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055A -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055A
KR20200081055A KR1020180171150A KR20180171150A KR20200081055A KR 20200081055 A KR20200081055 A KR 20200081055A KR 1020180171150 A KR1020180171150 A KR 1020180171150A KR 20180171150 A KR20180171150 A KR 20180171150A KR 20200081055 A KR20200081055 A KR 20200081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pipe
refrigerato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준
안재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055A/ko
Priority to US17/285,024 priority patent/US20210341207A1/en
Priority to PCT/KR2019/017811 priority patent/WO2020138804A1/ko
Publication of KR2020008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르는 냉장고는, 냉동실에 배치되고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냉동실의 상부에 형성된 냉장실에 배치되고, 제빙장치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물탱크의 물을 제빙장치에 공급하도록 물탱크와 제빙장치를 연결하는 급수배관 급수배관에 마련되어 물탱크의 물을 제빙장치로 이동시키는 급수펌프 및 급수배관에서 역류된 물이 물탱크로 이동하도록 일측은 급수배관으로부터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기되고, 타측은 물탱크와 연결된 우회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WATER SUPPLY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급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실에 마련된 제빙장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과, 냉동사이클을 통해 냉기를 생성하여 저장공간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제빙장치의 작동을 위해서 냉장고에는 제빙장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French Door Refrigerator(FDR) 형 냉장고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급수장치의 물탱크는 냉장실에 설치되고, 물탱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빙장치는 냉동실에 설치될 수 있다. 물탱크와 제빙장치 사이는 급수펌프가 구비되는 급수배관으로 연결된다.
급수배관에 잔존하는 물이 냉동실에서 유입된 냉기로 인해 결빙될 가능성이 있다. 급수배관이 결빙된 경우 급수배관 내의 물이 역류하여 급수장치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급수배관에서 역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역류된 물을 물탱크로 회수하여 급수장치에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본 개시의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냉장고는 냉동실에 배치되고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냉동실의 상부에 형성된 냉장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장치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제빙장치에 공급하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제빙장치를 연결하는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제빙장치로 이동시키는 급수펌프; 및 상기 급수배관에서 역류된 물이 상기 물탱크로 이동하도록 일측은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기되고, 타측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된 우회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우회배관의 일측은, 상기 급수배관에 대해 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우회배관의 일측에서 상기 우회배관의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회배관의 타측은, 상기 급수배관의 내측 및 외측이 연통되도록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급수배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급수배관에서 역류된 물이 상기 급수펌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급수펌프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급수배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급수배관 사이에 마련되는 T형 커플러; 및 상기 T형 커플러와 상기 물탱크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형 커플러는, 상기 급수배관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는, 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상기 물탱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제빙장치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장치는 물탱크와 제빙장치 사이의 급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된 우회배관이 형성됨으로써, 급수배관 내부에서의 물 흐름이 막혀 역류하는 물이 물탱크로 회수됨에 따라 급수장치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장치 및 제빙장치를 나타내는 냉장고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표시된 ‘Ⅴ-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3에 표시된 ‘Ⅵ-Ⅵ’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의한 급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의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 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된 저장공간(20, 30)과, 저장공간(20, 30) 각각을 개폐하는 도어(21, 31)와, 얼음을 생성하도록 냉동실(30)에 마련된 제빙장치(200)와, 제빙장치(2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냉동실(30)에 마련된 급수장치(100)와, 냉기를 제공하는 냉동사이클(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된 저장공간(20, 30)과, 저장공간(20, 30)을 개폐하는 도어(21, 31)와, 얼음을 생성하도록 냉동실(30)에 마련된 제빙장치(200)와, 제빙장치(200)에 물을 공급하도록 냉장실(20)에 마련된 급수장치(100)와 냉기를 제공하는 냉동사이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장치(200)는 냉동실(30)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냉장고(1)는 제빙장치(200)가 배치되는 제빙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제빙실에 설치되는 제빙장치(200)는 급수장치(1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실은 냉장실 내부의 일 코너에 마련되거나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수평 격벽과 수직 격벽으로 구성된 T형 격벽(50)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공간(20, 30)은 수평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본체(10)의 상부에 냉장실(20)이 마련되고 본체(2)의 하부에 냉동실(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T형 격벽(50)에 의해 냉동실(80)을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냉장실(20)에는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선반(9)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21)는 냉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냉장실 도어(21)는 각각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2)의 양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는 냉장실 도어(21)를 개폐하도록 냉장실 도어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냉동실 도어(31)는 냉동실(3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냉동실 도어(31)는 각각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냉동실 도어(31)의 전면에는 냉동실 도어(31)를 개폐하도록 냉동실 도어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20)의 하부 일측에는 제빙장치(2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냉동실(30)의 상부 일측에는 급수장치(1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 및 보관하는 제빙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100)의 급수배관(150)은 제빙장치(200)와 연결되어 급수장치(100)의 물을 제빙장치(20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T형 격벽을 포함하는 T-type 냉장고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부에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서랍형 냉동실이 마련된 소위 FDR(French Door Refrigerator) 형 냉장고, BMF (Bottom Mounted Freezer) 형 냉장고, 4-Door 냉장고 등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장치 및 제빙장치를 나타내는 냉장고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급수장치(100)는 냉장실(20)에 배치될 수 있고, 제빙장치(200)는 냉장실(20)의 하부에 형성된 냉동실(30)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장치(100)는 후술하는 제빙장치(2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탱크(110), 물탱크(110)와 제빙장치(200)를 연결하는 급수배관(150), 급수펌프(130) 및 급수펌프(130)에서 분기된 우회배관(170)을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110)는 제빙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물탱크(110)에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질 수 있다.
급수배관(150)은 일단이 물탱크(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빙장치(2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은 급수배관(150)을 통하여 제빙장치(200)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배관(150)의 일단(130a)은 물탱크(110)와 연결될 수 있다. 물탱크(110)로부터 제빙장치(200)로 물을 전달하는 급수배관(150)의 일단(130a)은 후술하는 우회배관(170)의 일단(170a)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130)는 급수배관(15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130)는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제빙장치(200)에 공급할 수 있다. 급수펌프(130)는 일방향 회전 가능한 펌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급수펌프(130)가 회전하면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은 급수펌프(130)의 흡입력에 의해 급수배관(150)을 따라 제빙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은 급수펌프(130)와 급수배관(150)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빙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
급수펌프(130)가 작동하여 물탱크(110)의 물이 급수배관(150)을 통해 제빙장치(200)로 이동하면 제빙장치(200)로 제공된 물은 제빙장치(200)에서 결빙되면서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 급수펌프(40)가 정지하면, 물탱크(110)의 물이 더 이상 제빙장치(200)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급수배관(150)의 양단에는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물이 남게 되어 그 사이가 진공압이 형성될 수 있다.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에서 역류된 물이 물탱크(110)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우회배관(170)의 일측은 급수배관(150)으로부터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기되고, 타측은 물탱크(11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배관(150)에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물이 남아 있는 경우 급수배관(150)은 냉동실(30)에서 유입된 냉기로 인해 급수배관(150)이 결빙될 수 있다. 급수배관(150)이 결빙된 경우 급수배관(150) 내에서 역류하는 물은 우회배관(170)을 따라 물탱크(110)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배관(150)이 결빙된 경우 급수배관(150) 내의 물은 역류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급수펌프(130) 주변의 급수배관(150)에서 누수될 수 있는데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에서 역류하는 물을 다시 물탱크(11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급수장치(100)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도록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우회배관(170)은 외부의 에어가 급수배관(150)의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측이 공기 중에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회배관(170)의 타측(170a)은 물탱크(1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회배관(170)의 타측(170a)은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의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130)에 의해 제빙장치(200)에 물을 공급한 이후에 급수펌프(40)가 정지하면, 물탱크(110)의 물이 더 이상 제빙장치(200)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급수배관(150)의 양단에는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물이 남게 되어 그 사이가 진공압이 형성될 수 있다. 급수배관(150)에 진공압이 형성됨에 따라 물탱크(110)의 물이 제빙장치(200)로 계속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배관(150)으로부터 분기된 우회배관(170)이 형성됨에 따라 우회배관(170)으로부터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급수배관(150)의 양단 사이에 진공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탱크(110)와 제빙장치(200) 사이의 높이 차에 따른 급수배관(150)의 수두차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으로 에어를 제공하여 급수 중단 시 물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
급수장치(10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빙장치(200)는 급수장치(10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을 공급받는 제빙장치(200)의 제빙 트레이(210)는 급수장치(100)의 물탱크(11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장치(200)는 제빙 트레이(210)와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10)는 얼음이 생성되는 그릇으로서 물탱크(1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급수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10)의 일측에는 제빙 트레이(2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배관(150)의 급수부(151)가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10)의 하부에는 냉매관이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210)는 제빙 트레이(21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밀어 내어 제빙 트레이(210)에서 방출시키는 이젝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저장부(230)는 이젝터에 의해 제빙 트레이(210)에서 방출된 얼음을 저장하도록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제빙 트레이(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급수배관(150)은 물탱크(110)에서 배출된 물이 급수펌프(130)로 유입되는 제1 유로(131)와 급수펌프(130)에서 배출되는 제2 유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은 급수펌프(130)의 흡입력에 의해 제1 유로(131)를 따라 급수펌프(1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급수펌프(130)를 통과한 물은 제2 유로(133)를 따라 제빙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
제2 유로(133)와 급수배관(150)은 연결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133)와 급수배관(150) 사이에 우회배관(170)이 형성될 수 있다.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에서 역류된 물이 급수펌프(130)로 이동하지 않도록 급수펌프(13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으로부터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 사이에 마련되는 T형 커플러(171)와, T형 커플러(171)와 물탱크(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라인(17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형 커플러(171)는 급수배관(150)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연결부(172)와 제1 연결부(17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72)는 급수배관(150)의 일부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연결부(173)는 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제1 연결부(172)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73)는 급수배관(150)의 일부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연결부(173)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 연결부(173)는 제1 연결부(172)에 대해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73)와 제1 연결부(172)가 만나는 지점이 T형 커플러(171)의 분기점에 해당한다.
제1 연결부(172) 및 제2 연결부(17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73)의 일단은 제1 연결부(172)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 연결부(173)의 타단에는 연결라인(175)이 배치될 수 있다. 기 설정된 높이를 갖는 제2 연결부(173)로부터 넘친 물이 연결라인(175)을 따라 물탱크(110)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라인(175)은 T형 커플러(171)로부터 물탱크(1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라인(175)으로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물탱크(110)로 배출될 수 있다.
우회배관(170)이 급수배관(150)에 대해 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급수펌프(130)가 가동하는 경우 제2 유로(133)를 따라 이동하는 물이 우회배관(170)으로 이동하지 않고, 급수배관(150)을 따라 제빙장치(20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급수펌프(130)에 의해 다량의 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급수배관(150)이 결빙되어 급수배관(150)의 타측(제빙장치와 인접한 영역)이 막힌 경우 물이 급수배관(150)과 제2 유로(133)에 가득 찰 수 있다. 이 때, 급수배관(150)과 제2 유로(133)에 가득찬 물은 우회배관(170)의 제2 연결부(173)로 넘쳐 우회배관(17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급수배관(150)이 결빙되어 물이 역류하는 경우 역류된 물은 우회배관(170)에 의해 물탱크(110)로 이동할 수 있다.
급수배관(150)에서 역류 현상이 발생 시 역류된 물이 급수배관(15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분기된 우회배관(170)으로 이동함에 따라 급수배관(150)의 물이 급수장치(100)의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급수배관(150)에서 역류된 물은 급수펌프(130)로 이동하지 않고, T형 커플러(171)의 분기점에서 다시 물탱크(110)로 회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표시된 ‘Ⅴ-Ⅴ’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회배관(170)은 물탱크(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에어개구(176)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개구(176)는 우회배관(170)의 타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개구(178)는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개구(176)는 급수배관(15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개구(176)는 물탱크(110)의 물이 닿지 않는 상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개구(176)가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배치됨에 따라 급수펌프(130)가 동작 시에 우회배관(170)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고, 급수펌프(130)가 정지 시에 우회배관(170)으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에어개구(176)를 통해 급수배관(150)의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중에 노출된 에어개구(176)를 포함하는 우회배관(170)이 형성됨으로써 급수배관(150) 내에서 진공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이 관 내에 머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급수배관(150)은 에어개구(176)를 갖는 우회배관(170)과 연통될 수 있다. 급수배관(150)은 에어개구(176)를 갖는 우회배관(170)을 통해서 대기압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급수배관(150)의 수두차에 의한 가압력으로 급수배관(150) 내의 물이 머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수펌프(130)에 의해 제빙장치(200)에 물을 공급한 이후에 급수펌프(40)가 정지하면, 급수배관(150)의 양단에는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물이 남을 수 있다. 이 때 우회배관(170)의 에어개구(176)를 통해 급수배관(150)으로 에어를 유입하여 급수배관(150) 내에 남아있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급수배관(150) 내에 남아있는 물을 배출함에 따라 급수배관(150) 내의 수두차에 의해 물이 관 내에 남아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배관(150) 내에 남아있는 물을 배출함으로써 급수배관(150)의 결빙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한편, 급수배관(150) 중 제빙장치(200)와 인접한 급수배관(150)의 타측이 결빙되어 급수배관(150) 내의 물이 역류하더라도 역류된 물은 우회배관(170)을 따라 물탱크(110)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배관(150)의 일측이 결빙 등으로 막힌 경우 급수펌프(130)에서 배출되는 물은 T형 커플러(171)에 가득 차고, T형 커플러(171)에 가득찬 물은 연결라인(175)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은 제1 연결부(172)의 상부까지 차고, 제1 연결부(172)와 연결된 제2 연결부(173)까지 찰 수 있다. 제2 연결부(173)에서 넘친 물은 연결라인(175)을 따라 물탱크(110)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라인(175)은 물탱크(11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라인(175)으로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물탱크(110)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라인(175)의 타측에는 연결라인(175)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물탱크(11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연결라인(175)의 에어개구(176)가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개구(176)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의 내부에 연결라인(175)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에어개구(176)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80)는 에어개구(176)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급수배관(150)의 결빙 등에 의해 급수배관(150)의 타측이 막힌 경우,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에서 역류하는 물을 다시 물탱크(11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급수장치(100)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는 도 3에 표시된 ‘Ⅵ-Ⅵ’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회배관(170)은 급수배관(150)보다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급수펌프(130)에 의해 다량의 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빙장치(200)로 공급되는 물이 우회배관(170)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회배관(170)의 직경은 급수배관(1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회배관(170) 중 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 연결부(173)의 직경이 급수배관(1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급수펌프(130)는 물탱크(110)에서 제빙장치(2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펌프(130)가 일정시간 동작 후 정지하면, 우회배관(170)을 통해 급수배관(150)에 에어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에어는 급수배관(150) 내에 잔존하는 물을 제빙장치(200)로 배출시킬 수 있다.
급수배관(150) 내에 남아있는 물이 모두 제빙장치(200)로 배출되면 급수배관(150) 내에 물이 남아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회배관(170)이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의 최대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제빙장치(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펌프(130)의 동작 시 우회배관(170)에서 급수배관(150)으로 물이 빠져나가지 않고, 급수펌프(130)가 정지 시 우회배관(170)에서 급수배관(150)으로 에어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에어에 의해 급수배관(150) 내에 남아있는 물을 모두 배출시켜 관내에 물이 남아 물 흐름을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회배관(170)이 급수배관(150)으로부터 중력 반대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배관(150)에서 역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역류된 물이 분기된 우회배관(170)을 따라 물탱크(110)로 다시 회수될 수 있어 급수장치(100)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0: 본체
20: 냉장실 30: 냉동실
100: 급수장치 110: 물탱크
130: 급수펌프 150: 급수배관
170: 우회배관 200: 제빙장치

Claims (12)

  1. 냉동실에 배치되고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
    상기 냉동실의 상부에 형성된 냉장실에 배치되고, 상기 제빙장치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제빙장치에 공급하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제빙장치를 연결하는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에 마련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제빙장치로 이동시키는 급수펌프; 및
    상기 급수배관에서 역류된 물이 상기 물탱크로 이동하도록 일측은 상기 급수배관으로부터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기되고, 타측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된 우회배관;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배관의 일측은,
    상기 급수배관에 대해 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우회배관의 일측에서 상기 우회배관의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배관의 타측은,
    상기 급수배관의 내측 및 외측이 연통되도록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급수배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배치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급수배관에서 역류된 물이 상기 급수펌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급수펌프의 후단에 배치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급수배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배관은,
    상기 급수배관 사이에 마련되는 T형 커플러; 및
    상기 T형 커플러와 상기 물탱크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커플러는,
    상기 급수배관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상기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기 설정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은,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상기 물탱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은,
    상기 제빙장치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냉장고.
KR1020180171150A 2018-12-27 2018-12-27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081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50A KR20200081055A (ko) 2018-12-27 2018-12-27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7/285,024 US20210341207A1 (en) 2018-12-27 2019-12-16 Water supply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PCT/KR2019/017811 WO2020138804A1 (ko) 2018-12-27 2019-12-16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150A KR20200081055A (ko) 2018-12-27 2018-12-27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055A true KR20200081055A (ko) 2020-07-07

Family

ID=7112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150A KR20200081055A (ko) 2018-12-27 2018-12-27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41207A1 (ko)
KR (1) KR20200081055A (ko)
WO (1) WO2020138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434A (zh) * 2021-12-29 2022-04-12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供水装置及冰箱
DE102022212214A1 (de) * 2022-11-16 2024-05-16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spezifischem Einlegeteil zum frei tragenden Anhängen einer Komponente einer Wasserbereitstellungseinrichtung, sowie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3505A (en) * 1989-01-30 1990-02-27 Hoshizaki Electric Co., Ltd. Automatic ice manufacturing apparatus
US5291747A (en) * 1991-08-13 1994-03-08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ic control apparatus for ice making machine
JP3326315B2 (ja) * 1995-11-28 2002-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製氷装置
JPH1194412A (ja) * 1997-09-25 1999-04-09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綿氷融解構造
JP2000220928A (ja) * 1999-01-28 2000-08-08 Sanyo Electric Co Ltd 冷凍冷蔵庫の製氷装置および給水装置
JP2000292041A (ja) * 1999-04-01 2000-10-20 Sankyo Seiki Mfg Co Ltd 冷蔵庫
JP2001183040A (ja) * 1999-12-27 2001-07-06 Hitachi Ltd 冷凍冷蔵庫
KR100777300B1 (ko) * 2006-06-21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JP5097459B2 (ja) * 2007-06-22 2012-12-1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製氷機の運転方法
WO2017036557A1 (en) * 2015-09-04 2017-03-09 Arcelik Anonim Sirketi Ice making apparatus with improved replenishment and oper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41207A1 (en) 2021-11-04
WO2020138804A1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462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888825B2 (en) Refrigerator
KR101106644B1 (ko) 냉장고
KR101713327B1 (ko) 냉장고
KR101997259B1 (ko) 냉장고
KR101096994B1 (ko) 냉장고
KR20120011273A (ko) 냉장고
CN107850365B (zh) 冰箱
US3570266A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er water reservoir
KR20200081055A (ko) 급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572999B2 (en) Refrigerator
CN113242951A (zh) 制冰机
KR20160023528A (ko) 냉장고
KR20100058362A (ko) 냉장고
KR20200014706A (ko) 냉장고
KR20110136909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워터탱크
EP2097695B1 (en) Refrigerator
CN105650981A (zh) 冰箱
JP6503185B2 (ja) 冷蔵庫用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KR101079469B1 (ko) 냉장고
KR20130017010A (ko) 냉장고
CN102494475B (zh) 冰箱
KR200180227Y1 (ko) 냉장고용 급수장치
JP4820710B2 (ja) 冷蔵庫
KR200217545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