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75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750A
KR20200076750A KR1020207016672A KR20207016672A KR20200076750A KR 20200076750 A KR20200076750 A KR 20200076750A KR 1020207016672 A KR1020207016672 A KR 1020207016672A KR 20207016672 A KR20207016672 A KR 20207016672A KR 20200076750 A KR20200076750 A KR 20200076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ller
housing
connec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998B1 (ko
Inventor
데츠야 하타
시게키 오하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in parallel configu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개시와 관련되는, 대상물(70)을 도통시키는 커넥터(10)에 있어서,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감합물과, 감합물에 장전되어 있는 충전제(60)를 구비하며, 감합물은, 충전제(60)와 함께 대상물(70)을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35a)와, 수용부(35a)와 연달아 접속하며, 충전제(60)가 들어가는 수납부(36)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넥터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2월 22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7-246961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하기 위하여 포함한다.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로 감합(嵌合)한 한 쌍의 감합물이 복수의 대상물을 보지(保持)하며, 각 대상물이 감합물의 내부에서 중계 콘택트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 있어서, 감합물이 감합한 상태에서, 대상물과 중계 콘택트의 접속부에 물 및 먼지 등의 외부의 이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접속부를 보호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감합물의 내부에 메인 패킹 및 서브 패킹을 배치하여 외부의 이물이 중계 콘택트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116097호 공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는,
대상물을 도통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감합물과,
상기 감합물에 장전되어 있는 충전제를 구비하며,
상기 감합물은,
상기 충전제와 함께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달아 접속하며, 상기 충전제가 들어가는 수납부를 가진다.
도 1은 대상물에 장착된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에서 대상물을 가(假)보지하는 도 1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 및 대상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하우징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하우징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중계 콘택트 단체(單體)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커넥터를 대상물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1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b는 커넥터를 대상물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2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c는 커넥터를 대상물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3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d는 커넥터를 대상물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4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e는 커넥터를 대상물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5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f는 커넥터를 대상물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6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1의 Ⅸ-Ⅸ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Ⅹ-Ⅹ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d의 ⅩⅠ-ⅩⅠ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ⅩⅡ-ⅩⅡ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4는 제 1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제 2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제 3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제 4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의 상면도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분기 커넥터에서는, 2개의 대상물 중 일방이 감합물 내에서 종단(終端)하며, 그 단부(端部)는 감합물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단부에 대하여 방수 처리, 방진(防塵) 처리, 절연 처리 또는 방청 처리 등의 보호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커넥터에 있어서, 대상물의 단부에 충분한 보호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요망된다.
감합물 내에 장전된 충전제가 대상물의 단부를 덮음으로써 당해 단부를 충분하게 보호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대상물의 위치 및 직경 등의 편차에 의해 충전제에 작용하는 압력에도 편차가 생긴다. 예를 들면, 대상물에 따라서는 충전제에 큰 압력이 작용하여, 충전제의 잉여분에 의해 감합물의 감합이 저해되어, 결과 대상물의 단부의 보호 효과가 저하될 우려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에 의하면, 작업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여, 안정한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 내지 도 17에 있어서, 다른 도면끼리 서로 정합(整合)하고 있다.
도 1은, 대상물(70)에 장착된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에서 대상물(70)을 가보지하는 도 1의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10) 및 대상물(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10)는, 큰 구성 요소로서 하우징(15)과, 중계 콘택트(50)와, 충전제(60)를 가진다.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케이블 등의 대상물(70)의 심선(心線)을 중계 콘택트(50)에 의해 협지(挾持)함으로써 대상물(70)끼리를 도통시키는 분기 커넥터이다.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1개의 대상물(70)을 전기적으로 2개로 분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0)는, 2개의 대상물(70)을 보지한다. 일방의 대상물(70)은 커넥터(10)의 내부에서 종단하며, 그 단부는 커넥터(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타방의 대상물(70)은 커넥터(10)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연신(延伸)한다.
커넥터(10)는, 대상물(70)을 보지하는 상태에서 하우징(15) 및 충전제(60)가 중계 콘택트(50)와 대상물(70)의 접속부를 둘러싸고, 또한 대상물(70)의 단부를 덮음으로써 각각을 외부로부터 격리한다. 커넥터(10)는, 중계 콘택트(50)와 대상물(70)의 접속부 및 하우징(15) 내부에 위치하는 대상물(70)의 단부에 대한 방수 기능, 방진 기능, 절연 기능 또는 방청 기능 등을 포함하는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5)은,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한 성형품이다. 하우징(15)은,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감합물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5)은, 서로 감합 가능한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을 가진다. 하우징(15)은,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을 접속하는 연결부로서의 접속부(40)를 가진다. 하우징(15)은, 제 1 하우징(20), 제 2 하우징(30) 및 접속부(40)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가진다.
접속부(40)는, 제 1 하우징(20)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 1 접속부(41)를 가진다. 접속부(40)는, 제 2 하우징(30)측으로부터 직선적으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 2 접속부(42)를 가진다. 접속부(40)는, 제 1 접속부(41)와 제 2 접속부(42)를 접속하는 굴곡 용이부(43)를 가진다. 전후 한 쌍의 제 1 접속부(41)의 상면과 전후 한 쌍의 제 2 접속부(42)의 상면은, 전개 상태에서 서로 대략 동일 평면을 구성한다.
굴곡 용이부(43)는, 전후의 제 1 접속부(41) 및 제 2 접속부(42)보다 박육으로 되어 있다. 전후의 제 1 접속부(41)와 제 2 접속부(4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용이부(43)를 절곡선으로 하여 안쪽으로 접기 가능하다. 접속부(40)는,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다. 제 1 하우징(20), 제 1 접속부(41), 굴곡 용이부(43), 제 2 접속부(42) 및 제 2 하우징(30)은, 자립적으로 전개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의 강성을 가진다.
접속부(40)는,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을 서로 접속함으로써, 조립 작업자 등에 의한 커넥터(10)의 대상물(70)에의 장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충전제(60)는,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에 각각 장전되어 있는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를 가진다. 충전제(60)는, UV 경화 수지, 방수용 겔 또는 접착제 등 중 합착성 또는 점착성을 가지는 임의의 재료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는,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이 감합하는 감합 상태에서,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내부에서 합착하여 서로 일체화하여도 되고, 점착하여 접합면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하에서는, 충전제(60)는 합착성을 가진다고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충전제(60)는, 방수 기능, 방진 기능, 절연 기능 또는 방청 기능 등을 포함하는 보호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UV 경화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제(60)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수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아미노 수지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비닐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비닐에테르,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에틸렌-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면, 충전제(60)는, 합착성, 탄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포함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상물(70)은, 제 1 케이블(71)과 제 2 케이블(72)을 포함한다.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은, 심선(71a,72a)의 표면을 피복(7lb,72b)으로 각각 덮은 것이다. 심선(71a,72a) 각각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을 포함한, 도전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심선(71a,72a) 각각은, 연선(撚線)이어도 되고, 단선(單線)이어도 된다. 피복(7lb,72b) 각각은, 튜브상이며, 또한 가요성 및 절연성을 가진다. 제 1 케이블(71)은,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배선 대상물의 내부에 처음부터 배선되며, 또한 배선 대상물의 전원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한편, 제 2 케이블(72)은, 나중에 추가로 접속되어 제 1 케이블(71)을 전기적으로 분기하는 케이블이다. 제 2 케이블(72)의 일단에는,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 등이 접속되어 있다.
도 5는, 제 1 하우징(20)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제 1 하우징(2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하우징(20)은, 바닥부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외주벽(20a)을 가진다. 외주벽(20a)은, 제 1 하우징(20)의 내부를 위요(圍繞)한다. 제 1 하우징(20)은, 외주벽(20a)보다도 내주측에 있어서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 1 오목부(20b)를 가진다. 제 1 오목부(20b)의 바닥면은, 대략 수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대향면(20c)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하우징(20)은, 제 1 대향면(20c)의 중앙부분에 있어서 하방으로 일단(一段) 오목하게 되도록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중앙 오목부(20d)를 가진다. 중앙 오목부(20d)의 바닥면은, 제 1 대향면(20c)과 평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대향면(20e)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하우징(20)은, 중앙 오목부(20d)에 의해 구성되는 콘택트 장착 홈(21)을 가진다. 콘택트 장착 홈(21)은, 좌우 방향 중간에 위치하며, 콘택트 장착 홈(21)의 전후 폭을 좁혀서 콘택트 장착 홈(21)을 좌우 한 쌍으로 구획하는 중간 볼록부(21a)를 가진다. 중간 볼록부(21a)는, 전방으로부터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장착 홈(21)은, 중앙 대향면(20e)측의 네 귀퉁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21b)를 가진다. 돌기부(21b)는, 중간 볼록부(21a)와 마찬가지로 콘택트 장착 홈(21)의 전후 폭을 좁힌다. 콘택트 장착 홈(21)은, 중앙 대향면(20e)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21c)를 가진다. 위치 결정 돌기(21c)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기부(基部)로부터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끝이 가늘게 된다.
제 1 하우징(20)은, 외주벽(20a)의 전후 양측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 케이블 장착 홈(22)과 한 쌍의 제 2 케이블 장착 홈(23)을 가진다. 제 1 케이블 장착 홈(22)은, 콘택트 장착 홈(21)의 좌반부(左半部)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며, 또한 서로 대략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한다. 제 2 케이블 장착 홈(23)은, 콘택트 장착 홈(21)의 우반부(右半部)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며, 또한 서로 대략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한다. 제 2 케이블 장착 홈(23)은, 제 1 케이블 장착 홈(22)과 평행을 이룬다. 제 1 케이블 장착 홈(22) 및 제 2 케이블 장착 홈(23)의 정면 형상은, 대략 U자상(字狀)이다.
제 1 하우징(20)은, 후측의 제 1 케이블 장착 홈(22)의 가장 깊은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2a)을 가진다. 제 1 하우징(20)은, 한 쌍의 제 2 케이블 장착 홈(23)의 가장 깊은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각각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23a)을 가진다. 제 1 하우징(20)은, 전측의 경사면(23a)보다 하방 위치에 형성되며, 외주벽(20a)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평판상의 덮개부(24a)를 가진다. 제 1 하우징(20)은, 경사면(22a) 및 후측의 경사면(23a)보다 하방 위치에 형성되며, 외주벽(20a)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평판상의 덮개부(24b)를 가진다. 덮개부(24a,24b)의 상면은, 경사면(22a,23a)의 최하부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제 1 하우징(20)은, 전측의 제 1 케이블 장착 홈(22)의 가장 깊은 바닥면보다도 하방으로 약간 이간한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제 1 벽부(22b)를 가진다. 제 1 벽부(22b)는, 경사면(22a)보다도 급준(急峻)하다. 제 1 벽부(22b)의 하단부는, 덮개부(24a)의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제 1 하우징(20)은, 제 1 벽부(22b)와 연속하며,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폭만큼 덮개부(24a)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수납부(22c)를 가진다. 수납부(22c)는, 제 1 벽부(22b)와 연속하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상의 홈과, 당해 홈과 연속하여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하우징(2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벽(20a)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 1 로크부(25)를 가진다. 제 1 로크부(25)는, 탄성을 가진다. 제 1 로크부(25)는, 외주벽(20a)의 전후 양측의 상연부(上緣部)로부터 일단 상방으로 돌출한다. 제 1 로크부(25)는, 상하 방향을 따라 대략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면(25a)을 가진다. 제 1 로크부(25)는, 외주벽(20a)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로크용 돌기(25b)를 가진다. 제 1 로크용 돌기(25b)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로크부(25)는, 제 1 로크용 돌기(25b)의 외면을 구성하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제 1 하우징(20)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5c)을 가진다. 제 1 로크부(25)는, 내면(25a)의 상연부에 형성되며,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제 1 하우징(20)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5d)을 가진다. 제 1 하우징(20)은, 제 1 로크부(25)의 전후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4개의 컷아웃부(25e)를 가진다. 컷아웃부(25e)는, 제 1 로크부(25)의 돌출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라 외주벽(20a)이 대응하는 부분을 컷아웃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컷아웃부(25e)는, 제 1 로크부(25)의 탄성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의 감합성을 향상시킨다.
제 1 하우징(2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면(20c)에 있어서, 한 쌍의 제 1 케이블 장착 홈(22) 및 한 쌍의 제 2 케이블 장착 홈(23)과 콘택트 장착 홈(21)의 사이 각각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부(26)를 가진다. 한 쌍의 가압부(26)는, 좌우 방향에 병렬하여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하우징(2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크부(25)의 하연부(下緣部)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오목부(27)를 가진다. 오목부(27)는, 제 1 로크부(25)의 하연부를 따라, 제 1 대향면(20c)보다도 하방으로 일단 오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제 2 하우징(30)만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제 2 하우징(3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하우징(30)은, 바닥부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외주벽(30a)을 가진다. 외주벽(30a)은, 제 2 하우징(30)의 내부를 위요한다. 제 2 하우징(30)은, 외주벽(30a)보다도 내주측에 있어서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 2 오목부(30b)를 가진다. 제 2 오목부(30b)의 바닥면은, 대략 수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대향면(30c)에 의해 구성된다. 제 2 하우징(30)은, 제 2 대향면(30c)의 중앙부에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케이블 가압 돌기(31)를 가진다. 케이블 가압 돌기(31)는, 좌우 한 쌍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상의 제 1 가압 홈(31a) 및 제 2 가압 홈(3lb)을 가진다. 케이블 가압 돌기(31)는, 중앙 돌기(31c)와, 중앙 돌기(31c)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돌기(31d,31e)를 가진다. 제 1 가압 홈(31a)은, 중앙 돌기(31c)와 돌기(31e)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압 홈(3lb)은, 중앙 돌기(31c)와 돌기(31d)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30)은, 외주벽(30a)의 전후 양측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케이블 지지 아암부(32a,32b)를 가진다. 제 2 하우징(30)은, 케이블 지지 아암부(32b)의 우반부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을 가진다.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은, 제 1 가압 홈(31a)과 대략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한다.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의 후측 부분은, 공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분리 분할된 한 쌍의 돌출편(3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편(33b)은, 후단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로부(33c)를 각각 가진다. 한 쌍의 돌출편(33b)은, 한 쌍의 클로부(33c)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며 상연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3d)를 각각 가진다.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은,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3d)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며,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3e)을 가진다.
제 2 하우징(30)은, 케이블 지지 아암부(32a,32b)의 좌반부에 각각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을 가진다. 한 쌍의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은, 제 2 가압 홈(3lb)과 대략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한다.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의 외측 부분은, 공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분리 분할된 한 쌍의 돌출편(34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편(34b)은, 외단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클로부(34c)를 각각 가진다. 한 쌍의 돌출편(34b)은, 한 쌍의 클로부(34c)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며 상연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서로 대향한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4d)를 각각 가진다.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은,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4d)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며,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4e)을 가진다.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은,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을 각각 전(全)직경에 걸쳐 삽입 보지 가능한 깊이의 홈이다. 각 한 쌍의 돌출편(33b,34b), 특히 케이블 지지 아암부(32a,32b)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편은, 좌우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휜다. 인접하는 돌출편끼리의 간격은, 가변이다. 탈락 방지 돌기(33d,34d)는,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각 한 쌍의 돌출편(33b,34b), 즉 각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3d,34d)는, 좌우 방향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휜다.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이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에 각각 삽입되면,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3d,34d)가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을 각각 협압(挾壓)한다. 각 한 쌍의 돌출편(33b,34b)은, 탄성적으로 좌우 방향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휜다. 따라서, 각 한 쌍의 돌출편(33b,34b)은,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에 삽입되어 있는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의 케이블 연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항을 부여하면서 허용한다. 게다가, 각 한 쌍의 돌출편(33b,34b)은,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 및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으로부터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이 각각 이탈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을 부여하여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빠짐 방지 작용은, 제 2 하우징(30)의 상하를 반전시켜도 유지된다. 한편, 각 한 쌍의 돌출편(33b,34b)은,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였을 경우에,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이 각각 이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커넥터(10)의 교환, 및 커넥터(10)에 착탈하는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의 변경이 용이하다.
제 2 하우징(30)은, 케이블 지지 아암부(32a)의 우반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수용부(35a)를 가진다. 수용부(35a)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의 오목부이다. 수용부(35a)는, 제 2 하우징(30) 상하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제 2 하우징(30)은, 수용부(35a)와 내측에서 인접하는 제 2 벽부(35b)를 가진다. 제 2 벽부(35b)는, 수용부(35a)의 상단에 위치하는 개구부 근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제 2 하우징(30)의 내측으로 경사진다. 제 2 벽부(35b)는, 경사면(33e,34e)보다도 급준하다. 수용부(35a) 및 제 2 벽부(35b)는, 제 1 가압 홈(31a) 및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과 대략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한다.
제 2 하우징(30)은, 수용부(35a)와 연달아 접속하며, 충전제(60)가 들어가는 수납부(36)를 가진다. 수납부(3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하는 오목부이다. 수납부(3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3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35a)와 바닥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연달아 접속하고 있다. 수납부(36)는, 수납부(36)에 있어서 충전제(60)가 수용부(35a)의 반대측, 즉 도 1에 있어서의 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동부(36a)를 가진다. 제동부(36a)는, 충전제(6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수납부(3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이다. 수납부(36)는, 수용부(35a)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넓혀진 후, 제동부(36a)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폭협(幅狹)이 되고, 제동부(36a)의 후측에서 대략 일정한 좌우 폭을 가진다.
제 2 하우징(30)은,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벽(30a)의 좌우 양쪽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2 로크부(37)를 가진다. 제 2 로크부(37)는, 외주벽(30a)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로크용 돌기(37a)를 가진다. 제 2 로크용 돌기(37a)의 하부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제 2 로크용 돌기(37a)의 상부는,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로크부(37)는, 제 2 로크용 돌기(37a)의 표면을 구성하며,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제 2 하우징(30)의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7b)을 가진다. 제 2 하우징(30)은, 제 2 로크부(37)의 전후 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돌출벽(37c)을 가진다. 제 2 로크용 돌기(37a)는, 한 쌍의 돌출벽(37c) 사이에 걸쳐지도록, 제 2 하우징(3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30)은, 제 2 대향면(30c)의 좌우 양단에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는 관통부(38)를 가진다. 관통부(38)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제 2 로크용 돌기(37a)와 동등한 전후 폭을 가진다. 제 2 하우징(30)은, 제 2 대향면(30c)에 있어서,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 및 제 2 벽부(35b) 및 한 쌍의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과 케이블 가압 돌기(31)의 사이 각각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부(39)를 가진다. 한 쌍의 가압부(39)는, 좌우 방향에 병렬하여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에 의해 구성된다.
도 7은, 중계 콘택트(50)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중계 콘택트(5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계 콘택트(50)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또는 티탄 구리 등을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 또는 코르손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順送)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중계 콘택트(5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베이스를 형성한 후에, 주석구리 도금, 주석 도금 또는 금 도금이 실시된다.
중계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기편(基片)(51)을 가진다. 중계 콘택트(50)는, 기편(51)의 전후 양측 가장자리부의 좌반부에 돌출하여 마련한, 기편(5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壓接片)(52)을 가진다. 중계 콘택트(50)는, 기편(51)의 전후 양측 가장자리부의 우반부에 돌출하여 마련한, 기편(5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한 쌍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을 가진다. 중계 콘택트(50)는, 기편(51)의 좌우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위치 결정 구멍(51a)을 가진다. 중계 콘택트(50)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제 2 케이블 압접편(54)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을 가진다.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은, 기편(51)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압접용 홈(53)의 상단 개구부는, 선단부(52a)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펼쳐지는 대략 V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압접용 홈(55)의 상단 개구부는, 선단부(54a)에 의해 상방을 향하여 펼쳐지는 대략 V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 및 전후 한 쌍의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은, 폭협부(52b,54b)를 개재하여 각각 기편(51)과 접속되어 있다. 좌우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케이블 압접편(52)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대향 가장자리부의 간격은, 폭협부(52b)와 폭협부(54b)의 대향 가장자리부의 간격보다 좁다. 중계 콘택트(50)는, 폭협부(52b)와 폭협부(54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여유부(5lb)를 가진다.
중계 콘택트(50)는,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이 감합한 감합 상태에서,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과 도통한 상태에서 내포(內包)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콘택트(50)는, 감합 상태에서,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이 절연성의 피복(7lb,72b)을 절단하고 심선(71a,72a)을 각각 협지함으로써,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끼리를 도통시킨다.
도 8a는, 커넥터(10)를 대상물(70)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1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b는, 커넥터(10)를 대상물(70)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2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c는, 커넥터(10)를 대상물(70)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3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d는, 커넥터(10)를 대상물(70)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4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e는, 커넥터(10)를 대상물(70)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5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f는, 커넥터(10)를 대상물(70)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의 제 6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를 참조하면서, 커넥터(10)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립 작업자 등은, 손 등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는 제 1 하우징(20)의 콘택트 장착 홈(21)에 대하여 중계 콘택트(50)의 하부를 감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편(51)의 좌우 양단부를 돌기부(21b)에 각각 맞춘 상태에서, 여유부(5lb)를 중간 볼록부(21a)에 감합시키면서 기편(51)을 콘택트 장착 홈(21)의 바닥부에 감합시킨다. 기편(51)의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1a)에 대하여 제 1 하우징(20)의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21c)가 감합하므로, 중계 콘택트(50)가 제 1 하우징(2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중계 콘택트(50)가 제 1 하우징(20)에 장착되면, 전후의 제 1 압접용 홈(53)은 전후의 제 1 케이블 장착 홈(22)을 지나는 축선 상에 위치하고, 또한, 전후의 제 2 압접용 홈(55)은 전후의 제 2 케이블 장착 홈(23)을 지나는 축선 상에 위치한다.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에 충전제(60)를 장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하우징(20)의 제 1 대향면(20c) 및 제 2 하우징(30)의 제 2 대향면(30c) 각각에, 충전제(60)를 개재시킨다. 제 2 하우징(30)의 수용부(35a) 및 제 2 벽부(35b) 각각에, 충전제(60)를 개재시킨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대향면(20c)에 개재한 제 1 충전제(61)의 하면의 형상은, 제 1 대향면(20c)의 표면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제 2 대향면(30c)에 개재한 제 2 충전제(62)의 하면의 형상은, 제 2 대향면(30c)의 표면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 각각의 높이는,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이 감합하였을 때에, 제 1 충전제(61)와 제 2 충전제(62)가 합착하는 높이이다. 제 1 충전제(61)는,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둘러싼다. 제 2 충전제(62)는, 케이블 가압 돌기(31)의 주위를 둘러싼다.
이처럼, 하우징(15)에 중계 콘택트(50)를 장착하고, 충전제(60)를 장전한 상태에서,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을 하우징(15)에 장착한다. 도 8a에 나타내는 제 1 단계에서는, 제 2 하우징(30)에 형성되며 충전제(60)가 장전되어 있는 수용부(35a)에 제 1 케이블(71)의 단부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이 때, 제 1 케이블(71)의 단부는 수용부(35a)의 바닥면에 접촉 또는 근접한다. 충전제(60)는, 제 1 케이블(71)의 단부를 수용부(35a) 내에서 둘러싼다.
제 1 단계에 계속하여 도 8b에 나타내는 제 2 단계에서는, 제 1 케이블(71)을 굴곡시킨다. 이 때, 제 1 케이블(71)은, 수용부(35a) 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수용부(35a)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굴곡한 후 후방으로 연신한다.
도 8c에 나타내는 제 3 단계에서는, 제 1 케이블(71)을 제 2 벽부(35b)를 따라 추가로 굴곡시킨다. 게다가, 탈락 방지 돌기(33d)에 의한 저항에 저항하여 제 1 케이블(71)을 밀어 넣는다. 이에 의해, 제 1 케이블(71)은,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의 바닥부와 탈락 방지 돌기(33d)의 사이에 협지되고, 제 2 하우징(30)에 의해 가보지된다. 이 때, 제 1 케이블(71)은, 그 연신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저항을 받으면서 약간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전개 상태의 커넥터(10)에 대한 제 1 케이블(71)의 연신 방향의 위치의 미(微)조정이 가능하다.
도 8d에 나타내는 제 4 단계에서는, 전후의 한 쌍의 탈락 방지 돌기(34d)에 의한 저항에 저항하여 제 2 케이블(72)을 한 쌍의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에 밀어 넣는다. 이에 의해, 제 2 케이블(72)은, 상기 서술한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을 이용한 제 1 케이블(71)의 가보지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제 2 하우징(30)에 의해 가보지된다. 이 때, 제 2 케이블(72)은, 그 연신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저항을 받으면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전개 상태의 커넥터(10)에 대한 제 2 케이블(72)의 연신 방향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도 8e에 나타내는 제 5 단계에서는, 전후의 굴곡 용이부(43)를 중심으로 제 2 하우징(30)이 제 1 하우징(20)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제 2 하우징(30)을 회전시킨다. 이 때, 우측의 제 2 로크용 돌기(37a)가 대응하는 좌측의 제 1 로크용 돌기(25b)의 경사면(25c)에 접촉한다. 추가로 회전시키면, 제 2 로크용 돌기(37a)가 경사면(25c)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제 1 로크부(25)가 제 1 하우징(20)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때, 제 1 로크부(25)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5d)은, 제 1 로크부(25)의 선단이 제 2 충전제(62)에 파고 들어가거나, 제 2 충전제(62)를 깎거나 하는 것을 억제한다. 케이블 가압 돌기(31)의 제 1 가압 홈(31a)이 제 1 케이블(71)의 중간부를 제 1 압접용 홈(53)의 안쪽, 즉 하방으로 약간 밀어 넣음으로써, 제 1 케이블(71)의 중간부가 전후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제 2 하우징(30)을 전후의 굴곡 용이부(43)를 중심으로 제 1 하우징(20)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시킨다. 이 때, 케이블 가압 돌기(31)의 제 2 가압 홈(3lb)이, 제 2 케이블(72) 중간부를 제 2 케이블 압접편(54)의 선단부(54a)에 대하여 제 2 압접용 홈(55)의 연장 돌출 방향 또는 이에 가까운 방향으로 누른다. 따라서, 제 2 케이블(72)이 선단부(54a)와 케이블 가압 돌기(31)에 의해 협지된다.
도 8f에 나타내는 제 6 단계에서는, 예를 들면 플라이어 등의 일반적인 공구에 의해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가압한다. 이 때, 각 제 2 로크용 돌기(37a)가, 대응하는 제 1 로크용 돌기(25b)에 대하여 계합(engaging)한다. 각 돌출벽(37c)이, 대응하는 컷아웃부(25e)와 감합한다. 이상에 의해, 제 1 하우징(20)이 제 2 하우징(30) 내에 수용되고, 제 1 로크부(25)와 제 2 로크부(37)는, 감합한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내측에서 계합한다.
제 1 케이블(71)은, 제 1 가압 홈(31a)에 의해 선단부(52a)로부터 제 1 압접용 홈(53)의 대략 중앙부까지 밀어 넣어진다. 이에 의해, 제 1 압접용 홈(53)의 좌우 양쪽 내면에 의해 제 1 케이블(71)의 피복(7lb)의 좌우 양측부가 갈라진다. 따라서, 하우징(15)이 폐쇄 상태로 보지되어 있을 때, 제 1 압접용 홈(53)의 좌우 양쪽 내면이 심선(71a)의 좌우 양측부에 대하여 압접에 의해 균등 또한 확실하게 접촉한다. 제 2 케이블(72)은, 제 2 가압 홈(3lb)에 의해 선단부(54a)로부터 제 2 압접용 홈(55)의 대략 중앙부까지 밀어 넣어져, 제 1 케이블(71)과 마찬가지로 압접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의 내부에 있어서 제 1 케이블(71)의 심선(71a)과 제 2 케이블(72)의 심선(72a)이 중계 콘택트(50)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심선(71a,72a)의 좌우 양측부의 일방에 대하여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의 내면이 각각 과도하게 강하게 접촉하지 않으므로, 심선(71a,72a)의 일부가 제 1 압접용 홈(53) 및 제 2 압접용 홈(55)에 의해 각각 절단될 일이 없다. 심선(71a,72a)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지 않으므로,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에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심선(71a,72a)이 완전하게 절단될 우려는 작다. 따라서,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과 중계 콘택트(50)의 접촉 신뢰성이 높아진다.
도 9는, 도 1의 Ⅸ-Ⅸ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Ⅹ-Ⅹ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이 감합한 감합 상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부의 기능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로크부(25)의 선단은, 제 2 하우징(30)의 바닥부에 근접한다. 이에 의해, 제 1 로크용 돌기(25b)와 제 2 로크용 돌기(37a)가 계합을 개시하는 초기 단계에서 제 1 로크부(25)의 선단이 제 2 충전제(62)의 좌우 방향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감합이 진행되어서 제 1 로크부(25)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였다고 하여도, 제 1 로크부(25)의 선단은, 제 2 충전제(62)의 하면에 꽂히지 않아, 제 2 충전제(62)를 좌우로 분단할 일도 없다. 커넥터(10)는, 감합 상태에서 충전제(60)가 제 1 로크부(25)의 외측으로 돌아 들어가서 제 1 로크부(25)가 충전제(60)에 매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충전제(60)가 제 1 로크부(25)의 내면(25a)과 접촉함으로써, 탄성을 가지는 제 1 로크부(25)는, 충전제(60)의 팽창 또는 팽윤에 의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려고 한다. 커넥터(10)에서는 내부에 로크부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로크부(25)의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 1 로크부(25)와 제 2 로크부(37)의 계합이 보다 강고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로크용 돌기(25b) 및 제 2 로크용 돌기(37a)의 계합면(A1)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충전제(60)의 상하 폭 내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충전제(60)의 팽창력 등이 효율적으로 계합력으로 변환된다. 제 1 로크용 돌기(25b)와 제 2 로크용 돌기(37a)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여 계합함으로써, 계합면(A1)이 같은 방향으로 연장한 평면을 구성한다. 이에 의해, 계합면(A1)의 면적이 넓어져, 계합이 보다 강고해진다. 계합면(A1)이 대략 수평이 됨으로써, 제 1 로크용 돌기(25b)와 제 2 로크용 돌기(37a)의 사이에서 계합하는 힘이 전해지기 쉬워진다. 제 2 로크용 돌기(37a)의 좌우 방향의 표면은, 제 1 로크부(25)의 외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면(A2)은, 충전제(60)와 접촉하는 제 1 로크부(25)의 내면(25a)과 대략 평행하다. 이에 의해, 충전제(60)의 팽창력 등은,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용 돌기(37a)의 좌우 방향의 표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전해진다. 따라서, 충전제(60)의 팽창력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계합력으로 변환된다.
결과적으로,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밀착 상태가 보다 높아진다. 커넥터(10)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여도,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개방 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온 하에 있어서도 나타나지만, 고온 하에 있어서 충전제(60)의 팽창이 커지면 커질수록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충전제(60)가 높은 점도도 가질 경우,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 사이의 개방은, 더 억제된다.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내부에 충전제(60)가 배치됨으로써, 감합 상태에서 각각의 충전제(60)가 점착한다. 이 때에 발생하는 점착력이, 감합한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개방에 대한 저항력이 된다.
관통부(38) 중 제 1 로크부(25)보다도 좌우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 돌기(31d,31e)와 충전제(6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 및 오목부(27)는, 충전제(60)의 잉여분이 들어가는 공간(V)을 구성한다. 이에 의해, 충전제(60)의 잉여분을 흡수하여 모을 수 있으며,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에의 충전제(60)의 가압력에 대하여 개체마다의 편차가 억제된다.
충전제(60)는, 제 1 대향면(20c)과 제 2 대향면(30c)에 밀착하여,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위요한다.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는, 서로 찌부러 뜨려서 한번 압축 상태가 되어 확실하게 밀착한다. 충전제(60)가 합착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는, 수소 결합 등의 화학 반응에 의해 일체화한다. 예를 들면, 가령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을 상하 방향을 따라 분리시켰다고 하여도, 한번 합착한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는, 분리되지 않는다. 합착한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에서는, 통상의 실리콘 겔 등의 점착성을 가지는 재료끼리를 접합시켰을 경우와 달리 접합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역학적인 작용 또는 열팽창 등에 기인하는 접합면의 박리가 애당초 생길 수 없어, 결합력이 대폭 증대한다. 합착한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는,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을 상하 방향을 따라 분리시켰다고 하여도, 일체적으로 신장한 채 중계 콘택트(50)의 주위를 계속하여 밀폐한다. 충전제(60)는, 합착성과 함께 탄성도 가질 경우, 커넥터(10)의 진동 등에 의해 어느 정도 신축한다. 이 경우여도, 합착한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는, 서로 일체화한 채 균일하게 신축한다. 합착한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는, 전체에 걸쳐 대략 균일하다.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는, 상기 서술한 압축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두께만큼 서로 중첩할 필요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충전제(61)의 선단면(S1)은, 제 2 충전제(62)와의 밀착에 의한 압축 상태를 상정하지 않을 경우, 합착한 충전제(6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P)보다도 제 2 충전제(62)측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충전제(62)의 선단면(S2)은, 제 1 충전제(61)와의 밀착에 의한 압축 상태를 상정하지 않을 경우, 중심선(P)보다도 제 1 충전제(61)측에 위치한다.
가압부(26,39)는,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를 각각 타방의 하우징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가압부(26,39)는,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의 형상에 맞춰서 충전제(60)를 각각 밀착시키도록 충전제(60)를 가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가압부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각 케이블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각 케이블의 좌우 양단부를 향하여 충전제(60)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형상의 차이에 기인하는 각 충전제의 면압의 차가 조정된다. 따라서,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 근방에 있어서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끼리의 합착성이 향상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는, 제 1 케이블(71) 및 제 2 케이블(72)과 중계 콘택트(50)의 접속부를 하우징(15) 및 충전제(60)에 의해 외부로부터 격리하고, 이들의 접속부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d의 ⅩⅠ-ⅩⅠ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ⅩⅡ-ⅩⅡ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커넥터(10)가 대상물(70)을 가보지하는 감합 전과 커넥터(10)가 대상물(70)을 보지하는 감합 후를 비교하면서 제 1 케이블(71)의 상태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12에서는, 설명의 간편을 위해, 커넥터(10)의 감합 후의 상태를 도 1의 상태로부터 상하 반전시켜서, 도 11의 제 2 하우징(30)의 방향과 대응시키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케이블(71)은, 커넥터(10)에 의해 가보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35a)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굴곡하고, 후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신한다. 수용부(35a)는, 제 1 케이블(71)의 연신 방향, 즉 전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오목부이다. 예를 들면, 수용부(35a)의 오목하게 마련된 방향은, 제 1 케이블(71)의 연신 방향과 대략 직교한다. 이 때, 제 1 케이블(71)의 단부는, 수용부(35a)의 바닥면과 접촉 또는 근접한다. 제 1 케이블(71)의 단부는, 수용부(35a) 내에서 그 바닥면 또는 충전제(60)에 의해 덮어진다. 수용부(35a)에 장전되어 있는 충전제(60)의 일부는, 제 1 케이블(71)의 삽입에 수반하는 충전제(60)로의 가압에 의해, 수용부(35a)의 상방 또는 바닥측의 개구부로부터 제 2 하우징(30)의 내측 또는 수납부(36)로 이동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이 서로 감합한 감합 상태에 있어서 제 1 케이블(71)이 제 1 압접용 홈(53)의 대략 중앙부까지 밀어 넣어짐으로써, 제 1 케이블(71)의 경사가 보다 급준하게 된다. 이 때,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각각 파선 및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71)에 있어서 수용부(35a)의 상단 근방으로부터 전측의 제 1 케이블 압접편(52)의 수용 위치까지 연장하는 부분의 길이는, 감합 전보다도 길어진다. 따라서, 수용부(35a)에 있어서의 제 1 케이블(71)의 단부의 위치는 감합측으로 시프트한다. 제 1 케이블(71)은, 제 1 벽부(22b) 및 제 2 벽부(35b)에 의해 끼워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케이블(71)이 제 1 벽부(22b) 및 제 2 벽부(35b)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 표면이 제 1 벽부(22b) 및 제 2 벽부(35b)의 표면과 접촉 또는 근접한다. 감합 전에 비하여, 제 1 케이블(71)의 단부의 위치가 감합측으로 시프트하고 또한 제 1 케이블(71)이 제 2 벽부(35b)에 접근함으로써, 수용부(35a)의 근방에 위치하는 충전제(60)의 일부가 수용부(35a)의 내부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제 1 케이블(71)의 단부의 위치가 감합측으로 시프트하여도, 충전제(60)는, 제 1 케이블(71)의 단부를 수용부(35a) 내에서 덮고 있다.
제 1 하우징(20)과 제 2 하우징(30)이 감합하여 보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하우징(20)의 덮개부(24a,24b)가,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 및 수용부(35a)의 감합측의 개구부를 막고 있다. 이 때, 제 1 케이블(71)은, 하우징(15)에 보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용부(35a)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굴곡하고, 제 1 벽부(22b) 및 제 2 벽부(35b)를 따라 비스듬히 연장한다. 제 1 케이블(71)의 굴곡 부분은, 덮개부(24a)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수납부(22c)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제 1 케이블(71)의 중간부는,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신한다. 제 1 케이블(71)의 후부는,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에 삽입 보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의 경사면(33e) 및 제 1 하우징(20)의 경사면(22a)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케이블(71)은, 제 1 케이블 보지 홈(33a)으로부터 커넥터(10)의 외측으로 후방을 향하여 연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제 1 케이블(71)과 좌우 방향을 따라 병렬되어 있는 제 2 케이블(72)은, 제 1 케이블(71)의 후부와 마찬가지의 양태로, 한 쌍의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에 삽입 보지되어 있다. 제 2 케이블(72)은, 한 쌍의 경사면(34e) 및 한 쌍의 경사면(23a)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케이블(72)은, 커넥터(10)의 내부에 있어서 중간부에서 직선적으로 연신하고 있다. 제 2 케이블(72)은, 커넥터(10)의 내부에 있어서 전후 양측에서 굴곡하고 있다. 제 2 케이블(72)은, 한 쌍의 제 2 케이블 보지 홈(34a)으로부터 커넥터(10)의 외측으로 전후 양방향을 향하여 연장하여 돌출하고 있다.
도 13은, 도 1의 커넥터(10)의 상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서, 제 1 케이블(71)을 장착한 상태, 감합한 상태, 또는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충전제(60)의 잉여분에 대한 수납부(36) 및 제동부(36a)의 작용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제 1 케이블(71)을 장착한 상태, 감합한 상태, 또는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35a)의 내부에 장전되어 있는 충전제(60)가 가압되면, 수용부(35a)의 내부에 전부 수용하지 못한 잉여분이 수납부(36)로 이동한다. 수납부(36)는, 수용부(35a)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충전제(60)의 잉여분을 받아들인다. 수납부(36)의 전반부는 수용부(35a)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넓어져 있으므로, 수납부(36)로 이동한 충전제(60)는, 상기의 가압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수납부(36) 내에서 확산한다. 수납부(36)의 전반부에서 확산한 충전제(60)가 제동부(36a)와 접촉하면, 그 확산을 방해할 수 있다. 제동부(36a)는, 수납부(36) 내에서의 충전제(60)의 확산을 규제한다. 이 때, 여전히 충전제(60)에 가압력이 작용하면, 충전제(60)의 일부는 제동부(36a)를 넘어서 수납부(36)의 후반부로 이동한다. 한편, 충전제(60)의 나머지는 제동부(36a) 근방에 머물러 압축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71)의 단부의 위치가 감합측으로 시프트하여 가압력이 소실 또는 저감하면, 압축 상태가 된 충전제(60)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수납부(36) 내의 충전제(60)가 수용부(35a)로 되돌아간다.
수납부(36)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자 등은, 수용부(35a)로부터 수납부(36)로 이동한 충전제(60)를 목시(目視)할 수 있다. 하우징(15)의 색은, 충전제(60)의 색과 동일하여도 되고, 목시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달라도 된다.
이상과 같은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10)는, 대상물(70)의 단부의 보호 처리를 양호한 작업성에 의해 실현하여, 보호에 대한 장기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전개 상태, 또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충전제(60)가 대상물(70)의 단부를 수용부(35a) 내에서 덮고 있으므로, 당해 단부가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당해 단부에 대하여 방수 처리, 방진 처리, 절연 처리 또는 방청 처리 등의 보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보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 수용부(35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조립 작업자 등은, 절연테이프 또는 방수 캡 등의 다른 부품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커넥터(10)에서는, 부품수 및 공수(工數)가 삭감되어, 작업성이 향상한다. 따라서, 작업이 곤란하게 되는 장소에 있어서도 장착 작업의 정확성의 편차가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장기 신뢰성의 편차가 억제된다. 조립 작업자 등은, 전용의 공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인 공구에 의해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대상물(70)의 연신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수용부(35a)로부터 대상물(70)이 연장 돌출하여 굴곡함으로써, 대상물(70)에 작용하는 인장력에의 내성이 향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물(70)에 후방을 향한 인장력이 작용하였다고 하여도, 대상물(70)에 있어서 굴곡부보다도 선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후방과 다른 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수용부(35a) 내에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대상물(70)은, 후방에 대하여 위치 규제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35a)는, 커넥터(10)로부터 대상물(70)이 빠지려고 하는 힘에 저항을 부여하여 용이하게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로서 작용한다. 감합 전의 가보지의 단계여도, 수용부(35a)에 의해 대상물(70)이 연신 방향, 즉 후방으로 위치 어긋남되기 어려워지므로, 대상물(70)의 가보지성 및 대상물(70)에 대한 충전제(60)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수용부(35a)의 오목하게 마련된 방향이 대상물(70)의 연신 방향과 대략 직교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대상물(70)에 대한 빠짐 방지 작용이 보다 강조되어, 대상물(70)의 가보지성 및 대상물(70)에 대한 충전제(60)의 밀착성도 보다 향상한다.
하우징(15)이 수용부(35a)와 인접하는 제 2 벽부(35b)를 가짐으로써, 감합 전 및 감합 후에 있어서의 대상물(70)의 굴곡 위치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대상물(70)의 굴곡 위치 및 전체의 위치가 안정되므로, 커넥터(10)는, 상기 서술한 대상물(70)에 대한 빠짐 방지 작용, 대상물(70)의 가보지성 및 대상물(70)에 대한 충전제(60)의 밀착성에 관한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가진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대상물(70)이 제 1 벽부(22b) 및 제 2 벽부(35b)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대상물(70)의 굴곡 위치의 편차가 보다 억제되어, 하우징(15)에 대한 대상물(70)의 보지 위치가 안정된다. 따라서, 대상물(70)의 단부가 수용부(35a)의 내부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 규제된다. 결과, 커넥터(10)는, 대상물(70)의 단부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작업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여, 안정한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5)이 수납부(36)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충전제(60)의 잉여분이 수용부(35a)로부터 이동하므로, 커넥터(10)는, 충전제(60)의 과잉한 반발력에 의한 대상물(70)의 불완전한 가보지 및 보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10)는, 충전제(60)의 잉여분에 의한 감합의 저해 및 감합 후에 있어서의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 사이의 개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조립 작업자 등에 의한 작업의 편차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한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수납부(36)가 제동부(36a)를 가짐으로써, 수용부(35a)로부터 수납부(36)로의 충전제(60)의 흐름이 저항을 받는다. 따라서, 충전제(60)의 과잉한 유출이 억제된다. 게다가, 수용부(35a) 내에서 대상물(70)의 단부의 위치가 시프트 하거나, 감합 상태에서 충전제(60)가 이동하거나 함으로써 수용부(35a) 내부의 충전제(60)의 양이 감소하거나, 또는 적절한 보호 기능을 실현하기에는 불충분하게 되었을 경우에, 충전제(60)의 잉여분이 수용부(35a) 내부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대상물(70)의 단부에 대한 보호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제동부(36a)가 충전제(6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 방향으로 수납부(3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인 것에 의해, 커넥터(10)는, 상기 서술한 제동부(36a)에 관한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가진다.
수납부(36)가 외부에 노출하는 오목부인 것에 의해, 조립 작업자 등은, 충전제(60)의 잉여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자 등은, 외부에 노출한 충전제(60)의 잉여분에 의해 대상물(70)의 적정한 삽입 및 하우징(15)의 감합 완료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15)의 색이 충전제(60)의 색과 다른 것에 의해, 충전제(60)의 잉여분의 시인성이 보다 향상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상기 서술한 외부에 노출하는 수납부(36)에 관한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가진다. 따라서, 조립 작업자 등에 의한 현장에서의 작업 정밀도 및 수율이 향상한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멀어지는 일 없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선 기술은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선 기술에 의해서가 아닌,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 변경은, 그 속에 포함된다고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및 개수 등은, 상기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의 도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및 개수 등은,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10)의 대상물(70)에의 장착 방법은, 상기의 설명의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의 대상물(70)에의 장착 방법은, 커넥터(10)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대상물(70)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10)는, 감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접속부(40)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20)과 분리한 제 2 하우징(30)은, 예를 들면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제 1 하우징(20)과 감합하여도 된다.
하우징(15)은, 대상물(70)이 그 연신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수용부(35a)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굴곡한 상태로 대상물(70)을 보지한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하우징(15)에 의한 대상물(70)의 보지 방법 및 수용부(35a)의 오목하게 마련된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지 방법 및 오목하게 마련된 방향은, 충전제(60)가 대상물(70)의 단부를 수용부(35a) 내에서 덮고 있으면, 각각 임의의 방법 및 방향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하우징(15)은, 대상물(70)을 굴곡시키지 않은 상태로 보지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수용부(35a)는, 대상물(70)의 연신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오목부여도 된다.
수용부(35a)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의 오목부라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수용부(35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용부(35a)는, 막자사발 형상의 오목부여도 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35a)는 직경이 다른 대상물(70)이어도 적절하게 수용 가능하며, 커넥터(10)의 범용성이 향상한다.
도 14는, 제 1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10)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제 2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10)의 상면도이다. 제동부(36a)는, 좌우 방향으로 수납부(3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라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제동부(36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동부(36a)의 형상은, 충전제(60)의 확산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동부(36a)를 구성하는 좌우의 한 쌍의 돌기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수납부(36)의 내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는 역(逆)테이퍼상이어도 된다. 한 쌍의 돌기의 좌우 간격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져도 된다. 반대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동부(36a)를 구성하는 좌우의 한 쌍의 돌기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수납부(36)의 내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는 테이퍼상이어도 된다.
도 16은, 제 3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10)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제 4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10)의 상면도이다. 수납부(36)는 돌기상의 제동부(36a)를 가진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납부(36)는, 돌기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동부(36a)는, 수납부(36)에 있어서, 충전제(60)의 이동 방향에 대한 대략 직교 방향의 폭이 이동 방향측으로 좁아지는 부분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동부(36a)는, 충전제(6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 방향의 수납부(36)의 폭이 수용부(35a)의 반대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동부(36a)는, 수납부(36)의 후반부에 형성되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수납부(36) 전체의 좌우 폭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동부(36a)는, 수납부(36)의 후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역테이퍼상의 돌기부의 좌우 양측면과, 수납부(36)의 좌우 양쪽 내면과의 간격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2개의 테이퍼부여도 된다.
수납부(36)는, 외부에 노출하는 오목부라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납부(36)는, 수용부(35a)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충전제(60)의 잉여분을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라면, 하우징(1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로크용 돌기(25b) 및 제 2 로크용 돌기(37a)의 계합면(A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대략 수평한 평면이지만, 계합면(A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계합면(A1)은, 예를 들면, 감합한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러한 단면형상에 의해, 계합력이 향상하고, 제 1 로크용 돌기(25b) 및 제 2 로크용 돌기(37a)에 의한 로크가 풀릴 가능성이 더 저감된다.
제 1 로크부(25)가 제 1 하우징(20)에 형성되고, 제 2 로크부(37)가 제 2 하우징(30)에 형성된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을 가지는 제 1 로크부(25)가 중계 콘택트(50)를 가지지 않는 제 2 하우징(30)에 형성되고, 제 2 로크부(37)가 중계 콘택트(50)를 가지는 제 1 하우징(20)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부(37)의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에 있어서의 형성 위치도,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형성 위치는,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을 감합시켜서 로크를 보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의 위치이면 된다.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부(37)는, 제 1 로크용 돌기(25b) 및 제 2 로크용 돌기(37a)를 각각 가지며, 제 1 로크용 돌기(25b)와 제 2 로크용 돌기(37a)가 계합한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로크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로크부(25) 및 제 2 로크부(37)는, 임의의 로크 수단을 가져도 된다.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각각 제 1 충전제(61) 및 제 2 충전제(62)가 장전된다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절한 보호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의 어느 일방에만 충전제(60)가 장전되어도 된다.
10 커넥터
15 하우징
20 제 1 하우징(감합물)
20a 외주벽
20b 제 1 오목부
20c 제 1 대향면
20d 중앙 오목부
20e 중앙 대향면
21 콘택트 장착 홈
21a 중간 볼록부
21b 돌기부
21c 위치 결정 돌기
22 제 1 케이블 장착 홈
22a 경사면
22b 제 1 벽부(벽부)
22c 수납부
23 제 2 케이블 장착 홈
23a 경사면
24a 덮개부
24b 덮개부
25 제 1 로크부
25a 내면
25b 제 1 로크용 돌기
25c 경사면
25d 경사면
25e 컷아웃부
26 가압부
27 오목부
30 제 2 하우징(감합물)
30a 외주벽
30b 제 2 오목부
30c 제 2 대향면
31 케이블 가압 돌기
31a 제 1 가압 홈
3lb 제 2 가압 홈
31c 중앙 돌기
31d 돌기
31e 돌기
32a 케이블 지지 아암부
32b 케이블 지지 아암부
33a 제 1 케이블 보지 홈
33b 돌출편
33c 클로부
33d 탈락 방지 돌기
33e 경사면
34a 제 2 케이블 보지 홈
34b 돌출편
34c 클로부
34d 탈락 방지 돌기
34e 경사면
35a 수용부
35b 제 2 벽부(벽부)
36 수납부
36a 제동부
37 제 2 로크부
37a 제 2 로크용 돌기
37b 경사면
37c 돌출벽
38 관통부
39 가압부
40 접속부
41 제 1 접속부
42 제 2 접속부
43 굴곡 용이부
50 중계 콘택트
51 기편
51a 위치 결정 구멍
5lb 여유부
52 제 1 케이블 압접편
52a 선단부
52b 폭협부
53 제 1 압접용 홈
54 제 2 케이블 압접편
54a 선단부
54b 폭협부
55 제 2 압접용 홈
60 충전제
61 제 1 충전제
62 제 2 충전제
70 대상물
71 제 1 케이블
71a 심선
7lb 피복
72 제 2 케이블
72a 심선
72b 피복
A1 계합면
A2 접촉면
P 중심선
S1 선단면
S2 선단면
V 공간

Claims (7)

  1. 대상물을 도통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서로 감합 가능한 한 쌍의 감합물과,
    상기 감합물에 장전되어 있는 충전제를 구비하며,
    상기 감합물은,
    상기 충전제와 함께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고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달아 접속하며, 상기 충전제가 들어가는 수납부를 가지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대상물의 단부를 수용하고 있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물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가 상기 수용부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제동부를 가지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충전제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 방향으로 상기 수납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인,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수납부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의 이동 방향에 대한 대략 직교 방향의 폭이 상기 이동 방향측에서 좁아지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외부에 노출하는 오목부인,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물의 색은, 상기 충전제의 색과 다른, 커넥터.
KR1020207016672A 2017-12-22 2018-12-04 커넥터 KR102418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6961 2017-12-22
JP2017246961A JP6993215B2 (ja) 2017-12-22 2017-12-22 コネクタ
PCT/JP2018/044623 WO2019124064A1 (ja) 2017-12-22 2018-12-0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750A true KR20200076750A (ko) 2020-06-29
KR102418998B1 KR102418998B1 (ko) 2022-07-08

Family

ID=6699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672A KR102418998B1 (ko) 2017-12-22 2018-12-04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37739B2 (ko)
EP (1) EP3731349B1 (ko)
JP (1) JP6993215B2 (ko)
KR (1) KR102418998B1 (ko)
CN (1) CN111602301B (ko)
WO (1) WO2019124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3952B (zh) * 2020-07-30 2022-03-18 泉州森鹤电子有限公司 一种导电性良好的排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1639A1 (en) * 2002-12-20 2004-06-24 Yaworski Harry George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2004327174A (ja) * 2003-04-23 2004-11-18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2005251400A (ja) * 2004-03-01 2005-09-15 Yazaki Corp 電線端末用キャップ
US20080032535A1 (en) * 2003-12-02 2008-02-07 King Lloyd H Jr Open face electrical connector
JP2011134606A (ja) * 2009-12-24 2011-07-07 Hitachi Cable Ltd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6097A (ja) 2012-12-06 2014-06-26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分岐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27821B (en) * 1981-11-04 1984-06-27 Racal Acoustics Ltd Highway cable connector
US5147217A (en) * 1991-06-18 1992-09-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mponent package
DE10142363A1 (de) * 2001-08-30 2003-03-27 Delphi Tech Inc Elektrischer Verbinder
US7048563B2 (en) * 2003-04-23 2006-05-23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or
JP4271092B2 (ja) * 2004-06-29 2009-06-03 株式会社フジクラ 圧接コネクタ
JP4565337B2 (ja) 2005-11-24 2010-10-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1639A1 (en) * 2002-12-20 2004-06-24 Yaworski Harry George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2004327174A (ja) * 2003-04-23 2004-11-18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US20080032535A1 (en) * 2003-12-02 2008-02-07 King Lloyd H Jr Open face electrical connector
JP2005251400A (ja) * 2004-03-01 2005-09-15 Yazaki Corp 電線端末用キャップ
JP2011134606A (ja) * 2009-12-24 2011-07-07 Hitachi Cable Ltd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16097A (ja) 2012-12-06 2014-06-26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分岐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1349A1 (en) 2020-10-28
WO2019124064A1 (ja) 2019-06-27
EP3731349B1 (en) 2024-03-27
US20210098899A1 (en) 2021-04-01
CN111602301B (zh) 2022-04-19
JP2019114417A (ja) 2019-07-11
EP3731349A4 (en) 2021-09-08
JP6993215B2 (ja) 2022-01-13
CN111602301A (zh) 2020-08-28
KR102418998B1 (ko) 2022-07-08
US11437739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1547A (ko) 커넥터
KR20200076750A (ko) 커넥터
CN110431718B (zh) 连接器
KR20200080313A (ko) 커넥터 및 장착 방법
CN110199441B (zh) 连接器
KR20200005656A (ko) 커넥터
US10971829B2 (en) Connector and package body
CN110192310B (zh) 连接器
CN110383584B (zh) 连接器
US11276510B2 (en) Protection component and protection method
JP201816045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