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120B1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120B1
KR102441120B1 KR1020200086166A KR20200086166A KR102441120B1 KR 102441120 B1 KR102441120 B1 KR 102441120B1 KR 1020200086166 A KR1020200086166 A KR 1020200086166A KR 20200086166 A KR20200086166 A KR 20200086166A KR 102441120 B1 KR102441120 B1 KR 10244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dit
block chain
school
participa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064A (ko
Inventor
안형모
안명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솔텍
Priority to KR102020008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1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은, 참여학교의 학사 및 학생 정보를 관리하고 참여학교별 학사관리를 수행하는 학사관리시스템; 상기 학점관리시스템에서 학점교류서비스의 블록정보 관리에 대한 참여 및 사용을 위해 참여가 승인된 노드로써, 각 참여학교별 학사관리시스템과 연결되어 변경되는 학점관리 블록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연결하여 저장하며 관리하는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상기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연결되며, 학점교류 성적등록 정보 및 학점교류 성적조회 정보를 개인 비밀키 및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송수신하고 관리하는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전자지갑;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연결되며, 학점교류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참여학교들과의 학점 교류업무를 수행하는 학점교류서버 및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와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들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로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는 각각 학점 관련 블록정보가 동일하게 분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redit exchang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본 발명은 학생이 타 학교 강의를 수강하고, 수강한 결과 성적을 주고받는 학점교류 방법에 있어서, 학점교류 성적을 보내는 학교와 받는 학교의 시스템상에서, 성적의 위 변조 방지에 대해 높은 신뢰도가 보장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긴다. 온라인에서 거래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는 것이다. 거래 내역을 결정하는 주체는 사용자다. 이 블록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된다. 참여자들은 해당 거래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한다.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면서 송금이 이루어진다. 신용 기반이 아니며,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구성, 제3자가 거래를 보증하지 않고도 거래 당사자끼리 가치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이 블록체인의 특징이다.
종래의 학점교류 프로세스 또는 시스템에서는 학점교류 강의개설 학교에서 강의를 개설하고, 타 학교 학생이 수강을 신청하고 수강을 마치면, 수강 결과 성적을 학생이 소속된 학교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전송한다. 성적을 전송받은 학생이 소속된 학교 담당자가 성적을 학사정보시스템에 입력하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여기서, 각 학교에서 수신한 성적정보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전송과정에서 위변조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다시 한번 보낸 대학에 확인을 하는 과정이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학교 간 학점교류는 신뢰성 때문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공문을 통해 성적을 보내고 받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것은 학교 간 학점교류 부분에 있어 불편함을 초래하여 학점교류 활성화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각 학교 담당자가 해당 학교 학사시스템에 성적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수 또는 고의적으로 성적을 변조되어 입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과정에서 성적 위변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학교 담당자의 실수 또는 고의로 성적이 변조되는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성을 보장하는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 기술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56703호에 게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56703호(성적데이터 자동입력 방법)
본 발명은 종래 학점 교류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점 교류에 따른 성적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분산저장 관리하여 성적의 위변조 방지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은, 참여학교의 학사 및 학생 정보를 관리하고 참여학교별 학사관리를 수행하는 학사관리시스템; 상기 학점관리시스템에서 학점교류서비스의 블록정보 관리에 대한 참여 및 사용을 위해 참여가 승인된 노드로써, 각 참여학교별 학사관리시스템과 연결되어 변경되는 학점관리 블록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연결하여 저장하며 관리하는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상기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연결되며, 학점교류 성적등록 정보 및 학점교류 성적조회 정보를 개인 비밀키 및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송수신하고 관리하는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전자지갑;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연결되며, 학점교류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참여학교들과의 학점 교류업무를 수행하는 학점교류서버 및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와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들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로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는 각각 학점 관련 블록정보가 동일하게 분산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학점교류에 참여하는 각 참여학교의 정보를 등록하는 참여학교 정보 등록부; 상기 학점관리 전자지갑의 공개키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전자지갑 생성부; 참여학교 별로 학점교류 운영담당자를 등록하는 운영담당자 등록부; 학점교류를 위한 수강을 신청하는 학생의 공개키 및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학생 회원가입부; 상기 참여학교에서 학점교류에 대한 교류강의를 개설하고 관리하는 교류강의 개설부; 및 개설된 교류강의에 대하여 학점교류에 참여하는 학생의 수강신청 및 수강성적을 관리하는 학생수강신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는 학점교류서비스의 블록정보관리에 대한 참여 및 사용을 위해 참여가 승인된 노드를 의미하며, 통신용단말기, 태블릿, PC, 데스크톱, 모바일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는 블록 정보에 대한 해쉬값을 추출하는 해쉬값추출부, 상기 해쉬값을 포함한 정보를 접속된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트랜잭션으로 등록하는 블록체인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의 학점교류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은, 참여학교의 학사 및 학생 정보를 관리하고 참여학교별 학사관리를 수행하는 학사관리시스템; 상기 학점관리시스템에서 학점교류서비스의 블록정보 관리에 대한 참여 및 사용을 위해 참여가 승인된 노드로써, 각 참여학교별 학사관리시스템과 연결되어 변경되는 학점관리 블록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연결하여 저장하며 관리하는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상기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연결되며, 학점교류 성적등록 정보 및 학점교류 성적조회 정보를 개인 비밀키 및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송수신하고 관리하는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전자지갑;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연결되며, 학점교류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참여학교들과의 학점 교류 업무를 수행하는 학점교류서버 및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와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들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로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학점교류방법은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학점교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담긴 블록이 생성한 후,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전용 블록체인 노드를 통한 합의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블록이 생성이 되며 생성된 블록은 이전 블록들에 체인처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신규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추가하는 것은 전체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부터 합의 검증과정을 거쳐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ㅁ다.
또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학점교류서버를 통하여 참여학교 등록요청을 신청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에서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등록신청에 대응하여 신규 참여학교 정보를 포함한 합의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의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가 상기 합의블록의 해쉬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해쉬값이 상기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저장된 해쉬값과 일치하는지 유효성 검증을 하는 단계;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고, 합의블록 패킷으로 상기 학점교류서버 및 다른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수신된 모든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을 확인하여 등록 여부 판단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 검증 및 유효한 합의서명으로 확인이 된 경우, 상기 학점교류서버를 통하여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포함한 신규 참여학교에 대해 학점교류 참여학교 등록부에 등록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포함한 신규 참여학교에 대해 학점교류 참여학교 등록부에 등록을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참여학교 전자지갑 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신규 참여학교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와 매칭이 되는 비밀키를 가진 신규 학점관리 전자지갑을 생성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가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포함하는 학교정보를 학교블록으로 생성을 하여 전체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가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이 된 후,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관리자가 상기 학점교류서버에 운영담당자 회원가입을 통하여 회원가입 신청을 하거나,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운영담당자가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참여학교 운영담당자 등록부를 통해, 신규 참여학교 운영담당자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점교류방법.
또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상기 참여학교가 신규 강의개설을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교류강의 개설부로 개설학교, 개설년도, 개설학기, 개설과목, 개설분반, 개설학점, 담당교수명, 강의시간, 강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학점교류 개설 강의정보와 함께 개설된 강의에 대한 강의정보를 등록요청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상기 등록요청된 강의에 대해 강의블록을 생성한 후,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개설학교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상기 생성된 강의블록에 대해 검증 및 합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생성된 강의블록을 강의 블록체인에 등록되고, 전체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생성된 강의블록에 대해 검증 및 합의 과정은,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신규 강의정보 등록에 대응하여 신규 강의 정보를 포함한 합의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를 통하여 신규 강의개설을 등록한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하는 단계;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는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고, 합의블록 패킷으로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수신된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서명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된 강의블록을 상기 강의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는 과정은, 상기 신규 강의개설을 요청한 소속대학 학점관리 블록체인 주소를 루트(Genesis) 블록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새로 개설된 강의블록에 대해 추가로 블록을 형성하여 강의 블록체인 간의 체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 학점교류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학생을 등록하는 방법은, 학점교류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의 단말기 또는 상기 학생이 소속된 학사관리시스템으로 상기 학점교류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상기 회원가입에 대해 상기 학생이 소속된 학사관리시스템을 통하여 본교 학생 인증을 거친 후, 회원가입 승인을 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회원가입이 승인된 학생에 대응하는 수강신청용 공개키와 개인 비밀키를 가진 학생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회원가입이 승인된 학생정보에 대해 학생 검증용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를 통해 검증과 합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검증과 합의 과정을 마친 학생정보를 학생 블록체인으로 등록을 하고, 전체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하여 교류 수강을 신청하고 승인하는 방법은, 상기 학점교류서버에서 상기 교류 수강에 대한 수강신청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가 상기 수강신청에 대해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로 수강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블록체인노드와 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블록체인노드의 합의 검증을 통하여 상기 수강신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승인된 수강신청에 대해 수강신청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고 전체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개설 참여학교에서 a학생이 수강한 성적을 학점교류 성적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사시스템이 상기 학점교류서버에 저장된 각 참여학교 전자지갑 정보를 조회하여 현재 유효한 각 참여학교의 공개키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취득한 각 참여학교 공개키로 a학생이 수강한 수강성적을 암호화하여, 강의 수강성적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암호화된 수강성적을 포함하는 합의블록을 생성하여,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하는 단계;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는 상기 암호화된 합의블록을 각각의 개인 비밀키로 복호화하고, a학생의 강의 수강성적에 대해 이의가 없는 경우,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여, 각각 합의블록 패킷을 생성을 하여,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서는 수신된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상기 강의 수강성적블록을 상기 취득된 각 참여학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전체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a학생이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a학생이 수강한 성적을 학점교류 성적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교류시스템에서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학생수강신청부에 저장된 a학생의 수강신청 데이터 정보로부터 수강성적1을 조회하여 획득하는 단계; 상기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의 블록체인노드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분산 저장된 a학생의 강의성적 블록을 복호화하여 수강성적1-1을 획득하는 단계;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수강성적1과 수강성적1-1이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이 완료된 경우, 경우, 상기 조회된 수강성적1을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의 a학생 성적에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학점 교류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점 교류에 따른 성적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합의 검증과정을 포함하여 분산저장 관리하여 성적의 위변조 방지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학점교류에 따른 이벤트에 따라 서로 이해관계가 존재하는 기관에 대해서 최소한의 합의 검증 과정을 채택함으로써, 일부분의 노드만으로 블록정보를 검증하여도 정보의 유효성이 보증될 수 있으며, 모든 노드가 검증을 하는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에 비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및 지연을 감소하고, 서명에 따른 프로세스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 블록체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교블록체인, 학생블록체인, 강의블록체인, 수강신청블록체인 및 수강성적 블록체인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 학사시스템(4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에 의해 수강성적을 학점교류 성적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 성적데이터의 수강성적 블록체인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수강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에 의해 수강학생의 성적을 조회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학점교류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은, 참여학교의 학사 및 학생 정보를 관리하고 참여학교별 학사관리 시스템(410, 450…, 상기 학점교류 시스템에서 학점교류서비스의 블록정보 관리에 대한 참여 및 사용을 위해 참여가 승인된 노드로써, 각 참여학교별 학사관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변경되는 학점관리 블록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연결하여 저장하며 관리하는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41~48),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연결되며, 학점교류 성적등록 정보 및 학점교류 성적조회 정보를 개인 비밀키 및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송수신하고 관리하는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전자지갑(412, 452…),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연결되며, 학점교류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참여학교들과의 학점 교류 업무를 수행하는 학점교류서버(300) 및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와 참여학교 블록체인 노드(41~48)들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로 연결된 블록체인 학점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학점교류서버(300)는 학점교류 운영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학점교류서버(300)는 수강학생 전자지갑 공개키, 각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의 공개키가 저장되며, 학점교류와 관련된 업무 프로세스가 저장되고, 상기 업무 프로세서에 따라 학점교류 업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참여학교별 학사관리 시스템(410)은 참여학교에서 교사(교수) 관리를 포함한 교무 및 학습 콘텐츠 관리, 성적관리를 포함한 학사업무, 학생관리 사항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블록체인노드는 학점교류서비스의 블록정보 관리에 대한 승인, 참여 및 사용을 위한 리더 노드이며, 학점교류서버 또는 상기 학점교류서버와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용단말기, 태블릿, PC, 데스크톱, 모바일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41~48)는 학점교류서비스의 블록정보 관리에 대한 참여 및 사용을 위해 참여가 승인된 노드를 의미하며, 학사관리시스템의 단말기 또는 상기 학사관리시스템과 통신으로 연결된 통신용단말기, 태블릿, PC, 데스크톱, 모바일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는 블록 정보에 대한 해쉬값을 추출하는 해쉬값추출부, 상기 해쉬값을 포함한 정보를 접속된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트랜잭션으로 등록하는 블록체인 등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는 참여학교 수만큼 다수 개로 구성되며,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와 함께 암호화를 통해 학점교류 성적 데이터를 분산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은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와 사전에 승인된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각각 학점 관련 블록정보가 분산 저장되며, 학점 관련 블록정보의 생성, 사용,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은 학점교류 관련 데이터가 담긴 블록이 생성한 후, 상기 학점교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추가되거나 변경될 때마다 전용 블록체인 노드를 통한 합의(검증)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블록이 생성이 된다. 상기 생성된 블록은 이전 블록들과 체인처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에서는 블록체인 외부에서 블록체인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나 승인된 학점관리 블록체인 노드 중 하나를 통하여 참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르면, 전용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정보를 검증하고 동일한 원장인 블록체인 전자지갑을 저장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서버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서버(300)는 학점교류에 참여하는 각 참여학교 정보를 등록하는 참여학교 정보 등록부(310), 참여학교별로 부여하는 학점관리 전자지갑의 고유 주소 역할을 하는 공개키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전자지갑 생성부(320), 각 참여학교 별로 학점교류 운영담당자를 등록하는 운영담당자 등록부(330), 학점교류를 위한 수강을 신청하는 학생의 공개키 및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학생 회원가입부(340), 참여학교에서 학점교류에 대한 교류강의를 개설하고 관리하는 교류강의 개설부(350) 및 개설된 교류강의에 대하여 학점교류에 참여하는 학생의 수강신청 및 수강성적을 관리하는 학생수강신청부(3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전체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부터 합의 검증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승인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학점교류를 원하는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학점교류서버(300)를 통하여 참여학교 등록요청을 신청하면, 학점교류서버 운영담당자가 학점교류서버(300)를 통하여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등록신청에 대응하여 신규 참여학교 정보를 포함한 합의블록을 생성하여 전용 블록체인노드에 의한 블록체인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각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41~48)로 전송을 한다.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각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는 상기 합의블록의 해쉬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해쉬값이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저장된 해쉬값과 일치하는지 유효성 검증을 한 다음,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고, 합의블록 패킷으로 학점교류서버(300) 및 다른 학점관리 블록체인 노드(41 ~ 48)로 전송한다. 학점교류서버(300)에서는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수신된 모든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을 확인하여 등록 여부 판단을 하고, 유효성 검증 및 유효한 합의서명으로 확인이 된 경우, 상기 학점교류서버(300)를 통하여 신규참여학교의 노드를 포함한 신규 참여학교에 대해 학점교류 참여학교 등록부(310)에 등록을 함으로써, 승인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참여학교 전자지갑 생성부(320)를 통하여 신규 참여학교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와 매칭이 되는 비밀키를 가진 신규 학점관리 전자지갑을 생성을 하고,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가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포함하는 학교정보를 학교블록으로 생성을 하여 모든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포함하는 블록체인이 형성될 수 있다.
신규로 승인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가 등록이 되면, 신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관리자가 학점교류서버(300)에 운영담당자 회원가입을 통하여 회원가입 신청을 하거나, 학점교류서버(300)의 운영담당자가 참여학교 운영담당자 등록부(300)를 통해, 신규 참여학교 운영담당자를 등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참여학교에서 학점교류서버(300)의 교류강의 개설부(350)를 통해 학점교류 강의를 개설하고 등록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시스템에서 학점교류에 대해 신규 강의개설 과정은 다음과 같다.
참여학교에서 새로운 교류강의 개설 시에 각 참여학교 운영담당자는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학점교류서버(300)의 교류강의 개설부(350)를 통해 개설학교, 개설년도, 개설학기, 개설과목, 개설분반, 개설학점, 담당교수명, 강의시간, 강의실 기본 정보 및 기타 필요한 추가정보를 포함하는 학점교류 개설 강의정보와 함께 개설된 강의에 대한 강의정보를 등록요청한다.
상기 강의정보가 등록요청이 되면, 학점교류서버(300)는 상기 등록요청된 강의에 대해 강의 블록을 생성한 후,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개설학교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검증과 합의 과정을 수행한다. 검증과 합의 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강의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전체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에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새로운 강의정보 등록에 대한 검증 및 합의 과정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학점교류서버 운영담당자가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신규 강의정보 등록에 대응하여 신규 강의 정보를 포함한 합의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신규 강의개설을 등록 요청한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한다.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신규 강의개설을 등록한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는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고, 합의블록 패킷으로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한다.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수신된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을 확인하여, 유효성 검증 및 유효한 합의서명으로 확인이 된 경우, 상기 학점교류서버(300)를 통하여 신규 강의개설에 대해 강의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고 모든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전파한다. 이에 따라 모든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는 신규 강의개설에 대해 강의 블록체인 블록정보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저장 관리됨으로써, 등록이 완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 블록체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신규 개설강의 정보에 대해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개설을 요청한 소속대학 학점관리 블록체인(110) 주소를 루트(Genesis) 블록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새로 개설된 강의블록에 대해 추가로 블록을 형성하여 강의 블록체인 간의 체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등록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강의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는 과정은 강의정보의 등록에 대해 서로 이해관계가 존재하는 기관에 대해서만 검증하게 함으로써, 일부분의 노드만으로 블록정보를 검증하여도 정보의 유효성이 보증될 수 있으며, 모든 노드가 검증을 하는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에 비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및 지연을 감소하고, 서명에 따른 프로세스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학점교류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은 개인단말기 또는 학사관리시스템으로 학점교류서버(300)에 접속을 하여 학점교류서버(300)의 회원가입부(400)에 회원가입을 하고 본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학점교류서버(300)는 상기 회원가입에 대해 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을 통하여 본교 학생 인증을 거친 후, 수강신청 학생 회원 가입부(340)에서 회원가입 승인을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학점교류서버(300)는 상기 회원가입이 승인된 학생에 대응하는 수강신청용 공개키와 개인 비밀키를 가진 학생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원으로 가입된 학생의 공개키는 각 대학의 수강신청 학번으로 대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학점교류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의 학생정보에 대해 학생 검증용 블록을 생성한 후, 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를 통해 검증과 합의 과정을 거친 후, 학점교류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의 학생정보를 학생 블록체인으로 등록을 하고, 전체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학점교류를 참여하는 학생의 학생정보에 대해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점교류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이 소속된 참여대학 학점관리 블록체인(110) 주소를 루트(Genesis) 블록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학점교류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정보에 대해 추가로 블록을 형성하여 강의 블록체인 간의 체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등록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강의를 개설한 타 학교에서 수강하는 학생에 대해 매 학기마다 강의를 개설한 학교에서 학번을 생성할 필요가 없이, 학생교류에 참여하는 학생의 수강신청 전자지갑 주소 즉 공개키를 수강신청 학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수강신청 학번을 각 학교별로 매 학기 수강할 때마다 생성하는 것에 비해 보다 간편하면서 신뢰성을 가지고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류 수강을 원하는 학생은 학점교류서버(300)를 통해 개설된 교류강의를 조회하고, 학생 수강신청부(360)를 통해 수강하고자 하는 강의를 신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학생이 학점교류서버(300)의 수강신청부(360)를 통해 교류수강하고자 하는 강의를 신청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학점교류서버(300)의 수강신청부(360)에 교류수강에 대한 수강신청 정보가 입력되면,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블록체인노드와 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블록체인노드의 합의 검증을 통하여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에서의 수강을 승인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수강신청 등록에 대해 인하는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학점교류시스템의 합의 검증 과정이 포함된다.
먼저,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수강신청 학생의 수강 신청정보를 포함한 합의블록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500)로 신청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강의 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한다.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 및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의 운영담당자는 상기 수신된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고, 합의블록 패킷으로 학점교류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각각 전송을 한다. 학점교류서버(300)에서는 수신된 각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을 확인한 다음, 이상이 없으면, 수강신청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고, 모든 참여학교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강신청에 대해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는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가 개설된 참여대학의 강의 블록체인을 루트(Genesis) 블록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강의 블록체인과 수강신청 블록체인 간의 체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등록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합의 검증 과정에 대해 완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합의 검증 루트를 적용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 및 지연을 감소하고, 서명에 따른 프로세스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교블록체인, 학생블록체인, 강의블록체인, 수강신청블록체인 및 수강성적블록체인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교블록체인, 학생블록체인, 강의블록체인, 수강신청 블록체인 및 수강성적 블록체인은 블록헤더에 이전 블록의 정보(Previous Block Hash)가 포함되어 이전 블록과 현재 블록이 연결되어 블록의 트랜잭션(transaction)에 저장된 데이터가 체인 형태로 엮인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도 1의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 학사시스템(4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사관리시스템에 의해 수강성적을 학점교류 성적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의 참여학교는 강의개설학교이며,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 학사시스템(410)에서 A 강의를 수강한 a학생에 대한 A강의 수강성적을 등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강의개설학교의 운영담당자는 학사시스템을 통하여 학점교류서버(300)에 접속하여 저장된 각 참여학교 전자지갑(공개키) 정보를 조회하여 현재 유효한 각 참여학교의 공개키를 획득한다(1110 단계). 그리고 강의개설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서 획득한 각 참여학교 공개키로 a학생이 수강한 A강의 수강성적을 암호화하여, 블록체인 전자지갑 API를 통해, A강의 수강성적 블록을 생성한다(1120 단계).
다음은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 수강학생이 소속된 a학생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및 강의 개설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를 통하여 해당 수강성적에 대해 블록 검증과 합의를 통해 수강성적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강의개설학교의 운영담당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상기 암호화된 수강성적을 포함하는 합의블록을 생성을 하여,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한다.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는 상기 암호화된 합의블록을 각각의 개인 비밀키로 복호화하고, 학생의 수강성적에 대해 이의가 없는 경우,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여, 각각 합의블록 패킷을 생성을 한다.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생성된 합의블록 패킷을 다시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한다. 강의개설 참여개설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서는 수신된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1130 단계).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에 대한 검증에서 유효한 블록으로 확인이 되면(1140 단계), 상기 수강성적을 상기 획득된 각 참여학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모든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41~48)에 전송하여 분산 저장 등록을 한다(1150 단계).
1140단계에서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이 되면, 해당 블록은 삭제처리를 수행한다(1145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강성적에 대해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는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가 개설된 참여대학의 강의 블록체인을 루트(Genesis) 블록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강의 블록체인(150)과 수강성적 블록체인(152) 간의 체인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등록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점교류 수강성적 블록체인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록헤드에는 Block Hash, Preivieos Block Hash, Merkle Root hash 및 Timestamp 정보를 포함하고, 블록body에는 강의를 개설한 학교(From학교), 학생의 소속학교(To학교), 년도, 학기, 과목번호, 분반번호, 수강학점, 수강학생의 학번, 성명, 주민번호, 성적점수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 의해 수강학생의 성적을 조회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학점교류서버(30)의 학생수강신청부(360)에 저장된 a학생의 수강신청 데이터 정보로부터 수강성적1을 조회하여 획득한다(2110 단계). 또한, 동시에 2110단계에서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의 블록체인 전자지갑 API(452)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분산 저장된 a학생이 수강한 강의에 대한 강의성적 블록(1520)을 복호하여 a학생의 수강성적1-1을 획득한다.
다음, 2120단계에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학점교류서버(30)에서 획득한 수강성적1과 상기 학점관리 블록체인으로 분산 저장된 a학생의 강의성적 데이터 블록의 정보가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2120단계에서 정보가 일치하여 검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조회된 성적을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의 a학생 성적에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2130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학사관리시스템에 의해 수강학생의 성적을 조회하는 과정에서 학점교류서버(300)의 학생수강신청부(360)에 저장된 수강학생의 수강신청 데이터의 수강성적과 블록체인에 분산 저장된 수강성적블록을 이중으로 검증을 하여 정보의 불법해킹으로 인한 변조를 방지하고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학사관리시스템에 의해 수강신청을 하고 수강을 마친 학생은 학점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본인의 수강성적을 조회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강 마친 학생은 도 6의 과정을 거쳐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 학사시스템에서 강의를 수강한 학생에 대해, 학점관리서버(300)의 전용 블록체인노드 및 각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수강성적이 분산 등록 저장된다.
수강성적 조회를 원하는 학생이 외부의 단말기로 학점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로그인 과정을 거쳐서 수강성적 정보를 요청하면, 학점관리서버(300)에서는 요청한 학생의 수강성적정보를 전자서명과 함께 요청한 학생의 학생 수강신청 전자지갑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접속된 단말기로 송신한다. 수강성적정보를 수신한 단말기에서는 수강신청 전자지갑 개인 비밀키로 상기 성적정보를 복호화하여 성적을 조회하고, 출력하여 수강 성적정보로 문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학사관리시스템에 의해 수강신청을 하고 수강을 마친 학생의 소속학교 담당자는 소속학교의 학사시스템에 연결된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를 통하여 수강성적 블록체인에서 해당하는 학생의 수강성적 블록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소속학교 담당자는 소속학교의 학사시스템을 통하여 학점교류서버(300)에 수강성적 정보를 요청하면, 학점관리서버(300)에서는 요청한 학생의 수강성적정보를 전자서명과 함께 요청한 학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요청된 학교의 학사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수강성적정보를 수신한 학사시스템에서는 단말기에서는 전자지갑 개인 비밀키로 상기 성적정보를 복호화하여 성적을 조회하고, 출력하여 수강 성적정보로 문서화할 수 있다.
41~48: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300: 학점교류서버
310: 참여학교 정보 등록부
320: 전자지갑 생성부
330: 운영담당자 등록부
340: 학생 회원가입부
350: 교류강의 개설부
360: 학생수강신청부
410, 450: 참여학교별 학사관리 시스템
412, 452: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전자지갑
500: 학점관리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의 학점교류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은, 참여학교의 학사 및 학생 정보를 관리하고 참여학교별 학사관리를 수행하는 학사관리시스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학점교류서비스의 블록정보 관리에 대한 참여 및 사용을 위해 참여가 승인된 노드로써, 각 참여학교별 학사관리시스템과 연결되어 변경되는 학점관리 블록정보를 블록체인으로 연결하여 저장하며 관리하는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상기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연결되며, 학점교류 성적등록 정보 및 학점교류 성적조회 정보를 개인 비밀키 및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송수신하고 관리하는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전자지갑;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연결되며, 학점교류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참여학교들과의 학점 교류 업무를 수행하는 학점교류서버 및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와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들과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로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학점교류방법은,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하는 방법;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상기 참여학교가 신규 강의개설을 위한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하는 방법;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 학점교류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학생을 등록하는 방법; 및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하여 교류 수강을 신청하고 승인하는 방법;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점교류 성적을 등록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하는 방법은,
    a-1)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학점교류서버를 통하여 참여학교 등록요청을 신청하는 단계;
    a-2) 상기 학점교류서버에서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등록신청에 대응하여 신규 참여학교 정보를 포함한 합의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a-3) 상기 합의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참여학교별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가 상기 합의블록의 해쉬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해쉬값이 상기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저장된 해쉬값과 일치하는지 유효성 검증을 하는 단계;
    a-5)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고, 합의블록 패킷으로 상기 학점교류서버 및 다른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a-6)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수신된 모든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을 확인하여 등록 여부 판단을 하는 단계; 및
    a-7) 상기, 유효성 검증 및 유효한 합의서명으로 확인이 된 경우, 상기 학점교류서버를 통하여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포함한 신규 참여학교에 대해 학점교류 참여학교 등록부에 등록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포함한 신규 참여학교에 대해 학점교류 참여학교 등록부에 등록을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참여학교 전자지갑 생성부를 통하여 상기 신규 참여학교에 대해 공개키와 상기 공개키와 매칭이 되는 비밀키를 가진 신규 학점관리 전자지갑을 생성을 하는 단계; 및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가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를 포함하는 학교정보를 학교블록으로 생성을 하여 전체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노드가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이 된 후,
    상기 신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관리자가 상기 학점교류서버에 운영담당자 회원가입을 통하여 회원가입 신청을 하거나,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운영담당자가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참여학교 운영담당자 등록부를 통해, 신규 참여학교 운영담당자를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서 상기 참여학교가 신규 강의개설을 위한 참여학교의 노드를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등록하는 방법은,
    b-1) 상기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교류강의 개설부로 개설학교, 개설년도, 개설학기, 개설과목, 개설분반, 개설학점, 담당교수명, 강의시간, 강의실 정보를 포함하는 학점교류 개설 강의정보와 함께 개설된 강의에 대한 강의정보를 등록요청하는 단계;
    b-2)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상기 등록요청된 강의에 대해 강의블록을 생성한 후,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개설학교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상기 생성된 강의블록에 대해 검증 및 합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b-3)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생성된 강의블록을 강의 블록체인에 등록되고, 전체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점교류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 생성된 강의블록에 대해 검증 및 합의 과정은,
    b-21)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신규 강의정보 등록에 대응하여 신규 강의 정보를 포함한 합의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를 통하여 신규 강의개설을 등록한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하는 단계;
    b-22)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참여학교 블록체인노드는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고, 합의블록 패킷으로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b-23)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수신된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서명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점교류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생성된 강의블록을 상기 강의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는 과정은,
    상기 신규 강의개설을 요청한 소속대학 학점관리 블록체인 주소를 루트(Genesis) 블록으로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새로 개설된 강의블록에 대해 추가로 블록을 형성하여 강의 블록체인 간의 체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점교류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에 학점교류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학생을 등록하는 방법은,
    c-1) 학점교류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의 단말기 또는 상기 학생이 소속된 학사관리시스템으로 상기 학점교류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는 단계;
    c-2)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상기 회원가입에 대해 상기 학생이 소속된 학사관리시스템을 통하여 본교 학생 인증을 거친 후, 회원가입 승인을 하는 단계;
    c-3) 상기 학점교류서버는 회원가입이 승인된 학생에 대응하는 수강신청용 공개키와 개인 비밀키를 가진 학생 전자지갑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c-4)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회원가입이 승인된 학생정보에 대해 학생 검증용 블록을 생성한 후, 상기 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를 통해 검증과 합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5)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검증과 합의 과정을 마친 학생정보를 학생 블록체인으로 등록을 하고, 전체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점교류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하여 교류 수강을 신청하고 승인하는 방법은,
    d-1) 상기 학점교류서버에서 상기 교류 수강에 대한 수강신청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학점교류서버가 상기 수강신청에 대해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로 수강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2)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강의를 개설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블록체인노드와 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교류 블록체인노드의 합의 검증을 통하여 상기 수강신청을 승인하는 단계; 및
    d-3) 상기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승인된 수강신청에 대해 수강신청 블록체인에 등록을 하고 전체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점교류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개설 참여학교에서 a학생이 수강한 성적을 학점교류 성적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e-1)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사시스템이 상기 학점교류서버에 저장된 각 참여학교 전자지갑 정보를 조회하여 현재 유효한 각 참여학교의 공개키를 취득하는 단계;
    e-2)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취득한 각 참여학교 공개키로 a학생이 수강한 수강성적을 암호화하여, 강의 수강성적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e-3)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서 상기 암호화된 수강성적을 포함하는 합의블록을 생성하여,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와 전용 블록체인노드로 전송을 하는 단계;
    e-4) 상기 합의블록을 수신한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 및 학점교류서버의 전용 블록체인노드에서는 상기 암호화된 합의블록을 각각의 개인 비밀키로 복호화하고, a학생의 강의 수강성적에 대해 이의가 없는 경우, 상기 합의블록에 서명을 하여, 각각 합의블록 패킷을 생성을 하여,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e-5) 상기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서는 수신된 합의블록 패킷에 대해 유효성 검증 및 합의서명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상기 강의 수강성적블록을 상기 취득된 각 참여학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전체 참여학교의 학점관리 블록체인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점교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학점교류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개설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a학생이 수강한 성적을 학점교류 성적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f-1) 상기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교류시스템에서 상기 학점교류서버의 학생수강신청부에 저장된 a학생의 수강신청 데이터 정보로부터 수강성적1을 조회하여 획득하는 단계;
    f-2) 상기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의 블록체인노드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분산 저장된 a학생의 강의성적 블록을 복호화하여 수강성적1-1을 획득하는 단계;
    f-3) 상기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수강성적1과 수강성적1-1이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단계; 및
    f-4) 상기 검증이 완료된 경우, 경우, 상기 조회된 수강성적1을 상기 a학생이 소속된 참여학교의 학사관리시스템의 a학생 성적에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점교류방법.
KR1020200086166A 2020-07-13 2020-07-13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KR10244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66A KR102441120B1 (ko) 2020-07-13 2020-07-13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66A KR102441120B1 (ko) 2020-07-13 2020-07-13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64A KR20220008064A (ko) 2022-01-20
KR102441120B1 true KR102441120B1 (ko) 2022-09-08

Family

ID=8005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166A KR102441120B1 (ko) 2020-07-13 2020-07-13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0698B (zh) * 2023-02-23 2023-04-28 广东开放大学(广东理工职业学院) 一种基于区块链及云计算技术的学分银行管理系统
CN116346368B (zh) * 2023-05-24 2023-07-28 湖南典阅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学历证书认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408848A (zh) * 2023-12-15 2024-01-16 哈尔滨工业大学(深圳)(哈尔滨工业大学深圳科技创新研究院) 一种基于区块链的高校实验教学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329A1 (ja) * 2015-11-24 2017-06-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29482B1 (ko) 2018-08-13 2019-03-12 (주)아사달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703B1 (ko) 1997-12-23 2000-05-15 이계철 성적 데이터 자동입력 방법
KR102088218B1 (ko) * 2018-08-03 2020-03-16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시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233B1 (ko) * 2018-10-11 2020-10-15 주식회사 디지털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전자문서 발급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329A1 (ja) * 2015-11-24 2017-06-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29482B1 (ko) 2018-08-13 2019-03-12 (주)아사달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64A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1959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защиты информации
US120219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identity
KR102441120B1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학점교류시스템 및 방법
US111399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evices and methods
CN107851253B (zh) 合约合意方法、合意验证方法、合约合意系统、合意验证装置、合约合意装置、计算机可读记录介质
Bistarelli et al. An end-to-end voting-system based on bitcoin
CN108235805A (zh) 账户统一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876374A (zh) 区块链的网络身份证件认证方法和系统
Mardisentosa et al. Sustainable learning micro-credential using blockchain for student achievement records
CN10677834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涉及隐私数据的数据共享方法
Jeong et al. Design of recruitment management platform using digital certificate on blockchain
CN107592293A (zh) 区块链节点间通讯方法、数字证书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8476139B (zh) 匿名通信系统及用于向该通信系统加入的方法
CN114037435A (zh) 使用集中式或分布式分类账来提供信息证明的方法和设备
JP7114078B2 (ja) 電子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Hsu et al. Design of an e-diploma system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and facial recognition
CN109300199A (zh) 基于区块链的考勤系统及考勤方法
Dongre et al. Education degree fraud detection and student certificate verification using blockchain
Nikolić et al. Development of a blockchain-based application for digital certificates in education
Queiruga-Dios et al. Self-sovereign identity in university context
CN102075518A (zh) 一种基于历史角色的信任协商构建方法及系统
KR20200051135A (ko) 암호화폐 지갑서버를 통해 DApp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암호화폐 지갑서버
CN111680331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校长信箱的管理系统及方法
CN109600338B (zh) 一种可信身份管理服务方法及系统
WO2023026343A1 (ja) 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データ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