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745A -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745A
KR20200078745A KR1020180167102A KR20180167102A KR20200078745A KR 20200078745 A KR20200078745 A KR 20200078745A KR 1020180167102 A KR1020180167102 A KR 1020180167102A KR 20180167102 A KR20180167102 A KR 20180167102A KR 20200078745 A KR20200078745 A KR 20200078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ilk protein
silk
food composition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희
이영환
강민정
윤수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8745A/ko
Publication of KR2020007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실크 단백질 추출물은 실크 단백질 용액을 20 내지 40kHz의 초음파로 처리하는 초음파 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SILK PEPTIDE EXTRACT}
본 발명은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조건에서 처리함으로써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만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원료로서 다양한 천연물질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들 중 실크 단백질의 효과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실크 단백질을 이용한 식품 조성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01231호에 개시된 실크 피브로인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다이어트 국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실크 아미노산인 피브로인을 밀가루에 섞으면 다이어트 효과뿐만 아니라 밀가루 반죽의 점도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1040호에서는 고분자량의 실크 피브로인을 함유함으로써 혈당 및 콜레스테롤 저하의 효과와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의 효과를 얻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21215호에서는 실크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다이어트 식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42725호에서는 실크 단백질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통해 갱년기 증상의 완화, 고지혈증의 완화뿐만 아니라 장기간 복용으로 비만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출원인은 이러한 실크 단백질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실크 단백질을 분해하는 방법인 산 처리가 아닌 초음파를 이용한 실크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해 오고 있다. 초음파를 이용한 실크 단백질의 제조 방법은 실크 단백질의 분해과정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초음파 조건과 단백질 분해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자연상태의 실크 단백질은 아미노산 성분으로 글리신 약 50%, 알라닌 약 30%, 세린 약 10%로 구성되어 있는데 분해공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른 아미노산 성분의 함량에 의해 실크 단백질 제품의 품질이 결정되는 점에서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율에 대한 최적화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012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2104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2121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427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0338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231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초음파 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된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통해 생산 수율이 높고 취식성이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은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크 단백질 추출물은 20 내지 40kHz의 초음파로 처리하는 초음파 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크 단백질 추출물은, 실크를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화칼슘 수용액에 가용화하는 실크 단백질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실크 단백질 용액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부가하는 실크 분해 단계; 상기 실크 단백질 용액을 20 내지 40kHz의 초음파로 처리하는 초음파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수리 추출물은, 비수리를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비수리를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심분리액의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국 추출물은, 감국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감국을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심분리액의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은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를 통해 건조시켜 분말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초음파 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된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존의 산 처리 가수분해의 제조방법, 효소분해 방법, 고압효소분해 방법 등에 비해 생산 수율이 높고 취식성이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크 단백질 추출물(a), 비수리 추출물(b) 및 감국 추출물(c)의 추출 공정에 있어서, 초음파 처리 공정의 압력에 따른 수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크 단백질 추출물(a), 비수리 추출물(b) 및 감국 추출물(c)의 추출 공정에 있어서, 초음파 처리 공정의 시간에 따른 수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은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크 단백질 추출물은 20 내지 40kHz의 초음파로 처리하는 초음파 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수리 추출물은, 비수리를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비수리를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심분리액의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감국 추출물은, 감국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감국을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심분리액의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의 초음파 원심분리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실크 단백질 추출방법은 통상의 효소분해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서, 효소분해 처리된 실크 단백질을 초음파 처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크 단백질 추출물은 실크를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화칼슘 수용액에 가용화하는 실크 단백질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실크 단백질 용액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부가하는 실크 분해 단계, 상기 실크 단백질 용액을 20 내지 40kHz의 초음파로 처리하는 초음파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크 단백질의 분해는 일반적으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효소분해로도 분해될 수 있으나, 초음파 처리를 함으로써 유효성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실크 단백질을 분해하여 저분자량의 실크 단백질을 추출하는 공정은 실크 단백질의 식품, 의약품 등의 이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크 단백질의 분해를 위하여 실크 단백질 용액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부가하는 통상적인 효소분해 방법에 더하여 초음파 조건에서의 처리를 통해 이러한 저분자량의 실크 단백질에 대한 수율을 크게 높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분해효소는 엔도형(endo type)의 Protease와 엑소형(exo type)의 aminopeptidase로 단백질을 분해하는 방법으로 분류되고 있다. 효소의 active site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기능에 따라 Serine protease, thiol (cysteine) protease, Aspartyl protease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생물체에 따라 Bacterial protease와 Fungal protease로, 반응조건인 pH에 따라 acidic, neutral, alkaline protease로도 구분되고 있으며 각각의 특이성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크 단백질의 분해효율을 높이기 위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선발하고 이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되 초음파 조건의 처리에 적합한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식품첨가물로 허가된 계통을 사용하면 효소처리에 의해 제조된 실크 단백질을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공정에서는 실크 단백질 용액 제조하게 되는데, 실크를 가용화하기 위한 최적의 용매를 탐색하였다. 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염화칼슘 수용액에 가용화함으로써 이후 각각의 공정조건을 통해 높은 수율의 저분자량 실크 단백질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크(견사)를 탄산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세리신을 제거하고, 얻어진 실크 단백질을 상기와 같은 용매를 이용하여 가용화시킨 후, 투석과정을 거쳐 과량의 염을 제거함으로써 실크 단백질 용액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크(견사)를 0.02M의 탄산나트륨 용액에 충분히 잠기게 하여 100℃에서 20분간 끓이며, 이 과정을 3번 반복하였다. 이후, 건조하여 세리신이 제거된 실크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실크 단백질 용액을 식품용으로 허가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분해하는데, 이러한 분해 공정을 통해 가용성인 저분자량의 실크 단백질이 얻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련된 20 중량부의 실크 단백질에 수산화나트륨 또는 염화칼슘 용액을 100 중량부를 가한다. 이를 80 내지 90℃에서 1 내지 3시간 교반하여 용해시킴으로써 20%(w/v)의 고점도 실크 단백질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용액을 한계분자량이 14,000인 투석막(Sigma사)을 이용하여 3일 이상 계속하여 증류수를 교체하면서 과량의 염을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실크 단백질 용액의 점도가 낮아진다.
투석이 완료되면 실크 단백질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0.45㎛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막(Advantec사)을 이용하여 여과한다. 이때 실크 피브로인의 농도는 투석 전 20%(w/v)에서 투석-원심분리-여과를 거친 후 약 4 내지 5%(w/v) 수준으로 감소한다.
제4 공정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실크 단백질의 저분자량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식품첨가제 용도로 판매되는 다양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구입하여 사용한다. 단백질 분해효소는 각각의 적정 pH에 해당하는 식품용 무기염을 이용한 인산염 완충용액이나 글리신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0.45㎛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막(Advantec사)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냉장보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단백질 분해효소는 식품용으로 허가된 것으로서 Alcalaseⓡ AF2.4 L, Alphalaseⓡ NP, Delvolase™, FoodProⓡ Alakline Protease, Maxazymeⓡ NNP DS, Neutrase™ 0.8 L, Protamexⓡ, Bromelain BR1200, Collupulin™ MG, Flavourzymeⓡ 500 MG, Promod™ 192P, Promod™ 279MDP, Promod™ 278MDP, Pancreatin, BC Pepsin를 들 수 있다.
효소 반응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단백질 정량방법 중에서 펩타이드 결합에 직접 반응하는 Lowry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Lowry 방법은 효소반응액 0.2㎖에 2% Na2CO3(0.1M NaOH)와 1% CuSO4와 2% 주석산칼륨나트륨 4수화물을 98: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액을 1㎖ 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Folin-Ciocaiteu Reagent(Sigma사)와 증류수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액을 0.1㎖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간 혼합한 후 595nm의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단백질의 농도 측정을 위한 표준물질은 Protein standard(Sigma사)를 사용한다.
효소 반응에 의한 분해산물인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은 아미노기와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Ninhydrin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효소반응액 0.2㎖에 Ninhydrin Reagent(Sigma사)를 0.1㎖ 혼합하고 10분 동안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95% 에탄올 0.5㎖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570nm의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한다. 아미노산 정량을 위한 표준물질은 실크 피브로인의 주요 아미노산인 글리신(Samchun사)를 0.05% 아세트산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량의 단백질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하여 저분자량의 단백질(또는 펩타이드)로 분해되면 Lowry 방법에 의한 단백질의 량은 감소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분해된 펩타이드 결합으로부터 아미노기가 노출되어 효소 반응에 따라 아미노산의 량은 증가하게 된다. 엔도형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되면 단백질의 량은 감소하는 반면 아미노산의 량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엑소형(aminopeptidase)의 단백질 분해효소의 경우에는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말단의 아미노산을 단백질 본체에서 격리시키기 때문에 효소반응에 따라 단백질의 량은 미량 감소하는 반면 아미노산의 량은 증가하게 된다.
실험결과 단백질 분해효소로 Alcalase, FoodPro Alkaline Protease, Papain, Alphalase, 및 Delvolase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때 실크 단백질의 분해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를 실크 단백질 대비 0.1~5 중량% 부가할 때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단백질 분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효소반응이 끝나면 제5 공정으로서 탈염 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기 위해 실크 단백질 용액을 탈염기를 통하여 탈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6 공정으로서 초음파 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즉, 탈염이 끝난 실크 단백질을 20 내지 40kHz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초음파 처리를 수행하는데, 상기 초음파 처리를 위한 조건은 20 내지 60℃의 온도, 5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는 초음파 반응기를 가열하지 않고 초음파 처리했을 때 달성되는 온도로서 실크 단백질 용액에 대한 별도의 가열처리를 하지 않아 성분의 파괴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초음파 처리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지나치게 짧으면 초음파 처리하지 않은 시료와 유사한 수준의 실크 단백질 분해 효율을 얻었으며, 지나치게 길어도 실크 단백질 분해 효율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 공정의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시간 범위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처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음파 처리 시간을 20시간으로 하고 초음파를 변화시켰을 때의 실크 단백질의 수율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또한, 초음파를 24kHz로 하고 처리시간을 변화시켰을 때의 실크 단백질의 수율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1 및 2에서 추출량은 통상적인 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실크 단백질 중 세린(serine)을 기준으로 하여 증가된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을 통해 산 처리했을 때의 세린 함량은 전체 아미노산 중 8.7mol%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분해효소를 적용하여 분해했을 때의 전체 아미노산 중 세린 함량은 10.31mol%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초음파 조건에서는 초음파 영역이나 시간에 따른 수율은 초음파 처리 시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초음파 조건과 일반적인 열수 조건을 비교해보면, 초음파 조건에서 15% 이상의 수율 차이를 나타내어 초음파 처리에 따른 저분자량 실크 펩타이드의 수율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은 실크 단백질 추출물 30 내지 60 중량부, 비수리 추출물 10 내지 40 중량부, 감국 추출물 10 내지 40 중량부의 범위에서 배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크 단백질 추출물은 취식성이 좋지 않아 식품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될 때 소량 사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처리에 의해 저분자량화 된 실크 단백질의 추출물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량 함유하여도 취식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음파 처리 공정을 거친 실크 단백질 추출물 30 중량부, 비수리 추출물 30 중량부, 감국 추출물 30 중량부를 배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또한, 비교를 위하여 초음파 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Alcalase를 실크 단백질 대비 1 중량% 부가하여 효소분해 공정을 통해 제조한 실크 단백질 추출물 30 중량부, 비수리 추출물 30 중량부, 감국 추출물 30 중량부를 배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실험을 위하여 일상식이를 하는 20∼3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품 조성물을 30일간 매일 1회 복용시켰으며, 복용은 10g을 물 100㎖에 희석하여 음용하도록 하였다. 복용 전 및 복용 후에 inbody 체성분 측정기를 사용하여 신체의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체중 및 신체지수(BMI)를 측정하여 결과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의 식품 조성물을 복용한 경우, 복용 전후에 있어서 체지방율 5.36%, 복부지방율 5.63%, 체중 9.78%, 신체지수 8.32%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비교예의 식품 조성물을 복용한 경우, 복용 전후에 있어서 체지방율 2.95%, 복부지방율 3.86%, 체중 5.02%, 신체지수 6.54%의 감소가 나타나, 실시예의 식품 조성물에서 항비만 효과가 더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식품 조성물은 체지방율과 복부지방율의 감소폭이 약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장의 숙변 제거에 효과적인 감국 추출물을 초고압 처리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또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식품 조성물을 복용할 때의 취식성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5점 평가법(매우 좋다(5점), 좋다(4점), 보통이다(3점), 나쁘다(2점), 매우 나쁘다(1점))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의 식품 조성물은 취식성에서 각각 4.2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예의 경우 3.8로 나타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이 취식성이 좀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기 식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실크 단백질의 초음파 처리에 의한 식감 개선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실크 단백질 추출물은 실크 단백질 용액을 20 내지 40kHz의 초음파로 처리하는 초음파 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크 단백질 추출물은,
    실크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또는 염화칼슘 수용액에 가용화하는 실크 단백질 용액 제조 단계;
    상기 실크 단백질 용액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부가하는 실크 분해 단계;
    상기 실크 단백질 용액을 20 내지 40kHz의 초음파로 처리하는 초음파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수리 추출물은,
    비수리를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비수리를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심분리액의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국 추출물은,
    감국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감국을 원심분리하여 원심분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심분리액의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은 실크 단백질 추출물, 비수리 추출물 및 감국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를 통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167102A 2018-12-21 2018-12-21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KR20200078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102A KR20200078745A (ko) 2018-12-21 2018-12-21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102A KR20200078745A (ko) 2018-12-21 2018-12-21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745A true KR20200078745A (ko) 2020-07-02

Family

ID=7159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102A KR20200078745A (ko) 2018-12-21 2018-12-21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8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441B1 (ko) * 2020-10-30 2021-11-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 및 홍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사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215A (ko) 2003-02-12 2003-03-12 주식회사 아미노젠 천연 식이섬유와 기능성 천연 소재를 함유하는 항비만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다이어트 식품의 제조
KR100501231B1 (ko) 2003-02-17 2005-07-18 김찬호 다이어트 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040B1 (ko) 2011-08-25 2012-03-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량 실크 피브로인을 함유하는 혈당 및 콜레스테롤 강하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383B1 (ko) 2012-09-10 2013-09-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세포의 과립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160123130A (ko) 2015-04-15 2016-10-2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2725A (ko) 2016-06-20 2017-12-2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실크 단백질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215A (ko) 2003-02-12 2003-03-12 주식회사 아미노젠 천연 식이섬유와 기능성 천연 소재를 함유하는 항비만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다이어트 식품의 제조
KR100501231B1 (ko) 2003-02-17 2005-07-18 김찬호 다이어트 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040B1 (ko) 2011-08-25 2012-03-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량 실크 피브로인을 함유하는 혈당 및 콜레스테롤 강하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383B1 (ko) 2012-09-10 2013-09-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세포의 과립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160123130A (ko) 2015-04-15 2016-10-2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2725A (ko) 2016-06-20 2017-12-2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실크 단백질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441B1 (ko) * 2020-10-30 2021-11-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 및 홍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사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roenphun et al. Calcium-binding peptides derived from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protein hydrolysate
Segura Campos et al.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ptide fractions extracted by ultrafiltration of cowpea Vigna unguiculata hydrolysates
Arise et al. Inhibitory properties of bambara groundnut protein hydrolysate and peptide fractions against angiotensin‐converting enzymes, renin and free radicals
Mahmoodani et al. ACE inhibitory activity of pangasius catfish (Pangasius sutchi) skin and bone gelatin hydrolysate
He et al. Ultrasonication promotes extraction of antioxidant peptides from oxhide gelatin by modifying collagen molecule structure
Sitanggang et al. Membrane-based preparative methods and bioactivities mapping of tempe-based peptides
WO2007066694A1 (ja) 大豆ペプチド混合物の製造法
Kim et al. Enhancement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and improvement of the emulsifying and foaming properties of corn gluten hydrolysate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JP4226299B2 (ja) 魚由来ゼラチンペプチドの製造方法
Megías et al. Sunflower protein hydrolysates reduce cholesterol micellar solubility
KR20190130714A (ko) 초고압 효소가수분해를 이용한 실크단백질 추출방법.
KR20200078745A (ko) 실크 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Jiang et al. Preparation of grape seed polypeptide and its calcium chelate with determination of calcium bioaccessibility and structural characterisation
Xiao et al. Effect of solution p H and activated carbon dosage on the decolourization ability, nitrogen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anut meal hydrolysate
Zhao et al.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protein isolates induced by lipoxygenase-catalyzed linoleic acid oxidation during in vitro gastric digestion
KR101636680B1 (ko) 어류 유래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JP2013179941A (ja) ローヤルゼリー溶液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168413A1 (ja) デプレスタチン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JP6409190B2 (ja) 米糠加水分解物を製造する方法
JPS6258714B2 (ko)
KR100306256B1 (ko) 실크아미노산 수용액을 이용한 간장류의 제조방법
AU2019391652A1 (en) Methods of separating phosvitin and HDL from an egg yolk product and resulting compositions
KR19990058644A (ko) 알코올 분해 증진효과 및 콜레스테롤 상승억제효과를 지닌 세리신펩타이드 물질 및 이를 이용한 혼합음료 및 건강 식품
Hartnett et al. THE FORMATION OF HEAT AND ENZYME INDUCED (PLASTEIN) GELS FROM PEPSIN‐HYDROLYZED SOY PROTEIN ISOLATE 1
KR102410045B1 (ko) 어류 단백질의 효소 가수분해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