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467A -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467A
KR20200082467A KR1020180173078A KR20180173078A KR20200082467A KR 20200082467 A KR20200082467 A KR 20200082467A KR 1020180173078 A KR1020180173078 A KR 1020180173078A KR 20180173078 A KR20180173078 A KR 20180173078A KR 20200082467 A KR20200082467 A KR 20200082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rim body
body part
pneumatic tire
ti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854B1 (ko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5/00Rim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Locking means for the rim parts
    • B60B25/04Rims with dismountable flange rings, seat rings, or lock rings
    • B60B25/08Continuous flange rings; Arrangement of recesses enabling the flange rings to be slipped over the rim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5/00Rim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Locking means for the rim parts
    • B60B25/02Segmented rims, e.g. with segments arranged in sections; Connecting equipment, e.g. hinges; Insertable flange r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5/00Rim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Locking means for the rim parts
    • B60B25/04Rims with dismountable flange rings, seat rings, or lock rings
    • B60B25/14Locking means for flange rings or seat rings
    • B60B25/20Arrangement of screws, bolts, or shoulder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와 결합하는 림을 포함하고, 상기 림은,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1 림바디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 림바디부와,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의 연결부위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Pneumatic tire assembly}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공기입 타이어 어세블리는 공기입 타이어와 공기입 타이어가 결합하는 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차량 등의 종류, 차량 등이 주행하는 도로나 지면의 상태,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다양한 폭의 공기입 타이어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공기입 타이어의 선택에 따라서 림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야 하며, 이러한 림의 크기를 만족하는 림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림을 사용자가 구매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입 타이어와, 상기 공기입 타이어와 결합하는 림을 포함하고, 상기 림은,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1 림바디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 림바디부와,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의 연결부위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다른 하나로 도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가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다른 하나로 도출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가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방지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에 연결되어 상기 림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림의 폭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림의 폭을 조절하는 경우에도 공기입 타이어와 림 사이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입 타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림바디부와 제2 림바디부의 결합부분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입 타이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림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림바디부와 제2 림바디부의 결합부분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10)는 공기입 타이어(100)와 림(2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는 중앙에 배치되어 지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숄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30)는 숄더부(120)와 연결되며, 비드부(140)는 숄더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는 내부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비드부(140)가 림(미도시)에 설치됨으로써 내부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숄더부(120)와 트레드부(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숄더부(120)와 트레드부(110)는 동종의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숄더부(120)는 일면이 골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숄더부(120)의 폭은 트레드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숄더부(120)는 사이드월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숄더부(120)의 상면에 사이드월부(130)의 하면이 배치되거나 숄더부(120)의 하면에 사이드월부(130)의 상면이 배치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숄더부(120)의 상면에 사이드월부(130)의 하면이 배치되어 숄더부(120)와 사이드월부(130)가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10), 숄더부(120), 사이드월부(130) 및 비드부(140) 내부에는 공통적으로 타이어의 뼈대 역할을 하는 카커스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커스층(150)은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카커스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는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커스층(150)은 제조 시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에 에어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홀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에어홀은 카커스층(150)의 표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커스층(15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카커스층(150)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카커스층(150)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카커스층(150)의 저면에는 인너라이너층(160)이 배치되어 카커스층(15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인너라이너층(160)은 특수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10)는 카커스층(150) 상에 적층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드부(110)는 제1 트레드외피층(111)과 제2 트레드외피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드외피층(111)은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트레드외피층(111)에는 블록(111a), 종그루브(111b) 및 횡그루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111a)은 자동차의 구동 시 지면과 접촉하는 영역으로, 종그루브(111b) 및 상기 횡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종그루브(111b)와 이웃하는 다른 종그루브(111b) 사이 및 어느 하나의 상기 횡그루브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횡그루브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블록(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그루브(111b)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원주방향(예를 들면, 도 3의 Y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그루브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예를 들면, 도 3의 X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트레드외피층(112)에는 벨트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벨트층(170)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 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170)의 양단에는 캡 플라이층(1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캡 플라이층(180)은 벨트층(170)의 양단을 차폐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캡 플라이층(180)은 특수 코드지로 주행 시 벨트층(17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고속 주행 시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월부(130)는 숄더부(120)와 연결되어 차량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30)는 차량 등의 주행 시 일정 정도 변화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월부(130)에는 카커스층(150) 상에 배치되는 사이드월외피층(131)이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사이드월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림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비드부(140)는 사이드월외피층(131)과 연결되는 비드외피층(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각 외피층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내부에 삽입되는 비드와이어층(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수 재질을 포함하는 비드필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림(200)은 공기입 타이어(100)와 연결되어 공기입 타이어(100)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입 타이어(100)와 림(200) 사이에는 차폐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내부에 공기를 충진할 수 있다. 또한, 림(200)은 상기의 공간과 연결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림(20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림(200)은 서로 분리 가능한 제1 림바디부(210), 제2 림바디부(220), 차폐부(240), 실링부(250) 및 폭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림바디부(210) 또는 제2 림바디부(220) 중 하나는 제1 림바디부(210) 또는 제2 림바디부(220) 중 다른 하나로 돌출되는 가이드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한, 제1 림바디부(210) 또는 제2 림바디부(22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가 선형 운동하게 결합하는 수용부(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림바디부(210)는 상기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2 림바디부(220)는 상기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림바디부(210)는 제1 림메인바디부(211), 제1 지지부(212) 및 제1 수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림메인바디부(21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별도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림메인바디부(211)는 상기와 같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어 차축과 연결되는 차축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림메인바디부(211)는 차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12)는 제1 림메인바디부(21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입 타이어(100)의 일면(예를 들면, 공기입 타이어(100)의 외면)이 접촉하고 공기입 타이어(10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13)는 제1 지지부(212)와 상이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수용부(213)는 제2 림바디부(22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부(213)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은 제1 림메인바디부(211)의 원주를 따라 하나로 형성되거나 서로 구분되는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수용부(213)가 서로 이격되며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각 제1 수용부(213)는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횐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수용부(213)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수용부(21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림바디부(220)는 제2 림메인바디부(221), 제2 지지부(222) 및 제2 가이드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림메인바디부(221) 및 제2 지지부(222)는 상기 제1 림메인바디부(211) 및 제1 지지부(212)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가이드부(223)는 제1 수용부(213)의 홈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22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림메인바디부(2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240)는 제1 수용부(213)와 제2 가이드부(223)가 서로 중첩될 때, 제1 수용부(213)의 끝단과 제2 가이드부(223)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다. 이때, 차폐부(240)는 제1 림메인바디부(211) 및 제2 림메인바디부(221)와 결합하여 제1 수용부(213)와 제2 가이드부(223)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폐부(240)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폐부(240)는 상기와 같은 틈을 차폐시킬 뿐만 아니라 제1 림메인바디부(211)의 중심과 제2 림메인바디부(221)의 중심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되는 경우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에 각각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차폐부(240)는 상기와 같은 탄성재질 이외에도 내부에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금속바, 부직포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차폐부(240)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와 같은 탄성재질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폐부(240)는 공기입 타이어(100) 내부 및 림(200) 사이의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가변하는 경우에도 손상이나 파손이 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폐부(240)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제1 림메인바디부(211) 및 제2 림메인바디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차폐부(240)는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제1 림메인바디부(211) 및 제2 림메인바디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차폐부(240)는 림(200)의 외주면을 일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림바디부(210) 또는 제2 림바디부(220) 중 하나는 회전방지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림바디부(210) 또는 제2 림바디부(220) 중 다른 하나는 회전방지부(224)가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방지수용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림바디부(220)가 회전방지부(224)를 포함하고, 제1 림바디부(210)가 회전방지수용부(214)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회전방지부(224)는 제2 가이드부(223)로부터 제1 수용부(213)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방지부(224)는 제2 가이드부(223)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도 4의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방지부(22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수용부(214)는 제1 수용부(213)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방지수용부(214)는 회전방지부(224)가 삽입되며 회전방지부(224)가 선형 운동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방지수용부(214)는 제1 수용부(213)의 길이 방향(예를 들면, 도 4의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림바디부(210) 또는 제2 림바디부(220) 중 하나는 제1 스토퍼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림바디부(210) 또는 제2 림바디부(220) 중 다른 하나는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 특정 위치에서 제1 스토퍼부(215)와 결합하거나 걸리는 제2 스토퍼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림바디부(210)가 제1 스토퍼부(215)를 포함하고, 제2 림바디부(220)가 제2 스토퍼부(225)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스토퍼부(215)와 제2 스토퍼부(225)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토퍼부(215)는 제1 수용부(213)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스토퍼부(225)는 제2 림메인바디부(221) 또는 제2 가이드부(223)로부터 제1 수용부(213)의 내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가 서로 멀어질 때 제1 스토퍼부(215)와 제2 스토퍼부(225)가 접촉하여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가 서로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1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링부(250)는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링부(250)는 고무링, 실리콘링과 같은 실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수용부(213)의 내면과 제2 가이드부(223)의 외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링부(250)는 제1 수용부(213)의 운동 또는 제2 가이드부(223)의 운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실링부(250)는 제1 수용부(213)의 내면 또는 제2 가이드부(223)의 외면에 삽입되어 제1 수용부(213) 또는 제2 가이드부(223)와 함께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폭조절부(230)는 제1 림메인바디부(211)의 중심과 제2 림메인바디부(221)의 중심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폭조절부(230)는 제1 림메인바디부(211)와 제2 림메인바디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함으로써 제1 림메인바디부(211)의 중심과 제2 림메인바디부(221)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폭조절부(230)는 끝단에 결합하여 제1 림메인바디부(211) 또는 제2 림메인바디부(221)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림(200)는 림(200)에 설치되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폭을 조절하거나 강성 등을 조절, 새로운 폭의 공기입 타이어(100)를 림(200)에 설치하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림(2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림(200)의 폭을 조절하는 경우 폭조절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림(200)의 폭을 초기보다 크게 하는 경우 폭조절부(230)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1 림바디부(210)의 중심과 제2 림바디부(220)의 중심은 초기보다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가이드부(223)는 제1 수용부(2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방지부(224)는 회전방지수용부(21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 가이드부(223)가 제1 수용부(213)로부터 최대한 인출되는 경우에는 제1 스토퍼부(215)와 제2 스토퍼부(225)에 의해 제2 가이드부(223)가 제1 수용부(213)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림바디부(210)의 중심과 제2 림바디부(220)의 중심이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가 되면, 폭조절부(230)가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제1 림바디부(210)의 중심과 제2 림바디부(220)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후 공기입 타이어(100)가 차량 등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경우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는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방지부(224)와 회전방지수용부(214)가 서로 결합된 상태이며, 회전방지부(224)와 회전방지수용부(214)는 림(200)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림(200)의 회전 시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서로 상대 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림(200)의 폭을 줄이는 경우는 상기와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폭조절부(230)를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가이드부(223)는 제1 수용부(213)를 따라 제1 수용부(213)의 내부로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2 가이드부(223)가 제1 수용부(213)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회전방지부(224)는 회전방지수용부(214)를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폭조절부(230)의 회전에 따라 제1 림바디부(210) 및 제2 림바디부(220)가 서로 상대 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림(200)의 폴이 조절된 후에도 차량 등에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10)가 설치되어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가 서로 상대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실링부(250)를 통하여 제1 림바디부(210)와 제2 림바디부(2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입 타이어(100) 내부의 기체가 제1 수용부(213)와 제2 가이드부(223)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240)를 통하여 공기입 타이어(100)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10)는 림(200)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100)는 림(200)의 폭 조절 후에도 공기입 타이어(10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안정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100: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숄더부
130: 사이드월부
140: 비드부
150: 카커스층
160: 인너라이너층
170: 벨트층
180: 캡 플라이층
200: 림
210: 제1 림바디부
220: 제2 림바디부
230: 폭조절부
240: 차폐부
250: 실링부

Claims (5)

  1. 공기입 타이어; 및
    상기 공기입 타이어와 결합하는 림;을 포함하고,
    상기 림은,
    제1 림바디부;
    상기 제1 림바디부에 선형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제2 림바디부; 및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의 연결부위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다른 하나로 도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가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다른 하나로 도출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림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림바디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가 선형 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방지수용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림바디부와 상기 제2 림바디부에 연결되어 상기 림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KR1020180173078A 2018-12-28 2018-12-28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KR102203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78A KR102203854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78A KR102203854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67A true KR20200082467A (ko) 2020-07-08
KR102203854B1 KR102203854B1 (ko) 2021-01-15

Family

ID=7160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078A KR102203854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610A (ko) * 2020-09-16 2022-03-23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조립식 자동차용 휠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403A (ja) * 2000-04-21 2001-10-31 Yokohama Rubber Co Ltd:The 自動車用ホイール
KR20130042144A (ko) * 2011-10-18 2013-04-26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폭 가변형 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403A (ja) * 2000-04-21 2001-10-31 Yokohama Rubber Co Ltd:The 自動車用ホイール
KR20130042144A (ko) * 2011-10-18 2013-04-26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폭 가변형 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610A (ko) * 2020-09-16 2022-03-23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조립식 자동차용 휠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54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0782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3112190B1 (en) Functional component mounting base and tire
EP1698494B1 (en) Runflat tire system and support ring therefor
JP2021178637A (ja) タイヤ
KR20200082467A (ko) 공기입 타이어 어셈블리
JP2008307950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127453B1 (ko) 공기입 타이어
EP3599111B1 (en) Pneumatic tire
US20200114705A1 (en) Pneumatic tire with noise-absorbing member and tire-and-rim assembly
JP200706969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7105348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組立体
JP681229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51765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組立体
JP2007112306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18894B1 (ko) 공기입 타이어
JP525679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670220B1 (ko) 공기압 타이어
JP6807263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202637B1 (ko) 휠 어셈블리
JP2020108986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304428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0743915B1 (ko) 비대칭 구조를 갖는 런플랫 타이어
WO2016052441A1 (ja) タイヤとホイールとの組立体
KR20240044195A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29581B1 (ko)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