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604A -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604A
KR20200081604A KR1020180170777A KR20180170777A KR20200081604A KR 20200081604 A KR20200081604 A KR 20200081604A KR 1020180170777 A KR1020180170777 A KR 1020180170777A KR 20180170777 A KR20180170777 A KR 20180170777A KR 20200081604 A KR20200081604 A KR 2020008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wheeled vehicle
box device
memor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기
윤태봉
심규진
차병기
Original Assignee
(주) 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스텍 filed Critical (주) 코스텍
Priority to KR102018017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604A/ko
Publication of KR2020008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10Arrangement of audio equipment;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2채널로 운영되는 카메라부; 이륜차의 주행이나 정차 중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메뉴 설정이나 동작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입출력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명령이나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TAT(Time Allocation Table) 방식으로 영상프레임을 저장한다.

Description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BLACK BOX APPARATUS FOR TWO 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기에 장착되는 블랙박스는 사고 순간의 비행기의 동작 상태와 운행자의 신체 상태, 그리고 사고 순간에 운행자들 사이에 주고받은 음성데이터 등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장치이다. 그래서 비행기의 사고 이후에 블랙박스를 수거하여 분석하면, 사고 순간의 상태를 역추적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중 사고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사고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 주행 중 전방 및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이동식 디스크(예 : Mini SD Card, SD Card, USB Memory 등)를 저장장치(메모리)로 사용하며, 상기 저장장치(메모리)에 상기 녹화 영상을 위한 폴더와 이벤트 녹화 영상을 위한 폴더를 생성한 후, 상기 각 폴더에 상시 녹화 영상(즉, 주행 영상)과 이벤트 녹화 영상(즉, 충격이 발생한 구간의 영상)을 각기 저장한다.
이때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상기 이동식 디스크를 메모리로 인식한다.
그런데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에서는 상기 영상들(예 : 상시 녹화 영상, 이벤트 녹화 영상)의 쓰기와 지우기가 자주 발생하고, 또한 상기 영상들을 쓰고 지우는 주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이동식 메모리에 단편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단편화 현상이 발생할 경우 데이터 액세스(Access)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편화 현상은 저장장치의 빈 공간 또는 자료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편화 현상은 저장장치의 사용 가능한 공간을 줄이거나, 읽기와 쓰기 속도를 늦추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정해진 시간 내에 정해진 양의 영상을 저장장치에 반드시 기록해야 되는데, 만약 상기와 같이 액세스 속도가 저하될 경우 메모리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여 시스템(즉, 차량용 블랙박스)이 다운되거나 시스템 리셋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저장장치로 사용하는 이동식 메모리에 발생한 단편화 현상으로 인해 만약 시스템(즉, 차량용 블랙박스)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백업한 후 상기 이동식 메모리를 다시 포맷함으로써 단편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가능한 메모리 단편화 현상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울러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며, 기존에는 자전거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륜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블랙박스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차량 대비 사고 위험성이 더 높은 이륜차의 특성상, 더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블랙박스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45292호(2010.05.03.공개, 메모리 성능이 개선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자전거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는, 적어도 2채널로 운영되는 카메라부; 이륜차의 주행이나 정차 중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메뉴 설정이나 동작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입출력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명령이나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TAT(Time Allocation Table) 방식으로 영상프레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저전압에 해당할 경우,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이륜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부, 및 이륜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카메라부는 각기 FULL HD(1920 * 1080p)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파이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나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 기능을 이용해 기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AT(Time Allocation Table) 방식을 적용하여 초 단위 또는 프레임 단위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전거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통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파일 저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는, 카메라부(110), 충격감지부(120), 제어부(130), 메모리(140), 통신부(150), 및 음성입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실시간으로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충격감지부(120)는 일종의 가속도 센서(예 : G-sensor)와 같은 충격감지센서(또는 동작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중이나 정차(또는 주차)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며, 순간적인 충격속도에 기초하여 충격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일종의 응용 프로세서(AP :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예 : 상시 녹화 영상, 이벤트 녹화 영상 등)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 액세스 속도가 빠른 상기 내부 메모리(미도시)를 통해 버퍼링한 후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플래쉬 롬(Flash ROM)과 같은 일종의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통상적으로 외장 메모리 타입의 이동식 메모리(예 : Mini SD Card, SD Card, USB Memory 등)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4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한번 저장된 데이터는 소실되지 않는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140)를 외장형 메모리로 인식한다. 즉, 종래에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를 메모리로 인식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동식 메모리를 메모리가 아닌 외장형 메모리(즉, 외장형 하드디스크)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식 메모리를 기존의 하드디스크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가 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에 삽입되면,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의 상태를 체크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메모리(140)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적 파티션(예 : 4개의 파티션)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할된 각 파티션을 제1 메모리(141), 제2 메모리(142) 등으로 기재한다. 이때 상기 각 메모리(141, 142)는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분할된다. 상기와 같이 분할된 별도의 물리적 공간(즉, 메모리)에서는 쓰기와 지우기의 주기가 같아진다. 즉, 동일한 물리적 공간(즉, 메모리)에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즉, 쓰기와 지우기의 주기가 같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단편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메모리(141)에는 상시 녹화 영상을 저장하거나 삭제하고, 제2 메모리(142)에는 충격 녹화 영상을 저장하거나 삭제하고, 제3 메모리(미도시)에는 모션 녹화 영상을 저장하거나 삭제하고, 제4 메모리(미도시)에는 매뉴얼 녹화 영상(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녹화한 영상)을 저장하거나 삭제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 서로 다른 성격의 영상을 하나의 동일한 물리적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삭제함으로써 발생되었던 단편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에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가 삽입될 경우,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물리적 파티션이 분할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의 각 파티션(즉, 메모리)이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분할되어 있을 경우, 해당 파티션(즉,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가 최초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즉,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가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물리적 파티션이 분할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를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물리적 파티션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파티션을 미리 지정된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한다.
그러나 상기 체크 결과,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가 최초 삽입된 것이 아니면, 즉,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가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물리적 파티션이 분할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에 대한 초기화 과정(예 : 파티션 분할 및 포맷)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를 초기화할 때 각 파티션에 저장할 영상의 종류별로 미리 지정된 해당 용량을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140)를 초기화할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상기 메모리(140)(즉, 외장형 메모리)의 파티션을 분할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를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물리적 파티션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물리적 파티션을 미리 지정된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장형 메모리가 미리 정된 용량과 개수의 파티션(즉, 메모리)로 분할되어 있지 않으면(즉, 다른 형태의 파티션으로 분할되어 있거나 임의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를 최초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화를 수행한다.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초기화 시, 상기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외장형 메모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리적 파티션(즉, 메모리)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가 최초 삽입된 것이 아니면, 즉, 상기 외장형 메모리가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물리적 파티션이 분할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대한 초기화 과정(예 : 파티션 분할 및 포맷)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통신부(150)는 근거리 무선통신(예 : 블루투스, WiFi 등) 방식으로 통신하거나, 원거리 무선통신(예 : GSM, LTE 등)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입출력부(160)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며, 또한 음성으로 메뉴를 설정하거나 음성으로 동작(예 : 재생, 녹화, 긴급녹화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긴급 녹화 전 10초, 긴급 녹화 후 20초 등으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저전압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저전압에 해당할 경우,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는 적어도 30프레임(30fps) 단위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TAT(Time Allocation Table File)를 지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는 적어도 2채널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륜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부(즉, 전방 카메라부), 및 이륜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부(즉, 후방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카메라부는 각기 FULL HD(1920 * 1080p)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통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는 통신 기능을 이용해 기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예 : 스마트폰)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예 : 스마트폰)를 통해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초기에 메모리(140)를 포맷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포맷 프리 기술을 적용하여 메모리 카드의 포맷 없이도 안정적인 영상 파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포맷 프리 기술을 통해 포맷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메모리 관리 기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메모리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파일 저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종래에 분 단위로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FAT 방식)은 예상치 못한 전원 차단 시 해당 영상 파일이 저장되지 않고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TAT(Time Allocation Table) 방식은 초 단위(또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영상의 저장 도중 전원 공급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사고 순간의 영상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에 따라 메모리의 오류 발생 빈도수도 낮고, 발열량도 낮으며, 영상 저장 시 가장 안정적인 저장방식을 사용하여 사고 순간을 놓치지 않고 안정적인 영상을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카메라부 120 : 충격감지부
130 : 제어부 131 : 메모리 상태 체크부
132 : 초기화부 133 : 용량 설정부
134 : 파티션 분할부 140 : 메모리
141 : 제1 메모리 142 : 제2 메모리

Claims (5)

  1.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채널로 운영되는 카메라부;
    이륜차의 주행이나 정차 중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메뉴 설정이나 동작 제어를 위한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입출력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명령이나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TAT(Time Allocation Table) 방식으로 영상프레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저전압에 해당할 경우,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이륜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부, 및 이륜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카메라부는 각기 FULL HD(1920 * 1080p)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와이파이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나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 기능을 이용해 기 지정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AT(Time Allocation Table) 방식을 적용하여 초 단위 또는 프레임 단위로 블랙박스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KR1020180170777A 2018-12-27 2018-12-27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KR20200081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77A KR20200081604A (ko) 2018-12-27 2018-12-27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77A KR20200081604A (ko) 2018-12-27 2018-12-27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604A true KR20200081604A (ko) 2020-07-08

Family

ID=7159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77A KR20200081604A (ko) 2018-12-27 2018-12-27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6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381A (ko) 2022-06-15 2023-1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이륜차 블랙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381A (ko) 2022-06-15 2023-1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카메라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이륜차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6423B2 (ja) 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48842A1 (en) Data Logging System for Collecting and Storing Input Data
CN102902989A (zh) 读卡器、电子设备及存储卡的保护方法
CN111373379A (zh) 一种数据备份方法及终端
CN109683827A (zh) 一种数据存储方法、装置、行车记录仪和存储介质
KR20200081604A (ko) 이륜차용 블랙박스 장치
KR102197194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1091667A (ja) ドライブレコーダ、記録方法、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86317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cording apparatus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92646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consumption of mobile terminal
KR102324278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8827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585326B1 (ko) 선별된 프레임을 고해상도로 저장하는 비디오 레코딩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02866864A (zh) 实现一次性可编程存储的方法和存储设备
KR10151400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설정 변경 방법 및 차량용 블랙박스
US8386691B1 (en) Multimedia storage card system
US20160062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torage device operations by a host device
KR100932096B1 (ko)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방법
KR101559241B1 (ko) 영상 사고 기록 장치의 대표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663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02011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643640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1492822B1 (ko) 주행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2057576B1 (ko) 다채널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