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510A -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다용도 이지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 Google Patents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다용도 이지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510A
KR20200082510A KR1020180173161A KR20180173161A KR20200082510A KR 20200082510 A KR20200082510 A KR 20200082510A KR 1020180173161 A KR1020180173161 A KR 1020180173161A KR 20180173161 A KR20180173161 A KR 20180173161A KR 20200082510 A KR20200082510 A KR 2020008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film
ethylene
maleic anhydride
rele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764B1 (ko
Inventor
이경진
길만재
김재현
송상훈
박정원
조경흔
배상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7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필름; 및 기재필름 일면에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이 적층된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지필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300℃ 내외의 높은 온도의 설비를 요구하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용기에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지필 특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포장 소재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필름이 이지필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적정 수준의 접착력 및 필강도를 가짐으로써 밀봉성과 개봉 용이성이 뛰어나고, 개봉 시 용기 표면에 잔사가 남지 않아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다용도 이지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Multipurpose easy peel adhesive having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olefine and compsite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지필용 이형층이 적층된 복합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지필용 이형층을 형성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 포장이란 식품의 수송, 보관 및 유통 과정중에 그 품질을 보존하고, 위생적으로 안전성을 유지하며, 생산, 유통과 수송의 합리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증대시키며 판매를 촉진하기 위하여 알맞은 소재나 용기를 사용하여 식품에 적절한 처리를 하는 기술이나 이를 적용한 상태를 말한다.
과거 90년대 초반까지의 식품 포장의 개념은 식품의 장기 보존성에 대한 것이 가장 중요하게 강조되었고, 이에 따라 식품의 장기 보존을 위한 접착력이 강한 포장재들이 각광받아 왔다. 다만, 최근 산업구조의 고도화 및 인스턴트 산업의 발달에 따라 오늘날의 포장 개념은 장기 보존 중시에서 단기 보존, 단위 포장 및 사용 편리성 중시로 그 중요성이 변환되어 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그 일환으로 등장한 것이 개봉이 용이한 이지필(easy peel) 필름이다.
이지필 필름은 포장 용기에 열 융착을 통한 접착 시 적당한 필(Peel)강도를 가짐으로써 개봉이 용이한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단독으로 사용되지는 않고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여러 기재필름과의 복합필름 형태로 포장 용기와 접착되어 사용된다.
다만 종래의 경우,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용기는 200℃ 내외의 설비로 히트실링(heat sealing)이 가능하여 이지필 특성을 부여하기 쉬운 반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기는 300℃ 이상의 설비를 필요로 하여 상대적으로 이지필 특성의 부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이지필 특성을 부여하더라도 엔젤헤어(angel hair), 즉 개봉 후 용기 표면에 미세한 실과 같은 잔사가 남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는 이물질로도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지필 특성을 부여할 수 있어,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개봉 시 용기 표면에 잔사가 남지 않는 복합필름에 관한 본 발명의 연구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450386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지필 특성을 부여할 수 있어,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개봉 시 잔사가 남지 않는, 이지필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이형층이 적층된 복합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필름; 및 기재필름 일면에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 이 적층된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필름,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필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은 그래프트-폴리부텐-1인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폴리올레핀은 에틸렌-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폴리올레핀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프로필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인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의 말레산무수물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말레산무수물 1 내지 20 중량부인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그래프트-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5 내지 50 : 95 내지 50인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상기 복합필름 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50 내지 75°인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형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형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은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이 적층되어 있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과 같은 극성 물질과 접착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이점으로 인하여, 종래의 경우 이지필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300℃ 내외의 높은 온도의 설비를 요구하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용기에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지필 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를 응용하여 다른 포장 소재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이 이지필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적정 수준의 접착력 및 필(peel)강도를 가짐으로써 밀봉성 및 개봉 용이성이 뛰어나고, 개봉 시 엔젤헤어(angel hair), 즉 미세한 실과 같은 잔사가 남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재필름; 및 기재필름 일면에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이 적층된 복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필름은 이지필(easy peel)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지필 필름은 열 융착을 통한 접착 시 적당한 필(peel)강도를 가짐으로써 개봉이 용이한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은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이 적층되어 있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과 같은 극성 물질과 접착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기에 이지필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300℃ 내외의 설비가 요구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의 경우, 보다 낮은 온도에서 이지필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를 응용하여 다른 포장 소재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이 이지필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적정 수준의 접착력 및 필강도를 가짐으로써, 밀봉성과 개봉 용이성이 뛰어나고, 개봉 시 엔젤헤어(angel hair), 즉 미세한 실과 같은 잔사가 남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재필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포장에 사용될 수 있는 필름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필름,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필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과산화물 또는 아조화합물의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혼련하여 그래프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이는 당업계에서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그래프팅 과정은 특별한 제한 없이 용융상태, 용액상태 및 분말상태 등 다양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1, 폴리펜텐-1 및 폴리헥센-1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래프트-폴리부텐-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폴리올레핀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프로필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복합필름이 이지필 필름으로 사용될 시, 일 예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용기와 적정 수준의 접착력 및 필강도를 가져 개봉이 용이하고, 개봉 시 용기 표면에 잔사가 남지 않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가 랜덤공중합체 또는 블록공중합체인 경우, 특히 랜덤공중합체인 경우 본 발명의 복합필름은 이지필 필름으로서 보다 더 효과적인 접착력 및 필강도를 가질 수 있고, 밀봉성 및 개봉 용이성이 뛰어나며, 또한 개봉 시 용기 표면에 잔사가 남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 가장 선호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이 상기 범위에서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인 경우,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의 말레산무수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말레산무수물 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함량을 갖는 경우, 본 발명의 복합필름은 적정 수준의 접착력 및 필강도를 가질 수 있고, 또한 필름의 내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 내지 50 : 95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본 발명의 복합필름은 이지필 필름으로 사용될 시, 적정 수준의 접착력 및 필강도를 가질 수 있고, 개봉이 용이할 수 있으며, 또한 개봉 시 표면 용기에 잔사가 남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필름 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0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복합필름 표면은 기재필름에 적층된 이형층의 표면을 의미한다. 물에 대한 접촉각은 친수성을 나타낸다. 즉 물에 대한 접촉각이 작은 경우 친수성이 높고, 극성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접촉각을 갖는 경우, 적정 수준의 친수성 및 극성을 가져 본 발명의 복합필름이 효과적인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의 내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필름은 통상의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압출(Co-extrusion) 및 핫프레스(Hot press) 등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의 기재필름 및 이형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재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00㎛, 이형층의 두께는 1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경우, 본 발명의 복합필름이 이지필 필름으로 사용될 시 용기 표면의 거칠기에 따라 이지필 특성이 부여되지 않거나, 접착력 및 필강도가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말레산무수물로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말레산무수물로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1, 폴리펜텐-1 및 폴리헥센-1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래프트-폴리부텐-1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올레핀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프로필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공중합체 또는 블록공중합체, 특히 랜덤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말레산무수물로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의 말레산무수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말레산무수물 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말레산무수물로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 내지 50 : 95 내지 5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형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형층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이형층 필름은 통상의 고분자 필름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액주형, 용융압착, 용융압출, 버블블로우잉(Bubble blowing) 및 카렌더링(Calendering)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형층 필름 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0 내지 75°일 수 있다.
이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부텐-1(용융지수 1.06g/min, 190℃, 2.16kg, Shandong Dongfang Hongye Chemical Co. Ltd.) 100 중량부 대비 말레산무수물(Tianjin Bodi Chemical Co. Ltd.) 10 중량부로 그래프팅하여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부텐-1을 제조하였다.
상기 그래프트-폴리부텐-1과 폴리에틸렌을 30 : 7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형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폴리에틸렌 필름을 기재필름으로 하여, 이형층이 적층된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공압출 및 핫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필름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여 친수성 경향을 분석하였다. KRUSS사의 DSA100을 사용하여 10개의 샘플에 대하여 측정하였고, 그 평균값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필름의 이형층이 적층된 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을 200℃, 25MPa의 조건에서 열 접착시킨 후, Instron사의 Instron을 사용하여 필(peel)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복합필름의 필링 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표면의 잔사를 확인하였다.
폴리부텐-1(용융지수 1.06g/min, 190℃, 2.16kg, Shandong Dongfang Hongye Chemical Co. Ltd.) 100 중량부 대비 말레산무수물(Tianjin Bodi Chemical Co. Ltd.) 10 중량부로 그래프팅하여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부텐-1을 제조하였다.
상기 그래프트-폴리부텐-1과 에틸렌-프로필렌 랜덤공중합체(에틸렌 함량 70wt%)를 30 : 7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형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폴리에틸렌 필름을 기재필름으로 하여, 이형층이 적층된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공압출 및 핫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필름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여 친수성 경향을 분석하였다. KRUSS사의 DSA100을 사용하여 10개의 샘플에 대하여 측정하였고, 그 평균값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필름의 이형층이 적층된 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200℃, 25MPa의 조건에서 열 접착시킨 후, Instron사의 Instron을 사용하여 필(peel)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복합필름의 필링 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표면의 잔사를 확인하였다.
폴리부텐-1(용융지수 1.06g/min, 190℃, 2.16kg, Shandong Dongfang Hongye Chemical Co. Ltd.) 100 중량부 대비 말레산무수물(Tianjin Bodi Chemical Co. Ltd.) 10 중량부로 그래프팅하여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부텐-1을 제조하였다.
상기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부텐-1과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에틸렌 함량 80wt%)를 30 : 7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형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폴리에틸렌 필름을 기재필름으로 하여, 이형층이 적층된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공압출 및 핫프레스 방식을 이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필름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하여 친수성 경향을 분석하였다. KRUSS사의 DSA100을 사용하여 10개의 샘플에 대하여 측정하였고, 그 평균값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필름의 이형층이 적층된 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200℃, 25MPa의 조건에서 열 접착시킨 후, Instron사의 Instron을 사용하여 필(peel)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복합필름의 필링 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표면의 잔사를 확인하였다.
구분 접촉각
실시예 1 74.17°
실시예 2 67.90°
실시예 3 71.04°
각 필름의 물에 대한 접촉각을 통한 친수성 경향 분석
표 1로부터 폴리부텐-1 필름의 경우 접촉각이 약 83°인 것과 비교해볼 때,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필름 모두 접촉각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부텐-1을 사용함으로써 복합필름의 친수성 및 극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필(peel)강도
실시예 1 180gf
실시예 2 450gf
실시예 3 200gf
각 필름에 대한 PET 필름과의 필(peel)강도 측정 및 잔사 확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200℃, 25MPa의 조건에서 열 접착시킨 후, 필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2로부터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부텐-1에 혼합되는 폴리올레핀에 따라 제조된 복합필름의 필강도가 상이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필름 모두 이지필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정 수준의 필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필름의 필링 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표면의 잔사를 확인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필름 모두에서 잔사가 남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필름이 이지필 필름으로 사용되는 경우, 적절한 필강도를 가짐으로써 밀봉성 및 개봉 용이성이 뛰어나며, 또한 개봉 시 잔사가 남지 않아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다만, 가장 높은 필강도를 가져 밀봉성이 가장 우수하면서도, 개봉이 용이하며, 또한 개봉 후 잔사가 남지 않는 실시예 2의 복합필름이 가장 선호될 수 있다.

Claims (16)

  1. 기재필름; 및 기재필름 일면에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이 적층된 복합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복합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은 그래프트-폴리부텐-1인 복합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복합필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프로필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인 복합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의 말레산무수물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말레산무수물 1 내지 20 중량부인 복합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5 내지 50 : 95 내지 50인 복합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필름 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50 내지 75°인 복합필름.
  9.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그래프트-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이형층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은 그래프트-폴리부텐-1인 이형층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이형층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에틸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인 경우 프로필렌과 부텐의 중량비는 50 내지 95 : 50 내지 5인 이형층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폴리올레핀의 말레산무수물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100 중량부 대비 말레산무수물 1 내지 20 중량부인 이형층 조성물.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폴리올레핀과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는 5 내지 50 : 95 내지 50인 이형층 조성물.
  15. 제 9항 내지 제 1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이형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이형층 필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 필름 표면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50 내지 75°인 이형층 필름.
KR1020180173161A 2018-12-28 2018-12-28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다용도 이지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KR10219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61A KR102191764B1 (ko) 2018-12-28 2018-12-28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다용도 이지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61A KR102191764B1 (ko) 2018-12-28 2018-12-28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다용도 이지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510A true KR20200082510A (ko) 2020-07-08
KR102191764B1 KR102191764B1 (ko) 2020-12-16

Family

ID=7160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161A KR102191764B1 (ko) 2018-12-28 2018-12-28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다용도 이지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692B1 (ko) 2021-01-28 2023-04-17 조광만 멸균장치를 구비한 구동 가능한 로봇 조형건축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962B2 (ja) * 1987-08-31 1997-08-2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酸グラフト化変性ポリブテンをベースとするホツトメルト組成物
KR100450386B1 (ko) 1997-12-23 2005-02-02 삼성아토피나주식회사 이지필필름용수지조성물및이를이용한이지필필름
KR20160056526A (ko) * 2014-11-12 2016-05-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KR20160062012A (ko) * 2013-09-25 2016-06-01 주식회사 쿠라레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적층체 및 보호 필름
JP2016175205A (ja) * 2015-03-18 2016-10-06 東ソー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材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962B2 (ja) * 1987-08-31 1997-08-2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酸グラフト化変性ポリブテンをベースとするホツトメルト組成物
KR100450386B1 (ko) 1997-12-23 2005-02-02 삼성아토피나주식회사 이지필필름용수지조성물및이를이용한이지필필름
KR20160062012A (ko) * 2013-09-25 2016-06-01 주식회사 쿠라레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적층체 및 보호 필름
KR20160056526A (ko) * 2014-11-12 2016-05-2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다층 필름용 접착성 수지 조성물
JP2016175205A (ja) * 2015-03-18 2016-10-06 東ソー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764B1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599B1 (ko) 박리 가능한 밀봉 필름
KR100763501B1 (ko) 실란트 수지 조성물, 실란트 필름 및 그 용도
KR102514750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핫멜트 접착제
TWI798288B (zh) 聚烯烴系樹脂膜、積層體以及包裝體
EP0321220B1 (en) Easily openable heat seal material
JP4749539B2 (ja) ポリプロピレン用シーラント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密封容器
TW201723001A (zh) 具有可剝離及不可剝離熱密封件之封裝
TW202144480A (zh) 聚烯烴系樹脂膜、積層體及包裝體
KR20200082510A (ko)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한 다용도 이지필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필름
TW202224954A (zh) 積層體、以及使用有積層體之包裝體
JP6262071B2 (ja) 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H06328639A (ja) ポリプロピレン容器用イージーピールフィルム
JP3634475B2 (ja) 包装用ポリプロピレン複合フィルム
TW201832924A (zh) 供用於多層結構中之聚合物摻合物及包含所述聚合物摻合物之多層結構
TW202100631A (zh) 聚烯烴系樹脂膜、使用有聚烯烴系樹脂膜之積層體以及包裝體
JP2660047B2 (ja) 加熱殺菌可能で容易に開くことができる包装を形成することができるフイルム及びシート
TW202222587A (zh) 聚烯烴系樹脂膜、以及使用有聚烯烴系樹脂膜的積層體、包裝體
CN110709242B (zh) 用于层压物中的聚合物共混物、层压物和制品
JP6822198B2 (ja) シーラント用接着剤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CN109562612B (zh) 层叠膜、层压膜及包装容器
JPS6211774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フイルム
JP2015218182A (ja) 接着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組成物を使用した積層体
JPH09194653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3603102B2 (ja) プロピ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7464034B2 (ja) 多層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