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569A -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569A
KR20200082569A KR1020180173277A KR20180173277A KR20200082569A KR 20200082569 A KR20200082569 A KR 20200082569A KR 1020180173277 A KR1020180173277 A KR 1020180173277A KR 20180173277 A KR20180173277 A KR 20180173277A KR 20200082569 A KR20200082569 A KR 2020008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sliding door
door devic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7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569A/ko
Publication of KR2020008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railway-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60Y2200/1432Low floor 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accessorie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레일이 없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센터레일 없이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에 센터레일을 설치하지 않고 차량용 도어 내측부에 동일 기능을 가진 레일을 설치하여 노출된 센터레일로 인한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Sliding doo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레일이 없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센터레일 없이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에 센터레일을 설치하지 않고 차량용 도어 내측부에 동일 기능을 가진 레일을 설치하여 노출된 센터레일로 인한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격한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휠체어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나 고속버스 또는 시외버스 등에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탑승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사회교통 서비스의 제약이 있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인 시스템의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휠체어를 탑승하는 교통약자에 대한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고속버스 또는 시외버스 개조차량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에서 운용 중인 휠체어 리프트 장착차량의 승강구는 수동 여닫이 개폐형으로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나 내구성의 문제가 있으며 도어 개폐를 위한 고정 장치를 설치해야 하여 공간적 제약이 있으며, 도어 개방 후 적재함의 동시 사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다.
또한, 스윙 암 도어는 내부 공간 활용에 제약이 있어 시트 배열의 삭제가 불가피하여 스텝이 적용되지 않은 스윙 암 도어는 스윙 암이 차지하는 회전반경으로 인한 휠체어 탑승시 이동 공간 확보에도 불리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반면,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는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제작을 위한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으나 공간의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장점이 있어 승합차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는 센터 와이어/벨트 타입, 하부 기어 타입, 센터 렉기어 타입, 센터 체인 타입으로 구분되며, 센터 와이어/벨트 타입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나 복잡한 기구부 및 실내 측벽 매립의 단점이 존재하며, 이중 하부 기어타입은 도어 내부에 모터를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차실 내부의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 공간적 제약이 비교적 적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51976호의 '저상버스 및 저상 승객 수송차량용 전기식 플러그 인/아웃 슬라이딩 출입문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출입구 상부에 대향하여 좌,우측에 오버센터 샤프트 설치용 브래킷(12)이 각기 설치된다. 좌,우측 오버센터 샤프트 설치용 브래킷(12)에는 횡방향(출입구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 오버센터 샤프트(1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오버센터 샤프트(16)는 구동부(20)에 의해 회전 구동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20)는 좌,우측 오버센터 샤프트 설치용 브래킷(12)을 연결하는 커버(22)측 지지브래킷(24)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반으로 제어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유성기어가 포함되어 있고, 오버센터 샤프트(16)에는 도 4와 같이 구동부(20)의 유성기어와 이맞물림된 피동기어(1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20)는 출입문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래의 기술은 저상버스 및 저상 승객 수송차량용 전기식 플러그 인/아웃 슬라이딩 출입문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잠금 장치 없이 캠 가이드 레일의 구속과 링크구조를 통한 플러그 인 잠금으로 출입문 닫힘이 이루어져 외력에 의한 열림이 방지되어 잠금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 인 동작 완료시 차량의 외부와 출입문 판넬의 외각 면이 일치하여 미관상 유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주로 안전 또는 고장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어 본 발명과 상이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휠체어 사용자가 대중교통인 고속버스 또는 시외버스 등에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교통 서비스의 제약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레일이 없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 외부에 노출되는 센터레일 없이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에 센터레일을 설치하지 않고 차량용 도어 내측부에 동일 기능을 가진 레일을 설치하여 노출된 센터레일로 인한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 도어부에 부착되는 센터직선레일 부재; 상기 센터직선레일 부재내에 삽입되어 직선을 운동을 하는 롤러 부재; 상기 도어부의 틀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차량 외부로 돌출시켜주기 위한 회전암 부재; 상기 회전암 부재에 미는 힘에 의하여 상기 도어부를 차량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실린더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휠체어 사용자가 대중교통인 고속버스 또는 시외버스 등에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교통 서비스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 차량 외부에 노출되는 센터레일 없이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동일 기능을 가진 레일을 슬라이딩 도어 내부에 설치하여 센터레일의 노출로 인하여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저상버스 및 저상 승객 수송차량용 전기식 플러그 인/아웃 슬라이딩 출입문장치의 상부 주요 부품 연결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폐문 상태에서의 세부적인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개문 상태에서의 세부적인 구성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은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만을 도시한 것을 고속버스 또는 시외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a)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개문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폐문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도어부에 부착되는 센터직선레일 부재(100), 센터직선레일 부재(100)내에 삽입되어 직선을 운동을 하는 롤러 부재(102), 도어부의 틀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차량 외부로 돌출시켜주기 위한 회전암 부재(101) 및 회전암 부재(101)에 미는 힘에 의하여 도어부를 차량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실린더 부재(103)로 구성된다.
도 3 등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으로 핵심적인 사항이 아닌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재 또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어부는 롤러 부재(102)와 결합되는 회전암 부재(101)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개문 또는 폐문 동작이 이루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폐문 상태에서의 세부적인 구성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부재(102)는 금속제 브라켓에 롤러를 2개 이상 부착하여 형성된다.
도어부의 폐문 동작은 추가로 구비되는 센터직선레일 부재(100)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재(104)가 롤러 부재(104)를 접촉하여 직선운동을 회전암 부재(101)로 전달하여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며, 도어부 끝단을 도어틀(도면부호 미부여) 내부로 끌어 당긴 후 실린더 부재(103)가 압축되도록 제어되고 도어고정 부재(105)에 고정되어 폐문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개문 상태에서의 세부적인 구성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부재(102)는 금속제 브라켓에 롤러를 2개 이상 부착하여 형성된다.
도어부 개문 동작은 추가로 구비되는 도어고정 부재(105)를 해제하면 실린더 부재(103)가 작동함으로써 회전암 부재(101)를 회전시키고, 도어부 끝단을 도어고정 부재(105)에서 도어틀 외부로 밀어내고 롤러 부재(102)가 도어틀 외부로 고정되며 롤러 부재(102)가 센터직선레일 부재(100)를 따라 움직이면서 개문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센터직선레일 부재 101 : 회전암 부재
102 : 롤러 부재 103 : 실린더 부재
104 : 스토퍼 부재 105 : 도어고정 부재

Claims (5)

  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있어서,
    도어부에 부착되는 센터직선레일 부재;
    상기 센터직선레일 부재내에 삽입되어 직선을 운동을 하는 롤러 부재;
    상기 도어부의 틀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차량 외부로 돌출시켜주기 위한 회전암 부재;
    상기 회전암 부재에 미는 힘에 의하여 상기 도어부를 차량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실린더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롤러 부재와 결합되는 회전암 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개문 또는 폐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는 금속제 브라켓에 롤러를 2개 이상 부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개문 동작은 추가로 구비되는 도어고정 부재를 해제하면 상기 실린더 부재가 작동하고 상기 회전암 부재를 회전하여 상기 도어부 끝단을 도어틀 외부로 밀어내고 상기 롤러 부재가 도어틀 외부로 고정되며 상기 롤러 부재가 상기 직선레일 부재를 따라 움직이면서 개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폐문 동작은 추가로 구비되는 스토퍼 부재가 롤러 부재를 접촉하여 직선운동을 상기 회전암 부재로 전달하여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며 상기 도어 부 끝단을 도어틀 내부로 끌어당기고 상기 실린더 부재가 압축되고 도어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폐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20180173277A 2018-12-31 2018-12-3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20200082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77A KR20200082569A (ko) 2018-12-31 2018-12-3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77A KR20200082569A (ko) 2018-12-31 2018-12-3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569A true KR20200082569A (ko) 2020-07-08

Family

ID=7160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277A KR20200082569A (ko) 2018-12-31 2018-12-31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25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2462C2 (ru) Раздвижная или поворотно-раздвижная дверь (варианты)
US8661731B2 (en) Electric door-locking system using a cam
JP4584021B2 (ja) ロック付開閉装置
JP5649721B2 (ja) エレベータドア連結器アセンブリ
US20020184823A1 (en) Tandem sliding door operator
KR101157715B1 (ko) 저상버스 및 저상 승객 수송차량용 전기식 플러그 인/아웃 슬라이딩 출입문장치
JP5383677B2 (ja) エレベータ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KR101191565B1 (ko) 철도 차량의 출입문 기밀성 향상을 위한 플러그 인/아웃 개폐 및 잠금장치
SG174623A1 (en) Electrical door-locking device
ITTO941013A1 (it) Struttura di porta posteriore per autoveicoli.
KR20200037476A (ko) 유성기어감속기를 활용한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0940747B1 (ko) 저상 버스용 전기식 오픈닝 출입문 장치
JPH02239086A (ja) エレベータケージ
US5974737A (en) Self-opening entry device for a controlled access area
AU2005284287B2 (en) Floor lock
KR20200082569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US1151479A (en) Electric door unlocking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utomobiles.
CN111433104B (zh) 用于锁定屏蔽门的门扇的系统
KR20100091699A (ko)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 겸용 후면 도어 장치
JP2000016280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303408B1 (ko) 전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KR200398549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CN114174143A (zh) 站台屏蔽
KR20200027379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JP497280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