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447B1 -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447B1
KR101366447B1 KR1020110144794A KR20110144794A KR101366447B1 KR 101366447 B1 KR101366447 B1 KR 101366447B1 KR 1020110144794 A KR1020110144794 A KR 1020110144794A KR 20110144794 A KR20110144794 A KR 20110144794A KR 101366447 B1 KR101366447 B1 KR 10136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urified
vacuum chamber
vacuum
he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272A (ko
Inventor
한석윤
이상훈
심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1014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4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11Purifying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화합물을 정제하기 위한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제장치는. 정제 대상 물질이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제1 관 및 상기 가열수단을 감싸는 제1 진공챔버; 및 상기 제1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ORGANIC COMPOUND PUR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을 정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은 정제를 필요로 한다. 유기 화합물의 정제 기술은 합성된 물질 중에서 순수한 색소 성분만을 분리하여 박막 증착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 화합물의 정제 기술 향상에 따라 색순도, 소자의 발광효율 및 수명이 개선된다.
현재, 유기 화합물을 정제하기 위해 연속 승화 정제법(trainsublimation)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중공형인 긴 관의 끝부분에 정제 대상 물질을 위치시키고,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관 내부를 진공화시킨 상태에서 가열기로써 관을 가열하여 관 전체에 걸쳐 온도 기울기를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과 불순물의 승화점 차이에 기인한 재결정 위치의 차이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 승화 정제법을 이용하여 유기 화합물을 정제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1893호(유기전계 발광재료의 정제장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67845호(유기물질의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41938(유기발광재료의 승화정제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발광재료) 등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중공형의 긴 관, 상기 관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펌프 및 상기 관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를 포함하는 정제장치를 이용하여 유기 화합물을 정제하는데, 이러한 정제장치는 중공형의 관이 대기압에 노출되기 때문에 정제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며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에서 정제된 물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관의 온도를 낮추고 대기압으로 압력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명 및 안정성이 우수하며, 정제된 물질(정제물)을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제 대상 물질이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제1 관 및 상기 가열수단을 감싸는 제1 진공챔버; 및 상기 제1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는, 상기 제1 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대상 물질에서 정제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수단은, 상기 정제 대상 물질이 온도 기울기에 따라 정제물과 불순물로 나누어져 수집되는 다수개의 제2 관; 및 상기 제2 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는, 상기 제1 진공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정제 대상 물질에서 수집된 정제물을 진공상태에서 회수하기 위한 제2 진공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는 제1 관, 가열수단 및 수집수단이 제1 진공챔버 내에 마련되어 대기압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정제장치의 수명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진공챔버와 연결된 제2 진공챔버를 통해 정제 대상 물질에서 수집한 정제물을 회수하기 때문에 제1 관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조절하는 과정 없이 정제물을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이하, '정제장치'라 함)는 제1 관, 가열수단, 제1 진공챔버 및 진공펌프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제장치에 포함되는 제1 관(110)은 정제 대상 물질(S)을 그 내부의 일측(후방)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관(110)에는 정제 대상 물질(S)이 온도 기울기에 따라 정제물과 불순물로 나누어져 정제물이 제1 관(110)의 내부(내벽)에 쌓이게 된다. 여기서 제1 관(110)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유리, 석영, 세라믹 또는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1 관(1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1 관(110)에 배치되는 정제 대상 물질(S)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8-옥시 퀴놀린 알루미늄염(Alq3), α-NPB(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등의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정제장치에 포함되는 제1 관(110)은 내부에 정제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즉, 본 발명의 정제장치는 제1 관(110)의 내부에 쌓여진 정제물을 회수하는 과정을 통해 정제물을 수득할 수 있는데, 정제물을 수득한 후 정제장치를 다시 가동하기 위해서는 제1 관(110)을 클리닝(cleaning)하여야 한다. 여기서, 정제장치를 클리닝하기 위해서는 정제장치를 초기화(온도 및 압력 조절)하는 과정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제장치는 제1 관(110)의 내부에 정제물을 수집할 수 있는 수집수단(150)을 추가로 배치하여(삽입하여) 제1 관(110)을 클리닝하지 않고도 정제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수집수단(150)은 제1 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정제물을 수집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다수개의 제2 관(151)과 제2 관(151)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152)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관(151)은 정제 대상 물질(S)이 온도 기울기에 따라 정제물과 불순물로 나누어져 수집되는 것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제2 관(151)은 연결부재(152)로 연결된다. 이때, 제2 관(151)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유리, 석영, 세라믹 또는 금속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연결부재(152)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석영, 금속, 합금 또는 합성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형상도 제2 관(151)을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수개의 제2 관(151)은 연결부재(152)를 사용하지 않고 제2 관(151) 서로가 탈착 가능한 구조(예를 들어, 제2 관(151)의 일단에 나사선 마련)로 이루어져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부재(152)로 연결된 다수개의 제2 관(151)을 제1 관(100)의 내부에 배치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대상 물질(S)은 제2 관(151)의 일측(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제 대상 물질(S)에서 분리되는 정제물은 제2 관(151)의 내부(내벽)에 쌓이게 된다. 여기서, 연결부재(152)로 연결된 다수개의 제2 관(151)에는 내부가 다수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지도록 격벽이 설치될 수도 있다(이때, 격벽은 각 구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됨). 이와 같이 정제물을 수집하는 수집수단(150)을 제1 관(110)에 배치하여 정제물을 수집할 경우 제1 관(110)을 클리닝하는 과정 없이 수집수단(150)을 교체하는 과정만으로 정제장치를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제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장치에 포함되는 가열수단(120)은 제1 관(110)의 외측에 마련되어 제1 관(110)의 내부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 관(110)의 내부에 수집수단(150)으로 제2 관(151)이 배치될 경우 제2 관(110) 역시 그 내부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가열수단(120)은 제1 관(110)의 위치(길이방향)에 따라 차등적으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제 대상 물질(S)이 위치된 측에 마련된 가열수단(120)의 온도(정제 대상 물질(S)의 승화점 이상의 온도가 제공됨)가 가장 높으며, 정제 대상 물질(S)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점차 낮아져 온도 기울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열수단(120)이 차등적으로 온도를 제공함에 제1 관(110)의 온도 분포는 정규 분포 곡선의 모양을 띠게 된다. 이러한 가열수단(120)은 분리형(분리형일 경우 가열수단(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151)의 개수 및 위치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이거나 일체형일 수 있으며, 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전기로 또는 적외선(IR)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장치에 포함되는 제1 진공챔버(130)는 제1 관(110) 및 가열수단(120)을 감싼다. 이러한 제1 진공챔버(130)는 진공펌프(140)에 의해 진공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제1 관(110) 및 가열수단(120)을 대기압에 의한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가열수단(120)이 제1 진공챔버(130) 내에 마련됨에 따라 가열수단(120)이 대기 중의 산소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제장치에 포함되는 진공펌프(140)는 제1 진공챔버(130)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때, 제1 진공챔버(130)가 진공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제1 관(110) 또는, 제1 관(110) 및 제2 관(151)도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데, 제1 진공챔버(130)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140) 이외에 제1 관(110) 또는, 제1 관(110) 및 제2 관(151)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펌프를 추가로 마련하여 제1 관(110) 또는, 제1 관(110) 및 제2 관(151)의 진공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진공챔버(130)와 진공펌프(140)의 연결라인과 제1 관(110)과 진공펌프(140)의 연결라인을 별도로 마련하여 제1 진공챔버(130) 및 제1 관(110)의 진공상태를 각각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관(110))의 내부는 고진공으로, 외부는 저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관(151)의 내부 및 외부는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제장치는 제1 진공챔버(130)와 연결되며, 정제 대상 물질(S)에서 수집된 정제물을 진공상태에서 회수하기 위한 제2 진공챔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진공챔버(130)의 전방에 제2 진공챔버(160)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진공챔버(160)는 제1 진공챔버(130)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140)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하거나 별도의 진공펌프(170)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2 진공챔버(160)의 내부에는 정제과정이 끝난 후 제1 관(110) 또는 제2 관(151)을 회수하며, 회수된 제1 관(110) 또는 제2 관(151)에 수집된 정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회수수단(예를 들어, 오토로봇)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챔버 서로간의 진공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 제1 진공챔버(130)와 제2 진공챔버(160)의 연결부위에는 개폐수단(예를 들어, 게이트 밸브)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정제장치를 통해 정제 대상 물질을 정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제1 관(110)의 내부에는 수집수단(150)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진공챔버(130)에는 제2 진공챔버(16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먼저, 제1 관(110)의 내부에 삽입된 제2 관(151)의 일측에 정제 대상 물질(S)을 배치시킨다. 그 다음, 제1 진공챔버(130), 제1 관(110) 및 제2 관(151)을 진공펌프(140)를 이용하여 진공상태로 유지시킨 후 가열수단(120)을 이용하여 온도를 서서히 올리면 제1 관(110) 및 제2 관(151) 전체에 걸쳐서 온도 기울기가 형성된다. 이후, 정제 대상 물질(S)이 위치한 지점의 온도가 정제 대상 물질(S)의 승화점보다 높아지면 정제 대상 물질(S)에 포함된 정제물은 기체상으로 승화되기 시작한다. 이때, 승화된 정제물은 압력 및 온도 기울기에 의해 진공펌프(140)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정제 대상 물질(S)에 포함된 불순물은 정제물보다 승화점이 높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고 정제 대상 물질(S)이 초기 배치되었던 곳에 잔류하게 된다. 한편, 이동하던 정제물은 승화점 이하의 온도를 가진 구간에서 다시 고체상으로 전이되어 제2 관(151)의 내벽에 결정화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정제가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정제장치는 제1 관(110)이 제1 진공챔버(130)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정제장치의 수명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정제장치는 정제물의 추가적인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정제 대상 물질이 배치된 관(본 발명의 제1 관(1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정제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된 관의 외부는 대기압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의 외부에는 대기압에 의한 스트레스가 작용하여 관의 응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관의 응력 저하는 정제장치의 파괴 및 수명단축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수단(120)으로 전기로를 사용할 경우 대기 중의 산소와 전기로의 필라멘트가 접촉함에 따라 산화반응이 일어나 가열수단(12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제장치는 제1 관(110)을 제1 진공챔버(130) 내부에 배치시켜 제1 관(110)의 내부 및 외부를 모두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정제를 실시하기 때문에 제1 관(110)이 대기압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열수단(120)도 제1 진공챔버(130) 내에 배치하여, 가열수단(120)이 대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수단(12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정을 거쳐 정제 과정이 끝나면, 진공펌프(170)에 의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제2 진공챔버(160)를 통해 제2 관(151)을 회수한 후 냉각시켜 제2 관(151)에서 정제물을 긁어내는 것으로, 수집된 정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정제장치는 제2 관(151)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조절하지 않고 제2 진공챔버(160)를 통해(예를 들어, 제2 진공챔버(160) 내에 마련된 오토로봇에 의해) 제2 관(151)을 회수하여 수집된 정제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제물을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진공챔버(160) 내에 마련된 회수수단이 제2 관(151)을 회수한 후 정제물을 모으는(수득하는) 과정까지 수행할 경우 제2 관(151)을 냉각시키지 않아도 되며, 정제물의 외부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고순도의 정제물을 편리하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정제장치를 통해 정제 대상 물질에서 수집된 정제물은 그 사용분야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 : 제1 관
120 : 가열수단
130 : 제1 진공챔버
140 : 진공펌프
150 : 수집수단
160 : 제2 진공챔버

Claims (5)

  1. 정제 대상 물질이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관의 내부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
    상기 제1 관 및 상기 가열수단을 감싸는 제1 진공챔버; 및
    상기 제1 진공챔버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공챔버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정제 대상 물질에서 수집된 정제물을 진공상태에서 회수하기 위한 제2 진공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제 대상 물질에서 정제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수단은,
    상기 정제 대상 물질이 온도 기울기에 따라 정제물과 불순물로 나누어져 수집되는 다수개의 제2 관; 및
    상기 제2 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대상 물질에서 수집된 정제물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KR1020110144794A 2011-12-28 2011-12-28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KR10136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94A KR101366447B1 (ko) 2011-12-28 2011-12-28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94A KR101366447B1 (ko) 2011-12-28 2011-12-28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72A KR20130076272A (ko) 2013-07-08
KR101366447B1 true KR101366447B1 (ko) 2014-02-24

Family

ID=4898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794A KR101366447B1 (ko) 2011-12-28 2011-12-28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471B1 (ko) * 2017-09-20 2019-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의 재료로 사용되는 유기 물질 정제방법
KR102297249B1 (ko) 2018-09-12 2021-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승화 정제 장치 및 승화 정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704A (ja) 2001-09-18 2003-03-25 Mitsui Chemicals Inc 昇華精製装置、昇華精製方法および昇華精製された有機化合物を使用した素子
KR20060008531A (ko) * 2004-07-21 2006-01-27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물질의 승화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704A (ja) 2001-09-18 2003-03-25 Mitsui Chemicals Inc 昇華精製装置、昇華精製方法および昇華精製された有機化合物を使用した素子
KR20060008531A (ko) * 2004-07-21 2006-01-27 제일모직주식회사 유기물질의 승화정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72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126B1 (ko) 유기 소분자의 승화 순화 방법
JP2005511864A (ja) 有機電界発光材料の精製装置及び精製方法
KR101366447B1 (ko)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KR100852113B1 (ko) 유기 발광 재료의 승화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유기 발광 재료
US7753987B2 (en) High vacuum in-situ refining method for high-purity materials and an apparatus thereof
KR101599454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EP3734683B1 (en) Sublim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nd sublimation purification method
KR20140146385A (ko) 승화 정제 장치
KR101303895B1 (ko) 유기재료 승화 정제 장치
US20150108668A1 (en) Sublim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28676A (ko) 용액기반의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그 장치
KR100582663B1 (ko) 유기물질의 승화정제방법
KR100550942B1 (ko) 유기물질의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KR20030026890A (ko) 승화 정제 방법
KR101957055B1 (ko) 승화정제기
KR20200068809A (ko) 교체 가능한 정제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KR100550941B1 (ko) 유기물질의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TW201338854A (zh) 有機材料之精製裝置
US1193069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using the apparatus
KR101957054B1 (ko) 승화정제기용 ln2 트랩 장치
JP2005161251A (ja) 有機材料の精製装置
KR101476904B1 (ko) 유기 화합물 정제장치
KR20180114688A (ko) 유기물질 승화정제용 내부튜브
KR101337329B1 (ko) 양방향 포집이 가능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JP6432874B1 (ja) 精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