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135A - 조작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조작 핸들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0135A KR20200080135A KR1020190150105A KR20190150105A KR20200080135A KR 20200080135 A KR20200080135 A KR 20200080135A KR 1020190150105 A KR1020190150105 A KR 1020190150105A KR 20190150105 A KR20190150105 A KR 20190150105A KR 20200080135 A KR20200080135 A KR 202000801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e adjustment
- command member
- adjustment command
- shaft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15—Arrangement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controlling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9—Joystick type control devices for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4—Handle-bars; Posts for supporting handle-bars, e.g. adjustabl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오조작을 방지 가능한 조작 핸들 장치를 제공한다.
조작 핸들 장치(1)는,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정지 위치에 의해 명령값을 결정하는 조작 명령 부재(4)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에 의한 명령값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 및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른 명령값에 좇아서 상기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15)와,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것인지, 또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 부재를 정지시킬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기(6)를 구비한다.
조작 핸들 장치(1)는,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정지 위치에 의해 명령값을 결정하는 조작 명령 부재(4)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에 의한 명령값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 및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른 명령값에 좇아서 상기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15)와,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것인지, 또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 부재를 정지시킬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기(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43248호(출원일: 2018년 12월 26일)을 기초로 하여,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향수한다.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작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조작 명령 부재를 구비한 조작 핸들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조작 핸들 장치는, 예를 들어 선박이나 차량 등의 탈것의 주행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조작 명령 부재는, 복수의 조작 위치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각 조작 위치로, 탈것의 주행 방향이나 주행 속도가 결정된다.
조작 명령 부재는, 복수의 조작 위치의 어느 것으로의 조작을 행할 것을 염두에 두고 있고, 조작 명령 부재에서 조작 위치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미세 조정용 손잡이를 마련하여, 조작 위치의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한 조작 핸들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작 핸들 장치 근방에 미세 조정 손잡이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작자가 손으로 조작 핸들 장치를 조작할 때, 잘못하여 손이 미세 조정 손잡이에 접촉해 버려, 조작 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있다.
또한, 조작 핸들 장치 중에는, 로크 버튼을 누르지 않는 한, 조작 핸들 장치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고, 또한 로크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은 미세 조정 손잡이가 듣지 않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로크 버튼을 마련하면, 기구적으로 복잡해지고, 부품 개수도 늘어난다는 점에서, 조작 핸들 장치의 경박 단소화가 곤란해진다. 또한, 로크 버튼을 누르지 않았을 때는, 미세 조정 손잡이가 항상 유효하기 때문에, 잘못하여 미세 조정 손잡이에 손이 접촉하면, 조작 핸들 장치의 조작 위치가 변화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오조작을 방지 가능한 조작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정지 위치에 의해 명령값을 결정하는 조작 명령 부재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에 의한 명령값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 및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른 명령값에 좇아서 상기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것인지, 또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 부재를 정지시킬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기를 구비하는, 조작 핸들 장치.
상기 전환기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에 일체로 내장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조작 핸들 장치.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관계없이 정지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이동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조작 핸들 장치.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일측면을 향하여 밀어넣거나, 또는 상기 일측면과는 역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조작 핸들 장치.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내측에 중공 부분이 마련된 회전 가능한 손잡이부와,
상기 중공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내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샤프트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각각 내경이 다른 제1 내주부 및 제2 내주부를 갖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중공 부분에 배치되는 단부는, 상기 제1 내주부의 내경 사이즈와 대략 동등한 외형 사이즈를 갖는 다각형 형상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제2 내주부는, 상기 샤프트의 단부 외경 사이즈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조작 핸들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핸들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조작 핸들 장치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작 핸들 장치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4의 (a)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b)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a)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단부와 손잡이부의 내주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단부와 손잡이부의 내주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조작 핸들 장치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작 핸들 장치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도 4의 (a)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b)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a)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단부와 손잡이부의 내주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단부와 손잡이부의 내주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건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와 이해의 용이함의 편의상, 적절히 축척 및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의 그것들로부터 변경하여 과장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형상이나 기하학적 조건 그리고 그것들의 정도를 특정하는, 예를 들어 「평행」, 「직교」, 「동일」 등의 용어나 길이나 각도의 값 등에 대해서는, 엄밀한 의미에 얽매이는 일 없이, 마찬가지의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의 범위를 포함하여 해석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핸들 장치(1)의 평면도, 도 2와 도 3은 도 1의 조작 핸들 장치(1)의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핸들 장치(1)는, 예를 들어 선박의 주 기관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핸들 장치(1)는, 기준 위치로부터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기준 위치 STOP이 주 기관의 정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조작 핸들 장치(1)는,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이동하지만, 기준 위치 STOP을 중심으로 하여 곡선상으로 이동하게 해도 된다.
조작 핸들 장치(1)는,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의 임의의 조작 위치, 또는 복수의 조작 위치의 어느 하나에서 정지시킬 수 있고, 이 조작 위치에서 명령값이 결정된다. 조작 핸들 장치(1)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명령값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전송된다. 컨트롤러는, 명령값에 따라서 주 기관의 제어를 행한다.
도 1의 예에서는, 기준 위치로부터 앞쪽(도 1의 하측)으로 조작 핸들 장치(1)를 조작한 경우에는, 주 기관을 역전(후진)시키는 제어가 행하여지고, 보다 앞쪽으로 조작할수록, 주 기관의 역전 방향의 구동력이 높아진다. 반대로, 기준 위치로부터 안쪽(도 1의 상측)으로 조작 핸들 장치(1)를 조작한 경우에는, 주 기관을 정회전(전진)시키는 제어가 행하여지고, 보다 안쪽으로 조작할수록, 주 기관의 정회전 방향의 구동력이 높아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핸들 장치(1)는, 제어반(2)과, 제어반(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15)를 갖는 축 부재(3)와, 축 부재(3)의 선단에 설치된 조작 명령 부재(4)와, 조작 명령 부재(4)의 일측면(4a)측에 마련되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와, 전환기(6)를 갖는다.
제어반(2)에는, 조작 핸들 장치(1)의 각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기호가 일방향을 따라서 기재되어 있다. 이들의 기호는 일례이고, 여러가지 변형예가 적용 가능하다. 축 부재(3)와, 그 선단에 설치된 조작 명령 부재(4)는, 기호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명령 부재(4)는, 조작자의 손으로 파지되는 부재이고, 표준적인 인간의 손 크기에 맞춘 외형 형상 및 외형 사이즈를 갖는다. 조작자는, 조작 명령 부재(4)를 파지하여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고, 원하는 위치까지 조작하면, 정지시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조작 명령 부재(4)의 각 정지 위치를 조작 위치라고 칭한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조작 명령 부재(4)에 의한 명령값의 미세 조정을 행한다. 도 1 및 도 2의 예에서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조작 명령 부재(4)의 일측면(4a)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조작 명령 부재(4)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해도 된다. 단, 조작자가 조작 명령 부재(4)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무리없이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명령 부재(4)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기(6)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에 따라서 이동 부재(15)를 이동시킬 것인지, 또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에 관계없이 이동 부재(15)를 정지시킬 것인지를 전환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전환기(6)를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에 일체적으로 내장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전환기(6)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와는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전환기(6)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환기(6)의 디폴트 위치를 제1 위치로 한다. 전환기(6)가 제1 위치일 때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은 무효로 되고,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조작해도, 조작 핸들 장치(1)의 조작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는 없게 하고 있다. 한편, 전환기(6)가 제2 위치일 때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이 유효로 되고,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핸들 장치(1)의 조작 위치가 미세 조정된다.
이하, 도 2를 사용하여, 조작 명령 부재(4)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작 명령 부재(4)의 일측면(4a)에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가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조작 명령 부재(4)를 파지하면, 집게 손가락이나 새끼 손가락이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의 상태에서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에 손이 접촉해도,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듣지 않도록 하고 있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조작 명령 부재(4)의 내부로부터 일측면(4a)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일부는, 조작 명령 부재(4)의 일측면(4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일측면(4a)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손잡이부(5a)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자는, 손잡이부(5a)를 손가락으로 집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손잡이부(5a)를 일측면(4a)과는 역방향으로 당기거나, 일측면(4a) 방향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손잡이부(5a)를 일측면(4a)에 대하여 당기거나, 밀어넣거나 하는 조작으로, 전환기(6)의 전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손잡이부(5a)는 일측면(4a)에 대하여 밀어넣은 상태가 디폴트의 위치(제1 위치)이고, 손잡이부(5a)를 일측면(4a)에 대하여 당기는 조작으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도 2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3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5a)의 내부에는, 그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5b)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5a)의 내측에는 중공 부분(5c)이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5b)는, 손잡이부(5a)의 중공 부분(5c)으로부터 조작 명령 부재(4)의 내부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5b)의 긴 변 방향은 일측면(4a)의 법선 방향이다.
손잡이부(5a)의 중공 부분(5c)은 단차형으로 되어 있다. 중공 부분(5c)의 일측면(4a)에 가까운 측과, 먼 측은, 내경 사이즈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공 부분(5c)의 일측면(4a)에 가까운 측의 내경 사이즈는, 먼 측의 내경 사이즈보다도 작다. 중공 부분(5c)의 일측면(4a)에 가까운 측의 내경 사이즈는 샤프트(5b)의 단부(5d)의 외경 사이즈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고, 중공 부분(5c)의 일측면(4a)로부터 먼 측의 내경 사이즈는 샤프트(5b)의 단부(5d)의 외경 사이즈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5a)의 중공 부분(5c)의 일측면(4a)에 가까운 측의 내벽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중공 부분(5c)의 일측면(4a)으로부터 먼 측의 내벽면의 형상은 따지지 않는다. 곡률이 일정한 곡면이어도 되고, 다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도 4의 (a)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5b)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b)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5b)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손잡이부(5a)를 돌려도, 손잡이부(5a)의 내주면이 샤프트(5b)의 단부(5d)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손잡이부(5a)의 회전력은 샤프트(5b)에 전달되지 않아, 샤프트(5b)는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5a)의 내주면이 샤프트(5b)의 단부(5d)의 외주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작자가 손잡이부(5a)를 돌렸을 때, 그 회전력이 샤프트(5b)에 전달되어서, 샤프트(5b)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만, 손잡이부(5a)의 회전 조작을 샤프트(5b)에 전달시킬 수 있다.
도 5의 (a)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5b)의 단부(5d)와 손잡이부(5a)의 내주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샤프트(5b)의 단부(5d)는, 다각형 형상(예를 들어 육각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그 직경 사이즈는, 손잡이부(5a)가 대향하는 내주면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샤프트(5b)의 단부(5d)는 손잡이부(5a)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고, 손잡이부(5a)를 회전시켜도, 샤프트(5b)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5의 (b)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5b)의 단부(5d)와 손잡이부(5a)의 내주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손잡이부(5a)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샤프트(5b)의 단부(5d)가 손잡이부(5a)의 폭이 좁은 내주면에 걸림 결합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5a)의 내주면의 직경 사이즈가 샤프트(5b)의 단부(5d)의 직경 사이즈와 거의 동등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에 있어서의 손잡이부(5a)의 내주면은, 샤프트(5b)의 단부(5d)보다도 각수가 많은 다각형 형상(예를 들어 12각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5a)의 단부가 걸림 결합하기 쉬워진다. 샤프트(5b)의 단부(5d)가 손잡이부(5a)의 내주면에 걸림 결합한 상태에서는, 샤프트(5b)의 단부(5d)의 각부가 손잡이부(5a)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손잡이부(5a)를 회전시켰을 때, 그 회전에 아울러 샤프트(5b)도 회전한다. 따라서,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부(5a)의 회전력을 샤프트(5b)에 전달할 수 있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손잡이부(5a)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아울러 샤프트(5b)도 회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5b)의 조작 명령 부재(4)측의 단부에는 제1 베벨 기어(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베벨 기어(7)는, 제2 베벨 기어(8)와 맞물려 있다. 제2 베벨 기어(8)는, 지지 부재(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9)에는, 제2 베벨 기어(8)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제3 베벨 기어(1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3 베벨 기어(10)는, 샤프트(5b)의 긴 변 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7)의 단부(5d)에 설치된 제4 베벨 기어(11)와 맞물려 있다. 이 샤프트(17)의 긴 변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1 평기어(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평기어(12)는, 제2 평기어(13)와 맞물려 있다. 제2 평기어(13)는, 도 1의 지면의 표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14)와 맞물려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손잡이부(5a)를 돌리면, 샤프트(5b)→제1 베벨 기어(7)→제2 베벨 기어(8)→제3 베벨 기어(10)→제4 베벨 기어(11)→샤프트(17)→제1 평기어(12)→제2 평기어(13)의 순으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제2 평기어(13)는, 조작 명령 부재(4)에 연결되는 축 부재(3)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동 부재(15)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평기어(13)가 랙 기어(14) 상을 이동함으로써, 조작 명령 부재(4)와 축 부재(3)가 조작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손잡이부(5a)를 돌려도, 샤프트(5b)가 회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동 부재(15)를 구성하는 제2 평기어(13)가 회전하지 않고, 조작 명령 부재(4)와 축 부재(3)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샤프트(5b)의 회전력을 이동 부재(15)에 전달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임의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5a)의 회전력을 샤프트(5b)에 전달시키는 구조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명령 부재(4)의 일측면(4a)에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배치하고,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당겨, 초기 상태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이 듣지 않도록 했기 때문에, 조작 명령 부재(4)를 조작할 때 잘못하여 조작자의 손이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에 접촉해도, 조작 핸들 장치(1)의 조작 위치가 변동할 우려는 없다. 조작자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당기는 것만으로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을 유효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위치의 미세 조정이 필요할 때만,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당겨 손잡이부(5a)를 돌리면 되어,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제2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당겼을 때,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이 유효해지도록 했지만, 제2 실시 형태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밀어넣었을 때,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이 유효로 되는 것이다.
도 6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5b)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의 샤프트(5b)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위치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디폴트 위치이다. 조작자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제1 위치로부터, 조작 명령 부재(4)의 일측면(4a) 방향을 향하여 밀어넣어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자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밀어넣고 있는 동안만,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조작자가 손을 떼면,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자동적으로 제1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있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부(5a)를 돌려도,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듣지 않다. 한편,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2 위치에 있는 동안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이 유효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도 1의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보다도 간이한 구조로 되어 있고, 중공 부분(5c)이나, 중공 부분(5c)에 배치되는 샤프트(5b)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일측면(4a)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마련되는 손잡이부(5a)와, 이 손잡이부(5a)로부터 조작 명령 부재(4)의 내부로까지 연장되는 본체부(5e)와, 본체부(5e)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1 베벨 기어(7)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5a)를 돌리면, 본체부(5e)와 제1 베벨 기어(7)도 동기하여 회전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명령 부재(4)의 내부에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9)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9)에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신축하는 스프링 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9)가 대향하는 2면에는, 동기하여 회전하는 제2 베벨 기어(8)와 제3 베벨 기어(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3 베벨 기어(10)로부터 제2 평기어(13)에 이르는 구조는 도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부재(9)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이동에 맞춰서 이동한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5)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3 베벨 기어(10)와 제4 베벨 기어(11)는 맞물려 있지 않다. 따라서, 조작자가 손잡이부(5a)를 돌려도, 그 회전력은, 제4 베벨 기어(11), 제1 평기어(12) 및 제2 평기어(13)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미세 조정 명령 부재가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은, 지지 부재(9)가 좌측으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제3 베벨 기어(10)는 제4 베벨 기어(11)와 맞물린다. 따라서, 손잡이부(5a)를 돌렸을 때의 회전력은, 제1 베벨 기어(7)→제2 베벨 기어(8)→제3 베벨 기어(10)→제4 베벨 기어(11)→제1 평기어(12)→제2 평기어(13)의 순으로 전달되어, 제2 평기어(13)를 갖는 이동 부재(15)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조작 부재의 일측면(4a) 방향을 향하여 밀어넣으면, 밀어넣고 있는 동안만, 손잡이부(5a)의 회전력이 제2 평기어(13)에 전달되도록 했기 때문에, 조작 핸들 장치(1)의 조작 위치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조작자가 조작 명령 부재(4)를 조작할 때, 조작자의 손이 잘못하여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손잡이부(5a)에 접촉되어, 손잡이부(5a)가 회전했다고 해도, 그 회전력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밀어넣지 않는 한, 제3 베벨 기어(10), 제1 평기어(12) 및 제2 평기어(13)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명령 부재(4)에 대해서는 특별히 로크 기구를 마련하고 있지 않지만, 조작 명령 부재(4)의 근방에 로크 버튼을 마련하여, 로크 버튼이 누른 경우만, 조작 명령 부재(4)를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명령 부재(4)와 미세 조정 명령 부재(5) 모두, 잘못하여 인간의 손이 접촉한 것만으로는, 조작 위치가 변동하지 않게 되고,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뿐만 아니라, 조작 명령 부재(4)에 대해서도,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손잡이부(5a)의 전체가 조작 명령 부재(4)의 일측면(4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잡이부(5a)의 적어도 일부를 조작 명령 부재(4)의 내부에 수납하게 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조작 명령 부재(4)의 일측면(4a)측에 배치하였지만,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는, 조작 명령 부재(4)의 조작 시에, 조작자의 손이 접촉하기 어려운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조작 명령 부재(4)로부터 제어반(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부재(3)에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미세 조정 명령 부재(5)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미세 조정이 필요할 때만 미세 조정 명령 부재(5)의 조작을 유효화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선박용의 조작 핸들 장치(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핸들 장치(1)는, 선박 이외의 다양한 탈것을 조작하는 조작 핸들 장치(1)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기술 사상은, 이하의 (1) 내지 (5)에 통합할 수 있다.
(1)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정지 위치에 의해 명령값을 결정하는 조작 명령 부재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에 의한 명령값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 및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른 명령값에 좇아서 상기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것인지, 또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 부재를 정지시킬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기를 구비하는, 조작 핸들 장치.
(2) 상기 전환기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에 일체로 내장되어 있는, (1)에 기재된 조작 핸들 장치.
(3)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관계없이 정지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이동하는, (2)에 기재된 조작 핸들 장치.
(4)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일측면을 향하여 밀어넣거나, 또는 상기 일측면과는 역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3)에 기재된 조작 핸들 장치.
(5)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내측에 중공 부분이 마련된 회전 가능한 손잡이부와,
상기 중공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내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샤프트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각각 내경이 다른 제1 내주부 및 제2 내주부를 갖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중공 부분에 배치되는 단부는, 상기 제1 내주부의 내경 사이즈와 대략 동등한 외형 사이즈를 갖는 다각형 형상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제2 내주부는, 상기 샤프트의 단부 외경 사이즈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4)에 기재된 조작 핸들 장치.
본 발명의 양태는, 상술한 개개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상도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도 포함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효과도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특허 청구 범위에 규정된 내용 및 그 균등물로부터 도출되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사상과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추가, 변경 및 부분적 삭제가 가능하다.
1: 조작 핸들 장치
2: 제어반
3: 축 부재
4: 조작 명령 부재
5: 미세 조정 명령 부재
5a: 손잡이부
5b: 샤프트
5c: 중공 부분
5d: 단부
6: 전환기
7: 제1 베벨 기어
8: 제2 베벨 기어
9: 지지 부재
10: 제3 베벨 기어
11: 제4 베벨 기어
12: 제1 평기어
13: 제2 평기어
14: 랙 기어
15: 이동 부재
17: 샤프트
18: 스프링 부재
2: 제어반
3: 축 부재
4: 조작 명령 부재
5: 미세 조정 명령 부재
5a: 손잡이부
5b: 샤프트
5c: 중공 부분
5d: 단부
6: 전환기
7: 제1 베벨 기어
8: 제2 베벨 기어
9: 지지 부재
10: 제3 베벨 기어
11: 제4 베벨 기어
12: 제1 평기어
13: 제2 평기어
14: 랙 기어
15: 이동 부재
17: 샤프트
18: 스프링 부재
Claims (5)
-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정지 위치에 의해 명령값을 결정하는 조작 명령 부재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에 의한 명령값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미세 조정 명령 부재와,
상기 조작 명령 부재 및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른 명령값에 좇아서 상기 일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것인지, 또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 부재를 정지시킬 것인지를 전환하는 전환기를 구비하는, 조작 핸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기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에 일체로 내장되어 있는, 조작 핸들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 이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관계없이 정지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 이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의 조작에 따라서 이동하는, 조작 핸들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를, 상기 일측면을 향하여 밀어넣거나, 또는 상기 일측면과는 역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 핸들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명령 부재는,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내측에 중공 부분이 마련된 회전 가능한 손잡이부와,
상기 중공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조작 명령 부재의 내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를 갖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샤프트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각각 내경이 다른 제1 내주부 및 제2 내주부를 갖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중공 부분에 배치되는 단부는, 상기 제1 내주부의 내경 사이즈와 대략 동등한 외형 사이즈를 갖는 다각형 형상의 외주면을 갖고,
상기 제2 내주부는, 상기 샤프트의 단부 외경 사이즈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조작 핸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243248 | 2018-12-26 | ||
JP2018243248A JP2020106955A (ja) | 2018-12-26 | 2018-12-26 | 操作ハンドル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0135A true KR20200080135A (ko) | 2020-07-06 |
KR102340039B1 KR102340039B1 (ko) | 2021-12-16 |
Family
ID=7121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0105A KR102340039B1 (ko) | 2018-12-26 | 2019-11-21 | 조작 핸들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20106955A (ko) |
KR (1) | KR102340039B1 (ko) |
CN (1) | CN11137704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9930A (ko) | 2023-01-30 | 2024-08-07 | 대한민국(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장) | 결핵 또는 내성결핵의 분자진단을 위한 프라이머 및 그의 조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09498B (zh) * | 2020-08-26 | 2021-12-07 | 的卢技术有限公司 | 一种电动车驾驶命令交互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5674U (ko) | 1989-05-25 | 1991-04-08 | ||
JPH0520116U (ja) * | 1991-08-29 | 1993-03-12 | 良太郎 中川 | 操作レバーの微調節補助レバー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13831A (en) * | 1995-05-17 | 1996-05-07 | Seward; Alfred L. | Safety control knob for hot water valve |
CN105889446A (zh) * | 2014-09-24 | 2016-08-24 | 隆礼湘 | 车床进给和光学元件位置的粗微调机构 |
CN206988542U (zh) * | 2016-10-20 | 2018-02-09 |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 限温调节装置 |
CN207139713U (zh) * | 2017-06-20 | 2018-03-27 | 象山华洋机床附件厂 | 一种可调位的紧定手柄 |
CN107795656A (zh) * | 2017-11-17 | 2018-03-13 |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北京航空精密机械研究所 | 一种用于手动转台上的微调手轮装置 |
CN207796056U (zh) * | 2018-01-30 | 2018-08-31 | 重庆龙阳塑胶模具有限公司 | 一种汽车换挡手柄总成 |
-
2018
- 2018-12-26 JP JP2018243248A patent/JP2020106955A/ja active Pending
-
2019
- 2019-11-21 KR KR1020190150105A patent/KR1023400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26 CN CN201911199617.XA patent/CN111377046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5674U (ko) | 1989-05-25 | 1991-04-08 | ||
JPH0520116U (ja) * | 1991-08-29 | 1993-03-12 | 良太郎 中川 | 操作レバーの微調節補助レバ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9930A (ko) | 2023-01-30 | 2024-08-07 | 대한민국(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장) | 결핵 또는 내성결핵의 분자진단을 위한 프라이머 및 그의 조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0106955A (ja) | 2020-07-09 |
KR102340039B1 (ko) | 2021-12-16 |
CN111377046A (zh) | 2020-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67281B1 (en) | Deflection mechanism | |
US9212740B2 (en) | Shift device | |
KR20200080135A (ko) | 조작 핸들 장치 | |
US7437211B1 (en) | Enhanced remote jog handle | |
US9896176B2 (en) | Marine propulsion device | |
US10234022B2 (en) | Electronic transmission system | |
JP2015072718A (ja) | 間接ラッチ手段を備える直動型操作装置 | |
JP2015182538A (ja) | 車両用シフト装置 | |
JP6601082B2 (ja) | 電動はさみ | |
KR20130035171A (ko) | 3위치 개폐기용 조작기 | |
JP2018203233A (ja) | 入力装置 | |
JP2008044394A (ja) | シフトレバー装置 | |
JPH07107573A (ja) | 誤操作防止機能付リモコン | |
US8106317B2 (en) | Rotary control device | |
KR100514894B1 (ko) | 자동변속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 |
US11971096B2 (en) | Mechanical return-to-park feature for shift-by-wire transmission | |
US8225632B2 (en) | Key interlock device for vehicle | |
JP2020059440A (ja) | スイッチ構造 | |
JP6052213B2 (ja) | 車両用シフト装置 | |
JP2020059439A (ja) | スイッチ構造 | |
JP6052212B2 (ja) | 車両用シフト装置 | |
EP2088492A2 (en) | Manual input apparatus | |
KR20180123781A (ko) |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 |
JPH03253429A (ja) |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 | |
JPH0249622A (ja) | 電気掃除機の操作つま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