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294A -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294A
KR20200080294A KR1020207015652A KR20207015652A KR20200080294A KR 20200080294 A KR20200080294 A KR 20200080294A KR 1020207015652 A KR1020207015652 A KR 1020207015652A KR 20207015652 A KR20207015652 A KR 20207015652A KR 20200080294 A KR20200080294 A KR 20200080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rc
signaling
cause value
parameter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와,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송신 되는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UE의 RRC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비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된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국제 출원 번호가 PCT/CN2017/110292이고, 국제 출원일이 2017년 11월 09일이고, 발명의 명칭이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시스템」인 PCT 국제 출원을 기초로 제출하고, 해당 PCT 국제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PCT 국제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원용한다.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의 과부하 현상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 액세스 제어 제한(ACB, Access Control Barring) 메커니즘이 도입되어 있고, 또한, 데이터 통신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혼잡 제어(ACDC, 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for Data Communication), 확장 액세스 제한(EAB, Extended Access Barring) 및 서비스 관련 액세스 제어(SSAC, Service-specific Access Control) 등의 다양한 액세스 제어 메커니즘이 도입되어 있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5 세대 이동 통신 기술(5G, 5 th Generation)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5G 무선 액세스는 New Radio라고 지칭되고, NR로 약칭된다. 5G NR에서, 상이한 액세스 제어 메커니즘으로 인한 시스템 설계 복잡성의 증가를 피하기 위해, 통일된 액세스 제어(UAC, Unified Access Control)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구현할 필요가 있다. LTE 시스템에서, 액세스 제어(AC) 메커니즘의 수행은 일반적으로 비 액세스 계층(NAS, Non-Access Stratum) 메시지에서 제공되는 원인값(cause value)에 기초하여, 해당 NAS 메시지를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에 매핑하고, 또한, 각 액세스 카테고리는 상이한 barring 파라미터가 있으므로, 상이한 확률로 barring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구현하고, 상이한 barring 시간을 유지한다.
상기 LTE 시스템에서의 AC 메커니즘으로부터 보다시피, 현재 관련 기술에서의 AC 메커니즘은 NAS 계층이 원인값(cause value)을 제공할 필요가 있지만, 5G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UE, User Equipment)는 연결(Connected) 상태 또는 비활성(inactive) 상태에 있을 수 있다. UE가 Connected 상태에 있을 때, UE는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UE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UE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만,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다. 이때, UE의 액세스는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지 않고, 즉, NAS 계층에 의해 원인값(cause value)을 제공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비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하는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하는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는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술 해결책은 다음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제 1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적용되고,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와,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디바이스(UE)를 제공하고, 생성부, 캡슐부와 송신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생성부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슐부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수신부와 해석부와 검색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수신부는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석부는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5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디바이스(UE)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UE는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 1 메모리와 제 1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메모리는 상기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제 1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6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 2 메모리와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메모리는 상기 제 2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제 2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7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상기 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면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실현한다.
제 8의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사용자 디바이스(UE)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고,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취득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고,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단말기는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제 1 원인값을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캡슐화할 수 있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된 제 2 원인값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여전히 UE의 RRC 계층에 의해 제공된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된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RRC 전용 시그널링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공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하드웨어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액세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 하드웨어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첨부 도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나타내고, 해당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UE, User Equipment)에 적용되고, 해당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101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고,
단계 S102에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고,
단계 S103에서,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또한, 연결(connected) 상태 또는 비활성(inactive) 상태의 UE는 RRC 계층에 의해 액세스 제어(AC, Access Control)를 진행하기 위한 제 1 원인값을 생성하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캡슐화하여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이를 통해 UE의 NAS 계층이 제 2 원인값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도, 여전히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AC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기술 해결책에 대해, UE의 NAS 계층이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제 2 원인값을 제공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UE는 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을 생성하고,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캡슐화할 수 있다. 즉,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제 2 원인값의 우선 순위는 제 1 원인값보다 높을 수 있으며, 즉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제 2 원인값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AC)를 우선 진행할 수 있으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한다.
상기 설명에 대해,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제 1 원인값과 제 2 원인값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지만, 2 개의 원인값을 동시에 운반하는 것은 시그널링 전송 과정에서의 리소스 오버 헤드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UE는 NAS 계층이 제 2 원인값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UE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NAS 계층이 제 2 원인값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를 확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는 다음의 두 가지 예를 통해 설명한다.
선택적인 예 1로서,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비 액세스 계층(NAS)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RRC 계층에 의해 상기 제 1 원인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UE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해 직접 검출할 수 있으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이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지 않거나, 또는 NAS 계층이 전송되는 RRC 시그널링에서 제 2 원인값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원인값이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제 1 원인값에 의해 AC 제어를 진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인 예 2로서,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위치한 RRC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UE가 연결(Connected) 상태 또는 비활성(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UE가 연결(Connected) 상태 또는 비활성(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UE는 적어도 액세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UE가 Connected 상태 또는 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NAS 계층에 의해 RRC 메시지를 트리거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상태에서, NAS 계층은 마찬가지로 제 2 원인값을 제공할 수 없으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제 1 원인값에 의해 AC 제어를 진행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기술 해결책에 있어서,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 2 원인값이 위치하는 값 도메인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정보 유닛(IE, Information Element)을 추가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원인값을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RRC 전용 시그널링의 IE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보다시피, 원래의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채워지지 않은 박스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RRC 정보 유닛(IE) 외에, 그 내용이 NAS 계층에 의해 기입된 원인값, 즉 제 2 원인값인 IE를 더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IE를 추가하고, 도 2의 사선이 채워진 박스가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추가된 IE의 내용은 RRC 계층에 의해 기입된 원인값, 즉 제 1 원인값이다.
또한, UE는 추가로 설정된 IE를 통해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제 1 원인값을 기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NAS 계층에 의해 제공하는 제 2 원인값을 구분한다. 제 1 원인값 및 제 2 원인값이 모두 동일한 IE에 기입되는 것으로 인한 NAS와 RRC 계층 사이의 협조 과정을 피한다.
바람직하게, 도 2에서 제 1 원인값과 제 2 원인값이 위치하는 IE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지만, 상기 설명에 기초하여, 제 2 원인값의 우선 순위가 제 1 원인값보다 높으면,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는 비 액세스 계층(NAS)이 제공하는 제 2 원인값이 위치하는 IE 이후에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해 해석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우선 제 2 원인값을 검출하고, 다음 제 2 원인값의 유무에 의거하여 제 1 원인값을 검출하여 AC를 진행하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에서, 단말기가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여,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여전히 UE의 RRC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원인값에 기초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비 NAS 계층이 트리거하는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해당 방법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구체적으로는 5G 기지국 gNB 또는 코어 액세스와 이동성 관리(AMF, Core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301에서,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단계 S302에서,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을 취득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한 것이며,
단계 S303에서,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고,
단계 S304에서,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해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의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비 NAS 계층에 의해 RRC 전용 시그널링이 트리거되거나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원인값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기술 해결책에 있어서,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비 액세스 계층(NAS)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원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RRC 전용 시그널링에 UE의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제 2 원인값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취득하고, 다음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RRC 프로토콜 계층은 제 2 원인값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원인값의 우선 순위는 제 1 원인값의 우선 순위보다 높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 우선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하는 경우 제 2 원인값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고,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 경우, 제 1 원인값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기술 해결책에 기초하면, 제 1 원인값과 제 2 원인값이 모두 동일한 IE에 기입되는 것으로 인한 NAS와 RRC 계층 사이의 협조 과정을 피하기 위해, UE는 추가 IE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제 1 원인값을 기입하고, 이를 통해 NAS 계층에 의해 제공하는 제 2 원인값을 구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원인값과 제 2 원인값이 위치하는 IE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구현 방식에서,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추가로 설정된 정보 유닛(I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를 검색하면,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에 상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원인값이 위치하는 IE는 제 2 원인값이 위치하는 IE 이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여전히 UE의 RRC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원인값에 기초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 NAS 계층이 트리거하는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 사상에 기초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액세스 제어의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해당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비 NAS 계층에 의해 RRC 시그널링이 트리거되거나, 또는 NAS 계층이 RRC 시그널링에서 원인값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되며,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계 S401에서, UE가 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을 생성하고,
단계 S402에서, UE가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IE를 추가로 설정하고,
단계 S403에서, UE가 제 1 원인값을 해당 추가로 설정된 IE에 기입한 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해당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UE의 NAS 계층이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제 2 원인값을 제공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UE는 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UE의 NAS 계층이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 제 2 원인값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UE의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적 영역 업데이트(TAU, Tracking Area Update) 메시지,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 등의 RRC 전용 시그널링은 모두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고, 비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RRC 시그널링 또는 NAS 계층이 원인값을 제공할 수 없는 RRC 시그널링은 일반적으로 온 디맨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고, 사이드링크 UE 정보(sidelinkUEInformation) 등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또한, UE가 제 1 원인값이 운반되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한 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서의 원인값(제 1 원인값이든 제 2 원인값이든 관계없음)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하는 경우, 단계 S405로 전환하고, 제 2 원인값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취득하고, 제 2 원인값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406로 전환하고, RRC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존재하는 경우, 단계 S407로 전환하고, 제 1 원인값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를 취득하고, 제 1 원인값에 대응하는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408로 전환하고,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해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이한 액세스 카테고리는 상이한 제한(barring) 파라미터에 대응하고, 이를 통해 상이한 확률에 의해 barring 처리를 실현하고, 상이한 barring 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기술 해결책에 의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NAS 계층이 원인값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UE의 RRC 계층이 제공하는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 NAS 계층이 트리거하는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UE(50)의 구성을 나타내고, 생성부(501), 캡슐부(502) 및 송신부(5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생성부(501)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슐부(502)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부(503)는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UE(50)은 제 1 검출부(504)를 더 포함하고, 제 1 검출부(504)는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비 액세스 계층(NAS)에서 제공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생성부(501)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UE(50)은 제 2 검출부(505)를 더 포함하고, 제 2 검출부(505)는 상기 UE가 위치한 RRC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UE가 연결(Connected) 상태 또는 비활성(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생성부(501)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캡슐부(502)는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정보 유닛(IE)을 추가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을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에 기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와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위치하는 IE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UE(50)는 휴대 전화, 스마트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태블릿 컴퓨터,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다바이스는 당업자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 단말기, 이동 스테이션, 가입자 스테이션, 이동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는 회로의 일부, 프로세서의 일부,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소프트웨어의 일부 등일 수 있고, 물론 유닛일 수도 있고, 모듈일 수도 있고, 비 모듈식일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 요소는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블록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집적된 유닛은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제공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나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있다) 또는 processor(프로세서)에 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억 매체로서, U-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면,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UE(50)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초하여,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UE(5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01), 제 1 메모리(702), 및 제 1 프로세서(7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704)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버스 시스템(704)은 이러한 구성 요소 간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이해된다. 버스 시스템(704)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가 있다. 그러나, 설명을 알기 쉽게하기 위해, 도 7에서는 다양한 버스를 버스 시스템(704)으로 표기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01)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 1 메모리(702)는 제 1 프로세서(703)에서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고,
제 1 프로세서(7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고,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하기 위한 것임-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 1 메모리(70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로서, RAM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확장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다양한 형태를 이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제 1 메모리(702)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프로세서(703)는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제 1 프로세서(703)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로세서(703)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논리 블록도를 실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완료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어 완료되는 것으로 직접 구체화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제 1 메모리(702)에 위치하고, 제 1 프로세서(703)는 제 1 메모리(702)의 정보를 독출하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어, 과정, 함수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UE(50)의 제 1 프로세서(703)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지만,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를 나타내고, 수신부(801), 해석부(802), 검색부(803) 및 제어부(804)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수신부(801)는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석부(802)는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색부(803)는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804)는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해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해석부(802)는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비 액세스 계층(NAS)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원인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803)는
추가로 설정된 정보 유닛(I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를 검색하면,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에 상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관련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는 gNB 또는 AMF 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면,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 4의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의 구성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초하여,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1), 제 2 메모리(902) 및 제 2 프로세서(903)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904)을 통해 연결된다. 버스 시스템(904)은 이러한 구성 요소 간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스 시스템(904)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이 있다. 그러나, 설명을 알기 쉽게하기 위해, 도 9에서 다양한 버스를 버스 시스템(904)으로 표기하고 있다. 여기서
여기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1)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메모리(902)는 제 2 프로세서(903)에서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프로세서(903)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취득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고,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해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실시예 4의 대응하는 부분과 유사하므로, 여기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의 제 2 프로세서(903)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면,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의거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제어 시스템(100)을 나타내며, 사용자 디바이스(UE)(50) 및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50)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고,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80 액세스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UE)(50)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취득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고,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해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기재된 사용자 디바이스(UE)(50)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기재된 UE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 기재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80)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의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기술 해결책에 의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UE에 송신된 RRC 시그널링을 수신 한 후, 해당 RRC 시그널링에서 UE의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 NAS 계층이 트리거하는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RRC 계층 또는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된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하는 과정에서, 액세스 제어(AC) 관련 파라미터를 UE에 전송해야하고, 해당 AC 관련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폴리시를 기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내용에 기초하여, 다음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을 나타내고, 상기 방법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S1101에서,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기 위한 AC 파라미터를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기능과 관련없음-로 분할하고,
단계 S1102에서,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하여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상기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기 위한 AC 파라미터는 NAS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AC 파라미터 이외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기술 해결책에 기재된 RRC 계층에 의해 트리거되는 AC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기술 해결책에 의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액세스 제어를 수행할 때,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기 위한 AC 파라미터를 UE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AC 파라미터의 전송 과정에서, AC 파라미터의 데이터 양이 과대한 것에 의해 단일 SIB 부하가 큰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AC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특징 관련 여부에 따라 분할한 후, 상이한 정보 캐리어를 통해 비 풍부(de-enriched)한 AC 파라미터를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단일 SIB 전송의 데이터 양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시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기술 해결책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징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특징이 PLMN 인 경우, 제 1 AC 파라미터는 PLMN와 관련되고, 즉 대응 관계를 가지며, 즉 제 1 AC 파라미터는 per-PLMN이며, 제 2 AC 파라미터는 PLMN와 관련없고, 즉 제 2 AC 파라미터는 PLMN과 대응 관계를 가지지 않고, 또는 상이한 PLMN에 대해, 제 2 AC 파라미터는 동일하다. 이러한 상황에 기초하여, 제 1 AC 파라미터와 제 2 AC 파라미터는 각각 상이한 정보 캐리어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므로, AC 파라미터에 의해 지원되는 PLMN의 수량이 과대한 경우, 단일 송신된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의 부하가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예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특징이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인 경우, 제 1 AC 파라미터와 Access Category와의 관련성 및 제 2 AC 파라미터와 Access Category의 독립성은 미리 설정된 특징이 PLMN인 것에 의해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다.
상기 두 가지 특징 이외에, 관련성 여부에 기초하여 AC 파라미터를 분할할 수 있는 다른 특징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특징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등일 수 있고,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낸 기술 해결책에서, 미리 설정된 기능의 관련성이 상이한 것에 기초하여, 제 1 AC 파라미터와 제 2 AC 파라미터가 운반되는 정보 캐리어도 상이할 수 있고, 일 실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하여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를 제 1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운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제 2 SIB에 운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SIB는 상기 제 2 SIB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 1 SIB는 SIB1일 수 있거나, 또는 제 1 AC 파라미터는 또한 나머지 최소화된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에 운반될 수 있다. 제 2 SIB는 새롭게 정의된 SIB 또는 SIB1 이외의 다른 SIB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해결책은 AC 파라미터의 전송 과정에서, AC 파라미터의 데이터 양이 과대한 것에 인해 단일 SIB 부하가 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AC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된 특징 관련 여부에 따라 분할한 후, 상이한 정보 캐리어을 통해 비 풍부한 AC 파라미터를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단일 SIB 전송의 데이터 양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시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상기 도 11에 나타낸 기술 해결책에 기초하여,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20)의 구성을 나타내고, 분할부(1201)와 송신부(120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분할부(1201)는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기 위한 AC 파라미터를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로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에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에 관련없고,
상기 송신부(1202)는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하여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술 해결책에서, 상기 송신부(1202)는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를 제 1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운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제 2 SIB에 운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SIB는 상기 제 2 SIB와 상이하다.
상기 기술 해결책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징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면, 상기 도 11에 나타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는 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 4의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20)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초하여,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2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고, 제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1), 제 3 메모리(1302), 제 3 프로세서(1303)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1304)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버스 시스템(1304)은 이러한 구성 요소 간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버스 시스템(1304)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가 있다. 그러나,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13에서는 다양한 버스를 버스 시스템(1304)로 표기하고 있다. 제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1)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제 3 메모리(1302)는 제 3 프로세서(1303)에서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고,
제 3 프로세서(13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기 위한 AC 파라미터를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로 분할하고, 여기서, 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없고,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하여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2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실시예 4의 대응하는 부분과 유사하므로,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20)의 제 3 프로세서(13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면, 상기 도 11에 나타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해당 프로세스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해당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1401에서,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되고,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없고,
단계 S1402에서,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한다.
상기 기술 해결책에서, 제 1 AC 파라미터는 제 1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운반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제 2 SIB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SIB는 상기 제 2 SIB와 상이하다.
상기 기술 해결책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징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기 기술 해결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 7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다.
상기 도 14에 대한 상기 기술 해결책에 기초하여,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디바이스(150)의 구성을 나타내고, 수신부(1501)와 액세스 제어부(150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부(1501)는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되고,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없고,
상기 액세스 제어부(1502)는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술 해결책에서, 제 1 AC 파라미터는 제 1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운반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제 2 SIB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SIB는 상기 제 2 SIB와 상이하다.
상기 기술 해결책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징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면, 상기 도 14에 나타낸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 4의 설명을 참조하고,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UE(150)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초하여,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UE15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제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1), 제 4 메모리(1602) 및 제 4 프로세서(1603)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 요소는 버스 시스템(1604)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버스 시스템(1604)은 이러한 구성 요소 간의 연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시스템(1604)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가 있다. 그러나,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16에서는 다양한 버스를 버스 시스템(1604)으로 표기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1)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 4 메모리(1602)는 제 4 프로세서(1603)에서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고,
제 4 프로세서(1603)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되고,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없고,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50)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실시예 4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50)의 제 4 프로세서(1603)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도 14에 나타낸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된 제 2 원인값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여전히 UE의 RRC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원인값에 기초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 NAS 계층에서 트리거된 액세스에 대해 액세스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Claims (33)

  1.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적용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와,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비 액세스 계층(NAS)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RRC 계층에 의해 상기 제 1 원인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위치한 RRC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UE가 연결(Connected) 상태 또는 비활성(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정보 유닛(IE)을 추가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원인값을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상기 추가로 설정된 IE는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위치하는 IE와는 독립적인 것임-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5.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것-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비 액세스 계층(NAS)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원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는,
    추가로 설정된 정보 유닛(I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를 검색하면,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에 상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8. 생성부와, 캡슐부와 송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슐부는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제 1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검출부는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비 액세스 계층(NAS)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생성부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제 2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검출부는 상기 UE가 위치한 RRC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UE가 연결(Connected) 상태 또는 비활성(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생성부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부는 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정보 유닛(IE)을 추가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을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상기 추가로 설정된 IE는 NAS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위치하는 IE와는 독립적인 것임-에 기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12. 수신부와, 해석부와, 검색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해석부는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부는,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비 액세스 계층(NAS)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2 원인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원인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추가로 설정된 정보 유닛(I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를 검색하면, 상기 추가로 설정된 IE에 상기 제 1 원인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5.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 1 메모리와 제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UE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메모리는 상기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16.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 2 메모리와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메모리는 상기 제 2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17.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18. 사용자 디바이스(UE)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액세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제 1 원인값(cause value)을 생성하고,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에 상기 제 1 원인값을 캡슐화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이 캡슐화된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상기 송신될 RRC 전용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기 위한 것임-을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의해 송신된 RRC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운반되는 제 1 원인값-상기 제 1 원인값은 상기 UE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취득하고,
    상기 제 1 원인값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검색하고,
    상기 액세스 카테고리에 의거하여 상기 RRC 전용 시그널링에 대한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시스템.
  19.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제어(AC)를 진행하기 위한 AC 파라미터를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상기 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없음-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하여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하여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를 제 1 시스템 정보 블록(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운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제 2 SIB에 운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SIB는 상기 제 2 SIB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징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22. 사용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되고,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없음-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AC 파라미터는 제 1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운반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제 2 SIB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SIB는 상기 제 2 SIB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제어 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징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액세스 제어 방법.
  25. 분할부와 송신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는 액세스 제어(AC)를 위한 AC 파라미터를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없음-로 분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하여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를 제 1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운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를 제 2 SIB에 운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SIB는 상기 제 2 SIB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징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28. 수신부와 액세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제 1 AC 파라미터 및 제 2 AC 파라미터-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상이한 정보 캐리어에 각각 운반되고, 상기 제 1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특징과 관련없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세스 제어부는 상기 제 1 AC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AC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29. 제 28 항에 있어서,
    제 1 AC 파라미터는 제 1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운반되고, 상기 제 2 AC 파라미터는 제 2 SIB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SIB는 상기 제 2 SIB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특징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31. 제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 3 메모리와 제 3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메모리는 상기 제 3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32. 제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제 4 메모리와 제 4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UE)에 있어서,
    상기 제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 요소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메모리는 상기 제 4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E.
  33.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제 19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실현하는 액세스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0207015652A 2017-11-09 2018-04-04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 KR20200080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7/110292 2017-11-09
PCT/CN2017/110292 WO2019090649A1 (zh) 2017-11-09 2017-11-09 一种接入控制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和系统
PCT/CN2018/081995 WO2019091044A1 (zh) 2017-11-09 2018-04-04 一种接入控制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和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294A true KR20200080294A (ko) 2020-07-06

Family

ID=6643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652A KR20200080294A (ko) 2017-11-09 2018-04-04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53806B2 (ko)
EP (1) EP3703417B1 (ko)
JP (1) JP2021502755A (ko)
KR (1) KR20200080294A (ko)
CN (1) CN111052791B (ko)
AU (1) AU2018365037A1 (ko)
WO (2) WO2019090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3351A (zh) * 2020-07-23 2022-01-2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接入控制方法、装置、终端及网络节点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984A (ko) * 2003-08-01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드 서비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재전송하는 방법
CN101854702B (zh) * 2009-04-01 2014-0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Hrpd系统中非3gpp2系统信息的发送、响应方法与装置
CN102123479B (zh) * 2010-01-08 2015-09-16 索尼公司 支持载波汇聚的通信系统及其系统信息更新方法和设备
WO2011100570A1 (en) * 2010-02-12 2011-08-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s
CN102223678B (zh) * 2011-07-06 2013-12-11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基站获得用户设备能力信息的方法
US9781767B2 (en) * 2012-08-24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chieving fast dormancy of user equipment (UE) in Cell—PCH or URA—PCH state in UMTS
CN104871603B (zh) * 2012-11-27 2019-06-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连接基于ims的服务的方法
KR102020210B1 (ko) 2013-04-11 2019-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
CN104429146B (zh) 2013-05-27 2017-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控制方法、用户设备和无线网络控制器
US10194303B2 (en) 2014-03-14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filter based access control
CN104159262B (zh) * 2014-08-12 2017-09-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重新接入lte网络的方法和装置
US10924975B2 (en) 2015-09-24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of remote prose UE in network
WO2017075828A1 (zh) * 2015-11-06 2017-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与设备之间小区干扰的协调方法及装置
US10349318B2 (en) * 2016-07-13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US10972913B2 (en) * 2016-12-23 2021-04-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V2X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10681775B2 (en) * 2017-03-10 2020-06-09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ipelining LTE signaling
CN107040967A (zh) * 2017-03-20 2017-08-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路域回落异常处理方法、装置和用户设备
US11330499B2 (en) * 2017-08-08 2022-05-10 Lg Electronics Inc. Access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65037A1 (en) 2020-06-18
EP3703417B1 (en) 2022-01-19
CN111052791B (zh) 2021-10-08
JP2021502755A (ja) 2021-01-28
EP3703417A1 (en) 2020-09-02
US11153806B2 (en) 2021-10-19
CN111052791A (zh) 2020-04-21
EP3703417A4 (en) 2020-10-28
US20200367140A1 (en) 2020-11-19
WO2019090649A1 (zh) 2019-05-16
WO2019091044A1 (zh)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5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slice authentication
US111406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00288385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7094305A (zh) 一种无线网络的接入方法、装置及用户终端
US20220338151A1 (en) Regist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2023089155A (ja) 無線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US20210250978A1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number of times of blind inspections
KR20200080294A (ko) 액세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시스템
KR20200086296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JP2021515435A (ja) 情報伝送方法及びデバイス
CN110169155A (zh) 信息传输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RU2744479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ередающий терминал и приемный терминал
CN116210272A (zh) 选择接入小区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2017456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2351470A (zh) 一种接入限制检测方法和装置
US20230217364A1 (en) Network selec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100481A1 (en) Paging optimiz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CN112166636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4642035A (zh) 一种信息指示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