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922A -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922A
KR20200078922A KR1020180168260A KR20180168260A KR20200078922A KR 20200078922 A KR20200078922 A KR 20200078922A KR 1020180168260 A KR1020180168260 A KR 1020180168260A KR 20180168260 A KR20180168260 A KR 20180168260A KR 20200078922 A KR20200078922 A KR 20200078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urrency
user terminal
blockchain
transaction
sp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784B1 (ko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6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84B1/ko
Priority to PCT/KR2019/003975 priority patent/WO2020138595A1/ko
Priority to JP2021536762A priority patent/JP7317118B2/ja
Publication of KR2020007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84B1/ko
Priority to US17/355,786 priority patent/US202103195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04L9/3239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involving non-keyed hash functions, e.g. modification detection codes [MDCs], MD5, SHA or RIPE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인수 대상 기업의 M&A 협상을 진행하는 SPC(Special Purpose Company)에 대한 SPC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서버, 상기 SPC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블록 체인을 포함하는 M&A 플랫폼 및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상기 SPC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M&A 협상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System Providing Mergers and Acquisitions Service based on Block Chai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통적인 인수 합병 프로세스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다.
M&A(Mergers and Acquisitions; 인수 합병)란 최근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적 수단으로서, 공개 매수, 자산 매입, 경영권 인수 등 다양한 거래를 통해 기업을 통합하는 금융 수단이다. 이러한 M&A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투자 은행이라고 하는 특수한 유형의 금융 기관에 의해 수행되며, 해당 은행은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M&A 거래와 관련된 프로세스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거래를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는 전문가로 구성된 팀이 필요하게 된다.
M&A 프로세스는 크게 마케팅, 예비실사, 입찰, 우선 협상자 선정/확인 실사, 정밀 실사, 가격/거래 조건 조정, 주식 양수도 계약 체결 등의 수많은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M&A 프로세스에서 아무리 철저한 계약에 맞춰 진행한다 할지라도 계약서에 모든 내용을 포괄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기업의 유무형 자산에 대한 공정하고 정확한 가치평가가 쉽지 않아, 거래 조건이 논의되는 단계에서 M&A 협상이 무산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현행 M&A 프로세스는 개인정보의 유출에 대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원칙적으로는 인수 희망자에게 인수 대상 기업의 내부 인원 및 고객 정보를 제공할 때, 개인 정보의 당사자에게 사전 동의를 얻어야 할 것이나, 합병을 위한 실사를 목적으로 해당 정보를 사전 동의없이 인수 희망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관례처럼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이 일 목적은 종래의 M&A 프로세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인수 대상 기업의 M&A 협상을 진행하는 SPC(Special Purpose Company)에 대한 SPC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서버, 상기 SPC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블록 체인을 포함하는 M&A 플랫폼 및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상기 SPC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M&A 협상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제1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매입하고, 상기 제1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를 지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상기 지급된 제2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매각하고, 상기 지급된 제2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를 지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수 대상 기업에 대한 지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 서버와 상기 M&A 플랫폼은 각각 오프체인(off-chain)과 온체인(on-chain)에 해당하고, 상기 메인 서버와 상기 M&A 플랫폼은 상기 오프체인의 정보를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온체인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온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해석하여 상기 오프체인으로 전달하는 오라클(oracle)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M&A 플랫폼은 전체 노드들을 복수의 샤드들(shards)로 그룹화한 제1 체인 레이어 및 상기 복수의 샤드들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노드들을 복수의 서브 체인들로 그룹화한 제2 체인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샤드들의 개수, 각 샤드를 구성하는 노드들 및 리더 노드는 주기적으로 랜덤하게 셔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체인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체인에 속한 노드가 생성한 트랜잭션은 상기 서브 체인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되어 플라즈마 블록에 포함되고, 상기 플라즈마 블록의 헤더의 해시 값은 상기 복수의 샤드들 중 어느 하나의 샤드에 속한 노드가 생성하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상기 샤드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되어 중간 블록에 포함되고, 상기 중간 블록은 상기 복수의 샤드들 간에 공유되어 상기 복수의 샤드들 간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되어 최종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합의 알고리즘은 지분 증명 방식(PoS)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상기 SPC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에 따라 생성된 SPC 정보 열람 신청이 정당한 권한을 가진 회원의 SPC 정보 열람 신청일 경우,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SPC 정보 열람 신청에 대응하는 SPC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상 화폐에 대한 환전 거래를 수행하는 제1 거래소 서버 및 상기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제2 가상 화폐를 관리하는 제2 거래소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M&A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가상 화폐의 구입을 위한 환전 요청을 상기 제1 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거래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전 요청에 따라 투자자가 제공한 자산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전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M&A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거래소 서버는 상기 M&A 플랫폼의 블록체인에 상기 트랜잭션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환전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보유한 제1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M&A 플랫폼의 제1 체인 레이어 및 제2 체인 레이어를 통해 검증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고,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를 지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제1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보유자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상기 제1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보유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보유한 제2 가상 화폐의 매도를 위한 환전 요청을 상기 제2 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거래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전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제2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M&A 플랫폼의 제1 체인 레이어 및 제2 체인 레이어를 통해 검증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고,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제2 거래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지분 매각을 위한 환전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를 지급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제2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매입자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상기 제2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매입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인수 대상 기업의 M&A 협상을 진행하는 SPC(Special Purpose Company)에 대한 SPC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SPC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를 블록 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상기 SPC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M&A 협상에 참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M&A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인 투자자의 접근이 어려웠던 M&A 분야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에 대한 거래 과정에서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전문가의 참여 및 비용을, 무결성과 신뢰성을 갖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대체할 수 있다.
아울러, 기존 M&A 협상 과정에서 무분별하게 유출되었던 개인 정보에 대한 문제도,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통해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Mergers and Acquisitions)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서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M&A 플랫폼의 블록체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블록체인 구조에서 루트 체인에 최종 블록이 포함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지분 매입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지분 매각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법인 청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Mergers and Acquisitions)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오프라인(현장)에서만 이루어지던 M&A 프로세스를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을 통해 온체인(on-chain)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다.
블록체인은 공공 거래 장부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가상화폐 등의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고 있으나, 블록체인은 거래 내역을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의 컴퓨터에 분산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블록체인을 네트워크 참여자가 생산하는 정보 및 가치를 공동으로 기록하고 저장하는 분산화된 공개 장부 관리 기술로 정의하고 있다. 블록체인의 분산 기술은 가상 화폐 거래 시마다 여러 컴퓨터에 기록한 거래 내역을 대조하여 데이터 위조를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든 참여자가 장부를 공유하므로, 거래 내역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타임스탬프(time stamp) 기록을 제공하여 이전 거래 기록의 이중 지출 및 수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인된 제3자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유지 보수, 보안 및 금용 거래 등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블록체인과 함께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인 비트코인(bitcoin)과 이더리움(ethereum)이 주목을 받고 있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거래 기록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는 가상화폐를 의미하고, 이더리움은 거래 기술뿐만 아니라 계약서 등의 추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가상화폐를 의미한다. 특히, 이더리움은 추가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지원할 수 있는 점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스마트 계약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계약 또는 협상의 실행 및 시행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전체 프로세스가 자동화되어 법적 계약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기존 블록체인 1.0의 가상화폐 저장 기능은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을 통해 글로벌 플랫폼(global platform)을 제공할 수 있다. 개발자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고, 가상화폐 등의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의 최초 발안자인 Nick Szabo는 스마트 계약을 신뢰할 수 없는 컴퓨터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기계 간의 고도로 발달된 자동 계약 이행 방법으로 정의하였으며, 블록체인 상에 부동산 계약, 온라인 투표 및 헬스케어 등의 다양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확장했다.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M&A 프로세스를 블록체인 기술과 접목하여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오프라인에서만 수행되던 M&A 프로세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메인 서버(100), M&A 플랫폼(200), 사용자 단말(300), 제1 거래소 서버(400) 및 제2 거래소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각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이 별개의 구성으로 분할될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다.
메인 서버(100)는 M&A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로서, M&A 서비스의 전반적인 제어 및 제반 정보들을 저장, 갱신 및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서 메인 서버(100)는 하나의 서버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예컨대, 네트워크 부하의 분산 등)에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서버로 분할하여 운영될 수 있다.
메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트를 M&A 플랫폼(200)에 업로드(upload)할 수 있고, M&A 플랫폼(200)과 연동하여 M&A 플랫폼(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른 응답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메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SPC(Special Purpose Company)에 대한 SPC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PC는 M&A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인수 대상 기업에 대한 M&A 협상을 진행하기 위한 특수 목적 법인을 의미할 수 있고, SPC 정보는 SPC의 설립 시에 확정될 수 있다. SPC 정보는 총 금액, 지분, terms(예컨대, 7년), condition(예컨대, 경영권 위탁), 구좌수, 이율, 기대수익, 기타 인수 대상 기업에 대한 정보(예컨대, 구성원 정보, 고객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100)는 제1 SPC(SPC1) 내지 제k(k는 2 이상의 정수) SPC(SPCk; 미도시) 각각에 대한 SPC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각 SPC(SPC1~SPCk)의 SPC 정보를 이용하여 각 SPC(SPC1~SPCk)에 대한 프로젝트(Project1~Projectk)를 생성하여 M&A 플랫폼(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프로젝트(Project1~Projectk) 각각은 적어도 프로젝트 식별 정보 및 해당 인수 대상 기업에 대한 지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M&A 플랫폼(200)은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메인 서버(100)가 업로드한 각 SPC(SPC1~SPCk)에 대한 프로젝트(Project1~Projectk)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 보관 DB를 의미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Project1~Projectk)는 체인화된 블록에 저장됨에 따라 무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M&A 플랫폼(200)은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구조를 가지고, 메인 서버(100)는 블록체인과는 무관하므로, M&A 플랫폼(200)은 온체인(on-chain), 그리고 메인 서버(10)는 오프체인(off-chain)으로 불릴 수 있다. 메인 서버(100)와 M&A 플랫폼(200)은 오프체인과 온체인 간의 연결고리인 오라클(oracle)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오라클은 오프체인의 정보를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변환하여 온체인으로 전달하거나, 온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해석하여 오프체인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은 미리 정의된 조건이 충족될 때 블록체인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로서, 트랜잭션(transaction)에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서버(100)는 오라클을 통해 각 SPC(SPC1~SPCk)에 대한 프로젝트(Project1~Projectk)가 M&A 플랫폼(200)에 업로드될 수 있도록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변환하여 M&A 플랫폼(200)에 전달할 수 있다.
M&A 플랫폼(200)은 블록체인으로 구성되어 네트워크 외부(예컨대, 메인 서버(100))의 데이터를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스마트 계약을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M&A 플랫폼(200) 내의 어느 하나의 노드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이 포함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한 오라클은 해당 스마트 계약을 해석하여 메인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M&A 플랫폼(200)은 제1 가상 화폐(UCX) 및 제2 가상 화폐(UCC) 각각의 거래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상 화폐(UCX)는 M&A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주체가 외부에 발행한 토큰으로서 거래소의 상황에 영향을 받고, 제2 가상 화폐(UCC)는 프로젝트 투자에 대해 인수 대상 기업의 주식 대신 제공하는 특수목적 토큰으로서 주식시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2 가상 화폐(UCC)는 각 프로젝트(Project1~Projectk) 별로 독립적으로 생성, 거래 및 관리되는 것으로서, UCC1~UCCk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UCC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가상 화폐(UCX) 및 제2 가상 화폐(UCC) 각각의 거래 내역은 후술할 각 노드(300, 400, 500)가 생성하는 트랜잭션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M&A 플랫폼(200)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투자자의 단말로서, M&A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주체에 의해 배포되는 M&A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노트북(notebook), PC(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A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중인 M&A 협상에 참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A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M&A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SPC에 대한 정보를 열람,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입 또는 매각(즉, M&A 협상에 참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각 거래소 서버(400, 500)에 접속하여 가상화폐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M&A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된 사용자 단말(300)은 M&A 플랫폼(200)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하나의 노드로 참여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특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SPC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고, 특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입 또는 매각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다른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트랜잭션을 검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특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제1 가상 화폐(UCX)를 이용하여 매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제1 거래소 서버(400)에 접속하여 투자자의 자산(예컨대, 현금)을 제1 가상 화폐(UCX)로 환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보유한 제1 가상 화폐(UCX)를 이용하여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제1 가상 화폐(UCX)의 소유권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보유자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제1 가상 화폐(UCX)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UCC)의 소유권을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보유자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특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제1 가상 화폐(UCX)를 이용하여 매입하고, 해당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등록되면 그 반대 급부로 제1 가상 화폐(UCX)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UCC)로 지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상 화폐(UCC)를 보유한 사용자 단말(300)은 해당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며, 제2 가상 화폐(UCC)는 주식 시장의 영향을 받는 주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특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제2 가상 화폐(UCC)의 형태로 보유하였다가, 투자자의 요청에 따라 매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제2 거래소 서버(500)에 접속하여 제2 가상 화폐(UCC)를 제1 가상 화폐(UCX)로 환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은 제2 거래소 서버(500)에 접속하여 제2 가상 화폐(UCC)를 다른 종류의 가상 화폐(예컨대, 비트코인)로 환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래소 서버(500)가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제2 가상 화폐(UCC)를 제1 가상 화폐(UCX)로 환전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비록 도 1에는 사용자 단말(300)이 하나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M&A 플랫폼(200)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노드(node)로 참여할 수 있다.
제1 거래소 서버(400)는 제1 가상 화폐(UCX)를 비롯한 시중에 거래되는 각종 가상 화폐들을 취급하는 거래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특히, 제1 거래소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의 환전 요청에 따라 투자자가 제공한 자산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화폐(UCX)의 소유권을 사용자 단말(300)로 이전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M&A 플랫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제1 거래소 서버(400)는 블록체인에 해당 트랜잭션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사용자 단말(300)에 환전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제2 거래소 서버(500)는 각 프로젝트(Project1~Projectk)에 대응하는 제2 가상 화폐(UCC1~UCCk)를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환전 요청에 따라 제2 가상 화폐(UCC1~UCCk)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UCX)를 지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거래소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300)의 환전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이 보유한 제2 가상 화폐(UCC1~UCCk)를 이용하여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제2 가상 화폐(UCC1~UCCk)의 소유권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매입자(예컨대, 해당 SPC)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제2 가상 화폐(UCC1~UCCk)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UCX)의 소유권을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매입자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특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제2 가상 화폐(UCC1~UCCk)를 통해 보유하였다가 매각하고, 해당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등록되면 그 반대 급부로 제2 가상 화폐(UCC1~UCCk)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UCX)로 지급받을 수 있다.
도 1에는 사용자 단말(300), 제1 거래소 서버(400) 및 제2 거래소 서버(500)는 M&A 플랫폼(200)과 독립적인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 단말(300), 제1 거래소 서버(400) 및 제2 거래소 서버(500) 각각은 M&A 플랫폼(200)의 블록체인의 하나의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서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100)는 SPC 정보 저장부(110), 투자자 정보 저장부(120), 권한 판단부(130) 및 SPC 정보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SPC 정보 저장부(110)는 각 SPC(SPC1~SPCk)의 SPC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SPC 정보 저장부(110)는 SPC 정보 제공부(140)의 요청에 따라 해당 SPC 정보를 SPC 정보 제공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투자자 정보 저장부(120)는 사용자 단말(300)에 M&A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로그인(log-in)한 투자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자자에 대한 정보는 투자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이름, ID), 방문 기록 정보(예컨대, 방문 페이지 로그 기록), 지분 보유 현황, 가상 화폐 보유 현황, 회원 등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권한 판단부(130)는 사용자 단말(300)의 SPC 정보 열람 요청을 허가할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SPC 정보 열람 요청은 사용자 단말(300)이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이 포함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계약이 오라클에 의해 해석되어 전달되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SPC 정보의 열람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권한 판단부(130)는 투자자 정보 저장부(120)의 투자자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정당한 권한을 가진 회원의 SPC 정보 열람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SPC 정보 열람 신청이 정당한 권한을 가진 회원의 SPC 정보 열람 요청일 경우, 권한 판단부(130)는 SPC 정보 열람 신청에 대응하는 SPC 정보가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SPC 정보 제공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SPC 정보 제공부(140)는 권한 판단부(130)의 제어에 따라 SPC 정보를 SPC 정보 저장부(110)로부터 불러와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SPC 정보는 오라클에 의해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변환되어 M&A 플랫폼(200) 내로 전달되며, 스마트 단말(300)을 제외한 노드는 해당 SPC 정보를 열람할 수 없도록 암호화될 수 있고, 스마트 단말(300)은 M&A 어플리케이션이 저장하고 있는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SPC 정보를 복호화하여 열람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M&A 플랫폼의 블록체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A 플랫폼(200)의 블록체인 구조는 다중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M&A 플랫폼(200)의 블록체인은 제1 체인 레이어(first chain layer) 및 제2 체인 레이어(second chain lay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체인 레이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노드를 포함하며, 최종적으로 검증이 완료된 블록만으로 이루어진 루트 블록체인(root block chain)을 포함한다.
제1 체인 레이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 세계에 분산된 모든 노드를 포함하기에 초당 처리 가능한 트랜잭션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샤딩 프로토콜(sharding protocol)을 이용하여 트랜잭션의 검증을 위한 합의 알고리즘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인 레이어는 전체 노드를 M 개의 샤드(shard1~shardM)로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M(M은 2이상의 정수)개의 샤드(shard1~shardM) 각각에서 리더 노드가 임의로 선택되고, 리더 노드는 리더 노드가 속한 샤드 내의 모든 노드들의 노드 ID(또는 노드 주소)를 수집하여 다른 샤드의 리더 노드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임의로 결정될 수 있으며, 각 샤드에 포함되는 노드의 개수는 샤드마다 동일할 수도 또는 다를 수도 있다.
한편, 특정 샤드에 속한 노드가 생성한 트랜잭션은 샤드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되어 중간 블록에 포함되며, 검증이 완료된 중간 블록은 다른 샤드들에 공유되어 샤드 간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되어 최종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블록은 루트 블록체인에 포함되는 블록을 의미한다. 앞서 도 1에서 설명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등록된다 함은 루트 블록체인에 해당 트랜잭션이 포함된 블록이 포함됨을 의미할 수 있다.
샤드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은 샤드에 속한 노드들 중 보유하고 있는 가상 화폐(UCX 또는 UCC)의 연령이 가장 높은 노드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가능성이 높도록 하는 PoS(Proof of Stake; 지분 증명)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샤드 간의 합의 알고리즘은 샤드(shard1~shardM) 각각의 리더 노드들 중 보유하고 있는 가상 화폐(UCX 또는 UCC)의 연령이 가장 높은 노드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가능성이 높도록 하는 PoS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샤드(shard1~shardM)가 생성되고 리더 노드가 임의로 선택되는 것은 한번 수행되고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샤드의 개수, 각 샤드를 구성하는 노드들, 리더 노드는 주기마다 랜덤(random)하게 셔플(shuffle)될 수 있다.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해킹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셔플의 주기는 네트워크 부하를 높이지 않도록 적정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1 체인 레이어는 지분 증명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샤딩 프로토콜이면서도 주기적으로 랜덤하게 셔플한다는 측면에서 RPoS(랜덤선택 지분 증명) 샤딩 프로토콜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체인 레이어에 의하면, 전체 노드가 복수의 샤드들(shard1~shardM)로 나뉘어 합의 알고리즘이 수행됨으로써 초당 생성될 수 있는 트랜잭션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체인 레이어는 제1 체인 레이어의 각 샤드 내부의 블록체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플라즈마(plasma) 블록체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샤드들(shard1~shardM) 중 제1 샤드(shard1)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다른 샤드(shard2~shardM)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조 및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체인 레이어는 제1 샤드(shard1)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N(N은 2이상의 정수) 서브 체인(sub-chain1~sub-chain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샤드(shard1)에 속한 노드들은 제1 내지 제N 서브 체인(sub-chain1~sub-chainN) 중 어느 하나에 참여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참여가 강제되지는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샤드(shard1)에 속한 노드들 각각은 제1 내지 제N 서브 체인(sub-chain1~sub-chainN) 중 어느 하나에 참여하여 클라이언트(client)로 동작하는 상태라 가정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N 서브 체인(sub-chain1~sub-chainN) 각각은 플라즈마 체인으로서, 패어런트 체인(parent chain)인 루트 체인에 대한 차일드 체인(child chain)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 체인(sub-chain1~sub-chainN) 각각은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며, 일 실시예에 따라 합의 알고리즘은 PoS일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노드가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경우, 노드가 속한 서브 체인의 PoS에 따른 블록 생성자는 트랜잭션을 검증하여 플라즈마 블록을 생성하고, 플라즈마 블록의 헤더의 해시(hash) 값은 제1 체인 레이어에서의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최종적으로 루트 체인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루트 체인에는 노드가 생성한 트랜잭션 자체가 아닌 트랜잭션이 포함된 플라즈마 블록의 헤더의 해시 값이 저장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하위 블록인 플라즈마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들이 루트 체인에 저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블록체인 구조에서 루트 체인에 최종 블록이 포함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체인 레이어에서 제1 내지 제N 서브 체인(sub-chain1~sub-chainN) 각각에 속한 노드가 트랜잭션(transaction sub-chain1~ transaction sub-chainN)을 생성하면, 제1 내지 제N 서브 체인(sub-chain1~sub-chainN) 각각에서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예컨대, PoS)에 따라 각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블록 생성자는 검증이 완료된 트랜잭션을 취합하여 플라즈마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서브 체인(sub-chain1~sub-chainN) 각각에서 생성된 플라즈마 블록의 헤더의 해시 값은 제1 체인 레이어의 제1 샤드(shard1)에 속한 노드가 생성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 shard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트랜잭션(transaction shard1)에 대해서만 도시되었으나, 나머지 트랜잭션(transaction shard2~transaction shardM)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각 트랜잭션(transaction shard1~transaction shardM)은 제1 내지 제M 샤드(shard1~shardM) 각각에서 샤드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예컨대, PoS)에 따라 검증되어 중간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검증이 완료된 중간 블록은 다른 샤드들에 공유되어 샤드 간의 합의 알고리즘(예컨대, PoS)에 따라 검증되어 최종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체인 레이어의 RPoS 샤딩 프로토콜에 의한 방식과 제2 체인 레이어의 플라즈마 블록체인 방식이 복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트랜잭션에 포함된 스마트 계약이 보다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고, 초당 처리 가능한 트랜잭션의 수가 대폭 증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지분 매입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수 대상 기업에 대한 M&A 협상을 진행하기 위한 특수 목적 법인인 SPC가 설립되고, SPC의 설립 시에 총 금액, 지분, terms(예컨대, 7년), condition(예컨대, 경영권 위탁), 구좌수, 이율, 기대수익, 기타 인수 대상 기업에 대한 정보(예컨대, 구성원 정보, 고객 정보 등) 등을 포함하는 SPC 정보가 확정될 수 있다(S100).
메인 서버(100)는 각 SPC(SPC1~SPCk)의 M&A 협상을 위한 정보를 취합하여 각 SPC(SPC1~SPCk)에 대한 프로젝트(Project1~Projectk)를 생성하여 M&A 플랫폼(200)에 업로드할 수 있다(S110).
M&A 플랫폼(200)은 블록체인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즉, 루트 블록체인)에 메인 서버(100)가 업로드한 각 SPC(SPC1~SPCk)에 대한 프로젝트(Project1~Projectk)를 저장할 수 있다(S120).
M&A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된 사용자 단말(300)은 M&A 플랫폼(200)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하나의 노드로 참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따라 특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SPC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오라클에 의해 해석되어 SPC 정보 열람 신청이 메인 서버(100)로 전달되며, 정당한 권한을 가진 회원의 SPC 정보 열람 신청일 경우 메인 서버(100)는 SPC 정보 열람 신청에 대응하는 SPC 정보를 오라클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S130).
사용자는 제공받은 SPC 정보를 분석하고,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입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40).
만일 사용자가 특정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기로 결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M&A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가상 화폐(UCX) 구입을 위한 환전 요청을 제1 거래소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거래소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의 환전 요청에 따라 투자자가 제공한 자산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화폐(UCX)의 소유권을 사용자 단말(300)로 이전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M&A 플랫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제1 거래소 서버(400)는 블록체인에 해당 트랜잭션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사용자 단말(300)에 환전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S150).
사용자 단말(300)은 보유한 제1 가상 화폐(UCX)를 이용하여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기 위한 트랜잭션(즉, 지분 매입 신청)을 생성할 수 있다(S160). 이러한 트랜잭션은 제1 가상 화폐(UCX)의 소유권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보유자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제1 가상 화폐(UCX)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UCC)의 소유권을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보유자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지분 매입 신청에 해당하는 트랜잭션은 M&A 플랫폼(200)의 제1 체인 레이어 및 제2 체인 레이어를 통해 검증되어 최종적으로 루트 블록체인에 등록될 수 있다(S170).
지분 매입 신청에 해당하는 트랜잭션이 루트 블록체인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S180), 사용자 단말(300)은 제1 가상 화폐(UCX)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UCC)를 지급받음으로써 해당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보유할 수 있다(S190).
도 6은 도 1에 도시된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지분 매각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M&A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따라 특정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SPC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오라클에 의해 해석되어 SPC 정보 열람 신청이 메인 서버(100)로 전달되며, 정당한 권한을 가진 회원의 SPC 정보 열람 요청일 경우 메인 서버(100)는 SPC 정보 열람 신청에 대응하는 SPC 정보를 오라클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S200).
사용자는 제공받은 SPC 정보를 분석하고,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10).
만일 사용자가 특정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각하기로 결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은 M&A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가상 화폐(UCC) 매도를 위한 환전 요청을 제2 거래소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제2 거래소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300)의 환전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이 보유한 제2 가상 화폐(UCC1~UCCk)를 이용하여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트랜잭션(즉, 지분 매각 신청)을 생성할 수 있다(S230). 이러한 트랜잭션은 제2 가상 화폐(UCC1~UCCk)의 소유권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매입자(예컨대, 해당 SPC)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제2 가상 화폐(UCC1~UCCk)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UCX)의 소유권을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매입자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지분 매각 신청에 해당하는 트랜잭션은 M&A 플랫폼(200)의 제1 체인 레이어 및 제2 체인 레이어를 통해 검증되어 최종적으로 루트 블록체인에 등록될 수 있다(S240).
지분 매각 신청에 해당하는 트랜잭션이 루트 블록체인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S250), 제2 거래소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지분 매각을 위한 환전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S260).
사용자 단말(300)은 제2 가상 화폐(UCC)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UCX)를 지급받음으로써 해당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각한 자금을 보유할 수 있다(S270). 추후 사용자 단말(300)은 보유한 제1 가상 화폐(UCX)를 제1 거래소 서버(400)를 통해 다른 종류의 가상 화폐 또는 현금 등으로 환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법인 청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PC의 설립 당시 정해진 기간(예컨대, 7년)이 만료되면, 해당 SPC는 법인 청산 절차에 진입하게 되며, SPC는 청산 법인으로 전환될 수 있다(S300).
메인 서버(100)는 특정 SPC의 청산 절차가 개시되면, 해당 SPC의 SPC 정보의 총 금액으로부터 정산 금액(예컨대, 최초 투입비+법인 운영비)을 감산한 배당금을 전체 구좌수로 나누어 지분당 배당금을 산출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지분당 배당금은 제1 가상 화폐(UCX)의 단위로 환산될 수 있다.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배당금 분배를 위해 배당금 분배 신청을 M&A 플랫폼(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S320). 배당금 분배 신청은 오라클에 의해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변환되어 M&A 플랫폼(200)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계약은 청산 절차가 개시된 SPC의 식별 정보, 지분당 배당금 및 제2 거래소 서버(500)가 배당금 분배를 실행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당금 분배 신청에 대응하는 스마트 계약이 포함된 트랜잭션은 M&A 플랫폼(200)의 제1 체인 레이어 및 제2 체인 레이어를 통해 검증되어 최종적으로 루트 블록체인에 등록될 수 있다(S330).
제2 거래소 서버(500)는 배당금 분배 신청에 대응하는 스마트 계약이 포함된 트랜잭션이 루트 블록체인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S340).
제2 거래소 서버(500)는 배당금 분배 신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이 보유한 제2 가상 화폐(UCC)와 지분당 배당금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할당되는 제1 가상 화폐(UCX)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분당 배당금은 구좌당 제1 가상 화폐(UCX)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300)이 보유한 제2 가상 화폐(UCC)와의 곱셈 연산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에 할당되는 제1 가상 화폐(UCX)가 산출될 수 있다.
제2 거래소 서버(500)는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정리하기 위한 트랜잭션(즉, 지분 정리 신청)을 생성할 수 있다(S350). 이러한 트랜잭션은 사용자 단말(200)이 보유한 제2 가상 화폐(UCC)의 소유권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해당 청산 법인으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사용자 단말(300)에 할당되는 제1 가상 화폐(UCX)의 소유권을 해당 청산 법인으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지분 정리 신청에 해당하는 트랜잭션은 M&A 플랫폼(200)의 제1 체인 레이어 및 제2 체인 레이어를 통해 검증되어 최종적으로 루트 블록체인에 등록될 수 있다(S360).
지분 정리 신청에 해당하는 트랜잭션이 루트 블록체인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S370), 제2 거래소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300)로 SPC의 청산으로 인한 배당금 분배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S380).
사용자 단말(300)은 보유하고 있던 지분(즉, 제2 가상 화폐(UCC))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UCX)를 지급받음으로써 SPC의 청산으로 인한 배당금을 보유할 수 있다(S390). 추후 사용자 단말(300)은 보유한 제1 가상 화폐(UCX)를 제1 거래소 서버(400)를 통해 다른 종류의 가상 화폐 또는 현금 등으로 환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M&A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인 투자자의 접근이 어려웠던 M&A 분야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에 대한 거래 과정에서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전문가의 참여 및 비용을, 무결성과 신뢰성을 갖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대체할 수 있다.
아울러, 기존 M&A 협상 과정에서 무분별하게 유출되었던 개인 정보에 대한 문제도,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통해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36) 또는 외장 메모리(#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7)

  1. 인수 대상 기업의 M&A 협상을 진행하는 SPC(Special Purpose Company)에 대한 SPC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서버;
    상기 SPC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블록 체인을 포함하는 M&A 플랫폼; 및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상기 SPC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M&A 협상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제1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매입하고, 상기 제1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를 지급받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상기 지급된 제2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매각하고, 상기 지급된 제2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를 지급받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식별 정보 및 상기 인수 대상 기업에 대한 지분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와 상기 M&A 플랫폼은 각각 오프체인(off-chain)과 온체인(on-chain)에 해당하고,
    상기 메인 서버와 상기 M&A 플랫폼은 상기 오프체인의 정보를 스마트 계약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온체인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온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해석하여 상기 오프체인으로 전달하는 오라클(oracle)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A 플랫폼은 전체 노드들을 복수의 샤드들(shards)로 그룹화한 제1 체인 레이어 및 상기 복수의 샤드들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노드들을 복수의 서브 체인들로 그룹화한 제2 체인 레이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샤드들의 개수, 각 샤드를 구성하는 노드들 및 리더 노드는 주기적으로 랜덤하게 셔플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체인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 체인에 속한 노드가 생성한 트랜잭션은 상기 서브 체인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되어 플라즈마 블록에 포함되고,
    상기 플라즈마 블록의 헤더의 해시 값은 상기 복수의 샤드들 중 어느 하나의 샤드에 속한 노드가 생성하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상기 샤드 내부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되어 중간 블록에 포함되고,
    상기 중간 블록은 상기 복수의 샤드들 간에 공유되어 상기 복수의 샤드들 간의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되어 최종 블록에 포함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합의 알고리즘은 지분 증명 방식(PoS)인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상기 SPC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에 따라 생성된 SPC 정보 열람 신청이 정당한 권한을 가진 회원의 SPC 정보 열람 신청일 경우,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SPC 정보 열람 신청에 대응하는 SPC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가상 화폐에 대한 환전 거래를 수행하는 제1 거래소 서버; 및
    상기 프로젝트에 대응하는 제2 가상 화폐를 관리하는 제2 거래소 서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M&A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가상 화폐의 구입을 위한 환전 요청을 상기 제1 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1 거래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전 요청에 따라 투자자가 제공한 자산에 대응하는 제1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전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M&A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거래소 서버는 상기 M&A 플랫폼의 블록체인에 상기 트랜잭션이 등록되었음을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환전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보유한 제1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M&A 플랫폼의 제1 체인 레이어 및 제2 체인 레이어를 통해 검증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고,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를 지급받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제1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보유자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상기 제1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2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보유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보유한 제2 가상 화폐의 매도를 위한 환전 요청을 상기 제2 거래소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거래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환전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보유한 제2 가상 화폐를 이용하여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M&A 플랫폼의 제1 체인 레이어 및 제2 체인 레이어를 통해 검증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고,
    상기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제2 거래소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지분 매각을 위한 환전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를 지급받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은 상기 제2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매입자로 이전한다는 내용 및 상기 제2 가상 화폐에 상응하는 제1 가상 화폐의 소유권을 상기 인수 대상 기업의 지분의 매입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이전한다는 내용의 스마트 계약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인수 대상 기업의 M&A 협상을 진행하는 SPC(Special Purpose Company)에 대한 SPC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SPC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를 블록 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상기 SPC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M&A 협상에 참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M&A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80168260A 2018-12-24 2018-12-24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37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260A KR102137784B1 (ko) 2018-12-24 2018-12-24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CT/KR2019/003975 WO2020138595A1 (ko) 2018-12-24 2019-04-04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21536762A JP7317118B2 (ja) 2018-12-24 2019-04-04 ブロックチェーン基盤の合併買収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17/355,786 US20210319510A1 (en) 2018-12-24 2021-06-23 Blockchain-based system for providing mergers and acquisitions ser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260A KR102137784B1 (ko) 2018-12-24 2018-12-24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770A Division KR102149998B1 (ko) 2020-07-20 2020-07-20 멀티 체인 레이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200089771A Division KR102149999B1 (ko) 2020-07-20 2020-07-20 이종 가상 화폐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922A true KR20200078922A (ko) 2020-07-02
KR102137784B1 KR102137784B1 (ko) 2020-07-24

Family

ID=7112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260A KR102137784B1 (ko) 2018-12-24 2018-12-24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19510A1 (ko)
JP (1) JP7317118B2 (ko)
KR (1) KR102137784B1 (ko)
WO (1) WO20201385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4578A (zh) * 2021-01-18 2021-04-30 北交金科金融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企业并购与融资信息服务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3629B2 (en) * 2020-12-07 2022-08-02 II Thomas T. Meredith Systems and methods thereof for exchanging different digital currencies on different blockchains
US11803844B2 (en) * 2021-12-06 2023-10-31 Paypal, Inc. Multi-party computation in a computer sharding environ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766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5958A4 (en) 2014-03-07 2017-08-09 Michihiro Sato Securities issuing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funds
US20160321751A1 (en) * 2015-04-28 2016-11-03 Domus Tower, Inc. Real-time settlement of securities trades over append-only ledgers
US10515409B2 (en) * 2016-03-23 2019-12-24 Domus Tower, Inc. Distributing work load of high-volume per second transactions recorded to append-only ledgers
US20170011460A1 (en) 2015-07-09 2017-01-12 Ouis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clearing and settling securities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US11074663B2 (en) * 2015-12-31 2021-07-27 Camelot Uk Bidco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s
US9849364B2 (en) * 2016-02-02 2017-12-26 Bao Tran Smart device
RU2735730C1 (ru) * 2017-07-11 2020-11-06 Свирлдз, Инк.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эффективной реализации распределенной базы данных в сети
US10984134B2 (en) * 2017-07-14 2021-04-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lockchain system for leveraging member nodes to achieve consensus
US11146380B2 (en) * 2017-08-03 2021-10-12 Parity Technologie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 heterogeneous multi-chain framework
US11165862B2 (en) * 2017-10-24 2021-11-02 0Chain, LLC Systems and methods of blockchain platform for distributed applications
KR20190067581A (ko) * 2017-12-07 2019-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트랜잭션 분산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200374113A1 (en) * 2018-02-09 2020-11-26 Orbs Lt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 for private key management
US11139956B2 (en) * 2018-05-24 2021-10-05 Dapper Labs Inc. Decentralized computation system architecture based on node specialization
US11487749B2 (en) * 2018-05-30 2022-11-01 Aenco Technologie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nd maintaining integrity of data transactions using distributed ledger
US20200013027A1 (en) * 2018-07-06 2020-01-09 Decentralized Finance Labs, Inc. Hybrid proof of work and proof of stake consensus to reduce circulating tokens in a blockchain system
US20200026699A1 (en) * 2018-07-20 2020-01-23 True Blockchain Technology Ltd. Highly Performant Decentralized Public Ledger with Hybrid Consensus
WO2020018898A1 (en) * 2018-07-20 2020-01-23 Ezblock Ltd. Blockchain sharding with parallel threads
WO2020028589A1 (en) * 2018-07-31 2020-02-06 Americorp Investments Llc Techniques for expediting processing of blockchain transactions
US20210273807A1 (en) * 2018-07-31 2021-09-02 Oded Wertheim Scaling and accelerating decentralized execution of transactions
EP3841486A4 (en) * 2018-08-23 2022-06-15 Providentia Worldwide, LLC SYSTEMS AND METHODS OF INTERCONNECTIONS AND BLOCKCHAIN RELATIONSHIPS
US10930144B2 (en) * 2018-08-27 2021-02-23 Labyrinth Resear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road user safety
US10929473B2 (en) * 2018-09-27 2021-02-2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Integrated index blocks and searching in blockchain systems
US11301602B2 (en) * 2018-11-13 2022-04-12 Gauntlet Networks, Inc. Simulation-based testing of blockchain and other distributed ledger systems
US11468431B2 (en) * 2018-11-20 2022-10-11 Forte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blockchain network transactions
US10841178B2 (en) * 2018-11-26 2020-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balancing IT ecosystems
US11875400B2 (en) * 2019-01-31 2024-01-16 Salesforce,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ynamically assigning nodes to a group within blockchains based on transaction type and node intelligence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US11902456B2 (en) * 2019-09-11 2024-02-13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Blockchain sharding with adjustable quorums
US20230186293A1 (en) * 2020-04-27 2023-06-15 B.G. Negev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Ltd., At Ben-Gurio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fast, post-quantum blockchain concensus generation and smart contracts execu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766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4578A (zh) * 2021-01-18 2021-04-30 北交金科金融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企业并购与融资信息服务平台
CN112734578B (zh) * 2021-01-18 2024-02-13 北交金科金融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企业并购与融资信息服务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8595A1 (ko) 2020-07-02
JP7317118B2 (ja) 2023-07-28
KR102137784B1 (ko) 2020-07-24
JP2022515421A (ja) 2022-02-18
US20210319510A1 (en)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2410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10460283B2 (en) Smart contract optimization for multiparty service or product ordering system
US10243743B1 (en) Tokens or crypto currency using smart contracts and blockchains
CN108885745B (zh) 具有令牌化的基于区块链的交换
US9398018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9830580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CA3004250C (en) Virtual currency system
WO2018060951A1 (en) A system for trading in a contract-free manner
US20210319510A1 (en) Blockchain-based system for providing mergers and acquisitions ser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WO2019242285A1 (zh) 基于区块链的权益资产价值代币的创建、交易方法及系统
KR102343432B1 (ko) 모바일 기반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노드들에 대하여 온 오프 상에서 가상 화폐의 지불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84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ownership of tokens between users on a decentralized database
US2023032582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outing data services over a decentralized network
Lacity Crypto and blockchain fundamentals
US20230298001A1 (en) Non-fungible token (nft) purchase and transfer system
CN117616410A (zh) 计算机分片环境中的多方计算
KR102149998B1 (ko) 멀티 체인 레이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49999B1 (ko) 이종 가상 화폐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25053B1 (ko) 탈중앙 거래소에 상장된 토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Hammer The Blockchain Ecosystem
US2023035337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outing data services over a decentralized network
US202204057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offline payment with virtual currency for nodes included in mobile-based blockchain distributed network
Machacek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Blockchain Algorithms in Peer-To-Peer Energy Auctions in the Smart Grid
JP2023055571A (ja) Nft用ブロックチェーンの運用方法及び運用システム
KR20200087996A (ko)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