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900A - 흑린층을 활성층으로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린층을 활성층으로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900A
KR20200074900A KR1020190168802A KR20190168802A KR20200074900A KR 20200074900 A KR20200074900 A KR 20200074900A KR 1020190168802 A KR1020190168802 A KR 1020190168802A KR 20190168802 A KR20190168802 A KR 20190168802A KR 20200074900 A KR20200074900 A KR 20200074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resistance change
change memory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199B9 (ko
KR102259199B1 (ko
Inventor
김덕기
샤니아 레만 타라르
김홍균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74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199B1/ko
Publication of KR10225919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19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45/14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01L45/122
    • H01L45/1253
    • H01L45/160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21Formation of switching materials, e.g. deposition of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제 1 전극과 이온화 가능한 금속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전도성막인 제2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흑린층을 포함하는 활성층이 배치된다.

Description

흑린층을 활성층으로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black phosphorous layer as active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비휘발성 메모리로 상용화된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전하저장층 내에 전하를 저장 또는 제거함에 따른 문턱 전압의 변화를 사용한다. 상기 전하저장층은 폴리 실리콘막인 부유 게이트 또는 실리콘 질화막인 전하 트랩층일 수 있다. 최근, 상기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비해 소비전력이 낮고 집적도가 높은 새로운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의 예로는 상변화형 메모리 소자(phase change RAM; PRAM), 자기 메모리 소자(magnetic RAM; MRAM) 및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resistance change RAM; ReRAM)가 있다.
이러한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 중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플래시 메모리 대비 프로그램 동작이 빠르고 비교적 낮은 전압에서 동작이 가능하며, 3차원 크로스 바 에러이(3D cross-bar array)가 가능하여 매우 높은 집적도를 가질 수 있음이 장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자 집적도 증가에 따른 소비전력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동작 전압의 추가 감소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작전압 범위 감소에 따른 낮은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제 1 전극과 이온화 가능한 금속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전도성막인 제2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흑린층을 포함하는 활성층이 배치된다.
상기 활성층은 10 내지 200 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30 내지 100 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102 내지 105의 온/오프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상기 흑린층 상에 흑린 산화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린 산화물층은 3 nm 내지 10 n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은 Cu 또는 Ag를 함유하는 전도성막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제1 전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흑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흑린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이온화 가능한 금속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전도성막이다.
상기 흑린층을 형성하는 것은 미세 기계 박리 및 전사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을 산화하여 흑린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을 산화하는 것은, 산소를 포함하는 분위기에서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활성층으로 전혀 새로운 물질인 흑린을 구비하면서 흑린 활성층 내에서 금속 필라멘트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 저항성 스위칭을 구현할 수 있어, 낮은 동작범위를 나타내는 등 소비전력이 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활성층으로 특정 범위의 두께를 갖는 흑린층을 구비하거나, 혹은 흑린층과 흑린산화물층의 이중층을 구비하여 안정적인 온/오프 비율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그래프이다.
도 4는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를 촬영한 광학사진이다.
도 5는 소자 제조예 1, 3, 및 5에 따른 과정 중 얻어진 BP층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a) 및 BP층의 두께에 따른 A2 g/A1 g 강도 비를 나타낸 그래프(b)이다.
도 6은 소자 제조예들 1 내지 5, 및 소자 비교예에 따른 소자의 I-V 곡선들을 나타낸다.
도 7은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를 반복적으로 스위칭할 때 저저항상태(LRS)와 고저항상태(HRS)의 누적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를 촬영한 광학사진이다.
도 9는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과정 중 얻어진 BP층과 BP 산화물층을 구비하는 활성층에 대한 X-선 광전자 분광 스펙트럼(XPS)을 보여준다.
도 10은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의 I-V 곡선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a)와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b)의 저저항상태(LRS)와 고저항상태(HRS)에서 저항유지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미도시) 상에 제1 전극(1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전기화학적으로 비활성인 전도성 막으로, Pt, Ru, Au, TiN, TaN, 또는 ITO (Indium Tin Oxide)일 수 있다. 이 때, 전기화학적으로 비활성이라는 것은 전극을 구성하는 금속이 이온화되어 후술하는 활성층 내로 확산되거나 혹은 활성층 내의 산소이온에 의해 산화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10) 상에 활성층으로서 흑린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흑린(Black Phosphorus) 혹은 BP는 인의 가장 안정적인 동소체로서, 다수의 인 원자층들이 약한 반데르발스 상호 작용을 통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흑린은 그래핀과 유사하게 포스포린(phosphorene)으로 불리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흑린은 두께에 따라 ~0.3 eV 내지 ~2.0 eV 범위의 밴드갭을 갖는 반도체이다. 상기 흑린층(130)은 10 내지 200 nm 일 예로서, 15 내지 100nm,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90nm일 수 있다.
이 흑린층(130)은 미세 기계 박리, 화학 기상 증착, 화학 박리 및 액상 박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흑린층(130)은 스탬프 표면에 설치된 접착성 테이프를 사용하여 벌크 흑린 결정으로부터 박리된 후 상기 제1 전극(110) 상에 전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미세 기계 박리로 불리우며, 결정 품질이 우수한 흑린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흑린층(130) 상에 제2 전극(14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140)은 상기 제1 전극(110)과는 달리 이온화 가능한 금속을 함유하여 함유된 금속이 이온화되어 상기 활성층(13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전도성막 일 예로서, Cu 또는 Ag층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10)이 전기화학적으로 비활성인 전도성막이고 제2 전극(140)은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갖는 전도성막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전극(110)이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을 갖는 전도성막이고 제2 전극(140)은 전기화학적으로 비활성인 전도성막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10) 또는 상기 제2 전극(140)은 리프트오프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흑린층 즉, 활성층(130)은 소자의 동작과정에서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상기 제2 전극(140)으로부터 생성된 금속이온을 전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범위를 갖는 흑린층(130)은 공기 중에 노출되어 표면이 일부 산화되더라도 활성층 혹은 저항변화층으로서의 안정적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흑린층(130)이 상기 두께범위를 가질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소자는 10 내지 104, 구체적으로는 102 내지 104의 우수한 온/오프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소자는 1V 미만의 낮은 동작 전압 범위 내에서 동작할 수 있어 소비전력이 낮을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110) 상에 흑린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흑린층은 10 내지 200 nm 일 예로서, 15 내지 100nm,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90nm일 수 있다.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을 산화시켜 상기 흑린층의 상부 부분에 흑린 산화물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활성층(130)은 제1 전극과 인접한 흑린층(130a)과 상기 흑린층(130a) 상부에 흑린 산화물층(130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을 산화시키는 것은, 산소를 함유하는 분위기 다시 말해서, 산소 분위기 혹은 대기 중에서,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에 자외선 일 예로서 원자외선(deep UV)를 조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흑린 산화물층(130b)의 두께는 3 nm 내지 10 nm 일 수 있다.
상기 활성층(130) 즉, 상기 흑린층(130a)과 그의 상부에 위치하는 흑린 산화물층(130b)은 소자의 동작과정에서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상기 제2 전극(140)으로부터 생성된 금속이온을 전도하는 고체 전해질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흑린 산화물층(130b)은 흑린의 자연산화물로서 하부 흑린층(130a)이 공기 중의 산소 혹은 물에 의해 추가적으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핑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흑린층(130a)과 흑린 산화물층(130b)의 이중층을 구비하는 활성층(130)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소자는 ~105의 우수한 온/오프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소자는 1V 미만의 낮은 동작 전압 범위 내에서 동작할 수 있어 소비전력이 낮을 수 있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그래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3에서의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도 1a 또는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와 동일하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극(110)에 기준전압 예를 들어, 그라운드 전압(Vr)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2 전극(140)에 0V 이상 셋 전압(Vset) 미만의 양의 바이어스 전압(Vp, 0≤Vp<VSET)을 인가한다(P1). 제2 전극(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을 구성하는 금속이 이온화되어 활성층(13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전도성막으로 일 예로서, Cu 또는 Ag층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140)에 양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극(140) 내의 금속이 산화되어 금속 양이온의 형태로 상기 활성층(1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양이온은 상기 제1 전극(110) 방향으로 이동한 후, 음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1 전극(110) 상에서 환원된 후 상기 제1 전극(110) 상에 축적되면서 금속 필라멘트(F)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필라멘트(F)가 제2 전극(140)에 닿을 정도로 축적되지는 못하여 소자는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에 있을 수 있다.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전극(140)에 셋 전압(Vset) 이상의 양의 바이어스 전압(VSET ≤ Vp)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금속 필라멘트(F)가 제2 전극(140)에 닿을 수 있을 정도로 축적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40) 사이에서 전자가 상기 금속 필라멘트(F)를 따라 흐를 수 있어 소자는 저저항 상태(low resistance state, LRS)로 변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2 전극(140)에 셋 전압(VSET) 이하 0V 이상의 양의 바이어스 전압(0≤Vp≤VSET)을 인가하는 경우에, 소자는 저저항 상태(LRS)를 유지할 수 있다(P2).
도 2c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전극(140)에 0V 이하 리셋 전압(VRESET) 초과의 음의 바이어스 전압(VRESET<Vn≤0)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소자는 저저항 상태(LRS)를 유지할 수 있다(P3).
도 2d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전극(140)에, 리셋 전압(VRESET) 이하의 음의 바이어스 전압(Vn)을 인가하는 경우(Vn≤VRESET), 상기 제2 전극(140)에 인접한 금속 필라멘트(F)는 산화되어 상기 제2 전극(140)으로부터 탈리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40) 사이에서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소멸되어 소자는 고저항 상태(high resistance state, HRS)로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메커니즘을 갖는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CBRAM(Conductive Bridge Random Access Memory)로 불리워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자 제조예들 1 내지 5>
300nm의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의 상기 실리콘 산화막 상에 리프트 오프 공정을 사용하여 두께 60nm 및 폭 5mm의 Au 전극을 형성하였다. 이 리프트 오프 공정에서, EL9(Ethyl lactate-9)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레지스트를 전자빔 리소그래피를 사용하여 패터닝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레지스트 패턴 상에 전자빔 증발을 사용한 Au층을 증착 후, 아세톤 및 메탄올 혼합액 내에서 레지스트 패턴을 용해하였다. 이어서, PDMS 스탬프상의 스카치 테이프를 사용하여 BP 플레이크를 박리한 후, 박리된 BP층을 상기 Au 전극의 상부로 전사하여 BP 활성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BP 활성층 상에 리프트 오프 공정을 사용하여 폭 5mm 및 두께 60nm의 상부 Cu 전극을 형성하였다. 이 후, 얻어진 결과물을 아세톤에 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메탄올로 헹구고,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건조시켰다.
소자 제조예들 1 내지 5에서 상기 BP 활성층의 두께를 2.4nm, 15nm, 32nm, 60nm, 및 85nm로 각각 형성하였다. 상기 BP 활성층의 두께는 AFM(Atomic Force Microscope)을 사용하여 측정된 두께이다.
<소자 비교예>
Cu 전극 대신에, 85nm의 두께를 갖는 BP 활성층 상에 리프트 오프 공정을 사용하여 Au 전극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소자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소자 제조예 6>
소자 제조예 5의 진행과정 중 얻어진 85nm의 두께를 갖는 BP 활성층 상에 전자빔 리소그래피를 사용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BP 활성층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BP 활성층을 산소 분위기에서 220 nm의 파장 및 11 mWcm-2의 전력 강도를 갖는 DUV 광에 노출시켜 BP 활성층의 상부 일부를 산화시켜, Au 전극 상에 BP층과 BP 산화물층이 차례로 적층된 활성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소자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도 4는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를 촬영한 광학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Au 전극(110)과 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Cu 전극(140) 사이에 BP층(130a)이 개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소자 제조예 1, 3, 및 5에 따른 과정 중 얻어진 BP층에 대한 라만 스펙트럼(a) 및 BP층의 두께에 따른 A2 g/A1 g 강도 비를 나타낸 그래프(b)이다.
도 5를 참조하면, BP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A2 g/A1 g 강도 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소자 제조예들 1 내지 5, 및 소자 비교예에 따른 소자의 I-V 곡선들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자 제조예 1에 따른 소자(a)는 저항 스위칭을 보여주지 않으며 전류 레벨이 매우 높은데, 이는 2.4nm의 매우 얇은 BP층은 공기 중에서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소자 제조예 2에 따른 소자(b) 즉, 15nm의 BP층을 활성층으로 구비한 소자는 0.36V의 셋 전압에서 고저항 상태 (HRS)에서 저저항 상태 (LRS)로 천이되고, 역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0.25V의 리셋 전압에서 HRS 상태로 빠르게 복귀하였다. 또한, 소자는 0.3±0.06 V의 낮은 동작 전압 및 101의 온/오프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소자 제조예 2에 따른 소자(b)는 안정적인 바이폴라 저항 스위칭 특성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온/오프 비율이 너무 낮다.
소자 제조예 3에 따른 소자(c) 즉, 32nm의 BP층을 활성층으로 구비한 소자는 소자 제조예 2에 따른 소자(b) 대비 BP층의 두께가 증가하였으나 동작전압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온/오프 비율은 102로 증가되었다.
소자 제조예 4에 따른 소자(d) 즉, 60nm의 BP층을 활성층으로 구비한 소자는 BP층의 두께가 더 증가됨에 따라 0.5±0.1 V로 동작 전압이 증가하고 또한 온/오프 비율이 103으로 증가되었다.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e) 즉, 85nm의 BP층을 활성층으로 구비한 소자는 BP층의 두께가 더 증가됨에 따라 0.63±0.08 V로 동작 전압이 증가하고 또한 온/오프 비율이 104으로 증가되었다.
위 소자 제조예들 2 내지 5에서 BP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온/오프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주로 오프 전류의 감소에 따른 것인데, 이는 BP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BP층 내에 적층된 BP 원자층의 개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개별 BP 원자층들의 저항의 합 및 BP 원자층들 사이의 저항 즉, 층간 저항의 합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소자 비교예에 따른 소자(f) 즉, Au층/85nm의 BP층/Au층의 구성을 갖는 소자는 인가되는 전압이 5V로 증가하더라도 저항 스위칭을 보여주지 않는다. 이 소자는 BP층의 상하부에 형성된 전극들이 모두 전기화학적으로 비활성인 Au로 형성된 것인 반면, 소자 제조예들 각각에서의 한쌍의 전극들 중 하나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Cu로 형성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소자 제조예들 2 내지 5에 따른 소자들에서 나타나는 저항성 스위칭 거동은 BP 고체 전해질층 내에서 Cu 필라멘트가 형성 및 용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가능하다. 또한, 앞서 설명된 소자 제조예들 2 내지 5에 따른 I-V 곡선들은 공간 전하 제한 전류 (SCLC)에 따른 거동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또한 소자 제조예들 2 내지 5에 따른 소자들에서 나타나는 저항성 스위칭 거동이 BP 고체 전해질층 내에서 Cu 필라멘트가 형성 및 용해에 기인하는 것을 뒷받침할 수 있다.
도 7은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를 반복적으로 스위칭할 때 저저항상태(LRS)와 고저항상태(HRS)의 누적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는 실온에서 소자에 +0.1V의 읽기 바이어스를 가한 상태에서 측정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는 104의 평균 메모리 윈도우를 가짐을 보여준다.
도 8은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를 촬영한 광학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판 상에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Au 전극(110)과 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Cu 전극(140) 사이에 차례로 적층된 BP층(130a)과 BP 산화물층(130b)을 구비하는 활성층이 개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과정 중 얻어진 BP층과 BP 산화물층을 구비하는 활성층에 대한 X-선 광전자 분광 스펙트럼(XPS)을 보여준다.
도 9를 참조하면, 130.01eV 및 130.85eV에서 피크 위치를 갖는 2p3/2 및 2p1/2 오비탈을 나타내는 BP의 특징적인 더블릿 피크(doublet peak)가 관찰된다. 이러한 더블릿 피크 외에도 134.5eV에서 넓은 피크 또한 관찰되는데, 이는 BP 산화물과 관련이 있다. 산화된 인 화합물 (POx)이 ~134-135 eV의 범위에서 피크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 피크는 인산(phosphate) 종에 해당된다. 이 피크의 존재는 대기 노출로 인한 BP층의 표면 산화를 나타내고, 이는 BP층 표면과 물 및 산소의 흡착 및/또는 반응 때문이다.
도 10은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의 I-V 곡선들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 즉, Cu/85 nm 두께의 표면 산화된 BP층/Au의 층구조를 갖는 소자는 105의 온/오프 비의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저항성 스위칭을 보여주었다. 본 소자는 소자 제조예 6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85nm 두께의 BP층의 표면을 DUV 광선에 노출시켜 BP층의 표면을 산화시킨 것으로, BP층 표면 산화 과정을 진행하지 않은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 대비, 저항성 스위칭 동작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러나,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의 동작 전압이 0.6±0.1V인 것에 비하여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는 동작 전압이 0.8±0.1V로 증가하였으며, 또한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의 온/오프 비율이 104인 것에 비하여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는 온/오프 비율이 105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온/오프 비율과 동작 전압의 증가는 산화막 형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동작 전압은 1V 미만이다.
또한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의 I-V 곡선 또한 공간 전하 제한 전류 (SCLC)에 따른 거동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는 소자 제조예들 2 내지 5에 따른 소자들과 마찬가지로 Cu 필라멘트 형성 및 용해로 인한 저항성 스위칭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a)와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b)의 저저항상태(LRS)와 고저항상태(HRS)에서 저항유지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는 실온의 대기 조건(ambient condition)에서 소자에 +0.1V의 읽기 바이어스를 가한 상태에서 측정되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자 제조예 5에 따른 소자(a)와 소자 제조예 6에 따른 소자(b)는 104초에 이르기까지 104과 105의 메모리 윈도우를 각각 유지하여 우수한 유지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제 1 전극;
    이온화 가능한 금속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전도성막인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된 흑린층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10 내지 200 nm의 두께를 갖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30 내지 100 nm의 두께를 갖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는 102 내지 105의 온/오프 비율을 나타내는 것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상기 흑린층 상에 흑린 산화물층을 더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흑린 산화물층은 3 nm 내지 10 nm의 두께를 갖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Cu 또는 Ag를 함유하는 전도성막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8. 제1 전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상에 흑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흑린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이온화 가능한 금속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전도성막인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흑린층을 형성하는 것은 미세 기계 박리 및 전사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을 산화하여 흑린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을 산화하는 것은,
    산소를 포함하는 분위기에서 상기 흑린층의 상부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020190168802A 2018-12-17 2019-12-17 흑린층을 활성층으로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9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2933 2018-12-17
KR1020180162933 2018-12-17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900A true KR20200074900A (ko) 2020-06-25
KR102259199B1 KR102259199B1 (ko) 2021-06-01
KR102259199B9 KR102259199B9 (ko) 2021-09-17

Family

ID=7140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802A KR102259199B1 (ko) 2018-12-17 2019-12-17 흑린층을 활성층으로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4525A (zh) * 2020-07-08 2020-10-27 华东理工大学 一种新型光电双响应阻变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467A (ko) * 2011-12-01 2013-06-11 광주과학기술원 내부 저항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5495B1 (ko) * 2013-11-14 2015-03-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Cbram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6876584A (zh) * 2017-02-13 2017-06-20 东莞市佳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含黑磷烯的石墨烯柔性阻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1467A (ko) * 2011-12-01 2013-06-11 광주과학기술원 내부 저항을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5495B1 (ko) * 2013-11-14 2015-03-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Cbram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6876584A (zh) * 2017-02-13 2017-06-20 东莞市佳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含黑磷烯的石墨烯柔性阻变存储器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u-Ting Han, et, al. Black Phosphorus Quantum Dots with Tunable Memory Properties and Multilevel Resistive Switching Characteristics. Adv. Sci. 2017, 1600435(2017.03.16.)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4525A (zh) * 2020-07-08 2020-10-27 华东理工大学 一种新型光电双响应阻变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834525B (zh) * 2020-07-08 2022-03-11 华东理工大学 一种新型光电双响应阻变存储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199B9 (ko) 2021-09-17
KR102259199B1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i et al. Improvement of CBRAM resistance window by scaling down electrode size in pure-GeTe film
JP4434721B2 (ja) ナノドットを有するメモリ製造方法
US9997705B2 (en) Porous SiOx materials for improvement in SiOx switching device performances
US20060273429A1 (en) Switching element, programmable logic integrated circuit and memory element
US20110155993A1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KR101198301B1 (ko) 금속 나노입자를 이용하고 환원된 그래핀 산화물에 기반한 양쪽극 기억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38045A (ko) 반도체 트랜지스터, 메모리 셀, 정보 저장 방법 및 메모리셀 저장 방법
Schindler et al. Resistive switching in Ag-Ge-Se with extremely low write currents
US11950520B2 (en) Optically switchable memory
US20070052009A1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6876400B (zh) 导电桥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US20220278276A1 (en) A Resistive Memory Device Structure Based on Stacked Layers Of Nanocrystalline TMDCs
EP2522041B1 (en) Electrically actuated switch
KR102259199B1 (ko) 흑린층을 활성층으로 포함하는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9755B1 (ko) 저항 변화형 메모리
Meier et al. Resistively switching Pt/spin-on glass/Ag nanocells for non-volatile memories fabricated with UV nanoimprint lithography
Han et al. Al2O3 interfacial layer derived hybrid conductive filament for the reliability enhancement of Ta2O5-based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Park et al. Transparent, Flexible, and Low‐Operating‐Voltage Resistive Switching Memory Based on Al2O3/IZO Multilayer
JP5874905B2 (ja) アルミナ抵抗変化型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Rahaman et al. Comparison of resistive switching characteristics using copper and aluminum electrodes on GeO x/W cross-point memories
KR100694316B1 (ko) 플라즈마 가스처리를 이용한 산화박막의 안정성이 우수한ReRAM 소자의 제조방법
Kim et al. Voltage‐Tunable Ultra‐Steep Slope Atomic Switch with Selectivity over 1010
Kumar et al. Resistive switching characteristics of MnO2-based thin film for transparent non-volatile ReRAM
CN108400237B (zh) 导电桥接式随机存取存储器及其制造方法
KR100744959B1 (ko) 유기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