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983A -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983A
KR20200084983A KR1020190000838A KR20190000838A KR20200084983A KR 20200084983 A KR20200084983 A KR 20200084983A KR 1020190000838 A KR1020190000838 A KR 1020190000838A KR 20190000838 A KR20190000838 A KR 20190000838A KR 20200084983 A KR20200084983 A KR 2020008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er
purification
sublimation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초 전
Original Assignee
난징고광반도체재료유한회사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난징고광반도체재료유한회사, 김진우 filed Critical 난징고광반도체재료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4983A/ko
Publication of KR2020008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00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11Purifying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의 승화정제를 통해 불순물을 분리 제거하여 순수한 유기물을 추출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화정제장치의 히터유닛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정제대상물의 승화 회수를 균일한 승화과정으로 승화정제의 효율을 높혀 생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A SUBLIMATION PURIFICATION APPARATUS FOR ORGANIC MATERIALS HAVING ROTATABLE HEATER UNIT}
본 발명은 유기물의 승화정제를 통해 불순물을 분리 제거하여 순수한 유기물을 추출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화정제장치의 히터유닛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정제대상물의 승화 회수를 균일한 승화과정으로 승화정제의 효율을 높여 생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장치로써 디스플레이는 정보처리장치에서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이다. 현대 정보처리장치의 기술 개발에 힘입어 이러한 기술 개발 또한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표시장치로는 유기광발생장치(OLED)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광발생장치는 자체 발광하는 유기 발광물질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유기광발생장치의 특성은 유기 발광층을 이루는 유기물의 순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유기물의 순도가 낮을 경우 원하는 색의 광을 발생하기 어려워 영상의 표시품질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유기물 승화 정제 장치는 유기 EL이나 OLED 패널 제조공정에서 소자의 발광층 또는 수송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유기물 재료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인 승화 정제 공정에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유기물 정제장치는 유기물 재료를 가열시키고, 승화시켜서 불순물을 분리하고 고순도의 정제품을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승화 정제장치는 유기 EL이나 OLED 소자의 발광체 또는 수송체로 사용 가능한 저분자 유기물의 불순물 제거를 위한 공정인 승화 정제공정에 사용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도가 높은 유기물을 정제하기 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개발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1)는 크게 정제대상물(M)로부터 유기물을 승화시켜 포집하는 내부관(50), 상기 내부관(50)을 포함하는 외부관(40), 외부관(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내부관(50) 내부의 진공상태를 조절하는 진공펌프(20) 및 승화된 유기물이 특정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트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관(40)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정제대상물이 놓여지며 고열로 가열함에 따라 정제대상물(M)에서 유기물이 승화하며, 승화된 유기물이 이동하여 포집된다
상기 진공펌프(20)는 외부관(40)의 일측에 연통되어 연결되며 내부의 진공상태를 조절하는 것으로써, 상기 내부관(50)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조절한다.
한편, 고진공 상태에서는 내부에 기체의 분포가 극히 적어지고 이에 따라 기체의 흐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펌프(20)에 의해 고진공 상태가 된 내부관(50)은 내부에서 승화된 유기물이 자유이동을 하며 포집된다.
이때 도어(31,32)는 내부관(50)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조성하는데, 기화된 상태의 유기물이나 불순물이 진공챔버 내부에서 내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외부관(40) 내부가 진공챔버로 조성되고, 외부관(40) 외주에 위치한 히터(60)들에 의해 불순물이 승화 정제되면서 내부관(50)에 부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히터(60)는 길이방향으로 영역을 구분 지어 복수의 고온으로 가열하고, 정제대상물(M)의 불순물이 온도에 따라 승화되는 물질이 상이하므로 각 히터의 지정된 온도에서 불순물들을 분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발명의 경우, 상기 내부관(50)에 위치시키는 정제대상물(M)은 외부관(40) 외주의 히터(60)에 의해 가열되는데, 가열되는 열선이 전체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또한 구조상 전체적으로 가열할 수 없으므로 내부관(Inner Tube) 내의 온도가 불균일하게 된다.
이러한 불균일한 내부관(50) 내의 온도는 당연히 정제작업의 수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데, 일정하지 않은 온도의 구획으로 가열하면서 정제작업을 수행하므로 정제수율이 떨어지게 되고, 정제되는 유기물의 품질 저하도 우려된다. 생산성 향상과 품질향상을 위해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대상물이 위치하는 히터유닛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외부관 외주에 배치된 히터유닛이 외주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열되는 내부관이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지는 가열영역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정제수율을 향상시키고, 정제대상물의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진공 환경이 조성된 진공챔버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양측이 고정된 외부관;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부관에 인출입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내부에 정제대상물이 놓여 있는 정제부;와 상기 정제부의 정제대상물로부터 승화정제되는 유기물 및 불순물이 장착되어 회수되는 회수부;를 구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가열되는 온도에 따라 유기물을 승화 정제하는 내부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 외주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관에 수용된 정제대상물을 가열하여 정제물을 승화 정제시키고, 상기 정제물로부터 회수되는 불순물들을 온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외주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온도구획을 가지는 히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써, 상기 히터유닛의 구성에서 상기 내부관의 정제부를 가열하는 정제부히터;와 상기 내부관의 회수부를 가열하는 회수부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부히터가 상기 외부관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수부히터는, 상기 정제부히터와 독립 분리되어 별도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관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내부관을 외부관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도어; 및 상기 외부관 타측에 연통 결합되어 진공챔버를 형성하는 제2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내부관 일측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동력을 제공하는 정제부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제부히터를 회전 구동하는 정제부회전구동모터;와 상기 회수부히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수부회전 구동모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제부히터와 상기 회수부히터는 일체로 구비되어 함께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도 있고, 상기 정제부히터만 회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정제부히터는 바람직하게는 30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화정제재료가 담겨 있는 내부관(Inner Tube)이 수용된 진공챔버에 진공 환경을 제공하여 승화정제 대상물로부터 수분 및 휘발성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승화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승화정제 대상물의 회전에 의한 균일한 승화 과정을 통해 승화 정제대상물을 수득대상물질(유기물)과 제외대상물질(불순물)로 분리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관(Inner Tube) 중 승화 정제대상물이 위치해 있는 있는 정제내부관(Loading Tube)을 가열하는 정제부히터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승화 정제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관(Inner Tube)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승화정제장치에서 가열되는 열선이 전체적으로 되어 있지 않고 또한 구조상 전체적으로 할 수 없으므로 불균일한 가열로 인해 실제로 발생되는 승화정제 품질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물 승화정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히터유닛이 회전하는 작동관계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히터유닛이 회전하는 작동관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히터유닛이 회전하는 작동관계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히터유닛이 회전하는 작동관계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와 동일하게 외부관(200) 및 내부관(300)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관(300)은 정제대상물(M)이 위치하는 정제부(310)와 상기 정제대상물로부터 회수되는 유기물 및 회수물이 장착되는 회수부(33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승화정제장치(100)는 상기 외부관(200) 내부에 별도의 진공공간으로 형성된 진공챔버(P)을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2도어(120)와 연결되는 진공펌프(124)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공챔버(P)는 통상적으로 기존의 승화정제장치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관(300)의 내부에도 형성되어 불순물(N)이 내부관(300)의 회수부(330) 내주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기물 승화정제장치(100)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내부가 고진공 상태로 형성되는 외부관(200)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관(2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진공 환경이 조성된 진공챔버(P)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양측이 제1도어(110) 및 제2도어(120)에 의해 밀폐 결합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승화정제장치(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제대상물(M)을 위치시키는 내부관(300), 즉 이너뷰브(Inner Tube)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관(300, Inner Tube)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부관(200)에 인출입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내부에 정제대상물(M)이 놓여 있어 길이 방향으로 가열되는 온도에 따라 유기물을 승화 정제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승화정제장치(100)는, 상기 외부관(200) 외주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관(300)에 수용된 정제대상물(M)을 가열하여 정제물을 승화 정제시키고, 상기 정제물로부터 회수되는 불순물(N)들을 온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외주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온도구획을 가지는 히터유닛(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상기 히터유닛(400)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내부관(300)은 길이방향 양측이 고정된 상기 외부관(200) 내부에서 상기 회전하는 히터유닛(400)으로부터 균일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정제된 정제대상물(M)은 정제작업이 균일한 온도로 승화정제되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관(200) 외주에 이격 설치된 히터유닛(400)의 회전 가열로 인해 균일하게 가열됨으로써 높은 수율의 승화 정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더 높은 품질의 정제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히터유닛(400)의 구성에서 상기 내부관의 정제부(310)를 가열하는 정제부히터(410);와 상기 내부관의 회수부(330)를 가열하는 회수부히터(430);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부히터(410)가 상기 외부관(200)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정제부(310)에 위치한 정제대상물(M)이 효율적으로 승화 정제될 수 있도록 내부관 정제부(310)를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히터유닛(400)은 상기 외주관(200) 외주에 이격 설치되어 내부의 외주관(200) 및 내부관(300)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온도 분포에 따른 다른 온도단위로 가열하게 된다.
그러나, 횡단면에 대해서는 최대한 동일한 온도로 가열해야 하는데, 방사방향에 대한 중심으로 가열을 하게 됨으로써 균일한 온도분포로 가열하기 어렵게 되고, 정제대상(M)의 승화정제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횡단면의 중심(구심방향)에 대한 가열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히터유닛(400) 자체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위치한 정제대상물(M)의 승화 정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제부히터(410)의 회전속도는 바람직하게는 30rpm 이하로 회전하도록 함이 내부과 정제부(310)에 가열되는 온도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록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회수부히터(430)는, 상기 정제부히터(410)와 독립 분리되어 별도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제부히터(410)의 정제대상물(M)에 대한 가열온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내부관 회수부(330)에서의 균일한 가열로 인한 회수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승화정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정제부히터(410)의 회전속도와 상기 회수부히터(430)의 회전속도는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외부관(200)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내부관(300)을 외부관(200)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도어(110); 및 상기 외부관(200) 타측에 연통 결합되어 진공챔버(P)를 형성하는 제2도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도어(110) 및 제2도어(120)는 상기 외부관(200) 내부가 고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외부관(200) 양 측단을 밀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히터유닛(400)은, 히터유닛이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구동부(4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부(440)는, 상기 정제부히터(410)가 회전 가능한 동력을 제공하는 정제부회전구동부(44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부(440)의 구성은 히터유닛(400)의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서 상기 히터유닛(400) 및 정제부히터(410), 회수부히터(430)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의 기능을 갖는다면 어디에 구비되어도 가능할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제부히터(410)가 회전하는 경우 이를 회전 구동하는 정제부회전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회수부히터(430)가 회전하는 경우 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수부회전 구동모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제부히터(410)와 상기 회수부히터(430)는 일체로 구비되어 함께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정제부히터와 회수부히터가 일체로 구비되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는, 상기 히터유닛(400)이 내부관의 정제부(310)와 회수부(330)를 전체적으로 회전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구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제부히터(410)만 회전하고, 상기 회주부히터(430)는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상기 정제부히터(410)는 바람직하게는 30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상기 외부관(200) 내주와 상기 내부관(300) 외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관(300)이 상기 외주관(200) 내부에 인출입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는 기본적으로 이송롤러(600)를 포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히터로부터의 열 전달을 더욱더 원활히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승화정제장치가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송롤러(600)는 기존의 유기물 승화정제장치에서 내부관(300)이 외부관(200)에 상기 제1도어(110)를 통해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승화 정제대상물(M)이 담겨 있는 내부관(300, Inner Tube)이 수용된 진공챔버(P)에 진공 환경을 제공하여 승화 정제대상물(M)로부터 수분 및 휘발성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승화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승화 정제대상물(M)에 대한 균일한 가열온도에 의한 균일한 승화 과정을 통해 수득대상물질과 제외대상물질로 분리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가열 효과를 가지므로, 기존의 승화정제장치에서 실제로 발생되는 문제점인 가열되는 열선이 전체적으로 되어 있지 않아 내부관(300, Inner Tube) 내의 온도가 불균일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 종래기술에 따른 승화정제장치 10 : 베이스
20 : 진공펌프 31,32 : 도어
40 : 외부관 50 : 내부관
60 : 히터 M : 정제대상물
100 : 본 발명에 따른 승화정제장치 110 : 제1도어
114 : 내부관 인출입구 120 : 제2도어
124 : 진공펌프
200 : 외부관(Outer Tube) 300 : 내부관(Inner Tube)
310 : 정제내부관(Loading Tube) 330 : 회부내부관
400 : 히터유닛 410 : 정제부히터
430 : 회수부히터 420 : 히터유닛분리부
440 : 회전구동부 445 : 정제부회전구동부
450 : 히터구동부 451 : 정제부 히터구동부
453 : 회수부 히터구동부 600 : 이송롤러
P : 진공챔버 N : 불순물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진공 환경이 조성된 진공챔버를 구비하고, 길이방향 양측이 고정된 외부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부관에 인출입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내부에 정제대상물이 놓여 있는 정제부;와 상기 정제부의 정제대상물로부터 승화정제되는 유기물 및 불순물이 장착되어 회수되는 회수부;를 구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가열되는 온도에 따라 유기물을 승화 정제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부관 외주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내부관에 수용된 정제대상물을 가열하여 정제물을 승화 정제시키고, 상기 정제물로부터 회수되는 불순물들을 온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외주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온도구획을 가지는 히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내부관의 정제부를 가열하는 정제부히터;와 상기 내부관의 회수부를 가열하는 회수부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부히터는, 상기 외부관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히터는,
    상기 정제부히터와 독립 분리되어 별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내부관을 외부관 내에 길이 방향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도어; 및
    상기 외부관 타측에 연통 결합되어 진공챔버를 형성하는 제2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유닛은,
    상기 정제부히터가 회전 가능한 동력을 제공하는 정제부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부히터를 회전 구동하는 정제부회전구동모터;와 상기 회수부히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수부회전 구동모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부히터와 상기 회수부히터는 일체로 구비되어 함께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부히터는 30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히터는 30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히터는 복수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회전 속도와 방향은 다를 수 있으며 30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 내주와 상기 내부관 외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관이 상기 외주관 내부에 인출입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롤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KR1020190000838A 2019-01-03 2019-01-03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KR20200084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838A KR20200084983A (ko) 2019-01-03 2019-01-03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838A KR20200084983A (ko) 2019-01-03 2019-01-03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983A true KR20200084983A (ko) 2020-07-14

Family

ID=7152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838A KR20200084983A (ko) 2019-01-03 2019-01-03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49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1311A (ko) 유기 전계 발광 재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US4417968A (en) Magnetron cathode sputtering apparatus
KR101598126B1 (ko) 유기 소분자의 승화 순화 방법
US20110117289A1 (en) Deposition Apparatus and Deposition Method
CN104147801A (zh) 用于纯化有机化合物的装置和用于纯化有机化合物的方法
KR20200084983A (ko) 회전 가능한 히터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KR102154843B1 (ko) 교체 가능한 정제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JP2015529538A (ja) 昇華精製装置及び方法
KR101304350B1 (ko) 대량 승화 정제 장치
KR101597007B1 (ko) 승화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제 방법
KR101337329B1 (ko) 양방향 포집이 가능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1299112B1 (ko)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US20150209689A1 (en) Sublimation purification apparatus
KR20170122563A (ko) 유기재료 연속 정제 장치
KR20160000561A (ko) 정제부의 개별 착탈이 가능한 승화 정제 장치
KR100550941B1 (ko) 유기물질의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KR101337336B1 (ko) 독립적인 가열부를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1414160B1 (ko) 연속 승화 정제 장치 및 방법
KR102191100B1 (ko)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TWI325043B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 treatment
KR101366447B1 (ko)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KR20130049935A (ko) 승화정제용 관체
CN1518474A (zh) 固体材料的精制装置及精制方法
US1599072A (en) Process of securing uniform revivification of activated carbon
JP2004232006A (ja) 蒸着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