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996A -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996A
KR20200087996A KR1020190004435A KR20190004435A KR20200087996A KR 20200087996 A KR20200087996 A KR 20200087996A KR 1020190004435 A KR1020190004435 A KR 1020190004435A KR 20190004435 A KR20190004435 A KR 20190004435A KR 20200087996 A KR20200087996 A KR 2020008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olid fuel
blockchain
ribbon
bu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하나리본블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하나리본블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하나리본블록
Priority to KR102019000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7996A/ko
Publication of KR2020008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매자가 리본블록을 구매하고자 할 때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를 선택하면서 구매하도록 하고,
비트 코인의 체인블록에는 선택된 일부 업종 또는 전체 업종의 폐기물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선택한 업종에 투자되어 이익을 창출함에 따라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은 물론, 수익에 따른 배당까지 얻도록 하고,
진행에 따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매자들이 구매한 모든 리본블록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의 상승과 수익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ReBorn block}
본 발명은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매자가 리본블록을 구매하고자 할 때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를 선택하면서 구매하도록 하고, 비트 코인의 체인블록에는 선택된 일부 업종 또는 전체 업종의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선택한 업종에 투자되어 이익을 창출함에 따라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은 물론, 수익에 따른 배당까지 얻도록 하고, 진행에 따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매자들이 구매한 모든 리본블록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의 상승과 수익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상의 전자 결제 수단에는 온라인 상에서 통용되는 전자 현금을 발행하여 결제에 이용하는 전자 현금 시스템, 장표 결제 수단 중의 하나인 수표를 인터넷 상에 구현한 전자 수표 시스템, 인터넷상의 가상 은행(Cyberbank)을 이용한 전자 자금 이체 시스템, 그리고 실세계의 신용카드 거래를 인터넷 상에 구현한 인터넷 신용 카드 결제 시스템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디지털 컨텐츠 구매와 같은 소액 결제에 가장 적절한 전자 결제 수단은 전자 현금 시스템이며, 본 발명에서 전자 화폐라 함은 온라인 상에서 발행되고 통용되는 전자 현금을 가리킨다.
전자 화폐는 실세계의 화폐를 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전자적인 저장 가치로 변환한 것으로서, 실세계의 화폐를 이용하여 전자적 저장 가치로서의 새로운 전자 화폐를 발행한 후, 이것을 전자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전자 화폐는 저장 가치의 저장 위치에 따라 하드웨어형 전자 화폐와 네트워크형 전자 화폐 등이 있으며, 하드웨어형 전자 화폐는 저장 가치를 IC(Integrated Circuit) 회로상의 메모리나 CD 등에 저장하는 것이고, 네트워크형 전자 화폐는 고객의 컴퓨터, 인터넷 상의 저장 공간,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와 같은 저장 공간에 저장 가치를 저장하는 것이다.
특히,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로서, 여러 대의 컴퓨터가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어주는 기술인 불록체인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르는 불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사태를 통해 중앙집권화된 금융시스템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고안하였고, 이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개발하였다.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정보는 다양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도 매우 광범위하다. 대표적으로 가상통화에 사용되는데, 이때는 블록에 금전 거래 내역을 저장해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밖에도 전자 결제나 디지털 인증뿐만 아니라 화물 추적 시스템, P2P 대출, 원산지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추적하거나 예술품의 진품 감정, 위조화폐 방지, 전자투표, 전자시민권 발급, 차량 공유, 부동산 등기부, 병원 간 공유되는 의료기록 관리 등 신뢰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크게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나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모두에게 개방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형태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통화가 대표적이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기관 또는 기업이 운영하며 사전에 허가를 받은 사람만 사용할 수 있다. 참여자 수가 제한돼 있어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다.
여기서 블록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로, 바디(body)와 헤더(header)로 구분된다. 바디에는 거래 내용이, 헤더에는 머클해시(머클루트)나 넌스(nounce, 암호화와 관련되는 임의의 수) 등의 암호코드가 담겨 있다.
블록은 약 10분을 주기로 생성되며, 거래 기록을 끌어 모아 블록을 만들어 신뢰성을 검증하면서 이전 블록에 연결하여 블록체인 형태가 된다.
여기서 처음 시작된 블록을 제네시스 블록이라고 부른다. 즉, 제네시스 블록은 그 앞에 어떤 블록도 생성되지 않은 최초의 블록을 말한다.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한다. 이 개개인의 서버, 즉 참여자를 노드라고 한다.
중앙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블록을 배포하는 노드의 역할이 중요하며, 참여하는 노드들 가운데 절반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새 블록이 생성된다.
노드들은 블록체인을 컴퓨터에 저장해 놓고 있는데,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 기존 내용이 틀어져도 다수의 노드에게 데이터가 남아 있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전체 블록체인의 데이터를 장치에 저장하고 유지관리 해야 한다. 누적된 거래 등이 적어 전체 블록체인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으나, 거래 등 신규 이벤트 발생이 누적되면서 블록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전체 블록체인의 크기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대표적인 블록체인 시스템인 비트코인의 전체 블록체인 크기는 현재 수십 Gbyte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이러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관리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저장 장치 및 컴퓨팅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는 이러한 수준의 성능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개인용 모바일 장치는 더욱 이러한 수준의 성능에 도달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2018년 11월 21일자 특허등록 제10-1922565호(이종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얼라이언스 블록체인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거버넌스 블록체인에 연동할 제1 연동용 노드를 거버넌스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제1 블록체인;
거버넌스 블록체인에 연동할 제2 연동용 노드를 거버넌스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제2 블록체인; 및
서로 다른 블록체인 시스템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 간의 연동을 위한 API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연동용 노드와 제2 연동용 노드를 이용하여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 간의 데이터를 연동하는 거버넌스 블록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연동용 노드에는 제1 블록체인과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거래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제2 연동용 노드에는 제2 블록체인과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거래내역이 저장되며,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마스터 노드에는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 간의 거래내역이 저장되며,
상기 제1 블록체인의 제1 연동용 노드는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제1 블록체인에서 제2 블록체인으로의 거래 요청 정보를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에 전송하고,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은 제1 연동용 노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거래 요청 정보를 확인 후 API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블록체인의 제2 연동용 노드에 상기 거래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송하고,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마스터 노드에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 간의 거래 내역에 관한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스마트계약은 API를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 외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난수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며, 생성된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제2 블록체인과 정보를 공유하고 연동하며,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스마트계약은 외부의 정보를 사용해 난수를 생성하되, 울프럼알파(Wolfram Alpha)를 이용해 난수를 생성하거나, 오라클라이즈(Oraclize)를 활용해 외부 API 결과를 스마트계약 안에 참조하며, 상기와 같이 참조된 스마트계약은 거버넌스 블록체인의 노드로 블록이 생성되고, 이를 통해서 이종 블록체인간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 간의 연동을 위한 API는 상기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의 DB를 연동하기 위해 제1 블록체인 및 제2 블록체인에서 거버넌스 블록체인으로 블록정보 조회를 요청하는 API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제2 블록체인에서 거버넌스 블록체인으로 블록정보 조회를 요청하는 API는 블록의 식별자 역할을 하는 블록 해시값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해시값은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이 API를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 외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난수를 통해 생성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및 제2 블록체인이 가버넌스 블록체인에 블록정보를 요청할 때 블록체인 해시를 포함하여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 가버넌스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해시값에 해당하는 블록정보를 제1 블록체인 및 제2 블록체인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 간의 연동을 위한 API는 상기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에서 발행된 암호화폐를 전자지갑에서 잔액조회, 거래내역 조회 및 지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API를 포함하며,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은 제1 블록체인에서 발행한 암호화폐와 제2 블록체인에서 발행한 암호화폐와 같이 이종의 블록체인에서 발행한 암호화폐에 대해 상기 연동을 위한 API를 이용하여 전자지갑의 암호화폐를 지급시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 상호간의 정해진 거래조건 및 시세에 따라 전자지갑에서 교환이 가능하고,
상기 거버넌스 블록체인에는 이종의 블록체인 상호간의 거래조건에 대한 내용이 있으며, DB에 시세정보를 저장하고 이러한 정보를 참고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블록체인에서 발행한 암호화폐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 또는 제2 블록체인이 가버넌스 블록체인에 해당 전자지갑의 잔액조회를 요청할 때 계좌주소를 포함하여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 가버넌스 블록체인은 계좌주소 및 잔액정보를 제1 블록체인 또는 제2 블록체인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또는 제2 블록체인이 가버넌스 블록체인에 해당 전자지갑의 거래내역을 요청할 때 계좌주소를 포함하여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 가버넌스 블록체인은 해당 전자지갑의 거래내역을 제1 블록체인 또는 제2 블록체인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또는 제2 블록체인이 가버넌스 블록체인에 해당 전자지갑의 지급 요청을 보낼 때 받는 블록체인의 심볼, 받는 주소, 금액 및 수수료를 포함하여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 가버넌스 블록체인은 해당 전자지갑의 지급 요청 처리결과를 제1 블록체인 또는 제2 블록체인에 전송하며,
상기 제1 블록체인과 제2 블록체인 간의 연동을 위한 API는 회원의 유효 계좌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또는 제2 블록체인이 가버넌스 블록체인에 해당 블록체인 회원의 계좌 주소를 보내어 유효계좌 확인 요청 메시지를 보내면, 가버넌스 블록체인은 계좌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계좌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블록체인 또는 제2 블록체인에 전송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2018년 11월 21일지 공개특허공보 10-2018-0124545호(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 생성 방법)가 제안되었으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형 블록들은 각각 블록의 생성 순서에 따라 연결된 메인 브랜치; 및
하나의 제1 형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형 블록은 상기 제1 형 블록을 루트 블록으로 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브랜치를 포함하고,
하나의 서브 브랜치의 상기 제2 형 블록은 각각 블록의 생성 순서에 따라 연결되되, 상기 하나의 서브 브랜치에서 최초로 생성된 제2 형 블록은 상기 루트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브랜치의 마지막 제1 형 블록은, 상기 서브 브랜치의 마지막 제2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되,
상기 마지막 제1 형 블록은 상기 메인 브랜치에 포함되고 상기 마지막 제1 형 블록보다 직전에 생성된 제1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마지막 제1 형 블록은 상기 마지막 제2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과 상기 직전에 생성된 제1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을 구분하여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마지막 제1 형 블록은 상기 마지막 제2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과 상기 직전에 생성된 제1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을 블록헤더에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마지막 제1 형 블록은 모든 서브 브랜치의 마지막 제2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마지막 제1 형 블록은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이 다른 제1 형 블록에 포함되지 않은 마지막 제2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마지막 제1 형 블록은 둘 이상의 마지막 제2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의 해시값을 포함하고, 상기 해시값은 각각의 마지막 제2 형 블록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머클 트리의 루트에 대한 해시값으로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마지막 제2 형 블록은 상기 마지막 제1 형 블록보다 이전에 생성하도록 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하여서는 거래이력(트랜잭션)을 여러 시스템에 분산 공유하여 서로 감시하고 거래의 정당성을 확보하며 제3자의 의존없이 거래의 존재와 정당성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저장하는 데이터에 비트 코인을 구매한 금액으로 수행되는 일이나 작업의 과정을 전혀 알 수가 없어 그냥 비용을 해킹의 연려가 줄어들도록 저장하는 효과 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구매자가 리본블록(reborn block)을 구매하고자 할 때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를 선택하면서 구매하도록 한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트 코인의 체인블록에는 선택된 일부 업종 또는 전체 업종의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여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선택한 업종에 투자되어 이익을 창출함에 따라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은 물론, 수익에 따른 배당까지 얻도록 하고, 진행에 따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구매자들이 구매한 모든 리본블록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의 상승과 수익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은,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로 인터넷망을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도록 하는 과정과,
회원으로 가입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를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리본블록(reborn block)을 구매하는 과정과,
상기의 리본블록 관리서버에서 구매자에게 리본블록의 비용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를 선택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리본블록의 금액에 해당하는 비용을 리본블록 관리서버에 접속된 금융서버에 송금하도록 하여 송금이 완료되었는 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의 비용으로 리본블록 관리서버에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로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 중에서 선택한 업종의 투자 비용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과정과,
블록관리자가 상기의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설정된 처리 단위 및 분배 방법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블록을 전달받은 관리서버에서 블록체인에 분산 저장하여 인증키를 가진 구매자만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투자한 업종인 고형연료 제조장치, 고형연료 연소장치,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을 가동하면서 폐기물을 수집하는 과정이나 제조한 고형연료를 판매하는 수익금이나 발전을 일으켜서 전기를 판매한 비용 중에서 해당 리본블록의 비용에 해당하는 비율의 배당금을 리본블록 관리서버에서 매달 계산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수익금을 계산한 리본블록 관리서버에서 금융서버를 통하여 리본블록 구매자의 계좌로 송금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함으로써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해당 업종에 투자되어 이익을 창출함에 따라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은 물론, 수익에 따른 배당까지 얻도록 하여 구매자들이 구매한 모든 리본블록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상승함에 따른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에 의하여서는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로 인터넷망을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리본블록을 구매하고자 할 때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 중에서 투자할 업종을 선택하면서 구매하도록 하고,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처리 단위 및 분배 방법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여 관리서버에서 블록체인에 분산 저장하도록 하여 인증키를 가진 구매자만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한 구매자의 선택 사양에 의하여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해당 업종에 투자되어 이익을 창출함에 따라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없어지지 않은 물론, 수익에 따른 배당까지 얻도록 하여 구매자들이 구매한 모든 리본블록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고 따른 수익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플로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은,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로 인터넷망(2)을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후 리본블록(reborn block)의 구매를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구매자 단말기(1)를 통하여 구매자에게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 중에서 투자를 원하는 업종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의 구매자가 리본블록의 구매비용을 금융서버(4)에 입금하면 이를 전달받은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상기 구매자의 선택 사양에 의하여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해당 업종에 투자되어 이익을 창출하면 금융서버(4)에서 일정 비율의 이익을 구매자의 계좌로 송금하도록 하고,
블록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5)를 통하여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설정된 처리 단위 및 분배 방법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의 관리서버(3)에 전달하여 체인블록에 분산 저장하도록 하여 인증키를 가진 구매자만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로 인터넷망(2)을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도록 하는 과정과,
회원으로 가입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를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한 상태에서 리본블록의 구매를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의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구매자에게 리본블록의 비용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 중에서 투자할 업종을 임의로 선택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리본블록의 금액에 해당하는 비용을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된 금융서버(4)에 송금하도록 하여 송금이 완료되었는 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의 비용으로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로 선택한 고형연료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중에서 선택한 업종의 투자 비용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과정과,
블록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5)를 통하여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설정된 처리 단위 및 분배 방법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블록을 전달받은 관리서버(3)에서 블록체인에 분산 저장하여 인증키를 가진 구매자만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고형연료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폐기물을 수집, 제조한 고형연료의 판매 그리고 발전을 일으켜서 전기를 판매한 비용 중에서 해당 리본블록의 비용에 해당하는 비율의 배당금을 리본블록 관리서버에서 매달 계산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수익금을 계산한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금융서버(4)를 통하여 리본블록 구매자의 계좌로 송금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함으로써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해당 업종에 투자되어 이익을 창출함에 따라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은 물론, 수익에 따른 배당까지 얻도록 하여 구매자들이 구매한 모든 리본블록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상승함에 따른 수익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은,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로 인터넷망(2)을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도록 한다.
회원으로 가입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를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한 상태에서 리본블록의 구매를 진행한다.
상기의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구매자에게 리본블록의 비용으로 환경을 위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고형연료 연소장치,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의 리본블록의 금액에 해당하는 비용을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된 금융서버(4)에 송금하도록 하여 송금이 완료되었는 가를 확인한다.
상기의 비용으로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로 선택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고형연료 연소장치,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 중에서 선택한 물품의 구매 비용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볼록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5)를 통하여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설정된 처리 단위 및 분배 방법에 의하여 블록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한 블록을 전달받은 관리서버(3)에서 블록체인에 분산 저장하여 인증키를 가진 구매자만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고형연료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폐기물을 수집, 제조한 고형연료의 판매 그리고 발전을 일으켜서 전기를 판매한 비용 중에서 해당 리본블록의 비용에 해당하는 비율의 배당금을 리본블록 관리서버에서 매달 계산하도록 한다.
상기의 고형연료 제조장치, 고형연료 연소장치,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을 가동하면서 폐기물을 수집하는 과정이나 제조한 고형연료를 판매하는 수익금이나 발전을 일으켜서 전기를 판매한 비용 중에서 해당 리본블록의 비용에 해당하는 비율의 배당금을 리본블록 관리서버에서 매달 계산하도록 한다.
상기의 수익금을 계산한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금융서버(4)를 통하여 리본블록 구매자의 계좌로 송금하도록 함으로써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이 해당 업종에 투자되어 이익을 창출함에 따라 리본블록의 구매금액은 물론, 수익에 따른 배당까지 얻도록 하여 구매자들이 구매한 모든 리본블록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상승함에 따른 수익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구매자 단말기 2 : 인터넷망
3 : 관리서버 4 : 금융서버
5 : 관리자 단말기

Claims (1)

  1.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로 인터넷망(2)을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하도록 하는 과정과,
    회원으로 가입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를 통하여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한 상태에서 리본블록의 구매를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의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구매자에게 리본블록의 비용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의 처리, 상기의 음식물쓰레기를 비롯한 생활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등에 따른 업종의 일부나 전체 중에서 투자할 업종을 임의로 선택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리본블록의 금액에 해당하는 비용을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 접속된 금융서버(4)에 송금하도록 하여 송금이 완료되었는 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의 비용으로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1)로 선택한 고형연료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중에서 선택한 업종의 투자 비용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과정과,
    블록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5)를 통하여 폐기물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업무 진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를 설정된 처리 단위 및 분배 방법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블록을 전달받은 관리서버(3)에서 블록체인에 분산 저장하여 인증키를 가진 구매자만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고형연료 제조, 고형연료 연소, 고형연료를 이용한 발전, 고형연료의 제조와 연소 및 발전시스템을 장착한 선박의 제조 또는 운영, 폐기물을 수집, 제조한 고형연료의 판매 그리고 발전을 일으켜서 전기를 판매한 비용 중에서 해당 리본블록의 비용에 해당하는 비율의 배당금을 리본블록 관리서버에서 매달 계산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의 수익금을 계산한 리본블록 관리서버(3)에서 금융서버(4)를 통하여 리본블록 구매자의 계좌로 송금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KR1020190004435A 2019-01-14 2019-01-14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KR20200087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35A KR20200087996A (ko) 2019-01-14 2019-01-14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35A KR20200087996A (ko) 2019-01-14 2019-01-14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996A true KR20200087996A (ko) 2020-07-22

Family

ID=7189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435A KR20200087996A (ko) 2019-01-14 2019-01-14 리본블록의 거래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79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yaev et al.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WI716140B (zh) 基於區塊鏈的資料處理方法和裝置
US118936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trading
US20180293553A1 (en) Account platform for a distributed network of nodes
WO2020155789A1 (zh) 基于区块链的存证方法和装置
WO2020082868A1 (zh) 一种基于区块链的理赔方法和装置
JP2019523495A (ja) 分散トランザクションコンセンサスネットワークのデジタル財管理
US200900128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linked deposit-only account identifier
KR102120539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TW202026997A (zh) 基於區塊鏈的商品購置方法和裝置
KR102313675B1 (ko) 기부 대상에 제한 없는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기부 서버 및 기부 방법
CN111357032A (zh) 用于价值转移的方法和装置
KR102182072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JP2022524368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用いた知識財産権取引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US20210319510A1 (en) Blockchain-based system for providing mergers and acquisitions ser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200097958A1 (en) Currency information processor and currency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ownsend Distributed Ledgers: Design and Regulation of Financial Infrastructure and Payment Systems
KR20200021032A (ko) 블록체인 기반 중고거래 플랫폼 시스템
KR102092757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회계 관리시스템
Cai et al. Introduction to blockchain basics
KR20190099545A (ko) 국가별 화폐 단위를 가상적인 픽셀을 조합하여 만들어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해당 플랫폼 및 프로그램 및 서비스
CN111209337A (zh) 基于区块链的财报生成系统、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910252A (zh) 一种管理与知识产权资产相关的证券单元的系统和方法
US20230186301A1 (en) Tokenization of the appreciation of assets
KR102149998B1 (ko) 멀티 체인 레이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