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112B1 -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112B1
KR101299112B1 KR1020130023695A KR20130023695A KR101299112B1 KR 101299112 B1 KR101299112 B1 KR 101299112B1 KR 1020130023695 A KR1020130023695 A KR 1020130023695A KR 20130023695 A KR20130023695 A KR 20130023695A KR 101299112 B1 KR101299112 B1 KR 10129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acuum chamber
trap unit
vacuum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브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브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브이디
Priority to KR102013002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00Sublim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정제대상물이 놓여지고 상기 정제대상물로부터 승화된 유기물이 포집되도록 하는 정제유닛, 상기 정제유닛을 가열하는 히터유닛,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정제유닛에 연통되어 결합되는 진공챔버 및 상기 진공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정제유닛과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상태를 조절하는 진공펌핑부를 포함하는 진공조절유닛 및 상기 진공챔버상에서 상기 정제유닛과 상기 진공펌핑부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 방향으로 투영된 투영면이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 단면적 전체를 커버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트랩유닛을 포함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Sublimation Purifying Apparatus of Organic Matter Having Physical Trap Unit}
본 발명은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기물 승화 정제 시 승화된 유기물이 이동하여 진공펌프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화 정제장치는 유기 EL이나 OLED 소자의 발광체 또는 수송체로 사용 가능한 저분자 유기물의 불순물 제거를 위한 공정인 승화 정제공정에 사용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도가 높은 유기물을 정제하기 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국내특허 10-1124687호를 참조하여 종래에 개발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개발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는 크게 정제대상물로부터 유기물을 승화시켜 포집하는 정제유닛(10), 정제유닛(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정제유닛(10)내부의 진공상태를 조절하는 진공유닛(20) 및 승화된 유기물이 특정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트랩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제유닛(10)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정제대상물이 놓여지며 고열로 가열함에 따라 정제대상물에서 유기물이 승화하며, 승화된 유기물이 동하여 포집된다.
여기서, 정제유닛(10)은 별도의 히팅부(11)가 구비되어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며 정제대상물에 포함된 유기물을 승화시킨다.
진공유닛(20)은 정제유닛(10)의 일측에 연통되어 연결되며 내부의 진공상태를 조절하는 것으로써, 별도의 진공펌프(21)를 구비하여 정제유닛(10)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조절한다.
한편, 고진공 상태에서는 내부에 기체의 분포가 극히 적어지고 이에 따라 기체의 흐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진공유닛(20)에 의해 고진공 상태가 된 정제유닛(10)은 내부에서 승화된 유기물이 자유이동을 하며 포집영역에서 포집된다.
트랩유닛(30)은, 정제유닛(10)에서 승화된 유기물이 진공펌프(21)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구성으로써, 별도의 냉매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자유이동을 하는 기체상태의 유기물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트랩유닛(30)은 일반적인 냉매를 이용하여 기체상태의 유기물을 차단하는 것으로, 내부에 액체질소나 드라이아이스 등과 같은 냉매가 구비되어있어 기체상태의 유기물이나 불순물들과 열교환시켜 응결시키고, 응결된 불순물들이 트랩유닛(30)에 침착되도록 함으로써 승화된 유기물이 진공펌프(2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트랩유닛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챔버 내부의 세정이나 유지관리, 보수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를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냉매를 충진하여야 하고 또한 초저온의 냉매가 누출되는 경우 큰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도 특별히 관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냉매를 이용한 트랩장치가 아닌 물리적인 트랩유닛을 구비하여 승화된 유기물이 진공펌프 내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물리적인 트랩유닛이 구비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정제대상물이 놓여지고 상기 정제대상물로부터 승화된 유기물이 포집되도록 하는 정제유닛, 상기 정제유닛을 가열하는 히터유닛,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정제유닛에 연통되어 결합되는 진공챔버 및 상기 진공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정제유닛과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상태를 조절하는 진공펌핑부를 포함하는 진공조절유닛 및 상기 진공챔버상에서 상기 정제유닛과 상기 진공펌핑부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 방향으로 투영된 투영면이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 단면적 전체를 커버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트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트랩유닛은 상기 진공챔버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평행하며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오버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유닛은 상기 진공챔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랩유닛은 복수 개 각각이 서로 다른 경사각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선택적으로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는 일측에 내 외부로 연통되는 연통구 및 상기 진공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연통구를 차단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랩유닛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진공챔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챔버는 내측면에 상기 트랩유닛이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서 상기 트랩유닛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별도의 보조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제대상물을 가열하여 승화되는 유기물을 수집하여 정제하는 유기물 승화장치에 있어서, 정제유닛과 진공펌핑부 사이에 루버형태의 트랩유닛을 구비하여 투영면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냉매를 이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 유기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트랩유닛은 진공챔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서로 이격되어 경사각을 가지며 결합되고, 블레이드의 경사각이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블레이드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진공챔버 내부가 고진공으로 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진공챔버의 일측에 내 외부로 연통되는 연통구 및 연통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진공챔버 내부에 구비된 트랩유닛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진공챔버 내부에 트랩유닛이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가이드가 구비됨으로써, 진공챔버 내에서 트랩유닛이 고정된 위치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투영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진공펌핑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진공챔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트랩유닛이 유기물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트랩유닛이 복수 개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회전하며 경사각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2의 진공챔버에서 별도의 도어를 통해 트랩유닛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2의 진공챔버에 트랩유닛이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가이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진공챔버 내부에 별도의 보조필터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진공펌핑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진공챔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는 진공상태에서 정제대상물을 가열하여 승화된 유기물(O)을 포집하는 장치로써, 크게 정제유닛(100), 히터유닛(200), 진공조절유닛(300) 및 트랩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정제유닛(1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정제대상물(미 도시)이 놓여지고, 상기 정제대상물로부터 승화된 유기물(O)을 포집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유닛(100)은 크게 베이스(110), 외부관(120), 내부관(미 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상면에 상기 외부관(120), 상기 내부관이 배치되며, 이와 함께 후술하는 히터유닛(200)이 배치된다.
상기 외부관(120)은 내부에 진공분위기가 조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상기 내부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관(120)은 상기 내부관이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내측 하부에 별도의 이송수단(미 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관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내부관을 직접 밀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1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외부관(120)에 대응하여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외부관(12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정제대상물이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제대상물은 불순물이 포함된 유기물(O)의 원료로, 상기 정제대상물은 고체상태에서 일정수준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불순물을 제외한 상기 유기물(O)이 승화 또는 기화되어 응축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된 포집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기물(O)이 다시 고체상태로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내부관은 상기 외부관(12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정제대상물이 놓여지고 기화된 상기 정제대상물이 포집영역에서 포집된다.
상기 히터유닛(200)은 상기 외부관(120)의 둘레를 따라서 감싸도록 배치되어 외부관(120)을 가열한다.
상기 히터유닛(200)은 길이방향에 따른 상기 외부관(12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120)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유닛(200)에 의해서 상기 외부관(120)이 가열되면 상기 내부관도 함께 가열되고 상기 내부관에 놓여진 상기 정제대상물에서 상기 유기물(O)이 기화, 또는 승화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 내부관에 놓여진 상기 정제대상물로부터 상기 유기물(O)이 승화되어 기체상태로 이동을 한 후 상기 유기물(O)이 포집됨으로써, 상기 정제대상물로부터 상기 유기물(O)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진공조절유닛(300)은, 상기 외부관(120)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관(120) 및 상기 내부관의 진공상태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써, 크게 진공챔버(310) 및 진공펌핑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챔버(3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정제유닛(100)에 연통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챔버(310)는 일측이 상기 외부관(120)과 연통되어 결합되며 일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관을 상기 외부관(12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챔버(310)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외부관(120)이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은 상기 외부관(12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위치가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310)는 일체로 형성되며, 이와 달리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진공펌핑부(320)는 상기 진공챔버(310)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관(120) 및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도록 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고진공펌프(322)와 저진공펌프(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진공펌프(322)와 상기 저진공펌프(324)는 각각 상기 진공챔버(310)의 타측에 구비되며, 1차적으로 상기 저진공펌프(324)에 의해서 상기 외부관(120) 및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의 진공상태가 조절된다. 그리고 2차적으로 상기 고진공펌프(322)에 의해서 상기 진공챔버(310) 및 상기 외부관(120)의 내부가 고진공 상태로 된다.
일반적으로 고진공펌프(322)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진공펌프(322)는 확산펌프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공조절유닛(300)에 의해서 상기 외부관(120) 및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가 진공상태로 조절되며, 이와 같이 진공상태에서 상기 정제유닛(100) 내부의 상기 유기물(O)이 포집된다.
상기 트랩유닛(400)은 상기 진공챔버(310)상에서 상기 정제유닛(100)과 진공펌핑부(320) 사이에 구비되어,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이 상기 진공챔버(310)를 통과하여 상기 진공펌핑부(3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성으로써, 크게 지지프레임(420) 및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20)은 상기 진공챔버(310)상에 상기 외부관(120)과 상기 진공챔버(3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챔버(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프레임(420)은 상기 진공챔버(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틀 형상을 가지며,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410)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 방향으로 투영된 투영면(C: 도 5참조)이 상기 진공챔버(310)의 내부 단면적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는 각각이 가지는 면들에 의한 상기 투영면(C)이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면적에 따른 면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를 통해서 투영면(C)을 형성하면, 상기 내부관 내에서 승화된 유기물(O)이 자유이동을 하며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로 넘어오더라도 상기 블레이드(410)에 접촉하여 포집됨으로써, 진공펌핑부(320) 내부로 유기물(O)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진공 상태에서는 기체의 흐름이 없기 때문에 기체분자가 자유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체가 자유운동을 하는 경우 불특정한 형태로 움직이는 기체상태의 유기물(O) 일부가 상기 진공챔버(310)를 통과하여 상기 진공펌핑부(3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영면(C)을 형성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에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이 접촉하며 포집된다.
여기서, 상기 투영면(C)이라 함은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기체상태의 유기물(O)이 이동방향을 따라 지속으로 이동하면 반드시 접촉하게 되는 면을 의미하며,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에 의해서 상기 투영면(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투영면(C)은 복수 개의 면이 모여서 형성된다.
즉 상기 투영면(C)은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면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프레임(420)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는 루버 형태로 형성되며, 이와 달리 루버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트랩유닛(400)은 상기 블레이드(4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투영면(C)이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에서 기화된 상기 유기물(O)을 차단하여 상기 진공펌핑부(320) 내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트랩유닛(400)은 종래와 달리 특별한 냉매를 이용하지 않고 형상적으로 자유이동 하는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을 차단하여 상기 진공펌핑부(320)내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트랩유닛(4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트랩유닛(400)이 유기물(O)을 차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트랩유닛(400)은 상기 지지프레임(420)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는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경사각을 가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는 서로 평행하며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고 균일한 간격으로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420)은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410)는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 각각이 서로 오버랩 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는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투영면(C)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 각각이 형성하는 상기 투영면(C)이 서로 오버랩 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블레이드(410)는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상하방향을 따라 균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며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410)가 이격되어 결합된 간격을 A로 한다.
그리고 경사각을 가지며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410)에서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최하지점에서부터 최고지점에 이르는 수직거리를 B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410)가 형성하는 상기 투영면(C)은,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A의 합이 되며, A의 합이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의 단면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면 안정적인 상기 투영면(C)이 형성된다.
여기서, A보다 B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410)가 형성한 상기 투영면(C)이 서로 오버랩 된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는 각각이 형성하는 개별적인 투영면인 B의 상하길이를 가지며,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투영면(C)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B구간의 합이 상대적으로 복수 개의 A구간의 합보다 더 길어지며, 각각의 B구간은 서로 오버랩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투영면(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10)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에서 자유이동을 하는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이 이동하며, 상기 블레이드(410)가 형성한 상기 투영면(C)에 접촉하며, 상기 투영면(C)에 접촉한 상기 유기물(O)은 상기 블레이드(410)에 포집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관에서 기화된 상기 유기물(O)의 일부가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로 이동을 하더라도 상기 진공펌핑부(320)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트랩유닛(400)에 의해서 차단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트랩유닛(4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트랩유닛(400)이 복수 개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유닛(400)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랩유닛(400)은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에서 각각이 상기 투영면(C)을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랩유닛(400)이 복수 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410)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투영면(C)이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자유이동 하는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을 보다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랩유닛(400)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10)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트랩유닛(400) 각각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블레이드(410)를 구비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410) 사이로 이동하는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을 보다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랩유닛(400)은 각각에 구비된 상기 블레이드(410)가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트랩유닛(400) 각각에 구비된 상기 블레이드(410) 각각의 이격거리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41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가 회전하며 경사각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가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살펴보면 상기 블레이드(41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투영면(C)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써, 상기 블레이드(410)는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정제유닛(100)이 상기 유기물(O)의 승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되는 상태로써, 기화된 상기 유기물(O)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투영면(C)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4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투영면(C)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진공펌핑부(320)에 의한 펌핑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유닛(100)이 상기 유기물(O)의 승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41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기 투영면(C)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승화된 상기 유기물(O)이 자유 이동하여 상기 진공펌핑부(320)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블레이드(410)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투영면(C)에 의해서 상기 유기물(O)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410)가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투영면(C)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진공펌핑부(320)에 의한 펌핑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진공챔버(310)의 일측에서 상기 트랩유닛(400)이 선택적으로 탈착 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2의 진공챔버(310)에서 별도의 도어(330)를 통해 트랩유닛(400)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2의 진공챔버(310)에 트랩유닛(400)이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가이드(342)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진공챔버(31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별도의 도어(330)가 구비되며, 상기 트랩유닛(400)은 상기 도어(330)를 통해서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진공챔버(310)는 일측에 내 외부로 연통되는 연통구(340) 및 상기 진공챔버(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연통구(340)를 차단하여 상기 진공챔버(310)를 밀폐시키는 도어(330)를 포함한다.
상기 연통구(340)를 상기 진공챔버(310)의 내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트랩유닛(400)이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330)는 상기 진공챔버(310)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진공챔버(310)를 밀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공챔버(310)가 상기 연통구(340) 및 상기 도어(3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랩유닛(400)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진공챔버(310)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상기 트랩유닛(400)을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트랩유닛(400)은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410)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투영면(C)을 통해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410)에 접촉한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은 상기 블레이드(410) 표면에 포집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랩유닛(400)은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후 상기 블레이드(410)의 표면에 포집된 상기 유기물(O)을 제거해야 한다. 이때, 상기 트랩유닛(400)을 교체함으로써,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를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챔버(310)는 상기 트랩유닛(400)이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가이드(3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가이드(342)는 상기 진공챔버(3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420)이 결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가이드(342)는 상기 진공챔버(310)의 내측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일부가 상기 결합가이드(342)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트랩유닛(400)은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에서 복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서 상기 투영면(C)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진공챔버(310) 내부에서의 결합각도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310)에 상기 결합가이드(342)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트랩유닛(400)이 상기 진공챔버(310)와 결합되는 결합각도가 균일하게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410)의 결합각도만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상기 블레이드(410)는 안정적으로 상기 투영면(C)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살펴보면, 도 10은 도 2의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에서 진공챔버(310) 내부에 별도의 보조필터(500)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보조필터(500)는 상기 트랩유닛(400)과 함께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을 차단한다.
상기 보조필터(500)는 상기 진공챔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서 상기 트랩유닛(400)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이 상기 진공펌핑부(32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필터(500)는 매쉬형태의 그물망을 구비하며, 상기 트랩유닛(400)과 상기 진공펌핑부(32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랩유닛(400)을 통과한 기체상태의 상기 유기물(O)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유기물(O)이 상기 진공펌핑부(320)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필터(500)도 복수 개로 구성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상기 결합가이드(342)에 의해서 상기 진공챔버(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정제유닛 110: 베이스
120: 외부관 200: 히터유닛
300: 진공조절유닛 310: 진공챔버
320: 진공펌핑부 400: 트랩유닛
410: 블레이드 420: 지지프레임
500: 보조필터 O: 유기물

Claims (10)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정제대상물이 놓여지고 상기 정제대상물로부터 승화된 유기물이 포집되도록 하는 정제유닛;
    상기 정제유닛을 가열하는 히터유닛;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정제유닛에 연통되어 결합되는 진공챔버 및 상기 진공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정제유닛과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상태를 조절하는 진공펌핑부를 포함하는 진공조절유닛; 및
    상기 진공챔버상에서 상기 정제유닛과 상기 진공펌핑부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 방향으로 투영된 투영면이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 단면적 전체를 커버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트랩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트랩유닛은 상기 진공챔버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평행하며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오버랩 되도록 배치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유닛은,
    상기 진공챔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유닛은,
    복수 개 각각이 서로 다른 경사각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선택적으로 경사각이 조절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는 일측에 내 외부로 연통되는 연통구 및 상기 진공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연통구를 차단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랩유닛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진공챔버 내부로 삽입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는,
    내측면에 상기 트랩유닛이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가이드가 형성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서 상기 트랩유닛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별도의 보조필터를 더 포함하는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20130023695A 2013-03-06 2013-03-06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1299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695A KR101299112B1 (ko) 2013-03-06 2013-03-06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695A KR101299112B1 (ko) 2013-03-06 2013-03-06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112B1 true KR101299112B1 (ko) 2013-08-22

Family

ID=4922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695A KR101299112B1 (ko) 2013-03-06 2013-03-06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1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93B1 (ko) 2014-05-15 2014-12-03 (주) 디오브이 복수의 외부관을 사용하는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1835418B1 (ko) * 2016-12-29 2018-04-19 주식회사 피브이디 세척용 방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20220080806A (ko) * 2020-12-07 2022-06-15 (주)씨엠디엘 하이브리드 플랜지 부 및 이를 갖는 승화 정제 장치
KR20220153743A (ko) 2021-05-12 2022-11-21 정승수 이물질 포집용 트랩을 갖춘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154B1 (ko) 2002-12-03 2005-03-10 (주)그라쎌 경사가열식 진공 승화 정제 장치 및 그 방법
JP2005279601A (ja) 2004-03-31 2005-10-13 Toray Ind Inc 昇華精製装置及び昇華精製方法
KR100754902B1 (ko) 2005-12-09 2007-09-04 (주) 디오브이 유기전계 발광재료의 정제방법
KR101124687B1 (ko) 2011-05-23 2012-03-20 (주)씨에스엘쏠라 승화정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154B1 (ko) 2002-12-03 2005-03-10 (주)그라쎌 경사가열식 진공 승화 정제 장치 및 그 방법
JP2005279601A (ja) 2004-03-31 2005-10-13 Toray Ind Inc 昇華精製装置及び昇華精製方法
KR100754902B1 (ko) 2005-12-09 2007-09-04 (주) 디오브이 유기전계 발광재료의 정제방법
KR101124687B1 (ko) 2011-05-23 2012-03-20 (주)씨에스엘쏠라 승화정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893B1 (ko) 2014-05-15 2014-12-03 (주) 디오브이 복수의 외부관을 사용하는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1835418B1 (ko) * 2016-12-29 2018-04-19 주식회사 피브이디 세척용 방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20220080806A (ko) * 2020-12-07 2022-06-15 (주)씨엠디엘 하이브리드 플랜지 부 및 이를 갖는 승화 정제 장치
KR102576405B1 (ko) 2020-12-07 2023-09-12 (주)씨엠디엘 하이브리드 플랜지 부 및 이를 갖는 승화 정제 장치
KR20220153743A (ko) 2021-05-12 2022-11-21 정승수 이물질 포집용 트랩을 갖춘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KR102553155B1 (ko) * 2021-05-12 2023-07-06 정승수 이물질 포집용 트랩을 갖춘 유기물 승화정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112B1 (ko) 물리적 트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0959824B1 (ko) 유기 전계 발광 재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KR101710768B1 (ko) 유기 재료의 정제 장치
KR101598126B1 (ko) 유기 소분자의 승화 순화 방법
US9945102B2 (en) Device for extracting water from atmospheric air
US10058817B2 (en) Continuous operable gas purification device in an ion mobility spectrometer
KR102164857B1 (ko) 막 증류 장치
NO140077B (no) Anordning for kontinuerlig aa utoeve en trekkraft paa et langstrakt element
JP2017518181A (ja) 連続化学抽出装置、濃縮装置、及び分離装置
RU2016144662A (ru) Способ химической калибровки,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KR101129449B1 (ko) 분리형 유기재료의 승화 정제용 내부관
KR101124687B1 (ko) 승화정제장치
KR101337329B1 (ko) 양방향 포집이 가능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1835418B1 (ko) 세척용 방착유닛을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KR101637901B1 (ko) 활성탄 흡착장치
KR102153704B1 (ko) 승화 정제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트랩유닛
US20200083455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using the apparatus
KR101943140B1 (ko) 유기 재료의 정제 장치
KR101337336B1 (ko) 독립적인 가열부를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JP6432874B1 (ja) 精製装置
KR20130104163A (ko) 이동챔버를 구비한 유기물 승화 정제장치
RU2143940C1 (ru) Сублим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KR101551175B1 (ko) 승화 정제 장치
KR102161529B1 (ko) 승화 정제 장치의 트랩모듈
KR101129448B1 (ko) 정제된 유기재료의 수거가 용이한 승화 정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