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675B1 -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675B1
KR102017675B1 KR1020190049252A KR20190049252A KR102017675B1 KR 102017675 B1 KR102017675 B1 KR 102017675B1 KR 1020190049252 A KR1020190049252 A KR 1020190049252A KR 20190049252 A KR20190049252 A KR 20190049252A KR 102017675 B1 KR102017675 B1 KR 10201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blockchain
transaction data
data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헌주
Original Assignee
에스지에이블록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에이블록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지에이블록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1Interfacing with client-server systems or between P2P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6Join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1Revocation or update of secret information, e.g. encryption key update or reke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1 연결 피어; 상기 제2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2 연결 피어;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 피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하나의 망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다른 망에 추가시키는 브리지 노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하나의 블록체인망에서 갱신된 내용을 다른 블록체인망에도 추가함으로써, 서로 독립된 블록체인망이더라도 서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 A block-chain bridge system for sharing data between independent block-chain networks }
본 발명은 서로 독립된 2개의 블록체인망 사이에서, 하나의 블록체인망 내에서 트랜잭션 데이터가 추가되면,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내용을 다른 블록체인 망에도 추가시켜 공유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 체인(Block chain)은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르며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기존 금융 회사의 경우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대표적인 온라인 가상 화폐인 비트코인에 적용되어 있다. 비트코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며,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여러 컴퓨터가 10분에 한 번씩 이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또한,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일례로서, 기업과 관련된 기업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성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상기 선행기술은 기업과 관련된 기업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단말 사이에 공유하도록 하고, 기업정보를 등록하는 기업과 기업정보를 인증하는 기관 사이에 상호인증이 이루어지고, 상호인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을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노드에 분산 저장한다. 따라서 기업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함과 아울러, 기업정보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나 환자 정보 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고 서로 공유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3].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업 정보나 의료 정보 등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는 경우, 각 블록체인망은 각기 자신만의 고유한 메카니즘에 따라,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블록체인으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블록체인 망(이종의 블록체인 망)은 서로 간에 블록체인에 기록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없다. 즉, 독립된 블록체인 망은 상호 배타적이므로, 서로 독립적인 2개의 블록체인 망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어렵다.
이에 반해, 통상적인 웹 서비스 기반의 시스템은 각종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등)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즉, 웹 서비스에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표준이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블록체인 기술에는 이러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독립적인 블록체인 망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의료보험 공단과 병원이라는 두 개의 역할이 다르나 서로 연관된 기관을 가정한다. 이때, 병원에서는 환자를 직접 대면하여 진료행위를 하고 이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와 증상, 관찰 및 검사에 의한 진단정보, 이로 판단된 결과 그리고 처방과 치료정보를 획득하여 보유한다. 한편, 의료보험 공단의 입장에서는 병원에서 생성된 환자의 진료부터 처방과 치료까지의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와 동일인으로 판별되는 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불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병원에서는 환자의 진료에 의해 발생되는 정보를 의료보험 공단에 전달하고, 의료보험 공단에서는 심사를 통해 보험료 지급항목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병원에 지불한다. 따라서 환자에 대한 진료 정보는 양 기관에서 필수적으로 공유되어야 한다.
그런데 최근의 구글, 페이스북 등의 개인정보에 대한 해킹 유출사고와 랜섬웨어에 의한 전산 저장 정보의 오염과 손실 등의 사례를 보았을 때, 의료 기록에 대해서도 위변조 방지나 외부 유출 방지 등을 위해 보안이 강화되어야 한다. 특히, 의료 기록은 사람의 신체, 건강, 질환 정보를 담는 개인의 가장 내밀한 정보이므로, 더욱 그러하다.
또한, 병원에서 의료보험 공단으로 정보 전달 외에, 의료보험 공단에서 병원으로 정보를 전달해야 할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고가의 약물이나 향정신성 약물에 대한 처방 기록은 중복 처방을 피하기 위해 특히 주의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리를 위하여 처방 정보가 연관 기관들 간에 공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9482호(2019.03.12.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2207호(2018.07.26.공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1045호(2018.07.23.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독립된 2개의 블록체인망 사이에서, 하나의 블록체인망 내에서 트랜잭션 데이터가 추가되면,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와 관련된 내용을 다른 블록체인 망에도 추가시켜 공유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및 제2 피어를 각각 제1 및 제2 블록체인 망에 등록하여 소속되게 하고, 제1 또는 제2 피어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이 갱신된 것을 확인하여, 갱신된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에 따라 다른 피어(제2 또는 제1 피어)의 블록체인 원장에 해당 내용을 추가시키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리지 시스템에서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의 열람 키(read key) 및 갱신 키(write key)를 모두 구비하여 일측 피어의 블록체인 원장의 갱신 내용을 열람하여 다른 측 피어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리지 시스템을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 각각의 전용 시스템으로 구성하되, 소속된 블록체인망의 갱신 키와 다른 블록체인망의 열람 키를 구비하게 하여, 일방향만으로 갱신 내용을 반영하도록 구성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인 제1 블록체인망과 제2 블록체인망과 연결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1 연결 피어; 상기 제2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2 연결 피어;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 피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하나의 망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다른 망에 추가시키는 브리지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비대칭키인 열람키와 갱신키에 의해 복호화 되거나 암호화 되고, 암호화된 상태로 망에 기록되고, 상기 브리지 노드는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의 열람키와 갱신키를 모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인 제1 블록체인망과 제2 블록체인망과 연결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1 연결 피어와 제3 연결 피어; 상기 제2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2 연결 피어와 제4 연결 피어; 상기 제2 연결 피어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체인망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연결 피어를 통해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블록체인망에 추가시키는 제1 브리지 노드; 및, 상기 제3 연결 피어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체인망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제4 연결 피어를 통해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블록체인망에 추가시키는 제2 브리지 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비대칭키인 열람키와 갱신키에 의해 복호화 되거나 암호화 되고, 암호화된 상태로 망에 기록되고, 상기 제1 브리지 노드는 상기 제1 블록체인망의 갱신키와, 상기 제2 블록체인망의 열람키를 보유하고, 상기 제2 브리지 노드는 상기 제1 블록체인망의 열람키와, 상기 제2 블록체인망의 갱신키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적어도 1개의 키 단위 데이터와, 다수의 키외 단위 데이터로 구성되고, 제1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이하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와 제2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이하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키 단위 데이터에 대해 서로 매핑되고, 키외 단위 데이터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만 매핑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브리지 노드는 제1 및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하나의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다른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브리지 노드는 상기 제1 또는 제2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한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다른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다른 망에 갱신시킬 때, 추출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리스트를 다른 브리지 노드로 전달하고, 갱신 이벤트가 발생할 때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가 상기 갱신 리스트에 존재하면 필터링 및 갱신 작업을 수행하진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블록체인망에서 갱신된 내용을 다른 블록체인망에도 추가함으로써, 서로 독립된 블록체인망이더라도 서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의하면, 각 블록체인망에 전용인 브리지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구성하고 블록체인의 갱신 권한을 줌으로써, 브리지 시스템의 보안 및 권한을 각 블록체인망에 나누어 부여할 수 있고, 권한 분산을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데이터의 필터링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다수의 제1 망 피어(11)로 구성되는 제1 블록체인망(10), 다수의 제2 망 피어(21)로 구성되는 제2 블록체인망(20), 제1 블록체인망(10)에 등록된 제1 연결 피어(31)와 제2 블록체인망(20)에 등록된 제2 연결 피어(32)를 구비한 브리지 시스템(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 블록체인망(10)은 통상의 블록체인 망으로서, 트랜잭션(또는 데이터)을 블록으로 기록하되, 각 블록들을 블록 체인으로 연결하여 기록한다.
제1 블록체인망(1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제1 망 피어(11)들로 구성된다. 각 제1 망 피어(11)는 하나의 컴퓨팅 단말 또는 서버로서,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으로 기록한 트랙잭션 데이터의 원장(이하 블록체인 원장)을 복제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모든 제1 망 피어(11)는 서로 동기화 하여, 동일한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한다.
구체적으로, 트랜잭션 데이터(또는 데이터)는 하나의 트랜잭션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거래 정보, 의료 정보, 기업 정보 등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록한다.
각 트랜잭션 데이터의 해쉬값을 구하여, 해쉬값들을 블록 체인으로 구성한다. 이때, 블록체인 원장은 각 데이터의 해시값들을 블록들의 체인으로 구성한 블록체인과, 트랜잭션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블록체인 원장의 트랜잭션을 열람함으로써 해당 트랜잭션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고, 블록체인의 해시값을 인증함으로써 해당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체인 원장은 블록들의 체인으로 구성된다. 각 블록은 해당 트랜잭션의 해시값, 이전 블록의 해시값 등을 기록하는 블록 헤더와, 실제 트랜잭션 데이터를 기록하는 블록 바디로 구성된다. 각 블록의 헤더 내에 해당 트랜잭션의 해시값과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기록한다. 해시값은 해당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바디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해시값이다.
따라서 특정 블록에 대해, 해당 블록의 트랜잭션 해시값과, 다음 블록의 이전 블록의 해시값으로 가상의 체인을 구성하고, 이들 2개의 해시값을 비교하여 진위 검증을 수행한다.
한편, 제1 망 피어(11)는 자신이 어떤 하나의 트랜잭션 작업을 수행하면,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를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추가하고, 추가된 블록 정보를 다른 제1 망 피어(11)에 전송한다. 추가되는 정보 또는 블록은 기존의 블록체인 원장에 블록체인으로 추가된다.
또한, 다른 제1 망 피어(11)들은 앞서 갱신한 제1 망 피어(11)로부터 추가되는 블록 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블록 정보를 추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망 피어(11)는 자신의 주변에 위치하는 제1 망 피어(11)들에게, 추가되는 블록체인에 대한 갱신 정보(추가 정보)를 전송(전파)하고, 주변의 제1 망 피어(11)들은 블록체인에 대한 갱신 정보를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고, 또 다시 자신의 주변의 피어들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블록체인망(10) 내에 위치하는 모든 제1 망 피어(11)들은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하여 모두 동일한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1 블록체인망(10)에 기록된 트랜잭션 데이터는 모두 암호화 하여 저장된다. 특히, 트랜잭션 데이터는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서로 다른 비대칭키에 의하여 암호화되거나 복호화 된다. 이때, 암호화 키를 갱신 키(write key)라고 부르기로 하고, 복호화 키를 열람 키(read key)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1 망 피어(11)들은 열람 키나 갱신 키를 보유하지 않고, 단지, 이미 암호화된 트랜잭션 데이터 또는 블록을 수신하여,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추가하여 갱신한다.
다음으로, 제2 블록체인망(20)은 통상의 블록체인 망으로서, 트랜잭션(또는 데이터)을 블록으로 기록하되, 각 블록들을 블록 체인으로 연결하여 기록한다.
제2 블록체인망(20)은 제1 블록체인망(10)과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즉,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10,20)은 독립적이며 서로 배타적이다. 즉,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10,20)은 소속된 피어를 공유하지 않고, 블록체인 원장을 공유하지 않는다.
또한, 제2 블록체인망(20)은 제1 블록체인망(10)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제2 블록체인망(20)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제2 망 피어(21)들로 구성되고, 모든 제2 망 피어(21)는 서로 동기화 하여, 동일한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한다. 블록체인 원장은 블록들의 체인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은 해당 트랜잭션 해시값과 이전 해시값 등을 기록하는 블록 헤더와, 트랜잭션 데이터를 기록한 블록 바디로 구성된다. 해시값은 트랜잭션 데이터를 해시한 값이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 블록체인망(10)의 구조를 참조한다.
또한, 제2 블록체인망(20)에 기록된 트랜잭션 데이터는 모두 암호화 하여 저장된다. 특히, 트랜잭션 데이터는 암호화 키(또는 갱신 키)와 복호화 키(또는 열람 키)가 서로 다른 비대칭키에 의하여 암호화되거나 복호화 된다.
다음으로, 브리지 시스템(30)은 제1 블록체인망(10)에 등록된 제1 연결 피어(31), 제2 블록체인망(20)에 등록된 제2 연결 피어(32), 및,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10,20) 중 어느 하나에서 블록이 추가되면 다른 블록체인망에 이를 반영하여 블록을 추가시키는 브리지 노드(31)로 구성된다.
먼저, 제1 연결 피어(31)는 제1 블록체인망(10)에 등록시켜, 제1 블록체인망(10)에 소속되도록 구성한다. 제1 연결 피어(31)는 제1 블록체인망(10)에 소속된 하나의 피어이므로, 제1 블록체인망(10) 내에서 다른 피어들(11)과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
즉, 제1 연결 피어(31)에서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면, 추가된 블록에 대해 다른 제1 망 피어(11)들에게 전파시킨다. 그래서 제1 블록체인망(10)에 속하는 모든 제1 망 피어(11)들은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한다. 또한, 제1 블록체인망(10)에 소속된 어느 하나의 제1 망 피어(11)에서 새로운 블록이 추가되면, 제1 연결 피어(31)도 이러한 갱신 내용을 전파 받고,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시킨다.
다음으로, 제2 연결 피어(32)는 제2 블록체인망(20)에 등록시켜, 제2 블록체인망(20)에 소속되도록 구성한다. 제2 연결 피어(32)는 제2 블록체인망(20)에 소속된 하나의 피어이므로, 제2 블록체인망(20) 내에서 다른 피어들(21)과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 즉, 제2 연결 피어(32)에서 갱신된 블록의 내용이 다른 제2 망 피어(21)들에게 전파되고, 다른 제2 망 피어(21)들에서의 갱신된 블록 내용이 제2 연결 피어(32)에 전파된다.
다음으로, 브리지 노드(33)는 제1 연결 피어(31)를 통해 제1 블록체인망(10)에서 새로운 블록의 추가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가된 블록의 내용을 제2 연결 피어(32)를 통해 제2 블록체인망(20)에 추가시킨다.
즉, 브리지 노드(33)는 제1 연결 피어(31)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이 갱신되었는지(블록체인 원장의 갱신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갱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브리지 노드(33)는 제1 연결 피어(31)로부터 새로 추가된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가져온다. 바람직하게는, 추가된 블록의 블록 바디에 기록된 트랜잭션 데이터(또는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가져온다.
그리고 브리지 노드(33)는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제2 블록체인망 트랜잭션 데이터 형식으로 필터링하여,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브리지 노드(33)는 제2 연결 피어(32)를 통해, 추출된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블록체인망(20)에 등록하도록 한다. 즉, 추출된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연결 피어(32)의 블록체인 원장에 등록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제2 연결 피어(32)는 갱신된 블록체인 원장을 다른 모든 제2 망 피어(21)들에게 전파시키므로, 추출된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2 블록체인망(20)에 등록된다.
또한, 반대로, 브리지 노드(33)는 제2 연결 피어(32)를 통해 제2 블록체인망(20)에서 새로운 블록의 추가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가된 블록의 내용을 제1 연결 피어(31)를 통해 제1 블록체인망(10)에 추가시킨다.
즉, 브리지 노드(33)는 제2 연결 피어(32)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의 갱신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제2 연결 피어(32)로부터 새로 추가된 블록의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가져온다. 그리고 브리지 노드(33)는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제1 블록체인망 트랜잭션 데이터 형식으로 필터링하여,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브리지 노드(33)는 제1 연결 피어(32)를 통해, 추출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블록체인망(10)에 등록하게 한다. 이때, 추출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연결 피어(31)의 블록체인 원장에 등록시켜 전파시킴으로써, 제1 블록체인망(10)에 등록시킨다.
특히, 브리지 노드(33)에서 연결 피어(31,32)에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달하면서 추가할 것을 명령하면 연결 피어(31,32)가 자동으로 블록을 생성하여 추가한다.
한편, 브리지 노드(33)는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10,20)의 열람 키(read key) 및 갱신 키(write key)를 모두 보유한다. 따라서 브리지 노드(33)는 연결 피어(31,32)를 통해, 갱신된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가져오면,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를 열람 키를 통해 복호화한다. 또한, 필터링하여 추출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망(10,20)에 등록할 때, 추출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갱신 키를 통해 암호화하여 등록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데이터의 필터링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10,20)에 기록되는 제1 및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구조는 다수의 단위 데이터로 구성된다. 특히, 각 트랜잭션 데이터는 적어도 1개의 키 단위 데이터와, 다수의 키외 단위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서로 매칭되는 키 단위 데이터를 보유하고, 그외 일반 단위 데이터(키외 단위 데이터)는 일부만 매칭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단위 데이터 ak1, ak2를 키 단위 데이터로 구성한다. 또한,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단위 데이터 bk1,bk2를 키 단위 데이터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트랜잭션 데이터의 구조는 사전에 설정된다.
이때, 키 단위 데이터 ak1, ak2와, 키 단위 데이터 bk1, bk2는 서로 매핑된다. 양 트랜잭션 데이터의 키 단위 데이터는 형식은 다를 수 있으나 그 내용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주민등록번호는 숫자 형식으로 기록되고,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주민등록번호는 문자열 형식으로 기록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주민등록번호의 실제 내용은 동일하다.
또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키 단위 데이터의 개수와,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키 단위 데이터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키 단위 데이터 ak1, ak2가 키 단위 데이터 bk1에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짜가 키 단위 데이터 역할을 하는데,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날짜를 하나의 단위 데이터로 표현하는 반면,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날짜를 연, 월, 일, 시간으로 구분하여 단위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키 단위 데이터가 아닌 단위 데이터(또는 키외 단위 데이터)는 일부만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키외 단위 데이터와 매핑된다. 도 3의 예에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단위 데이터 a1, a3, a5는 각각 제2 망 트랜잭션의 단위 데이터 b2, b3, {b4,b5}에 매핑된다. 즉, 전체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단위 데이터 a2, a4, a6은 제2 망 단위 데이터와 매핑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망 트랜잭션의 단위 데이터 b1도 매핑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망 단위 데이터 a5는 제2 망 단위 데이터 {b4,b5} 등 2개에 매핑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의 단위 데이터의 매핑 관계에 의한 필터링 기능(또는 필터링 함수, 매핑 함수)은 사전에 설정된다. 즉, 브리지 노드(33)는 상기와 같은 매핑 관계(필터링 관계)를 사전에 설정하고, 매핑 관계 또는 필터링 관계에 따라 하나의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다른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블록체인망 A와 B가 서로 독립된 망이다.
먼저, 블록체인망 A에서, 피어 P1에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된다(S11). 이때, 노드 P1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 내에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리고 새로운 블록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한다. 즉, 새로운 블록을 블록체인 내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블록체인망 A의 모든 피어들은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S12). 즉, 피어 P1은 자신의 갱신 내용(또는 갱신된 블록체인, 갱신된 블록체인 원장)을 주변 피어들에게 전달하고, 주변 피어들은 피어 P1으로부터 수신한 갱신 내용을 블록체인 원장에 반영하여 갱신한다. 그리고 다시 주변 피어들에게 갱신 내용을 전파한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망 A 내의 모든 피어 P1, P2, ..., Pn은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한다.
이때, 브리지 노드가 구비한 제1 연결 피어(Pa)도 블록체인 망 A에 속하므로, 제1 연결 피어(Pa)도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한다.
다음으로, 브리지 노드는 제1 연결 피어(Pa)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또는 새로운 블록)가 추가되었음을 인식하고, 제1 연결 피어(Pa)로부터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가져온다(S13).
즉, 브리지 노드는 블록체인망 A의 갱신 이벤트를 제1 연결 피어(Pa)를 통해 확인(인식)한다. 브리지 노드가 짧은 주기로 제1 연결 피어(Pa)의 블록체인 원장이 갱신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제1 연결 피어(Pa)가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하면 갱신된 사실을 브리지 노드에 알려준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 피어(Pa)는 브리지 노드를 인터럽트 하여, 블록체인 원장의 갱신 이벤트를 전달하고,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브리지 노드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브리지 노드는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한다(S14). 이때, 브리지 노드는 블록체인망 A에 대한 열람 키(read key)를 사전에 보유하고, 열람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복호화 한다.
또한, 브리지 노드는 블록체인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키 단위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키 단위 데이터로 변환하여 매핑한다. 즉, 블록체인망 A의 단위 데이터 형식을 블록체인망 B의 단위 데이터 형식으로 전환한다. 또한, 망 A의 키외 단위 데이터(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단위 데이터) 중 매핑되는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키외 단위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매핑 작업을 통해, 브리지 노드는 블록체인망 B에 추가될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생성한다.
한편, 이때, 브리지 노드는 새로 추출된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암호화 한다. 특히, 브리지 노드는 블록체인망 B의 갱신 키(write key)를 이용하여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암호화 한다.
다음으로, 브리지 노드는 추출된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연결 피어(Pb)에 전달하여(S15), 제2 연결 피어(Pb)로 하여금 해당 블록체인 원장에 추가하도록 한다(S16). 즉, 브리지 노드는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연결 피어(Pb)에 전달하면, 제2 연결 피어(Pb)는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를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삽입한다.
한편, 이때, 전달되는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망 B의 갱신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이다.
다음으로, 블록체인망 B에서 모든 피어 Q1,Q2, ..., Qm은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S17). 즉, 제2 연결 피어(Pb)는 갱신된 블록체인 원장 또는 갱신 내용을 주변의 피어에 전송하고, 주변 피어들은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한다. 주변 피어들은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하면, 다시 주변의 피어들에게 갱신 내용을 전파한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망 B의 모든 피어들은 갱신된 트랜잭션이 자신의 원장에 추가시켜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
한편, 반대로, 브리지 노드는 블록체인 망 B에서 어느 하나의 피어 Q1이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가하여 블록체인 원장이 갱신되면, 브리지 노드는 제2 연결 피어(Pb)를 통해 갱신 이벤트를 확인하고, 필터링을 통해 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1 연결 피어(Pa)를 통해, 추출된 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망에 추가시킨다.
이때,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망 B의 열람 키(read key)로 복호화 하여,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가져온다. 또한, 추출된 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블록체인망 A의 갱신 키로 암호화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다수의 제1 망 피어(111)로 구성되는 제1 블록체인망(110), 다수의 제2 망 피어(121)로 구성되는 제2 블록체인망(120), 제1 블록체인망(110)에 등록된 제1 및 제3 연결 피어(131,134)와 제2 블록체인망(120)에 등록된 제2 및 제4 연결 피어(132,135)를 구비한 브리지 시스템(13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앞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브리지 시스템(130)이 제1 및 제2 브리지 노드(133,136) 등 2개의 브리지 노드를 구비하고, 제1 또는 제2 블록체인망(110,120)에 등록하는 피어도 제1 및 제3 연결 피어(131,134) 또는 제2 및 제4 연결 피어(132,135) 등 각각 2개를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차별되는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특징 중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를 참조한다.
먼저, 제1 또는 제2 블록체인망(110,120)은 통상의 블록체인 망으로서, 트랜잭션(또는 데이터)을 블록으로 기록하되, 각 블록들을 블록 체인으로 연결하여 기록한다.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110,120) 각각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제1 또는 제2 망 피어(111,121)들로 구성되고, 모든 제1 또는 제2 망 피어(111,121)는 서로 동기화 하여, 동일한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한다. 특히, 하나의 피어(111,121)에서 블록이 추가되어 블록체인 원장이 갱신되면, 갱신된 내용이 망 내의 모든 피어에 전파되어, 모든 피어의 블록체인 원장이 갱신된다.
또한,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110,120)에 기록된 트랜잭션 데이터는 모두 암호화 하여 저장된다. 특히, 트랜잭션 데이터는 암호화 키(또는 갱신 키)와 복호화 키(또는 열람 키)가 서로 다른 비대칭키에 의하여 암호화되거나 복호화 된다.
또한,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110,120)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소속된 피어를 공유하지 않고, 블록체인 원장을 공유하지 않는다. 열람 키 및 갱신 키도 서로 다르며, 공유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브리지 시스템(130)은 제1 블록체인망(110)에 등록된 제1 및 제3 연결 피어(131,134), 제2 블록체인망(120)에 등록된 제2 및 제4 연결 피어(132.134), 제2 블록체인망(120)에서 트랜잭션 데이터가 추가되면 이에 대응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블록체인망(110)에 추가하는 제1 브리지 노드(33), 및, 제1 블록체인망(110)에서 트랜잭션 데이터가 추가되면 이에 대응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블록체인망(120)에 추가하는 제2 브리지 노드(36)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 및 제3 연결 피어(131,134)는 제1 블록체인망(110)에 등록시켜, 제1 블록체인망(110)에 소속되도록 구성한다. 제1 및 제3 연결 피어(131,134)는 제1 블록체인망(110)에 소속된 하나의 피어이므로, 제1 블록체인망(110) 내에서 다른 피어들(111)과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 특히, 제1 연결 피어(131)에서 갱신된 블록의 내용(또는 트랜잭션 데이터)이 다른 제1 망 피어(111)들(제3 연결 피어134도 포함됨)에게 전파된다. 또한, 다른 제1 망 피어(111)들에서의 갱신된 블록 내용이 제3 연결 피어(134)에 전파된다.
또한, 제2 및 제4 연결 피어(132,135)는 제2 블록체인망(120)에 등록시켜, 제2 블록체인망(120)에 소속되도록 구성한다. 제2 및 제4 연결 피어(132,135)는 제2 블록체인망(120)에 소속된 하나의 피어이므로, 제2 블록체인망(120) 내에서 다른 피어들(121)과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 특히, 제4 연결 피어(135)에서 갱신된 블록의 내용(또는 트랜잭션 데이터)이 다른 제2 망 피어(121)들(제2 연결 피어132도 포함됨)에게 전파된다. 또한, 다른 제2 망 피어(121)들에서의 갱신된 블록 내용이 제2 연결 피어(132)에 전파된다.
다음으로,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제2 연결 피어(132)를 통해 제2 블록체인망(120)에서 새로운 블록의 추가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가된 블록의 내용을 제1 연결 피어(131)를 통해 제1 블록체인망(110)에 추가시킨다.
즉,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제2 연결 피어(132)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의 갱신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제2 연결 피어(132)로부터 새로 추가된 블록의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가져온다. 그리고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제1 블록체인망 트랜잭션 데이터 형식으로 필터링하여,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제1 연결 피어(131)를 통해, 추출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블록체인망(110)에 등록하게 한다. 이때, 추출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연결 피어(131)의 블록체인 원장에 등록시켜 전파시킴으로써, 제1 블록체인망(110)에 등록시킨다.
특히,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제1 블록체인망(110)의 갱신 키(write key)와, 제2 블록체인망(120)의 열람 키(read key)를 보유한다. 따라서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제2 연결 피어(132)를 통해 가져온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망 열람 키로 복호화 한다. 또한, 필터링하여 추출된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블록체인망(110)에 등록할 때,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망 갱신 키(write key)를 통해 암호화하여 등록시킨다.
다음으로,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제3 연결 피어(134)를 통해 제1 블록체인망(110)에서 새로운 블록의 추가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가된 블록의 내용을 제4 연결 피어(135)를 통해 제2 블록체인망(120)에 추가시킨다.
즉,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제3 연결 피어(134)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의 갱신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제3 연결 피어(134)로부터 새로 추가된 블록의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가져온다. 그리고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에서 제2 블록체인망 트랜잭션 데이터 형식으로 필터링하여,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제4 연결 피어(135)를 통해, 추출된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블록체인망(120)에 등록하게 한다. 이때, 추출된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4 연결 피어(135)의 블록체인 원장에 등록시켜 전파시킴으로써, 제2 블록체인망(120)에 등록시킨다.
특히,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제1 블록체인망(110)의 열람 키(read key)와, 제2 블록체인망(120)의 갱신 키(write key)를 보유한다. 따라서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제3 연결 피어(134)를 통해 가져온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망 열람 키로 복호화 한다. 또한, 필터링하여 추출된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블록체인망(120)에 등록할 때,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망 갱신 키(write key)를 통해 암호화하여 등록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블록체인망 A에서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 X가 추가될 때의 공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블록체인망 A에서, 피어 P1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 X가 추가된다(S21). 이때, 노드 P1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 내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 X가 기록된다. 그리고 새로운 블록 X를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한다. 즉, 새로운 블록 X를 블록체인 내에 추가한다.
다음으로, 블록체인망 A의 모든 피어들은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S22). 즉, 피어 P1에서의 갱신 내용(또는 갱신된 블록체인, 갱신된 블록체인 원장)은 블록체인 망 A 내의 모든 피어 P2, P3, ..., Pn, Pa, Pb의 블록체인 원장에 갱신된다. 이때, 제1 또는 제2 브리지 노드(133,136)가 구비한 제1 및 제3 연결 피어(Pa,Pb)도 블록체인 망 A에 속하므로, 제1 및 제3 연결 피어(Pa,Pb)도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한다.
다음으로,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제3 연결 피어(Pb)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또는 새로운 블록) X가 추가되었음을 인식하고, 제3 연결 피어(Pb)로부터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X를 가져온다(S23). 즉, 제2 브리지 노드(136)는 블록체인망 A의 갱신 이벤트를 제3 연결 피어(Pb)를 통해 확인(인식)하고, 갱신 이벤트를 인식하면 제3 연결 피어(Pb)로부터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전달받는다.
다음으로, 제2 브리지 노드(136)는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X를 필터링하여,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추출한다(S24). 이때, 제2 브리지 노드(136)는 블록체인망 A에 대한 열람 키(read key)를 사전에 보유하고, 열람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트랜잭션 데이터 X를 복호화 한다.
즉, 제2 브리지 노드(136)는 블록체인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 X에서 키 단위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의 키 단위 데이터로 변환하여 매핑한다. 즉, 블록체인망 A의 단위 데이터 형식을 블록체인망 B의 단위 데이터 형식으로 전환한다. 또한, 망 A의 키외 단위 데이터(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단위 데이터) 중 매핑되는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의 키외 단위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매핑 작업을 통해, 제2 브리지 노드(136)는 블록체인망 B에 추가될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추출하여 생성한다.
한편, 이때,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새로 추출된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암호화 한다. 특히, 브리지 노드는 블록체인망 B의 갱신 키(write key)를 이용하여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암호화 한다.
다음으로,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추출된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제4 연결 피어(Qb)에 전달한다(S25a). 이때, 전달되는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는 블록체인망 B의 갱신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이다. 즉,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자신이 보유한 블록체인망 B의 갱신 키를 이용하여,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암호화 하여 제4 연결 피어(Qb)에 전달한다.
또한, 이때, 제2 브리지 노드(136)는 추출된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의 갱신 리스트를 제1 브리지 노드(133)에 전달한다(S25b). 바람직하게는, 갱신 리스트는 트랜잭션 데이터의 키 단위 데이터로 구성된다. 즉, 키 단위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어떤 트랜잭션 데이터가 갱신 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제4 연결 피어(Qb)는 전달받은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추가한다(S26). 즉, 제4 연결 피어(Qb)는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 X'를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추가 삽입한다.
다음으로, 블록체인망 B에서 모든 피어 Q1,Q2, ..., Qm은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S27). 즉, 제4 연결 피어(Qb)는 갱신된 블록체인 원장 또는 갱신 내용을 주변의 피어에 전송하고, 주변 피어들은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한다. 주변 피어들은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하면, 다시 주변의 피어들에게 갱신 내용을 전파한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망 B의 모든 피어들은 갱신된 트랜잭션이 자신의 원장에 추가시켜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
이때, 제1 브리지 노드(33)에서 구비한 제2 연결 피어(Qa)도 블록체인망 B에 소속된 피어이므로, 제2 연결 피어(Qa)도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한다. 따라서 제2 연결 피어(Qa)에서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므로,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X'가 제1 브리지 노드(33)로 전달된다(S28). 즉, 제2 연결 피어(Qa)는 자신의 원장이 갱신되었음(갱신 이벤트)을 제1 브리지 노드(33)에 알리거나, 제1 브리지 노드(33)가 제2 연결 피어(Qa)의 갱신 이벤트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1 브리지 노드(33)는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X'를 가져온다.
이때, 제1 브리지 노드(33)는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X'가 제2 브리지 노드(36)로부터 수신한 블록체인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리스트 내에 있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존재하면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X'에 대하여 추가 작업을 하지 않는다. 즉, 필터링하여 블록체인망 A에 추가하는 작업을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7은 블록체인망 B에서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 Y가 추가될 때의 공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체인망 B에서, 피어 Q1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 Y가 추가되면(S31), 블록체인망 A의 모든 피어들은 블록체인 원장을 동기화 한다(S32). 즉, 피어 Q1에서의 갱신 내용 Y는 블록체인 망 B 내의 모든 피어 Q2, Q3, ..., Qn, Qa, Qb의 블록체인 원장에 갱신된다. 이때, 제1 또는 제2 브리지 노드(133,136)가 구비한 제2 및 제4 연결 피어(Qa,Qb)도 블록체인 망 B에 속하므로, 제2 및 제4 연결 피어(Qa,Qb)도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한다.
다음으로,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제2 연결 피어(Qa)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또는 새로운 블록) Y가 추가되었음을 인식하고, 제2 연결 피어(Qa)로부터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Y를 가져온다(S33).
다음으로, 제1 브리지 노드(133)는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Y를 필터링하여, 블록체인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 Y'를 추출한다(S34). 이때, 제1 브리지 노드(133)는 블록체인망 B에 대한 열람 키(read key)를 사전에 보유하고, 열람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트랜잭션 데이터 Y를 복호화 한다. 또한, 제1 브리지 노드(133)는 블록체인망 B의 갱신 키(write key)를 이용하여, 새로 추출된 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 Y'를 암호화 한다.
다음으로,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추출된 블록체인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 Y'를 제1 연결 피어(Pa)에 전달한다(S35a). 이때, 전달되는 망 B의 트랜잭션 데이터 Y'는 블록체인망 A의 갱신 키에 의해 암호화된 데이터이다.
또한, 제1 브리지 노드(133)는 추출된 블록체인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 Y'의 갱신 리스트를 제2 브리지 노드(136)에 전달한다(S35b).
다음으로, 제2 연결 피어(Pb)는 전달받은 블록체인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 Y'를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에 추가하면(S26), 블록체인망 A 내의 다른 모든 피어에 전파되어 동기화 된다(S27).
이때, 제1 브리지 노드(33)에서 구비한 제3 연결 피어(Pb)도 블록체인망 A에 소속된 피어이므로, 제3 연결 피어(Pb)도 자신의 블록체인 원장을 갱신한다. 따라서 제3 연결 피어(Pb)에서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고,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Y'가 제2 브리지 노드(36)로 전달된다(S38). 이때, 제2 브리지 노드(36)는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Y'가 제1 브리지 노드(33)로부터 수신한 블록체인망 A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리스트 내에 있는지를 검사하고, 만약 존재하면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 Y'에 대하여 추가 작업을 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110 : 제1 블록체인망 11,111 : 제1 망 피어
20,120 : 제2 블록체인망 21,121 : 제2 망 피어
30,130 : 브리지 시스템 31,131 : 제1 연결 노드
32,132 : 제2 연결 노드 33 : 브리지 노드
133 : 제1 브리지 노드 136 : 제2 브리지 노드

Claims (6)

  1. 서로 독립적인 제1 블록체인망과 제2 블록체인망과 연결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1 연결 피어;
    상기 제2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2 연결 피어;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 피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하나의 망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다른 망에 추가시키는 브리지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적어도 1개의 키 단위 데이터와, 다수의 키외 단위 데이터로 구성되고, 제1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이하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와 제2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이하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키 단위 데이터에 대해 서로 매핑되고, 키외 단위 데이터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만 매핑되고,
    상기 브리지 노드는 제1 및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하나의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다른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비대칭키인 열람키와 갱신키에 의해 복호화 되거나 암호화 되고, 암호화된 상태로 망에 기록되고,
    상기 브리지 노드는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의 열람키와 갱신키를 모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3. 서로 독립적인 제1 블록체인망과 제2 블록체인망과 연결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1 연결 피어와 제3 연결 피어;
    상기 제2 블록체인망에 등록된 제2 연결 피어와 제4 연결 피어;
    상기 제2 연결 피어를 통해 상기 제2 블록체인망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연결 피어를 통해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1 블록체인망에 추가시키는 제1 브리지 노드; 및,
    상기 제3 연결 피어를 통해 상기 제1 블록체인망에 새로운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제4 연결 피어를 통해 추가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제2 블록체인망에 추가시키는 제2 브리지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는 적어도 1개의 키 단위 데이터와, 다수의 키외 단위 데이터로 구성되고, 제1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이하 제1 망 트랜잭션 데이터)와 제2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이하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는 키 단위 데이터에 대해 서로 매핑되고, 키외 단위 데이터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만 매핑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브리지 노드는 제1 및 제2 망 트랜잭션 데이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하나의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다른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비대칭키인 열람키와 갱신키에 의해 복호화 되거나 암호화 되고, 암호화된 상태로 망에 기록되고,
    상기 제1 브리지 노드는 상기 제1 블록체인망의 갱신키와, 상기 제2 블록체인망의 열람키를 보유하고, 상기 제2 브리지 노드는 상기 제1 블록체인망의 열람키와, 상기 제2 블록체인망의 갱신키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브리지 노드는 상기 제1 또는 제2 블록체인망 중 어느 한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다른 망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다른 망에 갱신시킬 때, 추출된 트랜잭션 데이터의 갱신 리스트를 다른 브리지 노드로 전달하고, 갱신 이벤트가 발생할 때 갱신된 트랜잭션 데이터가 상기 갱신 리스트에 존재하면 필터링 및 갱신 작업을 수행하진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KR1020190049252A 2019-04-26 2019-04-26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KR10201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52A KR102017675B1 (ko) 2019-04-26 2019-04-26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52A KR102017675B1 (ko) 2019-04-26 2019-04-26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675B1 true KR102017675B1 (ko) 2019-09-04

Family

ID=6795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252A KR102017675B1 (ko) 2019-04-26 2019-04-26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6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43B1 (ko) 2019-10-08 2020-05-14 전제항 전자 장비 및 기계 장비의 제조를 위한 제어 방법
KR102147283B1 (ko) * 2019-12-16 2020-08-24 황성배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투자 자산의 유동화 방법 및 서버
US11005932B1 (en) * 2019-10-18 2021-05-11 Samsung Sds Co., Ltd. Method for associat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blockchain networks and apparatus thereof
CN114719906A (zh) * 2022-04-02 2022-07-08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监测桥梁结构信息的方法
WO2023277443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아티프렌즈 스마트 콘트랙트 기반의 멀티-체인 기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그 병렬 확장 방법
KR20230004270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아티프렌즈 스마트 콘트랙트 기반의 멀티-체인 기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그 병렬 확장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5B1 (ko)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2207B1 (ko) 2018-03-23 2018-07-26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블록체인 기반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병의원 보안 시스템
KR101922565B1 (ko) * 2018-05-23 2018-11-27 (주)에스씨씨 이종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얼라이언스 블록체인 시스템
KR20190009958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더블체인 확장형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 확장방법
KR101929482B1 (ko) 2018-08-13 2019-03-12 (주)아사달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958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더블체인 확장형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 확장방법
KR101881045B1 (ko)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82207B1 (ko) 2018-03-23 2018-07-26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블록체인 기반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는 병의원 보안 시스템
KR101922565B1 (ko) * 2018-05-23 2018-11-27 (주)에스씨씨 이종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얼라이언스 블록체인 시스템
KR101929482B1 (ko) 2018-08-13 2019-03-12 (주)아사달 상호인증 블록체인 기반의 기업정보 공유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43B1 (ko) 2019-10-08 2020-05-14 전제항 전자 장비 및 기계 장비의 제조를 위한 제어 방법
US11005932B1 (en) * 2019-10-18 2021-05-11 Samsung Sds Co., Ltd. Method for associat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blockchain networks and apparatus thereof
KR102147283B1 (ko) * 2019-12-16 2020-08-24 황성배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투자 자산의 유동화 방법 및 서버
KR20210076827A (ko) * 2019-12-16 2021-06-24 황성배 블록체인 기반 투자 자산의 유동화 서비스 플랫폼
KR102613451B1 (ko) 2019-12-16 2023-12-12 황성배 블록체인 기반 투자 자산의 유동화 서비스 플랫폼
WO2023277443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아티프렌즈 스마트 콘트랙트 기반의 멀티-체인 기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그 병렬 확장 방법
KR20230004270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아티프렌즈 스마트 콘트랙트 기반의 멀티-체인 기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그 병렬 확장 방법
KR102562293B1 (ko) * 2021-06-30 2023-08-01 주식회사 아티프렌즈 스마트 콘트랙트 기반의 멀티-체인 기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그 병렬 확장 방법
CN114719906A (zh) * 2022-04-02 2022-07-08 中铁七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监测桥梁结构信息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675B1 (ko) 독립된 블록체인망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블록체인 브리지 시스템
RU2726157C1 (ru) Восстановление зашифрова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транзакций в конфиденциальных транзакциях с цепочками блоков
Saha et al. Review on “Blockchain technology based medical healthcare system with privacy issues”
Novikov et al.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s in a decentralized health infrastructure
Randall et al. Blockchain applications and use cases in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KR102147083B1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전자문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20517165A (ja) 分散取引合意ネットワーク上でのデジタル財産取引の匿名性及び追跡性
Kassab et al. Blockchain: A panacea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CN110826108B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电子处方共享系统
US11962682B2 (en) Secure transmiss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via blockchain
Fernandes et al. Scalable Architecture for sharing EHR using the Hyperledger Blockchain
CN113568946A (zh) 用于管理多个区块链网络中的交易的方法、系统和装置
KR101923943B1 (ko) 보안이 강화된 암호화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He et al. Toward privacy-assured health insurance claims
Nair et al. Healthcare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blockchain-based approaches
CN111444533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管理平台
CN113595734A (zh) 用于管理多个区块链网络中的交易的方法、系统和装置
CN113595733A (zh) 用于管理多个区块链网络中的交易的方法、系统和装置
Xu et al. Design process for applications on blockchain
Kim et al. A trusted sharing model for patient records based on permissioned Blockchain
Ploder et al. A risk analysis on blockchain technology usage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KR10237678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Baskar et al. Data security in healthcar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Chhabra et al. An overview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comparison between various cryptocurrencies
Matei Blockchain technology–support for collaborativ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