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732A - 건강보조식품용 환 - Google Patents

건강보조식품용 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732A
KR20200082732A KR1020180173603A KR20180173603A KR20200082732A KR 20200082732 A KR20200082732 A KR 20200082732A KR 1020180173603 A KR1020180173603 A KR 1020180173603A KR 20180173603 A KR20180173603 A KR 20180173603A KR 20200082732 A KR20200082732 A KR 20200082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parts
carp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18017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732A/ko
Publication of KR2020008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라와, 장어, 잉어, 붕어에 다양한 약재들을 넣고 환으로 제조한 것으로서, 원기회복, 혈액순환개선, 면역력강화 등 건강 전반에 걸쳐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건강보조식품용 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보조식품용 환{Healthy foodstuff pill}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용 환에 관한 것으로서, 자라, 장어, 잉어, 붕어에 다양한 약재들을 혼합하여 제조되어 건강에 유익하며, 섭취도 용이한 새로운 조성의 건강보조식품용 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대부분은 오염된 환경과 불규칙하고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 심각한 스트레스, 음주 및 흡연 등으로 인해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항상 피로를 느끼며, 면역력이 저하되어 각종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이들이 건강을 위해 별도로 건강보조식품이나 약품을 구입하여 섭취하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건강관련 식품이나 약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는 제품들은 특성 성분만을 강조하거나 또는 특정 증세에 효과가 있도록 제조되어 소비자들이 부담없이 먹기가 곤란한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492호(2013. 08. 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6748호(2016. 04. 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자라와, 잉어, 붕어에 다양한 약재들을 넣고 환으로 제조한 것으로서, 원기회복, 혈액순환개선, 면역력강화 등 건강 전반에 걸쳐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건강보조식품용 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자라를 건조시켜 분쇄한 자라분말 100중량부, 잉어를 건조시켜 분쇄한 잉어분말 100중량부, 붕어를 건조시켜 분쇄한 붕어분말 50중량부, 당귀분말 50~100중량부, 천궁분말 50~100중량부, 작약분말 50~100중량부, 숙지황분말 50~100중량부, 백봉령분말 50~100중량부, 백출분말 50~100중량부, 황기분말 50~100중량부, 감초분말, 50~100중량부, 홍삼분말 50~100중량부, 흑마늘 50~100중량부, 녹각 50~100중량부, 마분말 50~100중량부, 누에분말 50~100중량부, 생강분말 50~100중량부, 연자육분말 50~100중량부, 진피분말 50~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인삼분말, 칡분말, 산사자분말, 원지분말, 백복신분말, 겨우살이분말, 두충분말, 우슬분말, 하수오분말, 만삼분말, 해동피분말, 탱자분말, 속단분말, 산수유분말, 오미자분말, 영지분말, 헛개열매분말, 맥문동분말, 비파열매분말이 각각 50~100중량부 더 추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당근분말 및 비트분말이 각각 50~100중량부 더 추가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자라, 장어, 붕어, 잉어 분말에 다양한 약재분말을 혼합하여 제조되어 원기회복, 혈액순환개선, 면역력강화 등 건강 전반에 걸쳐서 좋은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환으로 제조되어 복용도 편리하고, 휴대도 용이하므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자라와 장어, 잉어, 붕어를 손질한다.
자라는 목을 잘라 피를 뽑아내고 내장과 껍질, 발톱을 제거한 다음,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다. 장어, 잉어와 붕어도 내장과 비늘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시킨다.
상기 자라, 장어, 붕어, 잉어는 다음과 같은 효능을 가진다.
- 자라(Pelodiscus sinensis)는 예로부터 보혈(補血)효과가 있는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자라에는 양질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미네랄도 풍부하고 다른 동물과 달리 리놀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 장어는 일반 어류에 비해 비타민의 함량이 높아 비타민 E의 경우 함유량이 계란의 약 10배, 비타민 A는 일반 백색어류의 30배에서 100배 이상 함유하고 있고,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아 미용식과 스테미너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수산자원이다. 장어의 일반적 인식은 스태미너 음식으로 알고 있으나 실제로 많은 약성을 갖고 있는것으로 나타나 있다. 한방의서에는 장어는 모든 종양(腫瘍)을 다스리고 충(蟲)을 죽이며, 허리가 아프거나 무릎이 냉(冷)하며, 기양(起陽)이 되지 않고 다리가 아프며 음호(陰號)가 가렵고 원인불명의 하혈, 대하(帶下)등의 증상에 효험이 있고 폐결핵, 중이염 등의 질환에 효험이 크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장어의 뼈는 대장염, 이질, 붕루(崩漏), 대하 등에 효험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잉어는 고단백식품으로서, 예로 부터 보양식으로 많이 사용된 식재료로서, 소화흡수가 잘되기 때문에 회복기 환자, 임산부, 어린이, 노인에게 좋다. 한방에서는 잉어를 황달, 소갈, 수종, 태동 및 임부의 신종에 사용하였다.
- 붕어는 양질의 단백질과 불포화 지방산, 칼슘 등이 풍부한 식품으로서, 음식으로 뿐만 아니라, 약으로도 많이 섭취되어 왔다. 한방에서는 붕어가 위기(胃氣)를 평온하게 하고,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건조시킨 자라, 장어, 잉어 및 붕어를 분쇄하여 분말을 만든다.
3)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백봉령, 백출, 황기, 감초, 홍삼, 흑마늘, 녹각, 마, 누에, 생강, 연자육, 진피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약재들의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당귀(當歸)는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주는 보혈작용, 혈액 순환이 원활하도록 하는 활혈작용, 항암 및 혈압강하작용 등을 가지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 작용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 천궁(川芎)은 두통이나 불임, 월경불순, 빈혈, 강장, 냉증과 같은 부인과 질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부인병 묘약으로서 어혈, 보혈, 강장, 진통제로서 신경증후를 억제하므로 진정, 진경, 진통작용이 있는데, 심장질환의 치료 및 완화제로 민간의학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조혈작용으로 빈혈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작약(芍藥)은 진통·복통·월경통·무월경·토혈·빈혈·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 숙지황(熟地黃)은 혈을 보(補)하고 정(精: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은 물론 지혈, 해열제로서 빈혈, 월경불순, 요통, 당뇨병, 타박상, 종기 및 귀울림 등의 치료에도 쓰인다. 예로부터 허담(虛痰)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어 차로 달여 마셨으며, 기침과 천식에 복령(茯笭)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 백봉령은 예전부터 유명한 강장 약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위장, 간장, 췌장, 신장 등의 병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 백출(白朮)은 건위·소화 작용이 있어서 만성소화불량·장염·설사 등과 식욕증진에도 탁월하다. 특히 병후에 식욕이 없고 전신이 쇠약하며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유효하다.
- 황기(黃耆)는 맛이 달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비장과 폐를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체의 기를 보하는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 감초(甘草)는 한열(寒熱)과 사기(邪氣)를 다스리며, 눈과 코, 입, 귀 및 대소변의 생리를 정상으로 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영양 상태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다른 약재들의 약효를 조화롭게 하여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한다.
- 홍삼(紅蔘)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삼을 쪄서 말린 것으로서, 이러한 가공과정을 통해 인삼 고유의 독성이 경감되고, 수삼 및 백삼 보다 많은 종류의 사포닌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공과정에서 홍삼 툭유의 성분인 진세노사이드가 생성된다. 이러한 진세노사이드의 약리효과로는 면역증강, 항암작용, 항당뇨작용, 간 기능 회복 및 알코올 해독 촉진작용, 혈류 순환 개선 및 혈관이완반응 촉진 작용, 여성 갱년기 개선 효과, 골다공증 효과, 노화 억제, 항스트레스 효과 및 기억력 강화 등이 알려져 있다.
- 흑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매운맛은 감소되고, 생마늘에 비해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되어 항산화력이 높으며, 특히, 생마늘에 존재하지 않는 S-아릴시스테인이라는 수용성 유황 아미노산이 생성되어, 생마늘에 비해 암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심장질환 예방 등의 효능도 향상된다.
- 녹각은 녹용의 채취시기가 늦어져서 골화가 진행된 것으로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어혈을 없애주며 신장기능과 간기능을 도와준다. 특히 녹각은 독할, 두충 등과 더불어, 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효과를 가진다.
- 마는 백합목 마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 식물로서 주로 그 뿌리가 식용으로 사용되며, 산우(山芋), 산약(山藥)또는 서여(薯囊)라고도 한다. 수분을 제외한 마의 주성분은 전분(澱粉)으로서 약 15∼20%가 들어있고, 당질이 약 15~30%가 함유되며, 단백질도 1∼3%를 함유하고 비타민C가 풍부하다. 이 밖에도 마에는 아밀로스(Amylose), 콜린(Cholin), 사포닌(Saponin), 뮤신(Mucin), 알라기닌(Araginine), 요노게닌(Yonogenin), 다오스게닌(Diosgenin), 크립토게닌(Kryptogenin) 등의 다양한 약용성분이 함유되어있으며, 한방에서는 마를 자양, 익정, 보폐 등의 효과가 있어 신체허약, 폐결핵, 정력부족, 야뇨증, 설사, 당뇨, 대하증 등의 치료에 처방되고 있다.
- 누에는 누에나방(Bombyx mori)의 애벌레로서, 데옥시노지리마이신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소장에서 당 분해 효소를 억제해 혈당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E 성분이 풍부해 성기능 강화, 노화 방지, 자양강장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누에는 수면 장애, 혈압, 뇌질환, 동맥경화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생강(生薑)은 널리 사용되는 향신채소로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진다. 또한, 생강은 항산화력이 높으며, 진통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과 항암 효과도 가진다.
- 연자육(蓮子肉)은 연꽃의 과실 및 종자로서, 자양, 강정작용이 우수하며 심장을 맑게 하는 작용이 있어 불면증이나 심계증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비장과 위장기능강화, 수면불안, 피부미백, 염증완화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진피(陳皮)는 운향과의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피를 만린 것이다. 진피는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부창만, 트림,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헛배가 부르고 나른한 증상, 대변이 묽은 증상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약재들을 분말화시켜 사용한다. 따라사 상기 약재들을 잘 건조시킨 것을 준비하여 분말화시킨다.
4) 자라분말, 장어분말, 잉어분말, 붕어분말을 상기 약재들의 분말을 혼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자라분말 100중량부, 장어분말 100중량부, 잉어분말 100중량부, 붕어분말 50중량부, 그리고 상기 약재들의 분말을 각각 50~100중량부 혼합한다.
5) 상기 과정에서 혼합한 분말혼합물을 꿀로 반죽하여 제환기를 이용하여 제환한다. 이러한 제환방법은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인삼, 칡, 산사자, 원지, 백복신, 겨우살이, 두충, 우슬, 하수오, 만삼, 해동피, 탱자, 속단, 산수유, 오미자, 영지, 헛개열매, 맥문동, 비파열매가 더 사용된다.
상기 약재들의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인삼(人蔘)은 사포닌, 폴리페놀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원기회복, 면역력증진, 자양, 간장, 항암효과가 우수하다.
- 칡(Pueraria thunbergii)은 오래전부터 구황작물로 식용되었고, 자양강장제 등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갈근이라 칭하는데, 해열작용, 혈압강하작용,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납 독성에 대한 보호작용 등에 대한 생리활성 작용이 알려져 있다. 특히, 칡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 불리는 이소플로본이 석류나 대두에 포함된 양 보다 훨씬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칼슘 또한 풍부하며 칼슘의 재흡수율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산사자(山査子)는 산사나무의 열매를 가리키는 것으로, 맛은 시고 달며 약간 따스한 성질이 있다 비장과 위, 간에 작용하는데, 주로 비위의 기능을 돕고 소화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으며, 특히 육류 즉, 지방과 단백질을 소화시키는데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약재이다.
- 원지(遠志)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는 굵고 길며 끝에서 몇 개의 원줄기가 무더기로 나오고 거의 털이 없으며,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15∼3cm이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7∼8월에 자줏빛으로 피고총상꽃차례에 드문드문 달린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원지'라고 하며 거담제·강장제·강정제로 쓴다. 진정(鎭靜), 항균(抗菌),거담(祛痰), 강압작용(降壓作用), 용혈작용(溶血作用), 자궁흥분작용(子宮興奮作用), 항암작용(抗癌作用) 등이 보고되고 있다.
- 백복신(白茯神, poria holen)은 구멍쟁이 버섯과에 속하는 식물의 뿌리 부분이다. 백복신은 심로 경계, 건망증, 불면증, 경간, 소변 불리 등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 겨우살이(Mistletoe, Viscum album)는 참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모과나무 등을 숙주로 하는 반기생 다년초 식물이다. 사포닌, 당당체, 황동류 화합물질, 올레아산, 비스친, 루페올, 알카로이드, 렉틴, 비스코록신, 폴라보노이드싸이드, 아세틴콜린, 베타아마린 등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항암작용, 고혈압, 신경통, 관절염, 지혈 작용, 이뇨 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
- 두충(杜仲)은 두충나무과(Eucommiaceae)에 속한 낙엽교목인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의 나무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본초강목에서는 간과 신을 보하고 근골을 강하게 하며 태를 안정되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두충의 수피와 잎에서 각각 골흡수 및 골무기질의 손실방지, 골신생에 유의한 효과가 있어 골다공증 유발억제 응용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 우슬(牛膝)은 비름과(Amaranth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민간에서는 '쇠무릎'이라 불릴 만큼 관절염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의 우슬은 어혈을 제거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액을 생성하는 효능과 열을 떨어뜨리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 하수오(Polygoni Multiflori Radix)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살결을 곱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이나 불면증 같은 데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조혈작용이 뛰어나 빈혈치료에도 좋고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만성변비 등에도 두루두루 널리 쓰인다.
- 만삼(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도라지科(Campanulaceae)의 여러해살이 풀이며, 그 뿌리를 특히, 만삼(蔓蔘)이라고 한다
- 해동피(海桐皮) 엄나무 또는 그 동속식물의 껍질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거풍습(祛風濕)하고 활혈(活血)하며, 진통소종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신경통 요통, 관절염 등에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항균, 항당뇨, 소염 등의 효능을 가지며, 관절연치료에도 탈월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탱자는 예로부터 그 열매인 지실과 껍질인 지각을 한약재로 사용해 왔는데, 담이 있어 가슴이 그득한 감이 있고 답답하며 기침이 날 때,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명치가 거북할 때, 옆구리가 결리고 아플 때 등에 이용하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 바람으로 피부가 가렵거나 마비될 때, 장출혈, 치질 등에도 이용하면 효과가 있다고 있다. 또한, 위장 활동을 증진시키며 장내의 가스 및 대변을 잘 나가게 해주고 탈창을 치료하며, 가슴과 배가 가득할 때와 수종, 위하수, 자궁하수, 식적 등도 치료하고 그 밖에 기(氣)활동을 도와준다. 방향성 고미 건위약으로 위부 창만(胃部脹滿), 위장무력성 소화불량, 알레르기성 체질, 위내 가스 제거, 자궁하수, 내장 이완성, 무력증 등에도 사용한다. 변비, 익기(益氣),흉복창만, 식적(食績), 위하수, 자궁하수, 수종, 탈항, 치질,장출혈, 건위, 소화촉진, 거담, 풍통, 통변, 보비위, 거풍, 오장, 관절, 이뇨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속단(續斷)은 산토끼꽃과(川續斷科, dipsac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천속단(Dipsacus asper Wall)의 뿌리로, 한방에서는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强筋骨), 익근골(益筋骨) 및 치요신(治腰腎)의 효능으로 몸이 허해서 발생하는 뼈와 근육이 약해지는 증상을 보(補)하여 강하게 해주는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 산수유(山茱萸)는 자양, 강장, 음위 및 이조에 효과가 있고, 간경화와 신경에 좋으며, 이뇨작용, 혈압 강하작용, 항암 및 항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혈압강하, 항암, 항노화, 면역조절 및 항균활성 등 다양한 생리 기능이 보고되어 있으며, 오미자 특유의 붉은색을 내는 색소인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영지, 즉,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예로부터 불로초(不老草)라 불리어 왔으며 최상급의 영약으로 여겨져 왔다. "본초강목"에는 영지를 산삼과 더불어 상약 중의 상약으로 취급하여 "영지를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불로장생하여 마침내 신선이 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 헛개열매는 헛개나무 열매로서 한방에서는 지구자라고 하는데, 열병으로 인한 번열, 구갈, 딸꾹질, 구토 등에 쓰며 이뇨를 돕고, 알코올중독으로 상한 간장을 치료하는 효과를 가진다.
- 맥문동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 초본식물로서, 혈당강하 및 보약제로서 자양강장 및 진해, 건담, 이뇨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항염증, 면역조절, 간 보호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비파열매는 비파(Eriobotrya japonica)나무의 열매로서, 수분이 9026%, 탄수화물 6730%, 섬유소 215%, 환원당 7131%, 펜토산 324%로 아미노산, 다당류, 지방당, 셀룰로오스, 펙틴, 칼륨, 비타민 B1, 비타민 C, 탄닌, 나트륨, 칼슘과 함께 크립토산틴, 베타-케로틴 등의 색소 및 포도당, 과당, 사과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비파열매는 갈증을 해소하고 기를 밑으로 내리는 효능이 있어 위장, 폐, 간장에 좋으며, 뿐만 아니라 폐병에 의한 회수, 토혈, 비혈, 조갈, 구토를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약재들도 분말상으로 준비하고, 약재들을 각각 50~100중량부 추가하여 분말혼합물을 만들어서 제환한다. 이들 약재들이 더 추가됨에 따라 한층 더 건강에 유익한 환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당근분말과 비트분말이 더 추가된다.
당근은 풍부한 식이섬유와 인체의 영양원으로 중요한 카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카로틴은 비타민 A의 전구체로서 항암작용,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카로틴은 당근의 색깔과 영양을 결정하는 주요물질로 체내에 흡수되었을 때 약 30%가 비타민 A로 전환된다.
그리고 비트(beet)는 유럽 남부 지중해가 원산지로 고대 로마시대부터 약용식물로 이용되어 온 자생력이 강한 근엽체식물이다. 비트는 비타민 A와 C, 칼슘, 철, 리보플라빈, 인, 카로틴, 엽산, 레티놀 등 천연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다양한 건강상의 유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식물이다. 비트는 영양성분 중 엽산을 높은 함량으로 갖고 있을 뿐 아니라, 철분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결핍되기 쉬운 철분의 급원이 될 수도 있고 빈혈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비트의 주성분은 선명한 적색 색소인 베타시아닌(betacyanin)으로 베타닌과 이소베타닌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당근과 비트를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을 만들어 사용한다. 이들 당근과 비트분말은 각각 50~100중량부 첨가된다. 이들 당근과 비트분말이 첨가되면, 제조되는 환의 항산화기능이 한층 더 항상된다.

Claims (3)

  1. 자라를 건조시켜 분쇄한 자라분말 100중량부, 장어를 건조시켜 분쇄한 장어분말 100중량부, 잉어를 건조시켜 분쇄한 잉어분말 100중량부, 붕어를 건조시켜 분쇄한 붕어분말 50중량부, 당귀분말 50~100중량부, 천궁분말 50~100중량부, 작약분말 50~100중량부, 숙지황분말 50~100중량부, 백봉령분말 50~100중량부, 백출분말 50~100중량부, 황기분말 50~100중량부, 감초분말, 50~100중량부, 홍삼분말 50~100중량부, 흑마늘 50~100중량부, 녹각 50~100중량부, 마분말 50~100중량부, 누에분말 50~100중량부, 생강분말 50~100중량부, 연자육분말 50~100중량부, 진피분말 50~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2. 제1항에 있어서,
    인삼분말, 칡분말, 산사자분말, 원지분말, 백복신분말, 겨우살이분말, 두충분말, 우슬분말, 하수오분말, 만삼분말, 해동피분말, 탱자분말, 속단분말, 산수유분말, 오미자분말, 영지분말, 헛개열매분말, 맥문동분말, 비파열매분말이 각각 50~100중량부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당근분말 및 비트분말이 각각 50~100중량부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KR1020180173603A 2018-12-31 2018-12-31 건강보조식품용 환 KR20200082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03A KR20200082732A (ko) 2018-12-31 2018-12-31 건강보조식품용 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03A KR20200082732A (ko) 2018-12-31 2018-12-31 건강보조식품용 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32A true KR20200082732A (ko) 2020-07-08

Family

ID=7160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03A KR20200082732A (ko) 2018-12-31 2018-12-31 건강보조식품용 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73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492B1 (ko) 2011-06-10 2013-08-13 영농조합법인 늘새봄 분말을 이용한 식품의 환 제조방법
KR101616748B1 (ko) 2015-11-16 2016-04-29 이주열 기능성 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492B1 (ko) 2011-06-10 2013-08-13 영농조합법인 늘새봄 분말을 이용한 식품의 환 제조방법
KR101616748B1 (ko) 2015-11-16 2016-04-29 이주열 기능성 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52361B (zh) 一种产后1-20天哺乳期母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472052B1 (ko)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20130086682A (ko)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CN106266700A (zh) 一种沙棘组方袋泡型茶剂调配及制作方法
CN104920825A (zh) 母猪产后的饲料添加剂及其生产方法
CN105597071A (zh) 用于治疗仔猪缺铁性贫血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156828A (zh) 一种适用于炎性肠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CN104982989A (zh) 石斛药膳鸡汤及其制作方法
KR20090127970A (ko) 생식환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323217B (zh) 一种调味白骨壤果实酱及其生产方法
CN103610077A (zh) 一种海参胶囊
CN105558422A (zh) 防治香鱼细菌性肠炎病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8208456A (zh) 一种提高蛋鸡产蛋率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338560B1 (ko) 오디 및 한방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국수 제조방법
KR101224196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과 생약제가 함유된 오메가 - 3 제조방법
CN106722644A (zh) 竹荪营养羹的加工方法
KR100780552B1 (ko)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CN104274630B (zh) 一种止脱生发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397282A (zh) 一种安神补脑的刺五加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1783549B1 (ko) Dha 함유 피로회복 증진 보조식품용 조성물 수능단(수능원) 및 그 제조방법
CN105876321A (zh) 一种彩色糯米的制备方法
KR101160196B1 (ko)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97169A (zh) 一种畜禽用中草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20090038595A (ko) 보양식 순대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KR20040060615A (ko) 유황 오리 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