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718A - 엔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엔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718A
KR20200076718A KR1020207014939A KR20207014939A KR20200076718A KR 20200076718 A KR20200076718 A KR 20200076718A KR 1020207014939 A KR1020207014939 A KR 1020207014939A KR 20207014939 A KR20207014939 A KR 20207014939A KR 20200076718 A KR20200076718 A KR 20200076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etection unit
cylinder
engine system
cylinder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655B1 (ko
Inventor
유타카 마스다
다카유키 히로세
다카유키 야마다
하야토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Publication of KR2020007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4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5/00Engines characterised by using fresh charge for scavenging cylinders
    • F02B25/02Engines characterised by using fresh charge for scavenging cylinders using unidirectional scavenging
    • F02B25/04Engines having ports both in cylinder head and in cylinder wall near bottom of piston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4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 F02B75/045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by means of a variable connecting rod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5/00Varying compression ratio
    • F02D15/02Varying compression ratio by alteration or displacement of piston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2Bear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32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main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Pistons, Piston Rings, And Cylinders (AREA)

Abstract

이 엔진 시스템(100)은, 승압된 작동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피스톤(4)과 접속되는 피스톤 로드(6)가 압축비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체실(R3)을 갖는 가변 압축 장치(6, 7 및 8)와, 피스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장치(400)와,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피스톤의 위치를 취득하는 위치 취득 장치(300)를 가진다.

Description

엔진 시스템
본 개시는, 엔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10월 27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7-20796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크로스 헤드를 갖는 대형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대형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은, 중유 등의 액체 연료와 천연가스 등의 기체 연료 모두에서의 가동이 가능하게 되는 듀얼 퓨얼 엔진이다. 특허문헌 1의 대형 왕복 피스톤 연소 엔진은, 액체 연료에 의한 가동에 적합한 압축비와 기체 연료에 의한 가동에 적합한 압축비 둘 다에 대응하기 위해, 유압에 의해 피스톤 로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압축비를 변경시키는 조정 기구를 크로스 헤드 부분에 마련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4-20375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은 압축비를 변경하는 압축 조정 장치를 갖는 엔진 시스템은, 피스톤 로드의 이동 방향에서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피스톤의 하사점 위치 및 상사점 위치를 변경하여, 압축비를 조정하고 있다. 이러한 압축비의 조정은, 조종자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엔진 시스템의 제어 장치가 행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 장치는, 피스톤 로드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여, 정확하게 압축비를 조정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변 압축 장치를 갖는 엔진 시스템에 있어서, 정확하게 압축비를 취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태양의 엔진 시스템은, 승압된 작동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피스톤과 접속되는 피스톤 로드가 압축비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체실을 갖는 가변 압축 장치와, 상기 피스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장치와,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취득하는 위치 취득 장치를 가진다.
본 개시의 제2 태양은, 상기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실린더 라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3 태양은, 상기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피스톤에 설치된 피검출부와, 상기 실린더 라이너에 설치된 검출부를 가진다.
본 개시의 제4 태양은, 상기 제3 태양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복수 설치된다.
본 개시의 제5 태양은, 상기 제3 또는 제4 태양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의 소기 포트보다 연소실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검출 장치가, 피스톤의 이동 방향(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위치 취득 장치가, 피스톤의 위치 정보를 취득함과 아울러, 엔진 시스템에 구비된 제어부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유체실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승압 기구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는,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취득하고, 목표로 하는 피스톤의 위치와 맞는지를 항상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피스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가변 압축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엔진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엔진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엔진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의 엔진 시스템(100)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엔진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대형 탱커 등 선박에 탑재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과, 과급기(200)와, 제어부(300)(위치 취득 장치)와, 위치 검출부(400)(검출 장치)를 가지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급기(200)를 보기(補機)로서 파악하고, 엔진(1)(주기(主機))과 별도의 몸체로서 설명한다. 단, 과급기(200)를 엔진(1)의 일부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과급기(200)는, 본 실시형태의 엔진 시스템(100)에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엔진 시스템(100)에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엔진 시스템(100)에 설치된 후술하는 원통형의 실린더 라이너(3a)의 중심축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후술하는 배기 밸브 유닛(5)이 설치되어 있는 측을 상측, 후술하는 크랭크축(11)이 설치되어 있는 측을 하측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실린더 라이너(3a)의 중심축 방향에서 본 도면을 평면에서 볼 때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엔진(1)은, 다기통의 유니플로 소기 디젤 엔진이 되고, 천연가스 등의 기체 연료를 중유 등의 액체 연료와 함께 연소시키는 가스 운전 모드와, 중유 등의 액체 연료를 연소시키는 디젤 운전 모드를 실행 가능한 듀얼 퓨얼 엔진이다. 또, 가스 운전 모드에서는, 기체 연료만을 연소시켜도 된다. 이러한 엔진(1)은, 가구(架構)(2)와, 실린더부(3)와, 피스톤(4)과, 배기 밸브 유닛(5)과, 피스톤 로드(6)와, 크로스 헤드(7)와, 유압부(8)(승압 기구)와, 연접봉(9)과, 크랭크각 센서(10)와, 크랭크축(11)과, 소기 탱크부(12)와, 배기 탱크부(13)와, 공기 냉각기(1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실린더부(3), 피스톤(4), 배기 밸브 유닛(5) 및 피스톤 로드(6)에 의해, 기통이 구성되어 있다.
가구(2)는, 엔진(1)의 전체를 지지하는 강도 부재로서, 크로스 헤드(7), 유압부(8) 및 연접봉(9)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가구(2)는, 내부에서, 크로스 헤드(7)의 후술하는 크로스 헤드 핀(7a)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린더부(3)는, 원통형의 실린더 라이너(3a)와, 실린더 헤드(3b)와, 실린더 자켓(3c)을 가지고 있다. 실린더 라이너(3a)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피스톤(4)과의 슬라이딩면이 내측(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린더 라이너(3a)의 내주면과 피스톤(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연소실(R1)로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라이너(3a)의 하부에는, 복수의 소기 포트(S)가 형성되어 있다. 소기 포트(S)는, 실린더 라이너(3a)의 둘레면을 따라 배열된 개구로서, 실린더 자켓(3c) 내부의 소기실(R2)과 실린더 라이너(3a)의 내측을 연통시키고 있다. 실린더 헤드(3b)는, 실린더 라이너(3a)의 상단부에 설치된 덮개 부재이다. 실린더 헤드(3b)는, 평면에서 볼 때에 중앙부에 배기 포트(H)가 형성되고, 배기 탱크부(13)와 접속되어 있다. 배기 포트(H)는, 배기 탱크부(13)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3b)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분사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3b)의 연료 분사 밸브의 근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筒)내압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통내압 센서는, 연소실(R1) 내의 압력을 검출하여, 제어부(300)로 송신하고 있다. 실린더 자켓(3c)은, 가구(2)와 실린더 라이너(3a)의 사이에 설치되고, 실린더 라이너(3a)의 하단부가 삽입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내부에 소기실(R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자켓(3c)의 소기실(R2)은, 소기 탱크부(12)와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4)은, 대략 원기둥형상이 되고, 후술하는 피스톤 로드(6)와 접속되어 실린더 라이너(3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4)의 외주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 링이 설치되고, 피스톤 링에 의해, 피스톤(4)과 실린더 라이너(3a)의 간극을 봉지하고 있다. 피스톤(4)은, 연소실(R1)에서의 압력의 변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6)를 따라 실린더 라이너(3a) 내를 슬라이딩한다.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은, 실린더 라이너(3a)의 중심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과 동일하다.
배기 밸브 유닛(5)은, 배기 밸브(5a)와, 배기 밸브 케이싱(5b)과, 배기 밸브 구동부(5c)를 가지고 있다. 배기 밸브(5a)는, 실린더 헤드(3b)의 내측에 설치되고, 배기 밸브 구동부(5c)에 의해, 실린더부(3) 내의 배기 포트(H)를 폐색한다. 배기 밸브 케이싱(5b)은, 배기 밸브(5a)의 단부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케이싱이다. 배기 밸브 구동부(5c)는, 배기 밸브(5a)를 피스톤(4)의 스트로크 방향(슬라이딩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피스톤 로드(6)는, 일단(상단)이 피스톤(4)과 접속되고, 타단(하단)이 크로스 헤드 핀(7a)과 연결된 장척(長尺)형상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피스톤 로드(6)는, 봉상(棒狀) 부재이다. 피스톤 로드(6)의 단부(하단부)는, 크로스 헤드 핀(7a)에 삽입되고, 연접봉(9)이 회전 가능해지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의 본체부(6a)와, 크로스 헤드 핀(7a) 측단부의 일부의 지름이 본체부(6a)보다 크게 형성된 큰 직경부(6b)를 가지고 있다(도 2 참조). 큰 직경부(6b)도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 헤드(7)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헤드 핀(7a)과, 가이드 슈(7b)와, 덮개 부재(7c)를 가지고 있다. 또, 도 2에서, 피스톤 로드(6)가 설치되어 있는 측이 상측이며, 후술하는 플런저 펌프(8c)나 릴리프 밸브(8f)가 설치되어 있는 측이 하측이다. 크로스 헤드 핀(7a)은, 피스톤 로드(6)와 연접봉(9)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원기둥형상 부재로서, 피스톤 로드(6)의 단부(큰 직경부(6b))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삽입 오목부)에, 작동유(작동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이 행해지는 유압실(R3)(유체실)이 형성된다. 크로스 헤드 핀(7a)의 중심축은,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삽입 오목부는, 크로스 헤드 핀(7a)의 상부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설치되어 있다. 큰 직경부(6b)의 외주면은, 상기 삽입 오목부의 내주면에 액밀(液密)하게 접하고 있다. 크로스 헤드 핀(7a)에는, 그 중심보다 하측에, 크로스 헤드 핀(7a)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출구 구멍(O)이 형성되어 있다. 출구 구멍(O)은, 피스톤 로드(6)의 도시하지 않은 냉각 유로를 통과한 냉각유가 배출되는 개구이다. 또한, 크로스 헤드 핀(7a)에는, 유압실(R3)과 후술하는 플런저 펌프(8c)를 접속하는 공급 유로(R4)와, 유압실(R3)과 후술하는 릴리프 밸브(8f)를 접속하는 릴리프 유로(R5)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슈(7b)는, 크로스 헤드 핀(7a)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크로스 헤드 핀(7a)에 따라 피스톤(4)의 스트로크 방향을 따라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레일 상을 이동한다. 가이드 슈(7b)는, 가구(2) 내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슈(7b)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크로스 헤드 핀(7a)은, 피스톤(4)의 스트로크 방향을 따르는 직선 방향 이외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크로스 헤드 핀(7a)은, 그 중심축 둘레의 회전 운동도 규제되어 있다. 덮개 부재(7c)는, 크로스 헤드 핀(7a)의 상부에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6)의 단부가 삽입되는 환상 부재이다. 덮개 부재(7c)는, 크로스 헤드 핀(7a)의 상기 삽입 오목부의 개구 주연(周緣)부에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7c)의 내경은, 피스톤 로드(6)의 본체부(6a)의 외경과 동등하고, 큰 직경부(6b)의 외경보다 작다. 큰 직경부(6b)는, 상기 삽입 오목부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삽입 오목부의 내면과, 큰 직경부(6b)의 하면 사이의 공간이, 유압실(R3)을 구성한다. 이러한 크로스 헤드(7)는, 피스톤(4)의 직선 운동을 연접봉(9)으로 전달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부(8)는, 공급 펌프(8a)와, 요동관(8b)과, 플런저 펌프(8c)와, 플런저 펌프(8c)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체크 밸브(8d) 및 제2 체크 밸브(8e)와, 릴리프 밸브(8f)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6), 크로스 헤드(7) 및 유압부(8)는, 본 개시에서의 가변 압축 장치로서 기능한다.
공급 펌프(8a)는, 제어부(30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도시하지 않은 작동유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승압하여 플런저 펌프(8c)로 공급하는 펌프이다. 공급 펌프(8a)는, 선박의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연소실(R1)에 액체 연료가 공급되는 것보다 이전에 가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동관(8b)은, 공급 펌프(8a)와 각 기통의 플런저 펌프(8c)를 접속하는 배관으로, 크로스 헤드 핀(7a)에 따라 이동하는 플런저 펌프(8c)와, 고정된 공급 펌프(8a)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런저 펌프(8c)는, 크로스 헤드 핀(7a)에 고정되어 있고, 봉상의 플런저(8c1)와, 플런저(8c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통형의 실린더(8c2)와, 플런저 구동부(8c3)를 가지고 있다. 플런저 펌프(8c)는, 플런저(8c1)가 플런저 구동부(8c3)와 접속됨으로써, 실린더(8c2) 내를 슬라이딩하고, 작동유를 승압하여 유압실(R3)로 공급한다. 또한, 실린더(8c2)에는, 단부에 설치된 작동유의 토출측의 개구에 제1 체크 밸브(8d)가 설치되고, 측둘레면에 설치된 흡입측의 개구에 제2 체크 밸브(8e)가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 구동부(8c3)는, 플런저(8c1)에 접속되고, 제어부(30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플런저(8c1)를 왕복이동시킨다.
제1 체크 밸브(8d)는, 실린더(8c2)의 내측을 향하여 밸브체가 도시하지 않은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바이어스됨으로써 폐쇄되는 구조가 되고, 유압실(R3)에 공급된 작동유가 실린더(8c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1 체크 밸브(8d)는, 실린더(8c2) 내의 작동유의 압력이 제1 체크 밸브(8d)의 바이어스 부재의 바이어스력(개방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체가 작동유에 눌림으로써 개방된다. 제2 체크 밸브(8e)는, 실린더(8c2)의 외측을 향하여 도시하지 않은 바이어스 부재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있어, 실린더(8c2)에 공급된 작동유가 공급 펌프(8a)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2 체크 밸브(8e)는, 공급 펌프(8a)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제2 체크 밸브(8e)의 바이어스 부재의 바이어스력(개방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체가 작동유에 눌림으로써 개방된다. 또, 제1 체크 밸브(8d)는, 개방 압력이 제2 체크 밸브(8e)의 개방 압력보다 높고, 미리 설정된 압축비로 운전되는 정상 운전시에서는, 공급 펌프(8a)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일은 없다.
릴리프 밸브(8f)는, 크로스 헤드 핀(7a)에 설치되고, 본체부(8f1)와, 릴리프 밸브 구동부(8f2)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8f1)는, 릴리프 유로(R5)를 통해 유압실(R3)에, 및 도시하지 않은 작동유 탱크에 접속되는 밸브이다. 릴리프 밸브 구동부(8f2)는, 본체부(8f1)의 밸브체에 접속되고, 제어부(30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본체부(8f1)를 개폐한다. 릴리프 밸브(8f)가 릴리프 밸브 구동부(8f2)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유압실(R3)에 저류된 작동유가 작동유 탱크로 되돌려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접봉(9)은, 크로스 헤드 핀(7a)과 연결됨과 아울러 크랭크축(11)과 연결되어 있는 장척형상 부재이다. 연접봉(9)은, 크로스 헤드 핀(7a)에 전달된 피스톤(4)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고 있다. 크랭크각 센서(10)는, 크랭크축(11)의 크랭크각을 계측하기 위한 센서로서, 제어부(300)로 크랭크각을 산출하기 위한 크랭크 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
크랭크축(11)은, 기통에 설치되는 연접봉(9)에 접속된 장척형상의 부재로서, 각각의 연접봉(9)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예를 들어 스크류 등에 동력을 전달한다. 소기 탱크부(12)는, 실린더 자켓(3c)과 과급기(200)의 사이에 설치되고, 과급기(200)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소기 탱크부(12)에는, 공기 냉각기(14)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배기 탱크부(13)는, 각 기통의 배기 포트(H)와 접속됨과 아울러 과급기(200)와 접속되는 관형상 부재이다. 배기 포트(H)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배기 탱크부(13)에 일시적으로 저류됨으로써, 맥동을 억제한 상태로 과급기(200)로 공급된다. 공기 냉각기(14)는, 소기 탱크부(12)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과급기(200)는, 배기 포트(H)로부터 배출된 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흡기 포트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가압하여, 소기 탱크부(12), 공기 냉각기(14) 및 소기실(R2)을 통해 연소실(R1)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제어부(300)는, 선박의 조종자에 의한 조작 등에 기초하여, 연료의 공급량 등을 제어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부(3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메모리, 및 SSD(Solid State Drive)나 HDD(Hard Disk Drive)과 같은 기억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0)는, 위치 검출부(400)와 유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부(300)가 위치 검출부(400)와 무선에 의해 정보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300)는, 유압부(8)를 제어함으로써, 연소실(R1)에서의 압축비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0)는, 위치 검출부(40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피스톤 로드(6)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플런저 펌프(8c), 공급 펌프(8a) 및 릴리프 밸브(8f)를 제어하여, 유압실(R3)에서의 작동유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피스톤 로드(6)의 위치(슬라이딩 방향의 위치)를 변경시켜 압축비를 변경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300)는, 엔진(1)에 공급되는 연료를 조정하여 엔진(1)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위치 취득 장치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어부(300) 외에, 본 개시의 위치 취득 장치에 상당하는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위치 검출부(4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출부(410)와, 검출부(420)를 가지고 있다. 피검출부(410)는, 2개의 요철부(411, 4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요철부(411, 412)는,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 하단측에 설치되고, 각각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요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요철부(411, 412)를 구성하는 오목부 및 볼록부의 슬라이딩 방향의 폭은, 전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요철부(411, 412)는, 피스톤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요철부(411, 412)는, 서로 동일한 요철이 배치됨과 아울러,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 각각의 요철의 위치가 각 오목부의 폭의 반분량만큼 어긋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요철의 위치의 어긋남량은, 각 오목부의 폭의 반분량에 한정하지 않고, 검출부의 분해능에 따라 임의로 설정해도 된다. 또, 피검출부(410)는, 피스톤(4)에 설치되는 피스톤 링(도시생략)보다 하방(피스톤 로드(6)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검출부(410)는,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에서의 윤활유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검출부(420)는, 소기 포트(S)보다 연소실(R1)로부터 떨어진 위치인 실린더 라이너(3a)의 내주면 하단측으로서, 실린더 라이너 벽면과 동일하거나 혹은 외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라이너(3a)의 내주면 하단측에 매설되어 고정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400)의, 실린더 라이너(3a)에서의 지름 방향 내측의 내면은, 실린더 라이너(3a)의 내주면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검출부(420)는, 2개의 피검출부(410)의 이동에 따른 피검출부(410)의 표면과의 거리의 변화에 의해 전기 신호(피스톤 로드(6)(피스톤(4))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이다. 검출부(420)로서는, 예를 들어, 광전 센서, 레이저 센서, 및 유도형이나 정전 용량형 등의 근접 센서를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검출부(420)는, 요철부(411, 412)의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어느 것이 대향되어 있는지를 검출 가능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의 위치를 검출 가능하다.
이러한 엔진 시스템(100)은, 도시하지 않은 연료 분사 밸브로부터 연소실(R1)에 분사된 연료를 착화, 폭발시킴으로써 피스톤(4)을 실린더 라이너(3a) 내에서 슬라이딩시켜, 크랭크축(11)을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소실(R1)에 공급된 연료는, 소기 포트(S)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피스톤(4)이 상사점 방향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하여 자연 착화한다. 또한, 액체 연료의 경우에는, 연소실(R1)에서 온도 상승함으로써 기화하여 자연 착화한다.
그리고, 연소실(R1) 내의 연료가 자연 착화함으로써 급격하게 팽창하여, 피스톤(4)에는 하사점 방향을 향한 압력이 걸린다. 이에 의해, 피스톤(4)이 하사점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스톤(4)에 따라 피스톤 로드(6)가 이동되어, 연접봉(9)을 개재하여 크랭크축(11)이 회전된다. 또한, 피스톤(4)이 하사점으로 이동됨으로써, 소기 포트(S)로부터 연소실(R1)로 가압 공기가 유입된다. 이 때, 배기 밸브 유닛(5)이 구동함으로써 배기 포트(H)가 열리고, 연소실(R1) 내의 배기가스가, 가압 공기에 의해 배기 탱크부(13)로 밀려나온다.
압축비를 크게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0)에 의해 공급 펌프(8a)가 구동되어, 플런저 펌프(8c)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플런저 펌프(8c)를 구동하여 작동유를, 피스톤 로드(6)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압력이 될 때까지 가압하여, 유압실(R3)로 작동유를 공급한다. 유압실(R3) 내의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6)의 단부(큰 직경부(6b))가 들어올려지고, 이에 따라 피스톤(4)의 상사점 위치가 상방(배기 포트(H) 측)으로 이동된다.
압축비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0)에 의해 릴리프 밸브(8f)가 구동되어, 유압실(R3)과 도시하지 않은 작동유 탱크가 연통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6)의 하중이 유압실(R3)의 작동유에 걸려, 유압실(R3) 내의 작동유가 릴리프 밸브(8f)를 개재하여 작동유 탱크로 밀려나온다. 이에 의해, 유압실(R3)의 작동유가 감소하여, 피스톤 로드(6)가 하방(크랭크축(11) 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4)의 상사점 위치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피스톤 로드(6)의 위치 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피스톤 로드(6)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4)이 이동되면, 피검출부(410)의 요철이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검출부(420)가 검출하는 피검출부(410)와의 거리가 변화한다. 검출부(420)는, 이러한 요철의 변화, 즉 피검출부(410)의 표면과의 상대적인 거리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서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또, 2개의 피검출부(410)가 각 오목부의 폭의 반분량만큼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피검출부(410)의 자계를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부(420)에 의한 위치 검출의 분해능은, 각각의 요철의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폭의 반분의 길이가 된다.
제어부(300)는, 검출부(420)의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피스톤(4)의 위치를 산출(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피스톤(4)의 위치에 기초하여, 유압부(8)의 제어를 행하고, 피스톤 로드(6)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엔진 시스템(100)에 의하면, 위치 검출부(400)에 의해, 피스톤(4)의 이동 방향에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00)에 의해, 피스톤(4)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300)는, 피스톤(4)의 이동 방향에서의 위치가, 목표로 하는 피스톤(4)의 위치와 맞는지를 항상 감시하여, 피스톤(4)의 이동 방향에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피스톤(4)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가변 압축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엔진 시스템(100)에서는, 가구(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일이 없는 실린더 라이너(3a)에 검출부(420)를 매설하고 있다. 이에 의해, 검출부(420)와 제어부(300)를 유선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텔레미터 등의 무선 송신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엔진 시스템(100)에서는,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 반파장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 2개의 피검출부(410)가 설치되어 있다. 피검출부(410)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검출부(420)는, 확실히 피검출부(410)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의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폭의 반분의 길이를 최저 분해능으로 하여, 피스톤(4)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정밀도로 피스톤(4)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출부(420)가 소기 포트(S)보다 연소실(R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검출부(420)가 연소실(R1)에서의 열 및 압력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제2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또,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엔진 시스템(100)은, 위치 검출부(400)를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300)(위치 취득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통내압 센서(검출 장치)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산출되는 연소실(R1) 내 압력에 기초하여, 실제의 압축비를 산출하고, 피스톤(4)의 위치를 취득한다.
피스톤(4)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의 통내압을 P0, 피스톤(4)이 상사점에 위치할 때의 통내압을 P1로 하였을 때, 압축비(ε)는, 하기 식 1로 나타난다. 또, κ는, 폴리트로프 지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제어부(300)는, 통내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식 1에 기초하여 실린더부(3)에서의 압축비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산출된 압축비로부터 피스톤(4)의 위치를 산출한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엔진 시스템(100)에 의하면, 통내압에 기초하여, 피스톤(4)의 위치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300)는, 피스톤(4)의 이동 방향에서의 위치가, 목표로 하는 피스톤(4)의 위치와 맞는지를 항상 감시하여, 피스톤(4)의 이동 방향에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피스톤(4)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가변 압축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진 시스템(100)은, 승압된 작동유(작동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피스톤(4)과 접속되는 피스톤 로드(6)가 압축비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압실(R3)(유체실)을 갖는 가변 압축 장치(피스톤 로드(6), 크로스 헤드(7) 및 유압부(8))와, 피스톤(4)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검출부(400)(검출 장치)와,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피스톤(4)의 위치를 취득하는 제어부(300)(위치 취득 장치)를 가지고 있다.
위치 검출부(400)는, 적어도 일부(도시하지 않은 통내압 센서)가, 피스톤(4)이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실린더 라이너(3a)에 설치되어,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400)는, 피스톤(4)에 설치된 피검출부(410)와, 실린더 라이너(3a)에 설치된 검출부(420)를 가진다.
위치 검출부(400)는, 피스톤(4)의 슬라이딩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복수 설치된다.
검출부(420)는,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 실린더 라이너(3a)의 소기 포트(S)보다 연소실(R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검출부(420)는, 실린더 라이너(3a)의 소기 포트(S)가,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 검출부(420)와 연소실(R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가지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로서, 본 개시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검출부(400)는, 요철을 검출함으로써 피스톤(4)의 위치를 취득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 검출부(400)는, 자성 부재가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된 피검출부(410)와,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부(420)(자기 센서)를 가져도 된다.
또한, 위치 검출부(400)의 검출부(420)가, 피스톤(4)의 하단 등을 검출 가능한 센서(근접 센서 등)인 경우는, 이 검출부(420)(위치 검출부(400)의 일부)만이 실린더 라이너(3a)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피검출부(410)의 설치 개소, 위치, 수량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검출부(410)는, 3개소 이상에 설치되어도 되고, 1개소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검출부(420)가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피검출부(410)가 피스톤(4)의 중심(실린더 라이너(3a)의 지름 방향에서의 피스톤(4)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각각 서로 대향하는 위치(상기 지름 방향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피검출부(410) 및 검출부(420)에 의한 위치 검출의 분해능을 높임으로써, 피스톤(4)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승압된 작동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피스톤과 접속되는 피스톤 로드가 압축비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체실을 갖는 가변 압축 장치를 구비한 엔진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엔진
2 가구
3 실린더부
3a 실린더 라이너
3b 실린더 헤드
3c 실린더 자켓
4 피스톤
5 배기 밸브 유닛
5a 배기 밸브
5b 배기 밸브 케이싱
5c 배기 밸브 구동부
6 피스톤 로드
7 크로스 헤드
7a 크로스 헤드 핀
7b 가이드 슈
7c 덮개 부재
8 유압부
8a 공급 펌프
8b 요동관
8c 플런저 펌프
8c1 플런저
8c2 실린더
8c3 플런저 구동부
8d 제1 체크 밸브
8e 제2 체크 밸브
8f 릴리프 밸브
8f1 본체부
8f2 릴리프 밸브 구동부
9 연접봉
10 크랭크각 센서
11 크랭크축
12 소기 탱크부
13 배기 탱크부
14 공기 냉각기
100 엔진 시스템
200 과급기
300 제어부(위치 취득 장치)
400 위치 검출부(검출 장치)
410 피검출부
411 요철부
412 요철부
420 검출부
H 배기 포트
O 출구 구멍
R1 연소실
R2 소기실
R3 유압실
R4 공급 유로
R5 릴리프 유로
R6 보조 유로
S 소기 포트

Claims (5)

  1. 승압된 작동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피스톤과 접속되는 피스톤 로드가 압축비를 높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체실을 갖는 가변 압축 장치와,
    상기 피스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장치와,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취득하는 위치 취득 장치를 갖는 엔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피스톤이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실린더 라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엔진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피스톤에 설치된 피검출부와, 상기 실린더 라이너에 설치된 검출부를 갖는 엔진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복수 설치되는 엔진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라이너의 소기 포트보다 연소실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엔진 시스템.
KR1020207014939A 2017-10-27 2018-10-26 엔진 시스템 KR102383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7964A JP7309109B2 (ja) 2017-10-27 2017-10-27 エンジンシステム
JPJP-P-2017-207964 2017-10-27
PCT/JP2018/039935 WO2019083021A1 (ja) 2017-10-27 2018-10-26 エンジン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718A true KR20200076718A (ko) 2020-06-29
KR102383655B1 KR102383655B1 (ko) 2022-04-08

Family

ID=66247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939A KR102383655B1 (ko) 2017-10-27 2018-10-26 엔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702597B1 (ko)
JP (1) JP7309109B2 (ko)
KR (1) KR102383655B1 (ko)
CN (1) CN111386389A (ko)
DK (1) DK3702597T3 (ko)
WO (1) WO2019083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8144A1 (de) * 2019-06-03 2020-12-09 Winterthur Gas & Diesel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rossmotors sowie grossmo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607A (ja) * 1985-09-02 1987-03-12 Smc Corp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位置検出器取付用位置調整装置
JPS63164535U (ko) * 1987-04-16 1988-10-26
JP2010513800A (ja) * 2006-12-13 2010-04-30 ストーンリッジ・コントロール・デバイスィ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リンダ位置センサおよびそれを組み込むシリンダ
JP2014020375A (ja) 2012-07-17 2014-02-03 Waertsilae Schweiz Ag 大型往復ピストン燃焼エンジン、ならびにそのようなエンジンを制御する制御機器および方法
KR20160090394A (ko) * 2014-01-20 2016-07-29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크로스 헤드형 엔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656B1 (en) * 1999-02-22 2001-03-27 Caterpillar Inc. Method of operating a free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high pressure hydraulic fluid upon misfire or initial start-up
SE9904554D0 (sv) * 1999-12-14 1999-12-14 Jonas Jonsson Anordningar för mätning och reglering av toppspel under drift på förbränningsmotorer av typ fram- och återgående kolv
JP2005048621A (ja) * 2003-07-31 2005-02-24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圧縮比算出装置、圧縮比算出方法、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99956B1 (ko) * 2014-01-20 2017-11-2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엔진
JP6137340B2 (ja) * 2014-01-20 2017-05-31 株式会社Ihi クロスヘッド型エンジン
JP6274191B2 (ja) 2014-12-03 2018-02-0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フリーピストン式発電機の制御装置
JP6758911B2 (ja) 2016-05-19 2020-09-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607A (ja) * 1985-09-02 1987-03-12 Smc Corp 流体圧シリンダにおける位置検出器取付用位置調整装置
JPS63164535U (ko) * 1987-04-16 1988-10-26
JP2010513800A (ja) * 2006-12-13 2010-04-30 ストーンリッジ・コントロール・デバイスィ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リンダ位置センサおよびそれを組み込むシリンダ
JP2014020375A (ja) 2012-07-17 2014-02-03 Waertsilae Schweiz Ag 大型往復ピストン燃焼エンジン、ならびにそのようなエンジンを制御する制御機器および方法
KR20160090394A (ko) * 2014-01-20 2016-07-29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크로스 헤드형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2597A1 (en) 2020-09-02
WO2019083021A1 (ja) 2019-05-02
EP3702597A4 (en) 2021-08-11
EP3702597B1 (en) 2023-04-26
DK3702597T3 (da) 2023-05-22
JP2019078250A (ja) 2019-05-23
KR102383655B1 (ko) 2022-04-08
JP7309109B2 (ja) 2023-07-18
CN111386389A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874B1 (ko) 가변 압축 장치 및 엔진 시스템
KR102383655B1 (ko) 엔진 시스템
KR102502627B1 (ko) 엔진 시스템
KR102371032B1 (ko) 압축단 압력 제어 장치 및 엔진 시스템
EP3719273B1 (en) Variable compression device, and engine system
KR102383382B1 (ko) 엔진 시스템 및 가변 압축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74364B1 (ko) 가변 압축 장치 및 엔진 시스템
KR20200029577A (ko) 가변 압축 장치 및 엔진 시스템
KR102259354B1 (ko) 가변 압축 장치 및 엔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