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023A -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023A
KR20200077023A KR1020180166121A KR20180166121A KR20200077023A KR 20200077023 A KR20200077023 A KR 20200077023A KR 1020180166121 A KR1020180166121 A KR 1020180166121A KR 20180166121 A KR20180166121 A KR 20180166121A KR 20200077023 A KR20200077023 A KR 2020007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ntrol
control layer
light
layer
path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623B1 (ko
Inventor
송영기
김치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23B1/ko
Priority to US16/710,948 priority patent/US11500199B2/en
Priority to CN201911274348.9A priority patent/CN111354268B/zh
Publication of KR2020007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4Sub-multiplexed active matrix panel, i.e. wherein one active driving circuit is used at pixel level for multiple image produc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78Contact-type imag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색상 이동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광 제어층, 제 1 광 제어층 상의 제 2 광 제어층, 및 제 2 광 제어층 상의 제 3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층; 및 제 1 광 제어층 또는 제 3 광 제어층에 결합된 투명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제 3 광 제어층은 제 2 광 제어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며, 광 경로 제어층은 제 1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1 굴절면; 및 제 2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자발광 소자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는 고속의 응답 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는 자체 발광이므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 차세대 평판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종래의 발광 표시 장치는 마이크로 캐비티(micro-cavity) 효과를 통해 자발광 소자의 휘도 출력 휘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반사체와 반투과 반사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화소에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적용한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관찰자의 관찰 각도가 표시 장치의 정면에서 측면으로 이동하여 커질수록 색상 이동(color shift) 현상이 발생하여 일부 색이 다른 색으로 시인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이 정면에서 측면 쪽으로 증가할수록 단파장에서 최대 공진 파장을 나타내게 되어 단파장 영역에서 색 이동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발광 표시 장치에 백색 영상을 표시할 때, 정면 시야각에서는 백색이 시인되고 측면 시야각에서는 청색 이동 현상으로 인하여 백색이 파란색을 띠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본 출원은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색상 이동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광 제어층, 제 1 광 제어층 상의 제 2 광 제어층, 및 제 2 광 제어층 상의 제 3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층; 및 제 1 광 제어층 또는 제 3 광 제어층에 결합된 투명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제 3 광 제어층은 제 2 광 제어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며, 광 경로 제어층은 제 1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1 굴절면; 및 제 2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에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커버 윈도우를 지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 화소 어레이부를 덮는 봉지부; 및 봉지부와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휘도 제어 부재를 포함하며, 휘도 제어 부재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며,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광 제어층, 제 1 광 제어층 상의 제 2 광 제어층, 및 제 2 광 제어층 상의 제 3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층; 및 제 1 광 제어층 또는 제 3 광 제어층에 결합된 투명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제 3 광 제어층은 제 2 광 제어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며, 광 경로 제어층은 제 1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1 굴절면; 및 제 2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광 경로 제어 부재,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 1 광 제어층과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투명 베이스 부재를 지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투명 베이스 부재는 제 3 광 제어층과 결합되고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광 제어층, 제 1 광 제어층 상의 제 2 광 제어층, 및 제 2 광 제어층 상의 제 3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층; 및 제 1 광 제어층 또는 제 3 광 제어층에 결합된 투명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제 3 광 제어층은 제 2 광 제어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며, 광 경로 제어층은 제 1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1 굴절면; 및 제 2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은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색상 이동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광 제어층과 제 2 광 제어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실험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에 대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에 대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예와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시야각별 색상 이동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예와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시야각별 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a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시야각별 CIE 1976 색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시야각별 CIE 1976 색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정면 시야각과 측면 시야각에서의 화이트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7b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정면 시야각과 측면 시야각에서의 화이트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1)는 투명 베이스 부재(10) 및 광 경로 제어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1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투명 베이스 부재(10)는 광학적 등방성 재질 또는 광학적 이방성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적 등방성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은 TAC(Tri alkyl cellulose) 필름, COP(Cyclo-olefin polymer) 필름, 또는 PC(polycarbonate) 필름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적 이방성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PEN(polyethylenapthanate)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베이스 부재(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므로, 배치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광학적 등방성 재질 또는 광학적 이방성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 경로 제어층(30)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또는 상면) 상에 배치되어 입사되는 광의 시야각에 따른 색상 이동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광 경로 제어층(30)은 단파장 영역에서 색 이동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경로 제어층(30)은 40도 이하의 입사각을 갖는 입사 광, 40 ~ 60도 범위의 입사각을 갖는 입사 광, 60도 이상의 입사각을 갖는 입사 광 각각의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야각에 따른 색상 이동 현상, 특히 단파장 영역에 입사 광에 대한 색상 이동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층(30)은 제 1 광 제어층(31), 제 2 광 제어층(33), 및 제 3 광 제어층(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광 제어층(31)은 투명 베이스 부재(10)를 경유하면서 60도 이상의 입사각을 갖는 제 1 입사 광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 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제 1 광 제어층(31)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 상에 배치된 베이스층(31a), 및 제 1 굴절면(RS1)을 가지도록 베이스층(31a)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31a)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 상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제 1 굴절면(RS1)을 가지도록 베이스층(31a)의 전면(또는 표면)에 형성됨으로써 60도 이상의 입사각을 갖는 제 1 입사 광(L1)의 경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제 1 굴절면(RS1)을 가지도록 베이스층(31a)의 전면(또는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제 1 굴절면(RS1)을 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폭(또는 직경)(W1), 제 1 높이(H1), 및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에 대해 제 1 각도(θ1)를 가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각도(θ1)는 10 ~ 40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 1 굴절면(RS1)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에 대해 10 ~ 40도 범위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폭(W1)은 10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설정될 수 있고, 제 1 높이(H1)는 제 1 폭(W1)의 0.15배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제 1 폭(W1)을 갖는 아랫변, 제 1 폭(W1)보다 좁은 제 2 폭(W)을 갖는 윗변, 및 제 1 각도(θ1)를 갖는 밑각을 포함하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미리 설정된 갭(G)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갭(G)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과 나란한 평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인접한 제 1 광학 패턴(OP1) 간의 갭(G)은 제 1 광학 패턴(OP1)의 제 1 폭(W1)의 0.1 ~ 0.2배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갭(G) 없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인접한 제 1 광학 패턴(OP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광 제어층(31)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오목 패턴(C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목 패턴(CP) 각각은 제 1 굴절면(RS1)을 빗변으로 하는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구조 또는 역삼각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인접한 제 1 광학 패턴(OP1)이 미리 설정된 갭(G)만큼 서로 이격된 경우, 복수의 오목 패턴(CP)은 제 1 굴절면(RS1)을 빗변으로 하는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접한 제 1 광학 패턴(OP1)이 갭(G) 없이 서로 연결된 경우, 복수의 오목 패턴(CP)은 제 1 굴절면(RS1)을 빗변으로 하는 역삼각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층(31a)의 전면(또는 표면)은 제 1 광학 패턴(OP1)과 오목 패턴(CP)이 교번적으로 반복 배치된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광 제어층(31)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과 복수의 오목 패턴(CP)을 갖는 요철 구조물(또는 요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광 제어층(31)의 요철 구조물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과 대응되는 복수의 음각 몰드 또는 복수의 오목 패턴(CP)과 대응되는 복수의 양각 몰드를 이용한 임프린트 공정에 의해 베이스층(31a)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광 제어층(33)은 제 1 광 제어층(31)을 경유하면서 40 ~ 60도 범위의 입사각을 갖는 제 2 입사 광(L2) 및 40도 이하의 입사각을 갖는 제 3 입사 광(L3) 각각의 광 경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 1 광 제어층(31) 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제 2 광 제어층(33)은 제 2 및 제 3 굴절면(RS2, RS3)을 가지도록 제 1 광 제어층(31)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오목 패턴(CP) 각각과 중첩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은 복수의 오목 패턴(CP)을 제외한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의 전면(또는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은 제 2 굴절면(RS2)을 빗변으로 하고 제 3 굴절면(RS3)을 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굴절면(RS2)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굴절면(RS3)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과 나란한 평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은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2 폭(또는 직경)(W2), 제 2 높이(H2), 및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또는 볼록 패턴의 상면)에 대해 제 2 각도(θ2)를 가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은 제 2 폭(W2)을 갖는 아랫변, 제 2 폭(W2)보다 좁은 폭을 갖는 윗변, 및 제 2 각도(θ2)를 갖는 밑각을 포함하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의 아랫변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의 윗변을 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의 제 2 폭(W2)은 제 1 광학 패턴(OP1)의 제 1 폭(W1)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폭(W2)은 제 1 폭(W1)의 0.8배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의 제 2 높이(H2)는 제 1 광학 패턴(OP1)의 제 1 높이(H1)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높이(H2)는 제 1 높이(H1)의 2 ~ 3배로 설정되거나 제 1 광학 패턴(OP1)의 제 1 폭(W1)의 0.2 ~ 0.4배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의 제 2 각도(θ2)는 제 1 광학 패턴(OP1)의 제 1 각도(θ1)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각도(θ2)는 50 ~ 80도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 2 굴절면(RS2)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에 대해 50 ~ 80도 범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은 제 2 굴절면(RS2)과 제 3 굴절면(RS3)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코너 라운딩면(CR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 라운딩면(CRS)은 미리 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으로 이루어진 제 2 광 제어층(33)은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과 대응되는 복수의 음각 몰드를 이용한 임프린트 공정에 의해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과 일대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광 제어층(35)은 제 2 광 제어층(3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3 광 제어층(35)은 제 1 광 제어층(31)과 제 2 광 제어층(33)이 배치된 투명 베이스 부재(10) 상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투명 베이스 부재(10) 상에 노출된 제 1 광 제어층(31)과 제 2 광 제어층(33)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광 제어층(35)은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의 둘러싸면서 복수의 오목 패턴(CP) 각각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제 3 광 제어층(35)은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의 제 2 굴절면(RS2)과 제 3 굴절면(RS3) 및 코너 라운딩면(CRS), 및 복수의 오목 패턴(CP) 각각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과 제 3 광 제어층(3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광 제어층(31)과 제 3 광 제어층(35) 간의 접촉면(또는 계면)은 제 1 굴절면(RS1)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 2 광 제어층(33)과 제 3 광 제어층(35) 간의 접촉면(또는 계면)은 제 2 및 제 3 굴절면(RS2, RS3) 각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굴절면(RS1)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과 나란한 기준 면에 대해 10 ~ 40도 범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60도 이상의 입사각을 갖는 제 1 입사 광(L1)을 수직 방향으로 굴절시킨다. 상기 제 2 굴절면(RS2)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과 나란한 기준 면에 대해 50 ~ 80도 범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40 ~ 60도 범위의 입사각을 갖는 제 2 입사 광(L2)을 수직 방향으로 굴절시킨다. 상기 제 3 굴절면(RS3)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일면(10a)과 나란한 평탄면으로 형성됨으로써 40도 이하의 입사각을 갖는 제 3 입사 광(L3)을 수직 방향으로 굴절시킨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굴절면(RS1, RS2, RS3)은 입사 광(L1, L2, L3)을 수직 방향으로 굴절시킴으로써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색상 이동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광 제어층(31)과 제 2 광 제어층(33) 및 제 3 광 제어층(35)은 입사되는 광의 시야각에 따른 색상 이동 현상, 특히 단파장 광의 색상 이동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각기 다른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며, 제 1 광 제어층(31)은 제 3 광 제어층(35)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제 2 광 제어층(33)은 제 1 광 제어층(31)과 같거나 제 1 광 제어층(31)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거나 제 3 광 제어층(35)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 각각은 제 1 광 제어층(31)과 같거나 제 1 광 제어층(31)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거나 제 3 광 제어층(35)보다 높은 굴절율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광 제어층(31)의 굴절율은 1.52 ~ 1.65 범위로 설정될 수 있고,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으로 이루어진 제 2 광 제어층(33)의 굴절율은 1.46 ~ 1.65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 3 광 제어층(35)의 굴절율은 1.38 ~ 1.46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광 제어층(31)과 제 2 광 제어층(33) 간의 굴절율 차이는 0 ~ 0.06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 2 광 제어층(33)과 제 3 광 제어층(35) 간의 굴절율 차이는 0.12 ~ 0.2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광 제어층(31, 33, 35) 각각은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는 아세톤과 사이안산 및 메타크릴산메틸에스터(메타크릴산메틸)의 중합체로서 중합 조건에 의해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광 제어층(31, 33, 35) 각각은 아세톤과 사이안산 및 메타크릴산메틸에스터(메타크릴산메틸)의 서로 다른 중합 조건에 의해 중합된 중합체에 의해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광 제어층(31)과 제 3 광 제어층(35) 사이의 경사진 접촉면(또는 계면)에 마련된 제 1 굴절면(RS1)에 입사되는 60도 이상의 입사각을 갖는 제 1 입사 광(L1)의 진행 경로는 제 1 광 제어층(31)과 제 3 광 제어층(35)의 굴절율 차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사 광(L1)은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율을 갖는 제 1 광 제어층(31)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는 제 3 광 제어층(35)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제 1 굴절면(RS1)에서의 굴절각이 증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집광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광 제어층(33)과 제 3 광 제어층(35) 사이의 경사진 접촉면(또는 계면)에 마련되는 제 2 굴절면(RS2)에 입사되는 40 ~ 60도 범위의 입사각을 갖는 제 2 입사 광(L2)의 진행 경로는 제 2 광 제어층(33)과 제 3 광 제어층(35)의 굴절율 차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사 광(L2)은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율을 갖는 제 2 광 제어층(33)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는 제 3 광 제어층(35)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제 2 굴절면(RS2)에서의 굴절각이 증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집광될 수 있다.
또한, 제 2 광 제어층(33)과 제 3 광 제어층(35) 사이의 평탄한 접촉면(또는 계면)에 마련되는 제 3 굴절면(RS3)에 입사되는 40 이하의 입사각을 갖는 제 3 입사 광(L3)의 진행 경로는 제 2 광 제어층(33)과 제 3 광 제어층(35)의 굴절율 차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입사 광(L3)은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율을 갖는 제 2 광 제어층(33)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굴절율을 갖는 제 3 광 제어층(35)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제 3 굴절면(RS3)에서의 굴절각이 증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집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1)는 입사 광(L1, L2, L3)의 진행 경로가 제 1 내지 제 3 광 제어층(31, 33, 35)의 굴절율 차이 및 제 1 제 1 광학 패턴(OP1)과 제 2 광학 패턴(OP2)의 형상에 따라 마련되는 제 1 내지 제 3 굴절면(RS1, RS2, RS3)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시야각별 색상 이동 현상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입사되는 입사 광(L1, L2, L3)이 제 1 내지 제 3 굴절면(RS1, RS2, RS3)에서 큰 굴절각으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집광됨으로써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광 제어층과 제 2 광 제어층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는 제 1 광학 패턴들과 제 2 광학 패턴들의 다양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 1 예에 따른 제 1 광 제어층(31)의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은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나란하면서 제 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된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및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과 나란하도록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오목 패턴(C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제 2 방향(Y)을 따라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의 제 1 예에 따른 제 2 광 제어층(33)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과 중첩되도록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제 1 광학 패턴들(OP1)과 제 2 광학 패턴들(OP2) 각각은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나란하면서 제 1 방향(X)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 2 예에 따른 제 1 광학 패턴들(OP1)과 제 2 광학 패턴들(OP2) 각각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서로 나란하면서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제 2 예에 따른 제 1 광학 패턴들(OP1)과 제 2 광학 패턴들(OP2) 각각은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광 제어층(31)에 배치되는 복수의 오목 패턴(CP) 각각은 제 1 광학 패턴들(OP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제 2 예에 따른 제 1 광학 패턴들(OP1)과 제 2 광학 패턴들(OP2)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1)는 시야각별 색상 이동 현상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에 따른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 3 예에 따른 제 1 광 제어층(31)의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사각뿔대 형태를 갖는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및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오목 패턴(C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은 사각뿔대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의 제 1 예에 따른 제 2 광 제어층(33)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광학 패턴(OP2)은 복수의 제 1 광학 패턴(OP1) 각각과 중첩되면서 사각뿔대 형태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제 3 예에 따른 제 1 광학 패턴들(OP1)과 제 2 광학 패턴들(OP2)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대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제 3 예에 따른 제 1 광학 패턴들(OP1)과 제 2 광학 패턴들(OP2)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1)는 시야각별 색상 이동 현상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에 따른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으로서, 이는 광 경로 제어층의 형성 위치를 변경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1')는 투명 베이스 부재(10') 및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타면(또는 후면)(10b)에 배치된 광 경로 제어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10')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커버 윈도우(또는 커버 글라스)에 사용되는 글라스 재질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투명 베이스 부재(1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경로 제어층(30')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타면(또는 후면)(10b)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의 시야각에 따른 색상 이동(color shift)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층(30')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타면(10b)에 형성된 제 3 광 제어층(35), 제 3 광 제어층(35)에 형성된 제 2 광 제어층(33), 및 제 2 광 제어층(33)에 형성된 제 1 광 제어층(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경로 제어층(30')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타면(10b)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광 경로 제어층(3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층(30')에서, 제 1 광학 패턴들(OP1)과 제 2 광학 패턴들(OP2)은 도 2 내지 도 5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1)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커버 윈도우(1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 및 미들 프레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10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 및 미들 프레임(500) 각각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전면(前面)과 측면을 덮음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 글라스 재질, 또는 강화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커버 윈도우(10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버 윈도우(10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등의 투명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긁힘과 투명도를 고려하여 강화 글라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는 전면부(110) 및 측벽부(130)를 포함할 수 있따.
상기 전면부(110)는 커버 윈도우(100)의 중앙 부분으로서, 광이 투과되는 투명 영역일 수 있다. 전면부(110)는 전체적으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벽부(130)는 전면부(11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로 만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부(110)의 가장자리 부분은 측벽부(130)에 의해 전체적으로 만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벽부(130)은 측면 윈도우 또는 측면 곡면 윈도우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 윈도우(100)는 전체적으로 만곡된 4면 벤딩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자 기기의 미감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전자 기기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각각의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커버 윈도우(100)는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 디자인층(또는 데코레이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층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과 마주하는 커버 윈도우(100)의 후면(또는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적어도 1회 프린팅됨으로써 전자 기기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않는 비표시 영역을 감출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는 전면부(110)만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측벽부(130)는 생략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이 플렉서블 발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커버 윈도우(100)의 후면(또는 배면)에 결합되어 영상을 표시하거나 사용자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모듈 본딩 부재(200)를 이용한 다이렉트 본딩 공정을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전면부(110) 후면에 본딩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 본딩 부재(200)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본딩 부재(200)는 투명 점착 부재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커버 윈도우(100)의 전면부(110) 쪽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표시부의 제 1 가장자리로부터 곡면 형태로 벤딩되어 커버 윈도우(100)의 측벽부(130) 중 제 1 측벽의 곡면 쪽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벤딩 표시부, 및 표시부의 제 2 가장자리로부터 곡면 형태로 벤딩되어 커버 윈도우(100)의 측벽부(130) 중 제 2 측벽의 곡면 쪽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제 2 벤딩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벤딩 표시부와 제 2 벤딩 표시부는 생략 가능하며,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표시부는 커버 윈도우(100)의 전면부(110)와 중첩되는 반면에 측벽부(130)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은 표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배면(또는 후면)에 결합된 방열 시트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표시부와 제 1 벤딩 표시부 및 제 2 벤딩 표시부 각각에 영상을 표시하거나 표시부에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플렉서블 기판(311), 화소 어레이부(312), 게이트 구동 회로부(GDC), 봉지부(313), 터치 전극부(315), 편광 부재(317), 및 휘도 제어 부재(319), 및 백 플레이트(B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31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베이스 기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311)은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불투명 또는 유색의 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311)은 유연성을 갖는 박형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부(312)는 플렉서블 기판(311)에 정의된 표시부와 제 1 벤딩 표시부 및 제 2 벤딩 표시부 상에 형성됨으로써 표시부와 제 1 벤딩 표시부 및 제 2 벤딩 표시부 각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어레이부(312)는 플렉서블 기판(311) 상에 마련된 신호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마련되고 신호 라인들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라인들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화소 구동 전원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화소 영역에 마련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층,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 전극,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된 발광 소자층, 및 발광 소자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플렉서블 기판(311) 상에 정의된 각 화소 영역의 트랜지스터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은 a-Si, poly-Si, 또는 저온 poly-Si 등의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IGZO(Indium-Gallium-Zinc-Oxide) 등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은 각 화소 영역에 정의된 개구 영역에 패턴 형태로 마련되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발광 소자층은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화소 별로 동일한 색, 예로서 화이트(white)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현되거나 화소 별로 상이한 색, 예로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발광 소자층은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집적 회로(IC) 또는 칩(Chip) 형태로 구현된 발광 다이오드로서, 애노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단자 및 캐소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은 각 화소 영역에 마련된 발광 소자층의 발광 소자와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부(GDC)는 플렉서블 기판(311) 상에 마련된 게이트 신호 라인들 각각의 일단 및/또는 타단과 연결되도록 플렉서블 기판(311)의 제 1 및/또는 제 2 가장자리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부(GDC)는 플렉서블 기판(31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패드부를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부는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과 함께 형성되는 게이트 내장 회로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봉지부(313)는 화소 어레이부(312)를 둘러싸도록 플렉서블 기판(311) 상에 형성됨으로써 산소 또는 수분이 화소 어레이부(312)의 발광 소자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봉지부(313)는 유기 물질층과 무기 물질층이 교대로 적층된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기 물질층은 산소 또는 수분이 화소 어레이부(312)의 발광 소자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물질층은 제조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이물들(particles)을 덮을 수 있도록 무기 물질층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부(313)는 제 1 무기막, 제 1 무기막 상의 유기막, 및 유기막 상의 제 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막은 이물 커버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부(315)는 봉지부(313) 상에 배치되어 커버 윈도우(100)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의 역할을 한다.
일 예에 따른 터치 전극부(315)는 화소 어레이부(312)와 중첩되는 봉지부(313) 상에 배치된 터치 전극층, 및 터치 전극층을 덮는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터치 전극부(315)는 봉지부(313)를 덮는 터치 버퍼층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전극층은 화소 어레이부(312)와 중첩되는 봉지부(313)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전극들은 터치 구동 전극들과 동일층에 배치되거나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전극부(315)는 공지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경우, 터치 패널은 투명 점착 부재(314)를 매개로 봉지부(313)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점착 부재(314)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부재(317)는 투명 점착 부재(316)를 매개로 터치 전극부(315)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편광 부재(317)는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야외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부재(317)는 광학적 등방성 하부 필름, 광학적 등방성 하부 필름 상에 합지된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에 합지된 광학적 등방성 상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커버 윈도우(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외부 광이 화소 어레이부(312)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커버 윈도우(100) 쪽으로 진행하는 반사 광을 차단하는 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 부재(317)의 광학적 등방성 하부 필름은 투명 점착 부재(316)를 매개로 터치 전극부(315)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휘도 제어 부재(319)는 편광 부재(317) 상에 배치되어 화소 어레이부(312)에서 방출되는 광의 경로를 커버 윈도우(100) 쪽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시야각에 따른 색상 이동 현상, 특히 단파장 영역에 입사 광에 대한 색상 이동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휘도 제어 부재(319)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광 경로 제어 부재(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예에 따른 휘도 제어 부재(319)는 필름 점착 부재(318)를 매개로 편광 부재(317)의 광학적 등방성 상부 필름 상에 부착되고, 모듈 본딩 부재(200)를 매개로 커버 윈도우(100)의 후면(또는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제어 부재(319)의 투명 베이스 부재(10, 도 1 참조)는 필름 점착 부재(318)를 매개로 편광 부재(317)의 광학적 등방성 상부 필름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휘도 제어 부재(319)의 광 경로 제어층(30, 도 1 참조)는 모듈 본딩 부재(200)를 매개로 커버 윈도우(100)의 후면(또는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 점착 부재(318)와 모듈 본딩 부재(200) 각각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플레이트(BP)는 화소 어레이부(312)와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311)의 후면(또는 배면)에 부착됨으로써 화소 어레이부(312)와 중첩되는 플렉서블 기판(311)의 후면(또는 배면)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백 플레이트(BP)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열 시트부(320)는 백 플레이트(BP)의 후면(또는 배면) 전체에 부착될 수 있다. 방열 시트부(320)는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을 보호하는 기능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열을 방열시키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방열 시트부(320)는 방열 시트, 쿠션 부재, 및 점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시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금속 물질을 갖는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방열 시트는 구리 등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방열 시트는 구리 등의 금속층과 금속층 상에 코팅된 그라파이트(graphite)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시트는 방열 기능과 접지 기능 및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배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부재는 방열 시트에 결합된 폼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부재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는 쿠션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점착 부재는 표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물(또는 엠보싱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 부재의 요철 구조물은 백 플레이트(BP)와 방열 시트부(320) 간의 부착시 백 플레이트(BP)와 방열 시트부(320)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백 플레이트(BP)와 방열 시트부(320) 사이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 공정의 생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미들 프레임(500)은 커버 윈도우(100)를 지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미들 프레임(500)은 전자 기기의 최외곽 측면에 배치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미들 프레임(510)은 컬러 코팅층을 갖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500)은 전자 기기의 방열 성능 개선을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500)은 미들 플레이트(510) 및 미들 측벽(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플레이트(5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300)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들 플레이트(5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와 호스트 구동 시스템 간의 전기적으로 연결을 위한 케이블 등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픈부,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 회로 부품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측벽(530)은 미들 플레이트(510)의 측면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커버 윈도우(100)의 측벽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측벽(530)은 양면 테이프 또는 방수 테이프를 매개로 커버 윈도우(100)의 측벽부(1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기기의 방수 성능이 향상되고 이물질 침투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미들 프레임(500)의 후면(또는 배면)을 덮는 백 커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700)는 미들 플레이트(510)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미들 측벽(530)에 결합됨으로써 미들 프레임(500)의 후면(또는 배면)을 덮으면서 미들 프레임(500)의 후면에 회로 수납 공간(701)을 마련한다. 상기 회로 수납 공간(701)은 미들 프레임(500)의 미들 플레이트(510)과 백 커버(700) 사이에 마련됨으로써 호스트 구동 시스템, 메모리, 및 배터리 등을 수납한다. 이러한 백 커버(700)는 전자 기기의 사용 중 배터리 방전에 따른 배터리 교체를 위해 미들 측벽(5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전자 기기의 수리를 위한 분해시에만 분리 가능하도록 미들 측벽(5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백 커버(700)는 전자 기기의 최외곽 후면에 배치된 것으로,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커버(700)는 컬러 코팅층을 갖는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출원의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1)를 포함함으로써 시야각별 색상 이동 현상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다른 단면도로서, 이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기기에서, 광 경로 제어 부재에 편광 부재를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광 경로 제어 부재와 편광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휘도 제어 부재(319)는 투명 베이스 부재(10), 광 경로 제어층(30), 및 편광 부재(3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10)와 상기 광 경로 제어층(30) 각각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투명 베이스 부재와 상기 광 경로 제어층 각각과 실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투명 베이스 부재(10)는 광학적 등방성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은 TAC(Tri alkyl cellulose) 필름, COP(Cyclo-olefin polymer) 필름, 또는 PC(polycarbonate) 필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광 경로 제어층(30)은 모듈 본딩 부재(200)를 매개로 커버 윈도우(100)의 후면(또는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편광 부재(317')는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된 편광 필름(PF), 및 광학적 등방성 하부 필름(L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PF)은 커버 윈도우(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외부 광이 화소 어레이부(312)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커버 윈도우(100)를 진행하는 반사 광을 차단하는 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적 등방성 하부 필름(LF)은 편광 필름(PF)의 후면에 합지되고, 투명 점착 부재(316)를 매개로 터치 전극부(315)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전자 기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휘도 제어 부재(319)와 편광 부재(317')의 일체화에 따라 부품 수 및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또 다른 단면도로서, 이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기기에서, 터치 전극부에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일체화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터치 전극부와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휘도 제어 부재(319)는 터치 전극부(315)에 내장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전극부(315)는 제 1 터치 필름(TF1), 휘도 제어 부재(319), 및 제 2 터치 필름(TF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치 필름(TF1)은 투명 점착 부재(314)를 매개로 봉지부(313)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터치 필름(TF1)은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을 갖는 제 1 터치 전극층, 및 제 1 터치 전극층을 덮는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 1 터치 전극 각각은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구동 전극(또는 터치 수신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휘도 제어 부재(319)는 제 1 터치 필름(TF1) 상에 배치되어 화소 어레이부(312)에서 방출되는 광의 경로를 커버 윈도우(100) 쪽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시야각에 따른 색상 이동 현상, 특히 단파장 영역에 입사 광에 대한 색상 이동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휘도 제어 부재(319)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광 경로 제어 부재(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터치 필름(TF2)은 휘도 제어 부재(319)의 광 경로 제어층(30, 도 1 참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터치 필름(TF2)은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을 갖는 제 2 터치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 2 터치 전극 각각은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기 위한 터치 수신 전극(또는 터치 구동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터치 필름(TF2)은 투명 점착 부재(316)를 매개로 편광 부재(317)의 후면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상기 제 1 터치 필름(TF1)과 제 2 터치 필름(TF2) 및 휘도 제어 부재(319)의 투명 베이스 부재 각각은 편광 부재(317)에 의해 편광된 외부 광이 화소 어레이부(312)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커버 윈도우(100) 쪽으로 진행하는 반사 광의 편광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광학적 등방성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터치 필름(TF1)과 제 2 터치 필름(TF2) 및 휘도 제어 부재(319)의 투명 베이스 부재 각각이 광학적 이방성을 가질 경우, 화소 어레이부(312)로부터 반사되어 다시 커버 윈도우(100) 쪽으로 진행하는 반사 광의 편광 상태가 변화됨에 따라 편광 부재(317)를 이용한 외부 광의 반사 저감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전자 기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휘도 제어 부재(319)가 터치 전극부(317)에 내장됨에 따라 부품 수 및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선 I-I'의 또 다른 단면도로서, 이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기기에서, 도 6에 도시된 광 경로 제어 부재를 커버 윈도우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버 윈도우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 커버 윈도우(100)는 투명 베이스 부재(10') 및 광 경로 제어층(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100)는 도 6에 도시된 광 경로 제어 부재(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10')는 도 6에 도시된 광 경로 제어 부재(1')의 투명 베이스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가장자리 부분(1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제 1 및 제 2 벤딩 표시부와 중첩되도록 곡면 형태로 만곡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가장자리 부분(13)은 미들 프레임(500)의 미들 측벽(53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 경로 제어층(30')은 투명 베이스 부재(10')의 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도 6에 도시된 광 경로 제어 부재(1')의 광 경로 제어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광 경로 제어층(30')은 모듈 본딩 부재(200)를 매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편광 부재(317)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도 6에 도시된 본 출원의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1')를 포함함으로써 시야각별 색상 이동 현상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실험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에 대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는 저굴절 매질에서 고굴절 매질로 진행하는 광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실험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입사 광(Lin)이 저굴절 매질(33')에서 고굴절 매질(35')로 진행함에 따라 저굴절 매질(33')과 고굴절 매질(35') 사이의 굴절면(RS)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굴절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굴절면(RS)에서 파장별 굴절각에 따른 색 분산이 커질수록 장파장(LWL) 대비 단파장(SWL)의 굴절각이 커짐에 따라 단파장(SWL)의 내부 전반사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예에 따르면,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 3 광 제어층(35')이 제 2 광 제어층(33')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질 경우, 시야각별 색상 이동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단파장의 내부 전바사로 인하여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에 대한 광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는 고굴절 매질에서 저굴절 매질로 진행하는 광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입사 광(Lin)이 고굴절 매질(33)에서 저굴절 매질(35)로 진행함에 따라 고굴절 매질(33)과 저굴절 매질(35) 사이의 굴절면(RS)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집광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굴절면(RS)에서 파장별 굴절각에 따른 색 분산이 커질수록 장파장(LWL) 대비 단파장(SWL)의 굴절각이 커짐에 따라 단파장(SWL)과 장파장(LWL)의 색 분리 현상이 극대화됨으로써 단파장(SWL)과 장파장(LWL)의 경로가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3 광 제어층(35)이 제 2 광 제어층(33)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짐으로써 시야각별 색상 이동 현상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단파장이 정면 방향으로 집광됨에 따라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예와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시야각별 색상 이동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에서, 제 1 그래프(A)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시야각별 색상 이동 변화량을 나타내며, 제 2 그래프(B)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시야각별 색상 이동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14에서, 가로 축은 시야각을 나타내며, 세로 축은 최소 식별 차이(Just Noticeable Difference, JND)의 지수(index)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 대비 40도 이상의 측면 시야각에서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예와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시야각별 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에서, 제 1 그래프(A)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시야각별 색변화(△u'v')를 나타내며, 제 2 그래프(B)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시야각별 색변화(△u'v')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가로 축은 시야각을 나타내며, 세로 축은 색변화(△u'v')의 지수(index)를 나타낸다.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 대비 40도 이상의 시야각에서 색변화(△u'v')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a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시야각별 CIE 1976 색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b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시야각별 CIE 1976 색좌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시야각별 CIE 1976 색좌표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 대비 화이트의 색좌표 쪽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45 ~ 60도의 시야각에서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 대비 우수한 색좌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 대비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a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정면 시야각과 측면 시야각에서의 화이트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17b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한 정면 시야각과 측면 시야각에서의 화이트 이미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7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기기 대비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시야각별 색상 이동 현상이 개선될 수 있으며, 특히, 측면 시야각에서 발생되는 블루위시(bluish)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출원에 따른 전자 기기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apparatus), 폴더블 기기(foldable apparatus), 롤러블 기기(rollable apparatus), 벤더블 기기(bendable apparatus), 플렉서블 기기(flexible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apparatus),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paper) 기기,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전자 기기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광 제어층, 제 1 광 제어층 상의 제 2 광 제어층, 및 제 2 광 제어층 상의 제 3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층; 및 제 1 광 제어층 또는 제 3 광 제어층에 결합된 투명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제 3 광 제어층은 제 2 광 제어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며, 광 경로 제어층은 제 1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1 굴절면; 및 제 2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제 1 굴절면과 제 2 굴절면은 투명 베이스 부재의 일면과 나란한 기준 면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기준 면을 기준으로, 제 1 굴절면과의 제 1 경사각은 제 2 굴절면의 제 2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제 1 광 제어층은 제 1 굴절면을 갖는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을 포함하고, 제 2 광 제어층은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 상에 배치되고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갖는 복수의 제 2 광 제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제 1 광 제어 패턴은 제 2 광 제어 패턴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광 제어 패턴은 제 2 광 제어 패턴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과 복수의 제 2 광 제어 패턴 각각은 스트라이트 형태, 메쉬 형태, 사각뿔대 형태, 또는 원뿔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제 1 광 제어층은 투명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된 패턴 지지층을 더 포함하며,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 각각은 제 1 굴절면을 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패턴 지지층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2 광 제어 패턴 각각은 제 2 굴절면을 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제 2 광 제어층은 제 1 광 제어층과 같거나 제 1 광 제어층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제 1 광 제어층은 제 3 광 제어층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제 1 광 제어 패턴의 굴절율은 1.52 ~ 1.65이고, 제 2 광 제어 패턴의 굴절율은 1.46 ~ 1.65이며, 제 3 광 제어층의 굴절율은 1.38 ~ 1.46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제 2 광 제어층의 굴절율과 제 3 광 제어층의 굴절율 차이는 0.12 ~ 0.2이며, 제 2 광 제어층의 굴절율과 제 1 광 제어층의 굴절율 차이는 0 ~ 0.06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투명 베이스 부재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 또는 투명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에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커버 윈도우를 지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 화소 어레이부를 덮는 봉지부; 및 봉지부와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휘도 제어 부재를 포함하며, 휘도 제어 부재는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며,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광 제어층, 제 1 광 제어층 상의 제 2 광 제어층, 및 제 2 광 제어층 상의 제 3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층; 및 제 1 광 제어층 또는 제 3 광 제어층에 결합된 투명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제 3 광 제어층은 제 2 광 제어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며, 광 경로 제어층은 제 1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1 굴절면; 및 제 2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광 경로 제어 부재의 광 경로 제어층은 모듈 결합 부재를 매개로 커버 윈도우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봉지부와 휘도 제어 부재 사이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휘도 제어 부재는 투명 베이스 부재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봉지부와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터치 전극부를 더 포함하며, 휘도 제어 부재는 터치 전극부에 내장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전극부와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며, 휘도 제어 부재의 투명 베이스 부재는 광학적 등방성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광 경로 제어 부재,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 1 광 제어층과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투명 베이스 부재를 지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투명 베이스 부재는 제 3 광 제어층과 결합되고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 경로 제어 부재는 제 1 광 제어층, 제 1 광 제어층 상의 제 2 광 제어층, 및 제 2 광 제어층 상의 제 3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층; 및 제 1 광 제어층 또는 제 3 광 제어층에 결합된 투명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제 3 광 제어층은 제 2 광 제어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며, 광 경로 제어층은 제 1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1 굴절면; 및 제 2 광 제어층과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 화소 어레이부를 덮는 봉지부, 및 봉지부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포함하며, 편광 부재는 모듈 결합 부재를 매개로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 1 광 제어층과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광 경로 제어 부재 10: 투명 베이스 부재
30: 광 경로 제어층 31: 제 1 광 제어층
31a: 패턴 지지층 33: 제 2 광 제어층
35: 제 3 광 제어층 100: 커버 윈도우
200: 모듈 본딩 부재 3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3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315: 터치 전극부
317: 편광 필름 319: 휘도 제어 부재
320: 방열 시트부 500: 미들 프레임
CP: 오목 패턴 OP1: 제 1 광학 패턴
OP2: 제 2 광학 패턴 RS1: 제 1 굴절면
RS2: 제 2 굴절면 RS2: 제 2 굴절면

Claims (20)

  1. 제 1 광 제어층, 상기 제 1 광 제어층 상의 제 2 광 제어층, 및 상기 제 2 광 제어층 상의 제 3 광 제어층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층; 및
    상기 제 1 광 제어층 또는 상기 제 3 광 제어층에 결합된 투명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광 제어층은 상기 제 2 광 제어층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며,
    상기 광 경로 제어층은,
    상기 제 1 광 제어층과 상기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1 굴절면; 및
    상기 제 2 광 제어층과 상기 제 3 광 제어층 사이의 제 2 굴절면과 제 3 굴절면을 갖는, 광 경로 제어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절면과 상기 제 2 굴절면은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의 일면과 나란한 기준 면에 대해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광 경로 제어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굴절면과의 제 1 경사각은 상기 제 2 굴절면의 제 2 경사각보다 작은, 광 경로 제어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제어층은 상기 제 1 굴절면을 갖는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 제어층은 상기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굴절면과 상기 제 3 굴절면을 갖는 복수의 제 2 광 제어 패턴을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제어 패턴은 상기 제 2 광 제어 패턴보다 넓은 폭을 갖는, 광 경로 제어 부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제어 패턴은 상기 제 2 광 제어 패턴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광 경로 제어 부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2 광 제어 패턴 각각은 스트라이트 형태, 메쉬 형태, 사각뿔대 형태, 또는 원뿔대 형태를 포함하는, 광 경로 제어 부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제어층은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된 패턴 지지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 각각은 상기 제 1 굴절면을 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패턴 지지층으로부터 돌출된, 광 경로 제어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광 제어 패턴 각각은 상기 제 2 굴절면을 빗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광 제어 패턴에 각각 배치된, 광 경로 제어 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 제어층은 상기 제 1 광 제어층과 같거나 제 1 광 제어층보다 높은 굴절율을 갖는, 광 경로 제어 부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제어층은 상기 제 3 광 제어층보다 높은 굴절율을 갖는, 광 경로 제어 부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제어 패턴의 굴절율은 1.52 ~ 1.65이고,
    상기 제 2 광 제어 패턴의 굴절율은 1.46 ~ 1.65이며,
    상기 제 3 광 제어층의 굴절율은 1.38 ~ 1.46인, 광 경로 제어 부재.
  13.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에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를 지지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
    상기 화소 어레이부를 덮는 봉지부; 및
    상기 봉지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휘도 제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휘도 제어 부재는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광 경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광 경로 제어층은 모듈 결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커버 윈도우의 후면에 결합된, 전자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봉지부와 상기 휘도 제어 부재 사이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 부재는 상기 투명 베이스 부재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봉지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터치 전극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휘도 제어 부재는 상기 터치 전극부에 내장된, 전자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터치 전극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휘도 제어 부재의 투명 베이스 부재는 광학적 등방성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필름인, 전자 기기.
  19.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광 경로 제어 부재;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 1 광 제어층과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투명 베이스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투명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3 광 제어층과 결합되고 글라스 재질로 이루어진, 전자 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
    상기 화소 어레이부를 덮는 봉지부; 및
    상기 봉지부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 부재는 모듈 결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광 경로 제어 부재의 제 1 광 제어층과 결합된, 전자 기기.
KR1020180166121A 2018-12-20 2018-12-20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63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21A KR102632623B1 (ko) 2018-12-20 2018-12-20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6/710,948 US11500199B2 (en) 2018-12-20 2019-12-11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911274348.9A CN111354268B (zh) 2018-12-20 2019-12-12 光路控制构件和包括该光路控制构件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21A KR102632623B1 (ko) 2018-12-20 2018-12-20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23A true KR20200077023A (ko) 2020-06-30
KR102632623B1 KR102632623B1 (ko) 2024-01-31

Family

ID=7109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121A KR102632623B1 (ko) 2018-12-20 2018-12-20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0199B2 (ko)
KR (1) KR102632623B1 (ko)
CN (1) CN1113542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90A1 (ko) * 2021-12-28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768A (ko) * 2019-12-03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5295744A (zh) * 2020-06-28 2022-11-0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D936892S1 (en) 2020-11-13 2021-11-23 Hgci, Inc. Lens cover for light fixture for indoor grow application
JPWO2022210444A1 (ko) * 2021-03-29 2022-10-06
CN113421987B (zh) * 2021-06-03 2023-04-0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盖板及显示装置
CN114267811A (zh) * 2021-12-16 2022-04-0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300633B (zh) * 2021-12-17 2023-11-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5404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s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KR20140109121A (ko) * 2013-03-05 2014-09-15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
KR20160110630A (ko) * 2015-03-10 2016-09-22 주식회사 창강화학 광학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806B1 (ko) * 2001-09-04 2007-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특성 보상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광 특성 보상 필름을 포함하는 시야각이 변경된 표시장치
JP4202221B2 (ja) * 2003-09-26 2008-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屈折素子アレイ基板、画像表示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60073186A (ko) * 2004-12-24 2006-06-28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7005173A (ja) * 2005-06-24 2007-01-1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
US20070103056A1 (en) * 2005-11-08 2007-05-10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US20070285785A1 (en) * 2006-06-12 2007-12-13 Ching-Bin Lin Multiple-layer optical film having light concentrating and diffusing functions
CN101122704B (zh) * 2006-08-11 2010-11-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板及采用该光学板的背光模组
CN101126822B (zh) * 2006-08-18 201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板及采用该光学板的背光模组
CN101191847A (zh) * 2006-12-01 2008-06-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板
CN101196577A (zh) * 2006-12-08 2008-06-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板
JP5453105B2 (ja) * 2006-12-22 2014-03-26 クナノ アーベー ナノ構造のled及びデバイス
US8506149B2 (en) * 2007-03-20 2013-08-13 Kolon Industries, Inc. Optical sheets
JP2011501219A (ja) * 2007-10-16 2011-01-0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より高い透過率の光制御フィルム
US8427768B2 (en) 2008-09-22 2013-04-23 Samsung Corning Precision Materials Co., Ltd Optical filter for compensating for color shift provided in front of a display panel of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84737B1 (ko) * 2011-08-09 2018-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446018B (zh) * 2011-12-20 2014-07-21 Au Optronics Corp 光取出膜及應用其之發光元件
JP2014215404A (ja) 2013-04-24 2014-11-17 凸版印刷株式会社 光制御シート、el素子、照明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616918B1 (ko) * 2013-05-31 2016-04-29 제일모직주식회사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70411B1 (ko) 2013-06-04 2020-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색 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331275B2 (ja) 2013-06-28 2018-05-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形成基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2107563B1 (ko) 2013-08-08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530047B1 (ko) * 2013-12-06 2015-06-22 주식회사 창강화학 광학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JP2015138123A (ja) * 2014-01-22 2015-07-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6045979A (ja) * 2014-08-19 2016-04-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695652B1 (ko) * 2016-04-11 2017-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1873636B1 (ko) 2016-07-13 201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윈도우 글라스
US10983388B2 (en) 2017-03-15 2021-04-20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016565B1 (ko) * 2017-11-30 2019-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5404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s for reducing color shift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KR20140109121A (ko) * 2013-03-05 2014-09-15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
KR20160110630A (ko) * 2015-03-10 2016-09-22 주식회사 창강화학 광학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90A1 (ko) * 2021-12-28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54268B (zh) 2022-05-13
CN111354268A (zh) 2020-06-30
KR102632623B1 (ko) 2024-01-31
US20200201033A1 (en) 2020-06-25
US11500199B2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623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204628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494409B1 (ko) 표시 장치
TWI715552B (zh) 顯示裝置及可攜式終端機
KR102477818B1 (ko) 표시 장치
KR102548931B1 (ko) 표시 장치
TWI622818B (zh) 背光單元及包含該背光單元的行動電子裝置
US20200136069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0261353B2 (en) Display device
KR20160085388A (ko) 표시 장치
KR2020007308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0268086B2 (en) Electronic device
US10761370B2 (en)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8878684B (zh) 一种胶层、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1969319B1 (ko) 베젤 경계가 투명한 표시소자
CN109860231A (zh) 显示设备
KR20200129646A (ko) 방열 시트 및 벤딩 고정 부재를 구비한 표시 장치
EP3124857B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11428978B2 (en) Display device
CN106932938B (zh) 液晶显示装置
CN109300439B (zh) 构造为测量光和调节显示亮度的显示装置及驱动其的方法
TWI820643B (zh) 影像系統
TW201044071A (en) Back light module and optical device using the same
CN113325602B (zh) 悬浮显示装置及电子设备
TWI475280B (zh) 觸控式面板整合型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