제한을 충족시킨다.
당업계에서 숙련되고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 내용에 의해 안내되는 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 및 그러한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을 통합하거나 이용하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뿐만 아니라 연관된 방법이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더욱 엄격한 측면 충격 내충돌성 요건의 충족을 돕도록 역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USNCAP 시험에 사용되는 현재의 ES-2re ATD보다 대체로 더 넓은 골반 구역을 갖거나 나타내는 WorldSID ATD와 같은 인체 모형 시험 장치(ATD)를 사용하여 사용되거나 시험될 때, 향상된 성능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ATD에서의 그러한 변화는 (특히, 골반 영역 또는 구역 부근의) 시험 장치와 도어 라이너 사이의 간극 또는 공간의 치수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팽창가능 에어백 쿠션은 새로운 시험 장치의 보다 넓은 골반으로 인해 골반과 도어 라이너 사이의 체적 내로 확장할 시간이 더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산업계의 것들에 진행 중인 난제를 제기하는, 차량 측면 충격 안전 구속을 위한 점점 더 엄격한 성능 기준의 만족을 제공하거나 야기하면서 동시에 자동차 제조자 및 설계자에 의해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바와 같은 박형의 세련된 안전 구속 조립체 또는 모듈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
수단+기능 한정 또는 단계+기능 한정이 어구(들) "~을 위한 수단" 또는 "~을 위한 단계"를 각각 사용하여 주어진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는 한, 청구범위는 그러한 한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고 그러한 한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본 명세서에 적절히 예시적으로 개시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어떠한 요소, 부분, 단계, 구성요소, 또는 성분도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그의 바람직한 소정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되었고 많은 상세 사항들이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추가의 실시예들로 가능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상세 사항들 중 일부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상당히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8)

  1.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골반 커버리지(pelvis coverage)의 개선된 타이밍을 제공하기 위한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folded inflatable side airbag cushion)으로서,
    제1 말린 부분(rolled portion); 및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accordion folded portion)
    을 포함하고,
    전개시, 상기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은 상기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골반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말린 부분은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제1 주 부분(main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은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말단 부분(distal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말단 부분은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1 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 내의 팽창 가스가 상기 말단 부분 내로 통과하기 전에 상기 제1 주 부분을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하여야 하는,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
  3. 제1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절첩된 형태에서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10% 내지 65%를 포함하는,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
  4. 제1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절첩된 형태에서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30% 내지 55%를 포함하는,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
  5. 제1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절첩된 형태에서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40% 내지 50%를 포함하는,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
  6. 측면 에어백 조립체를 형성하는 조합체(combination)로서,
    제1항의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
    공동(cavity)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하는 벽을 포함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과 팽창 가스 유동 연통하는 팽창기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기 장치는 작동시 팽창 가스를 제공하여 상기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키는, 조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1 말린 부분은 상기 팽창기 장치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격납되는(stowed), 조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된 팽창가능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부분은 상기 팽창기 장치에 수직으로 인접하여 격납되는, 조합체.
  9. 측면 에어백 조립체로서,
    공동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하는 벽을 포함하는 커버;
    상기 커버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작동시 팽창 가스를 제공하는 팽창기 장치; 및
    상기 팽창기 장치의 작동시 상기 팽창기 장치와 팽창 가스 유동 연통하고, 격납 구성으로 상기 커버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측면 에어백 쿠션
    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격납 구성은 제1 말린 주 부분 및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을 포함하며, 전개시 상기 에어백 쿠션 내의 팽창 가스가 상기 쿠션 말단 부분 내로 통과하기 전에 상기 쿠션 주 부분을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하여야 하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10% 내지 65%를 포함하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30% 내지 55%를 포함하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40% 내지 50%를 포함하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1 말린 주 부분은 상기 팽창기 장치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격납되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은 상기 팽창기 장치에 수직으로 인접하여 격납되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
  15. 팽창기 장치가 작동시 팽창 가스를 제공하여 연관된 측면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키는 측면 에어백 조립체에서, 전개시 연관된 차량 승객을 위한 골반 커버리지의 개선된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커버 내에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을 격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팽창기 장치를 상기 커버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팽창기 장치를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기부 주 부분(proximal main portion)에서 팽창 가스 유동 연통하는 상태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과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상기 기부 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말단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단계;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기부 주 부분을 말아 제1 말린 주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말단 부분을 절첩하여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전개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 내의 팽창 가스는 상기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 내로 통과하기 전에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기부 주 부분을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하여야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10% 내지 65%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30% 내지 55%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은 총 팽창 체적을 갖고, 상기 제2 아코디언형 절첩된 말단 부분은 팽창시 상기 측면 에어백 쿠션의 상기 총 팽창 체적의 40% 내지 50%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17376A 2017-12-05 2018-10-23 아코디언형 골반 절첩부를 갖는 측면 에어백 KR102388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32,128 US10384634B2 (en) 2017-12-05 2017-12-05 Side airbag with accordion pelvis fold
US15/832,128 2017-12-05
PCT/US2018/057047 WO2019112702A1 (en) 2017-12-05 2018-10-23 Side airbag with accordion pelvis f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353A true KR20200086353A (ko) 2020-07-16
KR102388321B1 KR102388321B1 (ko) 2022-04-19

Family

ID=6665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376A KR102388321B1 (ko) 2017-12-05 2018-10-23 아코디언형 골반 절첩부를 갖는 측면 에어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84634B2 (ko)
EP (1) EP3720740B1 (ko)
JP (1) JP6991329B2 (ko)
KR (1) KR102388321B1 (ko)
CN (1) CN111315619B (ko)
WO (1) WO2019112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0954B2 (ja) * 2017-04-07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315618B (zh) * 2017-11-09 2022-07-12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侧安全气囊装置
CN116215434A (zh) 2017-11-09 2023-06-06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侧安全气囊装置和用于制造侧安全气囊装置的方法
KR102505747B1 (ko) * 2018-08-07 2023-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폴딩방법
JP6745941B1 (ja) * 2019-04-18 2020-08-26 日本発條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124810B2 (ja) * 2019-08-26 2022-08-2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465580B2 (en) * 2020-04-08 2022-10-11 Autoliv Asp, Inc. Bi-directional airbag cushion wrappers and related airbag assemblie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0678A (ja) * 2008-02-18 2009-08-27 Toyoda Gosei Co Ltd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1025818A (ja) * 2009-07-24 2011-02-10 Toyoda Gosei Co Ltd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4227004A (ja) * 2013-05-21 2014-12-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5143086A (ja) * 2013-12-26 2015-08-06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407A (en) * 1991-07-08 1993-01-12 Trw Vehicle Safety System Inc. Folded air bag
JPH09323605A (ja) * 1996-03-27 1997-12-16 Morton Internatl Inc 自動車の乗客室内の占有者を保護する方法と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を折りたたむ方法
US5803483A (en) 1997-03-20 1998-09-08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and method of folding thereof
US5931498A (en) * 1997-08-21 1999-08-03 Milliken & Company Simplified air bag configuration
US5944346A (en) 1998-06-25 1999-08-31 Takata Inc. Airbag folding pattern
JP3584903B2 (ja) * 2000-12-27 2004-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6739622B2 (en) * 2001-03-30 2004-05-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of folding air bag
GB2397048A (en) * 2003-01-10 2004-07-14 Autoliv Dev Vehicle seat comprising airbag
JP4793924B2 (ja) * 2006-06-12 2011-10-12 タカタ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車両用シート
DE102007013101A1 (de) * 2007-03-14 2007-08-16 Takata-Petri Ag Gefalteter Gassack für ein Kraftfahrzeug
JP2010052562A (ja) * 2008-08-28 2010-03-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1126413A (ja) * 2009-12-17 2011-06-30 Toyota Motor Corp シート付け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544190B2 (ja) * 2010-02-25 2014-07-0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502599B2 (ja) * 2010-05-31 2014-05-28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598393B2 (ja) 2011-03-22 2014-10-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540276B2 (en) 2011-11-07 2013-09-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cushion fold pattern
JP6089858B2 (ja) * 2013-03-26 2017-03-08 豊田合成株式会社 シートクッションエアバッグ装置
US9598042B2 (en) * 2015-08-12 2017-03-21 Autoliv Asp, Inc. Safety restraint system with inflatable pelvis restraint device
US9573551B1 (en) 2015-11-06 2017-02-21 Autoliv Asp, Inc. Side airbag cush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90039556A1 (en) * 2017-08-04 2019-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ed Airbag For Consistent Inf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0678A (ja) * 2008-02-18 2009-08-27 Toyoda Gosei Co Ltd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1025818A (ja) * 2009-07-24 2011-02-10 Toyoda Gosei Co Ltd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4227004A (ja) * 2013-05-21 2014-12-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5143086A (ja) * 2013-12-26 2015-08-06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321B1 (ko) 2022-04-19
US20190168704A1 (en) 2019-06-06
JP2021502922A (ja) 2021-02-04
WO2019112702A1 (en) 2019-06-13
JP6991329B2 (ja) 2022-01-12
US10384634B2 (en) 2019-08-20
EP3720740A1 (en) 2020-10-14
EP3720740A4 (en) 2021-04-14
CN111315619B (zh) 2022-09-20
CN111315619A (zh) 2020-06-19
EP3720740B1 (en)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321B1 (ko) 아코디언형 골반 절첩부를 갖는 측면 에어백
US8047564B2 (en) Airbag
CN106458132B (zh) 车辆用侧边安全气囊装置
JP598319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110251039A1 (en) Knee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JP5196530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9143545A (ja) 展開フラップを有するエアバッグ
US11292420B2 (en)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for a utility component-equipped vehicle seating position
CN109963754B (zh) 侧气囊装置
US9809190B2 (en) Method of packaging an air-bag
WO2019138954A1 (ja) 乗員保護装置
KR20130045058A (ko)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
US10829074B2 (en) Knee airbag assemblies
JP5187818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5427220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KR20180112033A (ko) 내부 디퓨저를 갖는 측면 에어백
US6918868B2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for an air bag
JP5366774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US11472365B1 (en) Frontal airbag systems with deployment-assisting wrapper
JP4909556B2 (ja) エアバッグ
WO2016035746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30276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244863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JP7404151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7137150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