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766A -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766A
KR20170123766A KR1020160052675A KR20160052675A KR20170123766A KR 20170123766 A KR20170123766 A KR 20170123766A KR 1020160052675 A KR1020160052675 A KR 1020160052675A KR 20160052675 A KR20160052675 A KR 20160052675A KR 20170123766 A KR20170123766 A KR 20170123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information
block chain
recorded
transa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진
김이삭
최봉기
조남호
원대일
구자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766A/ko
Publication of KR2017012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중복 거래 방지 단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은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블록 체인을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TERMINAL AND SYSTEM FOR PREVENTING REDUNDANCY TRANSA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산(動産)에 대한 중복 거래를 방지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오늘날 다수의 기업 또는 개인은 투자자금 확보 및 세금 절감을 위해 금융 리스 거래를 통하여 공작 기계, 사무기기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업 또는 개인이 자금 조달을 위해 특정 동산에 대해 담보 대출 계약을 맺고 있다. 그러나, 리스 계약 및 담보 대출은 특정 동산에 대한 계약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고 제3 자가 상기 계약 정보에 대한 조회를 할 수 있는 공유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동산에 대한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또는 매매 계약이 중복으로 체결되는 경우 선의의 제3 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동산에 대한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에 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선의의 제3자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4792호(2001.11.2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산에 대한 거래 이력을 블록 체인을 통해 공유함으로서 중복 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블록 체인을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하는,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거래 정보 및 상기 제2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유형은,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거래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승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상기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은,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는,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거래 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수신하는 블록 체인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중복 거래 방지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거래 정보 및 상기 제2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유형은,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블록 체인 관리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는,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며, 상기 거래 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서,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 복수의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블록 체인을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복 거래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거래 정보 및 상기 제2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유형은,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거래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승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상기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말에서,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는,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며, 상기 단말에서, 상기 거래 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체인 관리부에서,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수신하는 단계; 입력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및 판단부에서,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복 거래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거래 정보 및 상기 제2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유형은,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에서,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 체인 관리부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체인 관리부에서,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는,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거래 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동산에 대한 거래 내역을 공유함으로써 상기 동산에 대한 중복 거래로 인해 선의의 제3자가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산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동산에 대한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또는 매매 계약 체결 시 동산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단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100)은 서버(110) 및 복수의 단말(120)을 포함한다.
서버(110)는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정보를 중계하기 위한 장치이다. 대상 물건은 거래의 대상이 되는 물건으로서 예를 들어, 공작 기계, 사무기기 등과 같은 동산(動産)일 수 있다. 서버(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거래 정보는 대상 물건에 대해 체결 완료된 거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 거래 당사자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 물건의 종류, 일련 번호 등일 수 있다.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은 예를 들어,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블록 체인은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이터 기록 리스트일 수 있다. 블록 체인은 분산된 노드에 각각 저장되므로, 어느 한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다. 블록 체인을 이용하는 경우, 블록 체인에 저장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접근 및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버(110)는 거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거래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승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120)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거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10)는 거래의 당사자들에 의해 소지되는 단말(120)로부터 상기 거래가 성립되었음을 나타내는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거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리스 계약의 경우를 예로 들면, 리스업자, 대상 물건의 공급자 및 대상 물건의 이용자 사이에 계약이 성립된 후에 상기 리스계약의 상술한 당사자 각각이 소지하는 단말(120)로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서버(110)는 상기 리스 계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승인 메시지는 각 당사자의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상기 거래가 체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110)는 단말로부터 제2 거래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거래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거래 요청에 포함된 거래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의 당사자 모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서버(110)는 거래가 성립된 것으로 판단하고,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110)는 생성된 블록 체인을 복수의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10)는 생성된 블록 체인을 복수의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말(120)은 각각 서버로부터 블록 체인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120)이 서버(110)에서 생성된 블록 체인 자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단말(120)에서 서버로부터 발생된 거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단말(120)은 사용자가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로서,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대상 물건과 연관된 이해관계자일 수 있다. 이해관계자는 예를 들어, 리스 계약의 대상 물건의 공급자, 담보 대출 계약의 주체인 보험사, 금융사 등일 수 있다.
단말(120)은 서버(110)로부터 블록 체인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은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블록 체인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20)은 블록 체인을 저장할 수 있고, 서버(110)로부터 새로운 블록 체인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블록 체인을 기존의 블록 체인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20)은 이미 성립된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킬 수 있다.
단말(120)은 단말(120)의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거래 요청은 제2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거래 정보는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 물건의 종류, 일련 번호 등일 수 있다.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은 예를 들어,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20)은 제1 거래 정보와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20)은 제1 거래 정보 및 제2 거래 정보 각각에 포함된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단말(120)은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복 거래는 제1 거래 정보 중 제2 거래 정보의 거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거래가 존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가 체결되는 경우 이미 발생한 거래의 당사자 중 일방이 불측의 손해를 볼 수 있는 경우를 널리 포함한다. 다시 말해, 단말(120)은 대상 물건에 대해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가 체결되더라도, 제1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와의 사이에 중복 거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스 계약과 또 다른 리스 계약, 리스 계약과 담보 대출 계약, 리스 계약과 동일한 대상 물건에 대한 매매 계약은 서로 중복되는 거래 유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20)은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가 중복 거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복 거래임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의 유형이 담보 대출 계약이며 블록 체인 내 제1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의 유형이 리스 계약인 경우, 단말(120)은 상기 대상 물건에 대하여 거래가 중복되어 체결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람 메시지는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화상 장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20)은 상기 거래가 중복 거래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복 거래가 아님을 나타내는 안심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의 유형이 담보 대출 계약이지만, 블록 체인 내 제1 거래 정보에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매매 계약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120)은 상기 대상 물건에 대하여 거래가 중복될 우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안심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심 메시지는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화상 장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알람 메시지 또는 안심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를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은 상기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10)는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120)은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는 제1 거래 정보에 기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거래 요청을 입력 받은 경우 기 저장된 블록 체인 내 제1 거래 정보로부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대상 물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에 따라 거래의 체결 금액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20)을 통해 대상 물건에 대해 중복 거래가 아님을 확인한 단말의 사용자들 사이에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가 체결된 경우, 서버(110)는 단말(120)로부터 상기 거래의 발생에 관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버(110)는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하여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120)은 이미 성립된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단말(1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단말(120)은 블록 체인 관리부(202), 입력부(204), 판단부(206), 알람부(208) 및 디스플레이부(210)를 포함한다.
블록 체인 관리부(202)는 서버(110)로부터 대상 물건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 거래 당사자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 물건의 종류, 일련 번호 등일 수 있다.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은 예를 들어,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체인 관리부(202)는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블록 체인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 체인 관리부(202)는 블록 체인을 저장할 수 있고, 서버(110)로부터 새로운 블록 체인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블록 체인을 기존의 블록 체인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204)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거래 요청은 제2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거래 정보는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 물건의 종류, 일련 번호 등일 수 있다.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은 예를 들어,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206)는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06)는 제1 거래 정보 및 제2 거래 정보 각각에 포함된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판단부(206)는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복 거래는 제1 거래 정보 중 제2 거래 정보의 거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거래가 존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가 체결되는 경우 이미 발생한 거래의 당사자 중 일방이 불측의 손해를 볼 수 있는 경우를 널리 포함한다. 다시 말해, 판단부(206)는 대상 물건에 대해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가 체결되더라도, 제1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와의 사이에 중복 거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스 계약과 또 다른 리스 계약, 리스 계약과 담보 대출 계약, 리스 계약과 동일한 대상 물건에 대한 매매 계약은 서로 중복되는 거래 유형일 수 있다.
또한, 판단부(204)는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10)는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부(208)는 대상 물건에 대한 거래가 중복 거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복 거래임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의 유형이 담보 대출 계약이며 블록 체인 내 기록된 제1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 유형이 리스 계약인 경우, 알람부(208)는 상기 대상 물건에 대하여 거래가 중복되어 체결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알람 메시지는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화상 장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알람부(208)는 상기 거래가 중복 거래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복 거래가 아님을 나타내는 안심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거래 정보에 포함된 거래의 유형이 담보 대출 계약이지만, 블록 체인 내 대상 물건의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매매 계약 등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알람부(208)는 상기 대상 물건에 대하여 거래가 중복될 우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안심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는 제1 거래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거래에 대응되는 거래의 당사자는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대상 물건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에 따라 거래의 체결 금액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들 사이에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가 체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120)은 상기 사용자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승인 메시지를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버(110)는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 관리부(202)에 전송할 수 있다. 블록 체인 관리부(202)는 서버(110)로부터 상기 블록 체인을 수신하여 기 저장된 대상 물건에 관한 블록 체인에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120)은,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복 거래 방지 방법(3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중복 거래 방지 단말(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블록 체인 관리부(202)에서,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서버(110)로부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302). 제1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 거래 당사자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 물건의 종류, 일련 번호 등일 수 있다.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은 예를 들어,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체인 관리부(20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서버(1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킬 수 있다.
입력부(204)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S304). 1거래 요청은 제2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거래 정보는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대상 물건의 종류, 일련 번호 등일 수 있다.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은 예를 들어, 리스 계약, 담보 대출 계약 및 매매 계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206)에서,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를 판단할 수 있다(S306).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206)는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10)는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알람부(208)는 상기 제2 거래 정보에 대응되는 거래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복 거래임을 나타내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부(208)는 상기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복 거래가 아님을 나타내는 안심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는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며, 디스플레이부(210)는 상기 거래 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서버(11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단말(12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0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
110: 서버
120: 단말
202: 블록 체인 관리부
204: 입력부
206: 판단부:
208: 알람부
210: 디스플레이부

Claims (9)

  1.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블록 체인을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하는,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래 정보 및 상기 제2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거래 요청과 관련된 사용자들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승인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생성하는,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상기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은,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키는,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는,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며,
    상기 단말은, 상기 거래 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복 거래 방지 시스템.
  6.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발생되는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에 관한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수신하는 블록 체인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 요청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블록 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거래 정보와 상기 거래 요청에 포함된 제2 거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중복 거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중복 거래 방지 단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래 정보 및 상기 제2 거래 정보는, 상기 대상 물건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대상 물건의 거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중복 거래 방지 단말.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대상 물건에 관한 거래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거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블록 체인 관리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수신하고,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 상기 제2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을 연결시키는, 중복 거래 방지 단말.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래 정보가 기록된 블록 체인에는,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며,
    상기 거래 요청의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 물건의 보험 계약 체결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중복 거래 방지 단말.

KR1020160052675A 2016-04-29 2016-04-29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KR20170123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675A KR20170123766A (ko) 2016-04-29 2016-04-29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675A KR20170123766A (ko) 2016-04-29 2016-04-29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66A true KR20170123766A (ko) 2017-11-09

Family

ID=6038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675A KR20170123766A (ko) 2016-04-29 2016-04-29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766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856B1 (ko) * 2018-11-20 2019-02-22 주식회사 윅스콘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29482B1 (ko) * 2018-08-13 2019-03-12 (주)아사달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CN109523413A (zh) * 2018-11-21 2019-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保单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9784928A (zh) * 2019-01-23 2019-05-21 众安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KR20190058255A (ko) * 2017-11-20 2019-05-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이중지불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990294B1 (ko) * 2018-08-27 2019-06-19 마이크로웍스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74177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이글루시스템즈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보안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보안 방법
CN110322321A (zh) * 2019-06-28 2019-10-1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子票据转让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200078922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39013B1 (ko) * 2019-10-29 2020-07-28 김진성 숙박 예약을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93483A (ko) * 2020-07-20 2020-08-05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멀티 체인 레이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93484A (ko) * 2020-07-20 2020-08-05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이종 가상 화폐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144725A (ko) *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3516555A (zh) * 2021-04-26 2021-10-19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重复业务交易检测方法及装置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255A (ko) * 2017-11-20 2019-05-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이중지불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4177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이글루시스템즈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보안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 보안 방법
US10558825B1 (en) 2018-08-13 2020-02-11 Asadal, Inc. Method for sharing business information based on mutual confirmation blockchain
KR101929482B1 (ko) * 2018-08-13 2019-03-12 (주)아사달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KR101990294B1 (ko) * 2018-08-27 2019-06-19 마이크로웍스코리아 주식회사 반도체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950856B1 (ko) * 2018-11-20 2019-02-22 주식회사 윅스콘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523413A (zh) * 2018-11-21 2019-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保单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78922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9784928A (zh) * 2019-01-23 2019-05-21 众安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CN109784928B (zh) * 2019-01-23 2024-04-12 众安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KR20200144725A (ko) *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0322321A (zh) * 2019-06-28 2019-10-1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子票据转让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2139013B1 (ko) * 2019-10-29 2020-07-28 김진성 숙박 예약을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93483A (ko) * 2020-07-20 2020-08-05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멀티 체인 레이어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93484A (ko) * 2020-07-20 2020-08-05 주식회사 지비시코리아 이종 가상 화폐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인수 합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3516555A (zh) * 2021-04-26 2021-10-19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重复业务交易检测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3766A (ko)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US20230394570A1 (en) Electronic mortgage brokering and monitoring
US11443324B1 (en) Systems and method for providing card account controls and purchase impact information
US107831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Öğüt et al. Cyber security risk management: Public policy implications of correlated risk, imperfect ability to prove loss, and observability of self‐protection
US11636537B2 (en) System and methods of providing point-of-need financing
US1113865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rtgage loan securitization based upon blockchain verified ledger entries
US10909533B2 (en) System and methods of securely matching a buyer to a seller
Mott et al. Between a rock and a hard (ening) place: Cyber insurance in the ransomware era
US20190362430A1 (en) Electronic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for completing life insurance settlement transactions and obtaining and managing electronic signatures for life insurance settlement transaction documents
WO2019052222A1 (zh) 保单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1202156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qualified and guaranteed financial products
KR20140119665A (ko) 부동산 전속중개계약의 업무처리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Motsi-Omoijiade Financial intermediation in cryptocurrency markets–regulation, gaps and bridges
KR102405956B1 (ko) 비대면 부동산 계약을 위한 계약 체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70076393A1 (en) Digital Inventory System
Blaskovich et al. Enterprise risks, rewards, and regulation
US20080265014A1 (en) Credit Relationship Management
KR20150091686A (ko) 개인식별 정보없이 금융회사별 신용대출 또는 전,월세 임대보증금대출금리, 대출한도, 대출상환기간, 대출상환방법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가조회 시스템
KR20230021232A (ko)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hang The dark cloud of convenience: How the HIPAA omnibus rules fail to protect electronic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WI649668B (zh) 建構於即時通訊軟體之身分驗證方法及對話機器人
Mitrakas Assessing liability arising from information security breaches in data privacy
US20170262851A1 (en) Risk data modeling
KR101499591B1 (ko) 유족도우미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