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482B1 -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482B1
KR101929482B1 KR1020180094551A KR20180094551A KR101929482B1 KR 101929482 B1 KR101929482 B1 KR 101929482B1 KR 1020180094551 A KR1020180094551 A KR 1020180094551A KR 20180094551 A KR20180094551 A KR 20180094551A KR 101929482 B1 KR101929482 B1 KR 10192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ode
authentication
block chai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녕
Original Assignee
(주)아사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사달 filed Critical (주)아사달
Priority to KR102018009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82B1/ko
Priority to US16/275,121 priority patent/US105588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65Ensuring data consistency and integ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04L9/3239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involving non-keyed hash functions, e.g. modification detection codes [MDCs], MD5, SHA or RIPE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04L9/3268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using certificate validation, registration, distribution or revocation, e.g. certificate revocation list [C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 각각에서 등록하는 기업정보의 신뢰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고, 기업정보의 신속한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중 기업에 대응되는 노드에서 기관 인증이 필요한 기업정보에 대해 전자 서명을 통해 기업정보의 등록 주체가 상기 기업정보와 연관된 기업임을 인증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기관 관련 노드가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시 인증 결과를 복수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에 공유함으로써, 기업과 인증기관의 상호인증을 거친 신뢰성 있는 기업정보를 블록체인 상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공유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증 완료된 기업정보가 위변조되지 않도록 복수의 노드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으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업정보에 대한 보안성과 신뢰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Method for sharing business information based on mutual confirmation blockchain}
본 발명은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 각각에서 등록하는 기업정보의 신뢰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고, 기업정보의 신속한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현재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기업의 기업정보가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용이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기업의 기업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업정보는 업체간 계약 대상 선정이나 사용자의 취업 신청 여부 또는 투자 여부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이 등록하는 기업정보에 대한 신뢰성 및 보안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현재 이러한 기업정보의 공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별도의 인증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기업이 등록한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기업정보에 대한 일부 신뢰성을 보장하고 있으나, 해당 기업정보가 등록된 시스템의 자체 오류 또는 외부에서 시스템에 대한 해킹이나 악의적인 기업에 의한 기업정보의 무단 변경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 및 기업정보 관련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인증기관의 인증 기간이 종료된 경우에도 기업이 의도적으로 해당 인증기관의 인증 서류를 기업정보에 여전히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방지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며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인증 기간을 별도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 및 공유 방식은 기업정보의 무결성 및 신뢰성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용자간 공유되는 기업정보의 무결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7395호
본 발명은 기업과 관련된 기업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사이에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기업정보를 등록하는 기업과 상기 기업정보를 인증하는 기관 사이에 상호인증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기업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상호인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을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에 분산 저장하여 인증된 기업정보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함으로써, 기업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상호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이 블록체인의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각각에 구성되며,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기업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방법은, 특정 노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가 공유 대상인 기업정보의 승인자에 해당되는 승인자 정보를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시켜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승인자에 대응되는 승인자 노드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기업정보의 인증 요청을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승인자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유효성 인증시 상기 기업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인증 성공시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노드 및 승인자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인증정보의 등록에 따른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기업정보 등록시 상기 기업정보의 열람 권한을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드 노드 중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의 생성 권한이 있는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타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블록을 공유 원장의 이전 블록에 연결하여 공유 원장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되어 누적 저장된 보상 정보를 기초로 일정 지분 이상을 가진 노드들의 지분율을 연산한 후, 각 노드별로 보유한 지분율에 비례하여 블록 생성자로 선정될 확률이 정해지는 방식에 따라 랜덤하게 선택된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을 생성하여 타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드 노드 중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이 이루어진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작업증명이 이루어진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계약 조건이 존재하는 기업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승인자 노드에 의해 유효성이 인증된 상기 기업정보의 상기 계약 조건을 만족하는 트랜잭션 발생시 상기 계약 조건의 조건 이행 주체에 해당하는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계약 조건의 이행에 따른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인증 성공시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기업정보에 설정된 계약 조건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계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만족시마다 만족 조건의 조건 이행 주체에 해당하는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계약 조건의 이행에 따른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특정 노드의 전자 지갑에 상기 보상 정보에 따라 누적 저장된 보유 금액 중 미리 설정된 설정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설정 금액을 상기 기업정보의 신속처리시 상기 승인자 노드의 승인자에게 지급 약속하는 유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승인자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미리 설정된 임시 저장 공간에 상기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을 임시 유효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공유 원장 검색시 상기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이 함께 검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통해 기업 관련 기업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은,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상호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이 블록체인의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각각에 구성되며, 특정 노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공유 대상인 기업정보의 승인자에 해당되는 승인자 정보를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시켜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승인자에 대응되는 승인자 노드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기업정보의 인증 요청을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승인자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유효성 인증시 상기 기업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인증 성공시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하되, 상기 특정 노드 및 승인자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인증정보의 등록에 따른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중 기업에 대응되는 노드에서 기관 인증이 필요한 기업정보에 대해 전자 서명을 통해 기업정보의 등록 주체가 상기 기업정보와 연관된 기업임을 인증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기관 관련 노드가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시 인증 결과를 복수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에 공유함으로써, 기업과 인증기관의 상호인증을 거친 신뢰성 있는 기업정보를 블록체인 상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공유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증 완료된 기업정보가 위변조되지 않도록 복수의 노드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으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업정보에 대한 보안성과 신뢰성 및 무결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에 따라 기업정보에 계약 당사자간 합의에 따른 계약 내용이 특정 조건 만족시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계약 조건을 기업정보에 설정하여 상기 계약 조건에 따라 기관이 설정한 유효 기간 만료시에 기업정보의 유효성이 자동 상실되도록 하거나 기관의 인증이 지연되고 있는 기업정보의 추후 인증 실패시 불이익을 기업에서 감수하도록 하여 기업정보에 대한 신뢰를 담보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기업정보의 공유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기업정보에 대한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의 노드에서 상기 기업정보를 인증하는 기관 관련 승인자 노드에 인증 신속 처리에 따른 보상을 지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기관의 신속한 인증 처리에 따른 인증된 기업정보의 신속한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인증 중인 기업정보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공유 원장 검색시에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기업정보 검색에 대한 편의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정보의 무결성 및 신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의 스마트 계약 관련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의 기업정보의 신속 인증 처리 관련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상호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이 블록체인의 노드(10)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다수의 트랜잭션 정보를 블록으로 구성하고, 해시(hash)를 이용하여 여러 블록(block)들을 체인처럼 연결하여, 피투피(P2P) 네트워크 분산 환경에서 중앙 관리 서버가 아닌 참여자(피어, peer)인 노드들(10)의 디지털 장비에 정보를 분산시켜 저장함으로써, 보안 정보를 공동으로 관리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권위 있는 중개기관이 없더라도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거래와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각각에는 어플리케이션부(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단말에 저장되며 블록체인의 노드(10)로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한 상태의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단말에 구성되는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로 동작하면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제어부 이외에도 타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을 구성하는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데이터베이스(이하, DB)로 구성되거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hard disk), SSD(Solid State Drive), 웹하드(web hard)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드(10) 각각을 구성하는 상기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드(10) 각각을 구성하는 단말은 특정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노드(10) 각각을 구성하는 단말은 블록체인 상에서 공유되는 정보를 메모리의 보안 영역에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에 노드(10)로서 참여하는 참여자가 동종 장치로 구성되거나 이종 장치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노드(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노드(10)와 단말을 설명 양태에 따라 중복 사용하면서도 노드(10)와 단말이 상호 동일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중 적어도 하나는 기업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기업 관련 기업 노드(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상기 기업정보를 인증하는 기관 관련 승인자(또는 인증자) 노드(10)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은 기업이 등록하는 기업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경우 상기 기업에서 상기 기업정보의 인증 주체를 상기 기업정보에 지정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업정보의 인증 주체인 인증기관의 인증 및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특정 기업정보에 대해 기업에 의해 지정된 기관과 상기 기관을 지정하는 기업 상호간 양방향 인증이 블록체인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양방향 인증이 이루어진 기업정보를 블록체인의 저장 단위인 블록에 포함시켜 복수의 노드(10) 각각에 저장하여 공유함으로써 기업정보의 무단 변경시 복수의 노드(10) 각각에 저장된 기업정보의 비교를 통해 위변조된 기업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위변조를 원천 차단함으로써 기업정보의 보안성과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데,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동작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업정보의 보안성과 무결성 및 신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노드(10)(A)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와 공유하기 위한 공유 대상인 기업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업정보는 기업명, 사업자 등록번호, 대표자, 등기 임원, 본점의 소재지 등의 기본 정보와 매출액, 영업이익, 신용평가등급 등 재무정보 및 벤처인증, 이노비즈인증, 여성기업인증, 장애인기업인증 등 공인기관으로부터 인증 받은 인증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텍스트 기반의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의 등록을 위한 제 1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트랜잭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 해시값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10) 각각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업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제 1 트랜잭션에 따라 상기 기업정보를 상기 특정 노드(10)가 속한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상기 특정 노드(10)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모든 노드(들)(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은 트랜잭션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트랜잭션 정보는 단위 작업 또는 단위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연산함수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승인자에 대한 승인자 정보를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인자(또는 인증자)는 상기 기업정보의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인증기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된 승인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업정보의 인증 주체인 상기 승인자에 대응되는 승인자 노드(10)(B)에 상기 기업정보의 인증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요청 정보에 상기 기업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의 보안성 유지를 위해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전자 서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특정 노드(10)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개인키로 상기 기업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전자 서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인자 노드(10)에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기업정보를 상기 승인자 노드(10)를 구성하는 단말에 포함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DB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10)는 풀 노드(full node)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풀 노드(10)에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부(11)는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일례로, 기업정보, 이하에서 설명하는 인증정보, 해시값 등)을 모두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풀 노드(10)는 특정 기관의 승인자 노드(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중 라이트 노드(light node)로 설정된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라이트 노드 관련 설정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해시값만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자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가 전자 서명 처리된 경우 상기 전자 서명이 상기 특정 노드(10)에 대응되는 기업의 소유인지 확인하여 검증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특정 노드(10)의 개인 키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공개키로 상기 기업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기업정보를 확인 및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자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기업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유효성 인증시 상기 기업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기 위한 제 2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인자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 역시 상기 제 2 트랜잭션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 해시값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상기 승인자 노드(10) 이외의 모든 노드(10)로 상기 해시값을 전송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자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해시값과 더불어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승인자 노드(10) 이외의 모든 노드(10)로 전송하여, 블록체인 상에 상기 인증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자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승인자 노드(10)에 의해 생성된 것임을 증명하기 위한 전자 서명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일례로 상술한 특정 노드(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승인자 노드(10)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개인키로 상기 인증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인증정보에 대한 전자 서명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인증 성공시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인증정보 수신시 상기 승인자 노드(10)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공개키로 상기 인증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정보의 복호화 성공시 상기 인증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복호화 성공시 자신이 속한 노드(10)에 상기 설정정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인증정보를 선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와 승인자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공유 원장을 통해 확인하여 인증정보 등록 완료시 상기 인증정보의 등록에 따른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체인에 속한 모든 노드들(10) 각각은 상기 보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 지갑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보상 정보를 생성한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자신이 속한 노드(10)에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상기 보상 정보를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상 정보는 블록체인에서 통용되는 결제 수단의 금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례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과 같은 고유 코인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블록체인에 포함된 기업정보 중 열람 권한이 설정되어 유료 결제 시에만 기업정보의 열람이 가능한 경우 상기 보상 정보, 즉 본 블록체인 시스템 고유의 코인 지급을 통해 상기 기업정보를 열람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은 상술한 구성에 따라 블록체인에 등록된 기업정보와 인증정보의 위변조 방지를 통한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데, 이를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특정 노드(10a)로부터 수신한 제 1 트랜잭션 관련 제 1 해시값을 상기 제 1 해시값이 수신된 시점에 대응되는 블록의 생성 주기 동안에 수신된 다른 노드(10)로부터 수신한 해시값과 함께 미리 설정된 해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루트 해시값을 생성하고, 상기 루트 해시값과 상기 제 1 해시값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승인자 노드(10b)로부터 수신한 제 2 트랜잭션 관련 제 2 해시값을 상기 제 2 해시값이 수신된 시점에 대응되는 블록의 생성 주기 동안에 수신된 다른 노드(10)로부터 수신한 해시값과 함께 미리 설정된 해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루트 해시값을 생성하고, 상기 루트 해시값 및 상기 제 2 해시값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제 1 및 제 2 해시값이 하나의 블록 생성 주기 동안에 수신 또는 생성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해시값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블록에는 반드시 하나의 루트해시가 존재하며, 만약 기업정보나 인증정보 중 하나라도 위변조할 경우 해당 해시값과 그 상위의 모든 해시값이 변경되어 결과적으로 루트해시가 달라지게 되므로, 블록의 루트해시만 비교해 보면 그 하위에 있는 해시를 일일이 비교 검사하지 않더라도 데이터가 위변조되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노드(10) 각각 어플리케이션부(11)는 미리 설정된 블록체인 관련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기업정보 관련 제 1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제 1 해시값 및 상기 인증정보 관련 제 2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제 2 해시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블록 생성시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을 얻기 위해 타 노드(10)와의 경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드 노드(10) 중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이 이루어진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가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을 차지하며,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신규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타 노드(들)(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작업증명(作業證明, PoW(Proof of Work))이란 목표값 이하의 블록 해시를 찾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함으로써 해당 작업에 참여했음을 증명하는 방식의 알고리즘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신규 블록의 생성일시, 버전, 비츠(bits), 루트해시, 이전 블록의 해시, 그리고 논스(nonce)라고 불리는 임시값 등을 조합한 후 해시로 변환하여 상기 신규 블록의 블록 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각 노드들(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신규 블록에 대응되는 블록의 생성 주기 동안 이루어진 모든 트랜잭션을 하나로 묶어 새로운 블록을 구성하고, 블록 구성 완료시 상기 블록체인에서 상기 신규 블록의 이전 블록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을 차지하기 위해 목표값 이하의 해시값을 찾기 위해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간 상호 경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한 수많은 노드들(10) 중에서 가장 먼저 목표값 이하의 블록 해시값을 찾아낸 노드(10)가 경쟁에서 승리하게 되고, 상기 블록 해시를 가장 먼저 찾아낸 노드(10)인 승리 노드(10c)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자신이 경쟁에서 승리했음을 모드 노드(10)에 알리면서 상기 승리 노드(10c)의 어플리케이션부(11)가 생성한 신규 블록을 상기 승리 노드(10c)를 제외한 다른 하나 이상의 노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리 노드(10c) 이외의 상기 블록체인 관련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른 노드(들)(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승리 노드(10c)로부터 수신된 신규 블록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아무런 이상이 없을 경우 해당 신규 블록의 생성을 승인한 승인 정보를 자신 이외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타 노드(들)(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에 참여한 복수의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자신이 속한 노드(10) 외의 다른 노드(들)(10)로부터 수신되는 승인 정보를 취합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참가한 노드들(10) 중에서 과반수가 새로 생성된 상기 신규 블록을 승인할 경우, 해당 신규 블록을 정식 블록으로 채택하여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공유 원장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블록 중 상기 신규 블록의 생성 직전에 생성된 이전 블록에 상기 신규 블록을 체인처럼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리 노드(10c)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 획득시 미리 설정된 금액에 해당되는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승리 노드(10c)에 미리 설정된(저장된) 전자 지갑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되어 누적 저장된 보상 정보를 기초로 일정 지분 이상을 가진 노드들의 지분율을 연산한 후, 각 노드별로 보유한 지분율에 비례하여 블록 생성자로 선정될 확률이 정해지는 방식(일명 '지분증명')에 따라 랜덤하게 선택된 노드가 상기 승리 노드(10c)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리 노드(10c)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신규 블록을 생성하여 타 노드들(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는 신규 블록을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이전 블록과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특정 노드에 침입하여 기업정보나 인증정보를 위변조하더라도 블록체인 기반으로 공유 원장에 해시를 이용하여 체인처럼 연결된 특정 노드에 저장되는 블록이 상기 위변조에 따라 해시값이 변경되는 경우 타 노드의 공유 원장과 대조시 해시값이 변경된 블록을 용이하게 찾아내어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의 위변조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기업정보와 인증정보 관련 데이터의 무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중 기업에 대응되는 노드에서 기관 인증이 필요한 기업정보에 대해 전자 서명을 통해 기업정보의 등록 주체가 상기 기업정보와 연관된 기업임을 인증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기관 관련 노드가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시 인증 결과를 복수의 노드로 구성된 블록체인에 공유함으로써, 기업과 인증기관의 상호인증을 거친 신뢰성 있는 기업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공유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증 완료된 기업정보가 위변조되지 않도록 복수의 노드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으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업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은 기업정보에 계약 조건을 설정하여 계약 조건을 만족하는 트랜잭션 발생시 상기 계약 조건의 당사자에 해당되는 노드가 자동으로 계약 조건에 따른 트랜잭션을 실행하여 후속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지원함으로써, 유효성이 인증된 기업정보지만 유효기간이 존재하거나 특정 상황 발생시 인증 유효성이 상실되는 경우에 대해서 상기 계약 조건에 따라 해당 경우의 갱신 정보가 누락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데, 이를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계약 조건이 존재하는 기업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기업정보의 등록 관련 제 1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해시값과 상기 제 1 트랜잭션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1 트랜잭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상기 특정 노드(10a)를 제외한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로 전송하여 공유함으로써 블록체인 상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계약 기반의 계약 조건은 계약 당사자간 추후 특정 조건이 만족될 시 계약 당사자간에 합의된 계약 내용이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함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업정보에 상기 계약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자 노드(10b)는 상기 기업정보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성을 인증한 후 상기 블록체인 상에 기업정보의 유효성 인증에 따른 인증정보의 등록 관련 제 2 트랜잭션을 생성한 후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정보의 등록 관련 제 2 트랜잭션을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인자 노드(10b)는 상기 제 2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해시값과 상기 제 2 트랜잭션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트랜잭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상기 승인자 노드(10b)를 제외한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로 전송하여 공유함으로써 블록체인 상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자 노드(10b)에 의해 유효성이 인증된 상기 기업정보의 상기 계약 조건을 만족하는 제 3 트랜잭션 발생시 상기 계약 조건의 조건 이행 주체에 해당하는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계약 조건의 이행에 따른 제 3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트랜잭션 역시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잭션의 블록체인 등록 방식과 마찬가지로 등록할 수 있다.
일례로, 특정 기관에서 기업에 발급한 인증서를 포함하는 기업정보에 상기 인증서의 유효 기간을 설정한 계약 조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특정 기관 관련 승인자 노드(10b)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이후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된 계약 조건에 따른 상기 인증서의 유효 기간 만료시 상기 인증서의 유효성을 상실시키기 위한 갱신 정보의 등록 관련 상기 제 3 트랜잭션을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된 계약 조건에 따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자 노드(10b)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갱신정보를 전자 서명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상기 승인자 노드(10b)를 제외한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로 상기 제 3 트랜잭션과 관련한 해시값 및 전자 서명 처리된 갱신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3 트랜잭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제 3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인증 성공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트랜잭션의 수신 시점에 대응되는 블록에 상기 제 3 트랜잭션 관련 정보를 포함시키고, 상기 제 3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생성 권한이 있는 노드(10)로부터 수신된 신규 블록을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기업정보의 신속한 공유가 필요한 상황에서 상기 기관의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이 지연되거나 상기 기업정보에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생성이 지연되는 경우 상기 기업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기업이 기관의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페널티(penalty)(불이익)를 받겠다는 계약 조건을 상기 기업정보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기업에 대응되는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의 인증 주체인 승인자 노드(10b)로부터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인증 실패 관련 트랜잭션 수신시 상기 계약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누적 저장된 보상 정보에 따른 보유 가치(보유 금액) 중 일부를 차감하거나 특정 기업의 등급을 하락시키는 등의 페널티를 자동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페널티 적용에 따른 갱신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등록하기 위한 제 4 트랜잭션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의 상기 제 4 트랜잭션에 대한 유효성 인증시 각 노드(10)의 공유 원장에 상기 제 4 트랜잭션과 관련된 블록이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기업정보에 설정된 계약 조건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계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만족시마다 만족 조건의 조건 이행 주체에 해당하는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계약 조건의 이행에 따른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에 따라 기업정보에 계약 당사자간 합의에 따른 계약 내용이 특정 조건 만족시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계약 조건을 기업정보에 설정하여 상기 계약 조건에 따라 기관이 설정한 유효 기간 만료시에 기업정보의 유효성이 자동 상실되도록 하거나 기관이 인증이 지연되고 있는 기업정보에 대한 신뢰를 담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기업정보의 공유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기업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풀 노드(10)에 접속하여 해당 풀 노드(10)의 저장부에 저장된 공유 원장을 검색하거나 자신의 저장부(또는 DB)에 저장된 공유 원장을 검색하여 상기 기업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10)간 기업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에 속하지 않은 외부 단말(100)로부터 상기 기업정보의 검색 요청시 검색 요청 관련 쿼리를 수신한 검색 노드(10)는 자신의 저장부(또는 DB)를 검색하거나 상기 블록체인의 풀 노드(10)에 해당하는 노드(10)로 상기 검색 요청 관련 검색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기업 관련 기업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색 노드(10)는 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되는 기업정보와 더불어 상기 기업정보의 인증기관 관련 승인자 노드(10b)에 의한 상기 기업정보의 유효성 인증 관련 인증정보를 함께 상기 외부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쿼리를 만족하는 기업정보가 포함된 인증정보로부터 상기 기업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외부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인증정보만을 상기 외부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외부 단말이 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되어 수신한 기업정보와 함께 수신된 상기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상기 기업정보가 신뢰성 있는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동시에 블록체인 기반으로 공유되는 기업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여 데이터 정확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기업이 블록체인 상에 등록하는 기업정보가 아직 인증기관 관련 승인자 노드(10b)에 의한 유효성 인증이 완료되지 않고 지연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업이 기업정보의 인증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가 발생시 상기 블록체인 상에서 인증 관련 인증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기업정보의 인증에 실패하여 기업에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업에 대한 입찰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거나, 해당 특정 기업이 특정 지원 사업 참여를 위한 기업정보를 제출한 상태이거나, 해당 특정 기업이 대출 심사를 위한 기업정보를 제출한 상태 등과 같이 기업정보의 등록 상태에 따른 상기 기업정보의 인증기관을 통한 유효성 인증 관련 인증정보가 필요하며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상기 인증정보의 확인이 필요한 상황에서 상기 상황에 대한 마감 기한이 설정되어 마감 시한 도래시까지 인증기관의 인증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 입찰 진행 실패, 지원 사업 참여 탈락, 대출 심사 탈락 등과 같은 기업에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에 해당 인증정보에 해당되는 신규 블록을 등록하는 기간에 블록 생성 주기까지 고려되어야 하므로, 블록체인에서 해당 기업정보의 등록 이후 기업정보에 대응되는 인증정보가 등록되기까지 수십분에서 길게는 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정보의 등록 지연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블록체인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기업정보 1 관련 해시값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10)로 전송하여 상기 기업정보 1을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업정보 1에는 신속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인증 완료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 1에 미리 설정된 승인자 관련 승인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승인자에 대응되는 승인자 노드(10b)로 상기 기업정보 1의 인증 요청 관련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모든 기업정보에 대하여 등록 시점부터 인증정보가 블록체인에 등록되어 상기 특정 노드(10a)에 미리 저장된 공유 원장에서 확인될 때까지 소요 시간을 누적 저장한 후 누적 저장된 소요 시간을 평균화하여 통계적인 통계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 1에 인증 완료 시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증 완료 시간과 상기 통계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통계 시간의 값이 더 큰 경우 상기 기업정보 1이 신속 처리가 필요한 대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 1에 포함된 승인자 정보에 대응되는 승인자 노드(10b)로 상기 특정 노드(10a)의 전자 지갑에 상기 보상 정보에 따라 누적 저장된 보유 금액 중 미리 설정된 설정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설정 금액을 상기 기업정보의 신속처리시 상기 승인자 노드(10b)의 승인자에게 지급 약속하는 유료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승인자 노드(10b)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에 대해 상기 승인자 노드(10b)로 기업정보의 신속 처리시 이에 대한 보상이 지급되는 것을 알리면서 상기 기업정보의 신속 처리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특정 노드(10a)의 기업정보에 대한 승인자 노드(10b)의 신속 처리시 이에 따른 보상을 지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승인자 노드(10b)에서 신속한 기업정보의 인증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아직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며 상기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에 대한 블록이 완성되지 않아 공유 원장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특정 노드(10a)에 미리 설정된 상기 공유 원장과 연동하는 미리 설정된 임시 저장 공간에 상기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을 임시 유효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공유 원장 검색시 상기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이 함께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블록체인에 속한 모든 노드들(10)로 상기 기업정보 1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을 모든 노드(10) 각각의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임시 저장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시 저장 요청 정보는 상기 기업정보 1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속한 모든 노드들(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미리 설정된 자신에 대응되는 노드(10)의 임시 저장 공간에 상기 임시 저장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기업정보 1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을 임시 유효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에 속한 상기 특정 노드(10a)를 포함하는 모든 노드들(10)은 자신의 공유 원장 검색시 상기 임시 유효 정보에 따른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 단말(100)로부터 상기 기업정보 1과 관련된 쿼리 수신시 상기 임시 유효 정보에 따른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상기 기업정보 1을 제공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기업정보 1의 인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기업정보에 대한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의 노드에서 상기 기업정보를 인증하는 기관 관련 승인자 노드에 인증 신속 처리에 따른 보상을 지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기관의 신속한 인증 처리에 따른 인증된 기업정보의 신속한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인증 중인 기업정보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공유 원장 검색시에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기업정보 검색에 대한 편의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 등록시 상기 기업정보의 열람 권한을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에 속한 각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에 설정된 열람 권한을 기초로 상기 기업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 여부를 판단하고, 열람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기업정보를 자신이 속한 노드(10)에 대응되는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람 권한이 일정 금액의 유료 결제시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유료 결제가 열람 권한으로 설정된 기업정보의 열람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 수신시 상기 보상 정보에 따른 자신이 속한 노드(10)의 전자 지갑에 미리 저장된 보유 금액을 확인하고, 상기 보유 금액 중 상기 열람 권한의 획득에 필요한 필요 금액을 일부 차감한 후 상기 기업정보를 열람하여 자신이 속한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기업정보의 열람에 따른 상기 유료 결제에 상응하는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업정보의 등록 주체인 노드(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업정보를 등록한 등록 노드(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기업정보를 열람한 열람 노드(10)로부터 보상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에 대응되는 등록 노드(10)에 미리 설정된 전자 지갑에 상기 보상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상호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이 블록체인의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각각에 구성되며,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기업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우선, 특정 노드(10a)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공유 대상인 기업정보의 승인자에 해당되는 승인자 정보를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시켜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S1).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a)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승인자에 대응되는 승인자 노드(10b)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기업정보의 인증 요청을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
또한, 상기 승인자 노드(10b)의 어플리케이션부(11)가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유효성 인증시 상기 기업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S3).
또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10)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인증 성공시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할 수 있다(S4).
또한, 상기 특정 노드(10a) 및 승인자 노드(10b)의 어플리케이션부(11)가 상기 인증정보의 등록에 따른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S5).
본 발명은 기존의 비트코인, 이더리움, 이오스 등 블록체인 시스템과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으며, 기업정보를 블록체인에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적 혁신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기존의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각 노드는 익명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각 노드의 신원인증이 필수적이다.
둘째, 기존의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는 한 노드가 다른 노드에게 정보나 가치를 전송하는 일방적 트랜잭션을 기록하였으나, 본 시스템에서는 기업정보를 등록하는 노드와 그것을 인증하는 노드의 상호인증이 필수적이다. 그에 따라 본 시스템에서는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정보 안에 해당 정보를 인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노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 결과 본 시스템에서는 기존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았던 제 1 트랜잭션(정보 등록)과 제 2 트랜잭션(정보 인증) 등과 같은 추가적 개념이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는 한 노드가 다른 노드에게 정보나 가치를 전송해 버린 경우 취소가 불가능하지만, 본 시스템에서는 상호승인이 필요한 정보에 대해 최종 인증이 되기 전 단계에서는 중도 취소가 가능하다.
넷째, 기존의 블록체인 시스템과 달리 본 시스템에서는 긴급 처리가 필요한 경우 해당 트랜잭션을 우선 처리하되, 만약 문제가 생긴 경우 사후적으로 페널티를 부과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기존의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는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를 모든 참여자들이 열람할 수 있었으나, 본 시스템에서는 정보의 열람 가능 범위를 블록체인 정보 안에 포함하여 등록함으로써, 정당한 권한을 가진 노드만 관련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여섯째, 상술한 정보의 열람 권한 기능을 확장하여, 특정 정보를 열람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열람 비용을 지불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정보를 열람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블록 생성으로 획득한 보상 정보를 이 시스템 안에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노드 11: 어플리케이션부

Claims (10)

  1. 신원이 인증된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상호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신원이 인증된 상기 단말이 블록체인의 노드로서 동작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각각에 구성되며,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기업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블록체인 기반 기업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특정 노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부가 공유 대상인 기업정보의 승인자에 해당되는 승인자 정보를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시켜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승인자에 대응되는 승인자 노드로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기업정보의 인증 요청을 위한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승인자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유효성 인증시 상기 기업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인증 성공시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특정 노드 및 승인자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특정 노드의 기업정보 제공과 승인자의 대응 인증정보의 등록에 따른 상호인증을 통해 유효한 기업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한 것에 대한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미리 설정된 임시 저장 공간에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의 등록 관련 트랜잭션을 임시 유효 정보로 저장하면서 블록체인에 속한 모든 노드들 각각의 미리 설정된 임시 저장 공간으로 상기 임시 유효 정보에 해당하는 기업정보를 저장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공유 원장 검색시 상기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된 상기 임시 유효 정보에 해당하는 기업정보도 함께 검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임시 유효 정보에 해당하는 기업정보에는 승인자의 인증에 실패할 경우 페널티를 받겠다는 계약 조건이 설정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기업정보 등록시 상기 기업정보의 열람 권한을 상기 기업정보에 포함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드 노드 중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의 생성 권한이 있는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타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블록을 공유 원장의 이전 블록에 연결하여 공유 원장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되어 누적 저장된 보상 정보를 기초로 일정 지분 이상을 가진 노드들의 지분율을 연산한 후, 각 노드별로 보유한 지분율에 비례하여 블록 생성자로 선정될 확률이 정해지는 방식에 따라 랜덤하게 선택된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을 생성하여 타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드 노드 중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작업증명이 이루어진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기업정보 또는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타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업증명이 이루어진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보상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계약 조건이 존재하는 기업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승인자 노드에 의해 유효성이 인증된 상기 기업정보의 상기 계약 조건을 만족하는 트랜잭션 발생시 상기 계약 조건의 조건 이행 주체에 해당하는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계약 조건의 이행에 따른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인증 성공시 미리 설정된 공유 원장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업정보에 설정된 계약 조건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계약 조건 중 어느 하나의 만족시마다 만족 조건의 조건 이행 주체에 해당하는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상기 계약 조건의 이행에 따른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노드의 어플리케이션부가 신속 처리가 필요한 기업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특정 노드의 전자 지갑에 상기 보상 정보에 따라 누적 저장된 보유 금액 중 미리 설정된 설정 금액을 차감하고, 상기 설정 금액을 상기 기업정보의 신속처리시 상기 승인자 노드의 승인자에게 지급 약속하는 유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승인자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10. 삭제
KR1020180094551A 2018-08-13 2018-08-13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KR10192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51A KR101929482B1 (ko) 2018-08-13 2018-08-13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US16/275,121 US10558825B1 (en) 2018-08-13 2019-02-13 Method for sharing business information based on mutual confirmation block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51A KR101929482B1 (ko) 2018-08-13 2018-08-13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482B1 true KR101929482B1 (ko) 2019-03-12

Family

ID=6580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551A KR101929482B1 (ko) 2018-08-13 2018-08-13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58825B1 (ko)
KR (1) KR10192948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0037A (zh) * 2019-04-24 2019-07-26 上海能链众合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分布式数字身份系统
KR102017675B1 (ko) 2019-04-26 2019-09-04 에스지에이블록체인 주식회사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KR102060446B1 (ko) * 2019-05-16 2019-12-30 주식회사 모파스 블록체인 기반 보상형 보안 시스템
CN110674222A (zh) * 2019-10-08 2020-01-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共享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139549B1 (ko) 2019-04-26 2020-08-11 에스지에이비엘씨 주식회사 피어의 클러스터에 의한 분할 연산 기반 블록체인망 시스템 및 분할 연산 방법
KR20200117473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이상행위 탐지 장치 및 방법
WO2020253225A1 (zh) * 2019-06-18 2020-12-2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企业认证、认证追溯方法、装置及设备
US10904252B1 (en) 2020-01-17 2021-01-26 FNS Value Co., Ltd. Multi-node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block chain
WO2021197485A1 (zh) * 2020-04-02 2021-10-07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系统、设备、存储介质及程序
KR20220008064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윈솔텍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5059B2 (en) * 2018-08-03 2023-03-14 Sap Se Software system utilizing blockchain for transactions
US11409734B2 (en) * 2018-10-29 2022-08-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lockchai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191803B1 (ko) * 2019-05-31 2020-12-16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블록체인에 의한 행위정보 증명 방법
KR20210075654A (ko) * 2019-12-13 2021-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록체인 생성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1597590B (zh) * 2020-05-12 2023-08-25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完整性快速检验方法
US11265169B1 (en) 2020-10-30 2022-03-01 Cch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confidential information via a blockcha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639A (ko) * 2003-05-28 2004-12-08 김홍기 기업정보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20170078452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파일에 대한 공증 및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70123766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KR20180007395A (ko) 2016-07-12 2018-01-23 주식회사 더존다스 기업 기초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7302A1 (en) * 2000-03-06 2002-01-17 Work Bruce V.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vendor compliance with purchaser guidelines and related method for the commercial distribu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implementing same
WO2015106285A1 (en) * 2014-01-13 2015-07-16 Yago Yaron Edan Verification method
US20160217532A1 (en) * 2015-01-23 2016-07-28 Sure, Inc. Securing Claim Data via Block-Chains for a Peer to Peer Platform
US11232415B2 (en) * 2015-05-28 2022-01-25 OX Labs Inc. Method for cryptographically managing title transactions
US20170330250A1 (en) * 2015-06-02 2017-11-16 Elwha, Llc Machine/Article/Composition/Process State(s) for Tracking Philanthropic And/or Other Efforts
US10114970B2 (en) * 2015-06-02 2018-10-30 ALTR Solutions, Inc. Immutable logging of access requests to distributed file systems
KR101680540B1 (ko) * 2015-06-18 2016-11-30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US20170132625A1 (en) * 2015-11-05 2017-05-1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 blockchain in a transaction processing network
US20170134280A1 (en) * 2015-11-11 2017-05-1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on of hashed data via acceptance frames
WO2017198291A1 (en) * 2016-05-18 2017-11-23 Rwe International Se Peer-to-peer network and node of a peer-to-peer network
US20170344988A1 (en) * 2016-05-24 2017-11-30 Ubs Ag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blockchain-based validation
US10713731B2 (en) * 2016-07-22 2020-07-14 Nec Corporation Method for secure ledger distribution and computer system using secur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10067810B2 (en) * 2016-07-28 2018-09-04 Cisco Technology, Inc. Performing transactions between application containers
KR101849917B1 (ko) * 2016-10-13 2018-05-3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20180121918A1 (en) * 2016-11-03 2018-05-03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net settlement by use of cryptographic promissory notes issued on a blockchain
US20180218176A1 (en) * 2017-01-30 2018-08-02 SALT Lending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n asset based automated secure agreement
US20180268418A1 (en) * 2017-03-16 2018-09-20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Warranty enriched transactions
US10521604B2 (en) * 2017-03-17 2019-12-31 Labyrinth Research Llc Unified control of privacy-impacting devices
US10102526B1 (en) * 2017-03-31 2018-10-16 Vijay K. Madisetti Method and system for blockchain-based combined identity, ownership, integrity and custody management
US10243743B1 (en) * 2017-09-13 2019-03-26 Vijay K. Madisetti Tokens or crypto currency using smart contracts and blockchains
US20190080402A1 (en) * 2017-09-11 2019-03-14 Templum,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gulatory-compliant token
WO2019100063A1 (en) * 2017-11-20 2019-05-23 Moshe Shadmon A system and apparatus to manage data using a peer-to-peer network and the blockchain
US20190034917A1 (en) * 2017-12-29 2019-01-31 Intel Corporation Tracking an Electronic Wallet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A3089009A1 (en) * 2018-01-19 2019-07-25 Nasdaq,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gital content cer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ing cryptography and blockchain
US10796022B2 (en) * 2018-05-16 2020-10-06 Ebay Inc. Weighted source data secured on blockchains
US20190050854A1 (en) * 2018-09-28 2019-02-14 Intel Corporation Blockchain-based digital data excha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639A (ko) * 2003-05-28 2004-12-08 김홍기 기업정보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20170078452A (ko) * 2015-12-29 2017-07-07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파일에 대한 공증 및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70123766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KR20180007395A (ko) 2016-07-12 2018-01-23 주식회사 더존다스 기업 기초정보 공유방법 및 공유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473A (ko) * 2019-04-04 2020-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이상행위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235566B1 (ko) * 2019-04-04 2021-04-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이상행위 탐지 장치 및 방법
CN110060037B (zh) * 2019-04-24 2020-12-08 上海能链众合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分布式数字身份系统
CN110060037A (zh) * 2019-04-24 2019-07-26 上海能链众合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分布式数字身份系统
KR102139549B1 (ko) 2019-04-26 2020-08-11 에스지에이비엘씨 주식회사 피어의 클러스터에 의한 분할 연산 기반 블록체인망 시스템 및 분할 연산 방법
KR102017675B1 (ko) 2019-04-26 2019-09-04 에스지에이블록체인 주식회사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KR102060446B1 (ko) * 2019-05-16 2019-12-30 주식회사 모파스 블록체인 기반 보상형 보안 시스템
WO2020253225A1 (zh) * 2019-06-18 2020-12-24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企业认证、认证追溯方法、装置及设备
CN110674222A (zh) * 2019-10-08 2020-01-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共享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674222B (zh) * 2019-10-08 2021-08-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共享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0904252B1 (en) 2020-01-17 2021-01-26 FNS Value Co., Ltd. Multi-node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block chain
US11075909B1 (en) 2020-01-17 2021-07-27 FNS Value Co., Ltd. Multi-node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block chain
WO2021197485A1 (zh) * 2020-04-02 2021-10-07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系统、设备、存储介质及程序
KR20220008064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윈솔텍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KR102441120B1 (ko) 2020-07-13 2022-09-08 주식회사 윈솔텍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58825B1 (en) 2020-02-11
US20200050797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482B1 (ko)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TWI723658B (zh) 基於區塊鏈中智慧合約保護交易活動敏感資料的方法和設備
Niranjanamurthy et al. Analysis of Blockchain technology: pros, cons and SWOT
US11210661B2 (en)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gateway service using UTXO-based protocol and server using same
AU2022200068B2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ling session transactions
CN111034114B (zh) 具有记录安全性的区块链架构
US20200145373A1 (en) System for blockchain based domain name and ip number register
US11652605B2 (en) Advanced non-fungible token blockchain architecture
US20200051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rbitrating a blockchain transaction
CN101937528B (zh) 实施供应链可见性策略的系统和方法
CN109478298A (zh) 区块链实现的方法和系统
WO20192040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ed content distribution
KR20220093198A (ko) 전용 및 개방형 블록체인을 이용한 거래의 수행
US202001180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rbitrating a blockchain transaction
Zouina et al. Towards a distributed token based payment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US20230298001A1 (en) Non-fungible token (nft) purchase and transfer system
US20220393871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blockchain transactions
KR102320550B1 (ko) Did 기반 인터체인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교환/거래 방법
US202300429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eer-to-peer transmission of content in distributed ledger neworks
US20230283466A1 (en) Content protection system
CN111274612B (zh) 从业人员信任验证方法及系统、见证服务系统及存储介质
Masseport et al. Proof of usage: User-centric consensus for data provision and exchange
Li et al. A Decentrlized Trading Model Based on Public Blockchain with Regulatable Bi-Tierred Identities
McCorry Applications of the Blockchain using Cryptography
Chen et al. TeeSwap: Private Data Exchange using Smart Contract and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