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678A - 라미네이터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678A
KR20200074678A KR1020180163349A KR20180163349A KR20200074678A KR 20200074678 A KR20200074678 A KR 20200074678A KR 1020180163349 A KR1020180163349 A KR 1020180163349A KR 20180163349 A KR20180163349 A KR 20180163349A KR 20200074678 A KR20200074678 A KR 20200074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upport
laminator
printed materi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433B1 (ko
Inventor
김석규
Original Assignee
김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규 filed Critical 김석규
Priority to KR102018016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4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인쇄물지지대 및 고정홈을 이용하여 인쇄물을 수직으로 투입하고 고정해 필름과 수직으로 합지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라미네이팅 할 수 있고, 필름 두께조절장치로 손쉽게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라미네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라미네이터{Laminator}
본 발명은 필름과 인쇄물을 합지하여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물지지대와 고정홈, 필름 두께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인쇄물을 수직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의 필름을 사용하여 인쇄물과 필름을 정밀하고 정확하게 합지할 수 있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미네이터는 인쇄물, 사진 등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이를 압착하고자 하는 필름, 종이, 플라스틱, 시트 등을 열을 가해 상호 압착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는 유리와 같은 플렉시글라스, 아크릴 판 등을 이용하여 사진의 투명도와 채도를 높여 주면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색바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아크릴 접합형 라미네이팅 기술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터는, 피접합물이 포개어진 기판이 안치되는 테이블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테이블의 표면으로 일부 노출되는 하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피접합물을 기판으로 가압하기 위한 상부롤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피접합물이 포개어진 기판이 상, 하부롤러 사이로 진입될 때, 상부롤러는 피접합물을 기판에 가압하고, 이에 따라 피접합물은 기판에 라미네이션된다.
종래기술(한국 등록특허 제10-1607822호)은 범용성을 가지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피접합물이 라미네이팅되는 기판의 두께가 다르더라도 승강구동부를 이용하여 상부롤러를 승강시켜 범용성을 가지는 라미네이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피접합물 지지대나 고정홈 없이 기판위에 포개어진 상태로 라미네이션되어 정밀성과 정확도가 떨어지고, 승강구동부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구가 복잡하고 비용이 고가이며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 기판 두께에 따라서 정확하게 압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07822호) 범용성을 가지는 라미네이터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물지지대를 이용해 인쇄물을 수직으로 투입하고 고정홈에 고정해 필름과 수직으로 접촉하여 정밀하고 정확하게 합지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의 필름을 용이하게 합지할 수 있는 라미네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필름을 인쇄물에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터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터의 전방에서 수평으로 투입되는 상기 필름을 지지하는 필름지지대와, 상기 필름지지대 상에서 상기 필름을 측면에서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는 측면지지대와, 상기 라미네이터의 상단에서 상기 필름지지대에 수직으로 투입되는 상기 인쇄물을 안내하는 인쇄물지지대와, 상기 인쇄물을 상기 필름지지대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고정홈과, 상기 필름과 상기 인쇄물을 라미네이팅 하는 라미네이터 본체 및 상기 필름과 상기 인쇄물이 합지되어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로 삽입될 때, 다양한 두께의 필름과 상기 인쇄물을 합지할 수 있는 두께조절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두께조절장치는 전부가 상기 필름지지대와 일정각도를 형성하게 구부러지고, 후부는 평행하게 이루어진 두께조절판과, 상기 두께조절판과 상기 필름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두께 조절핀과, 상기 두께조절판을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두께조절판과 두께 조절핀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과 상기 인쇄물은 상기 고정홈에서 상호 수직으로 접촉하여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지지대는 상기 필름지지대의 너비 방향으로 측면지지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대는 측면지지판과, 상기 측면지지판을 상기 필름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나사 및 상기 필름지지대의 측면지지대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대홈을 따라 상기 필름지지대의 너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물지지대는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에 상기 필름지지대 너비 간격으로 구비되어 고정되는 인쇄물지지판 및 상기 인쇄물지지판을 연결하는 인쇄물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는 인쇄물지지대와 고정홈을 이용하여 인쇄물을 수직으로 투입하고 고정해 필름과 수직으로 합지하여 정밀하고 정확하게 라미네이팅 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두께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아크릴 판과 같은 판상의 필름을 원하는 두께로 손쉽게 조절해 다양한 두께로 라미네이팅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미네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두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름지지대와 측면지지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쇄물지지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미네이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두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름지지대와 측면지지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쇄물지지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는 필름지지대(100), 측면지지대(200), 인쇄물지지대(300), 고정홈(400), 라미네이터 본체(500), 두께조절장치(6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기 라미네이터(10)는 인쇄물, 사진, 서류 등의 종이류를 아크릴판과 같은 크리스탈 소재의 필름과 합지하여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이류 외에도 얇은 직물류 등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필름(20)은 아크릴 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유리, 투명아크릴 필름 및 두꺼운 아크릴 필름 등이 쓰일 수 있으며, 인쇄물의 투명도와 채도를 높일 수 있는 플렉시글라스와 같은 기능을 하는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필름(20)은 A3, A4, A5, B4, B5 등의 다양한 크기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터(10)는 상기 필름지지대(100)가 전방에서 수평으로 투입되는 상기 필름(20)을 지지하고, 상기 측면지지대(200)로 상기 필름(20)을 측면에서 지지하고 고정하며, 상기 인쇄물지지대(300)가 상기 라미네이터(10)의 상단에서 상기 필름지지대(100)에 수직으로 투입되는 인쇄물(30)을 안내하고, 상기 고정홈(400)이 상기 인쇄물(30)을 상기 필름지지대(100)에 수직으로 고정하며,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500)는 상기 필름(20)과 상기 인쇄물(30)을 라미네이팅하고, 상기 두께조절장치(600)는 상기 필름(20)과 상기 인쇄물(30)이 합지되어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500)로 삽입될 때, 다양한 두께의 상기 필름(20)과 상기 인쇄물(30)을 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400)은 상기 인쇄물(30)을 수직으로 고정하여 상기 필름(20)과 합지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라미네이팅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두께조절장치(600)는 두께조절판(610), 두께 조절핀(620), 스프링(630) 및 고정핀(640)을 포함한다.
상기 두께조절판(610)은 전부가 상기 필름지지대(100)와 일정각도를 형성하게 구부러지고, 후부는 평행하게 이루어져 합지된 상기 필름(20)과 상기 인쇄물(30)이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고, 상기 두께 조절핀(620)은 상기 두께조절판(610)과 상기 필름지지대(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두께조절판(610)을 가압할 수 있고, 상기 고정핀(640)은 상기 스프링(630)을 지지하고 상기 두께조절판(610)과 두께 조절핀(620)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께조절판(610)은 얇은 판상이고, 상기 필름지지대(100)와 같은 너비로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500) 내부에 구비되며, 양 끝단에 상기 고정핀(640)이 고정되는 판고정홀(6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두께 조절핀(620)은 상기 두께조절판(610) 양 끝단에 적어도 하나씩 각각 위치하고, “ㄴ”의 형상으로 수직 형상의 일단은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500) 외부에 위치하여 손잡이로 사용되거나 조절된 두께를 확인 할 수 있고, 수평 형상의 타단은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5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두께조절판(610)과 상기 필름지지대(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타단에 상기 고정핀(640)이 고정되는 핀고정홀(6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두께 조절핀(620)의 타단 일부는 수평 형상이지만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64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두께조절판(610)과 상기 필름지지대(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조절핀(620)은 상기 두께조절판(610) 양 끝단에 적어도 하나씩 각각 위치하거나 복수개 사용할 수 있고, 같은 두께로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합지된 상기 필름(20)과 인쇄물(30)을 고르게 라미네이팅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조절핀(620)은 상기 필름(20)의 종류 또는 인쇄물(3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두께 조절을 위해서 다양한 두께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조절핀(620)은 상기 스프링(630)의 가압을 견딜 수 있는 소재로서 금속,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두께조절판(610) 양 끝단에 적어도 하나씩 각각 위치하여 상기 두께조절판(610)을 가압하고, 상기 고정핀(640)은 상기 스프링(630)을 지지하고 상기 두께조절판(610) 및 두께 조절핀(620)을 고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필름지지대(100)는 측면지지대홈(110)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지지대(200)는 측면지지판(210), 고정나사(220) 및 돌출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지지대홈(110)은 상기 필름지지대(100)의 너비 방향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지지대(100)는 상기 두께조절장치(600) 고정을 위한 상기 고정핀(640)이 고정되는 고정홀(111)이 구비되어 상기 두께조절장치(6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대(200)의 상기 측면지지판(210)은 상기 필름의 측면을 지지 및 고정하고, 상기 고정나사(220)는 상기 측면지지판(210)을 상기 필름지지대(100)에 고정하며,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필름지지대(100)의 측면지지대홈(11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측면지지대(200)가 상기 측면지지대홈(110)을 따라 상기 필름지지대(100)의 너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필름(20)의 너비에 맞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폭이 넓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나사(220)를 제거하여 상기 측면지지대(200)를 상기 필름지지대(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지지대홈(110)과 상기 돌출부(230)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필름(2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라미네이팅 과정에서 상기 필름(20)이 움직일 수 있어, 상기 측면지지대(200)가 효과적으로 상기 필름(20)을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지지대홈(110)과 상기 돌출부(230)가 적어도 두 개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물지지대(200)는 인쇄물지지판(210) 및 인쇄물지지봉(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물지지판(210)은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500)에 상기 필름지지대(100) 너비 간격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되고, 상기 인쇄물지지봉(220)은 상기 한 쌍의 인쇄물지지판(210)을 연결하며 수직으로 투입되는 상기 인쇄물(30)을 지지하며 상기 필름지지대(10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물지지판(210) 및 인쇄물지지봉(22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인쇄물(30)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투입되는 인쇄물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상하좌우로 조절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두꺼운 인쇄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쇄물지지판(210)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가 매우 얇은 인쇄물의 경우, 상기 인쇄물지지봉(220)이 인쇄물을 전면, 후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고, 명함과 같은 길이가 짧은 인쇄물의 경우에는 상기 인쇄물지지판(210) 및 인쇄물지지봉(220)이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제거하여 상기 라미네이터(10)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라미네이터 20: 필름 30: 인쇄물
100: 필름지지대 110 측면지지대홈 111: 고정홀
200: 측면지지대 210: 측면지지판 220: 고정나사
230: 돌출부 300: 인쇄물지지대 310: 인쇄물지지판
320: 인쇄물지지봉 400: 고정홈 500: 라미네이터 본체
600: 두께조절장치 610: 두께조절판 611: 판고정홀
620: 두께조절핀 621: 핀고정홀 630: 스프링
640: 고정핀

Claims (4)

  1. 필름을 인쇄물에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터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터의 전방에서 수평으로 투입되는 상기 필름을 지지하는 필름지지대;
    상기 필름지지대 상에서 상기 필름을 측면에서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는 측면지지대;
    상기 라미네이터의 상단에서 상기 필름지지대에 수직으로 투입되는 상기 인쇄물을 안내하는 인쇄물지지대;
    상기 인쇄물을 상기 필름지지대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고정홈;
    상기 필름과 상기 인쇄물을 라미네이팅 하는 라미네이터 본체; 및
    상기 필름과 상기 인쇄물이 합지되어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로 삽입할 때, 다양한 두께의 필름과 상기 인쇄물을 합지할 수 있는 두께조절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두께조절장치는,
    전부가 상기 필름지지대와 일정각도를 형성하게 구부러지고, 후부는 평행하게 이루어진 두께조절판;
    상기 두께조절판과 상기 필름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두께 조절핀;
    상기 두께조절판을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두께조절판과 두께 조절핀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과 상기 인쇄물은 상기 고정홈에서 상호 수직으로 접촉하여 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지지대는,
    상기 필름지지대의 너비 방향으로 측면지지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대는,
    측면지지판;
    상기 측면지지판을 상기 필름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나사; 및
    상기 필름지지대의 측면지지대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대홈을 따라 상기 필름지지대의 너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지지대는,
    상기 라미네이터 본체에 상기 필름지지대 너비 간격으로 구비되어 고정되는 인쇄물지지판; 및
    상기 인쇄물지지판을 연결하는 인쇄물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KR1020180163349A 2018-12-17 2018-12-17 라미네이터 KR10214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349A KR102143433B1 (ko) 2018-12-17 2018-12-17 라미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349A KR102143433B1 (ko) 2018-12-17 2018-12-17 라미네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78A true KR20200074678A (ko) 2020-06-25
KR102143433B1 KR102143433B1 (ko) 2020-08-11

Family

ID=7140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349A KR102143433B1 (ko) 2018-12-17 2018-12-17 라미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4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630Y1 (ko) * 2003-07-07 2003-10-17 신일산업 주식회사 자동 롤 라미네이터
KR20040027178A (ko) * 2002-09-27 2004-04-01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라미네이터의 필름공급 감지장치
KR20050113332A (ko) * 2004-05-27 2005-12-02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라미네이터 장치
KR101607822B1 (ko) 2016-01-07 2016-04-11 주식회사 엠아이티 범용성을 가지는 라미네이터
KR20170123959A (ko) * 2016-04-29 2017-11-09 조영대 라미네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178A (ko) * 2002-09-27 2004-04-01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라미네이터의 필름공급 감지장치
KR200330630Y1 (ko) * 2003-07-07 2003-10-17 신일산업 주식회사 자동 롤 라미네이터
KR20050113332A (ko) * 2004-05-27 2005-12-02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라미네이터 장치
KR101607822B1 (ko) 2016-01-07 2016-04-11 주식회사 엠아이티 범용성을 가지는 라미네이터
KR20170123959A (ko) * 2016-04-29 2017-11-09 조영대 라미네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433B1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0411B2 (ja) 印刷されたシートの品質を管理する装置
CN105314414A (zh) 进纸装置
US7234257B2 (en) Means for maintaining spatial relationships in lenticular display units
US20150055368A1 (en) Display device
JP2010170250A (ja) 表示入力装置
JP5194671B2 (ja) 記録装置
US20160339680A1 (en) Film material attaching method
KR20200074678A (ko) 라미네이터
JP2016083341A (ja) 書見台
US201501244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hot stamping system for the same
US5768791A (en) Ruler assembly
CN104635431B (zh) 用于曝光机的托盘
BE1026210B1 (nl) Element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inbindfarde
US20190129191A1 (en) Lenticular 3D Display
CN216889315U (zh) 一种用于光学膜片的导料装置
JPH04358631A (ja) シート載置装置
JP2019209084A (ja) フォトフレーム
KR20190140317A (ko) 휴대단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JPH03299A (ja) ハンディ機器用定規
JP2009141822A5 (ko)
KR102472185B1 (ko) 양면 입체 명함 제작 방법 및 장치
CN218465052U (zh) 一种用于印刷机的纸张定位机构
JP5751951B2 (ja) ピンチロールレバー
KR20240009715A (ko) 만능형 보호필름 부착장치
JP5523946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