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628A -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628A
KR20200074628A KR1020180163241A KR20180163241A KR20200074628A KR 20200074628 A KR20200074628 A KR 20200074628A KR 1020180163241 A KR1020180163241 A KR 1020180163241A KR 20180163241 A KR20180163241 A KR 20180163241A KR 20200074628 A KR20200074628 A KR 20200074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e
weight
parts
antioxid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764B1 (ko
Inventor
장해동
이대근
조성래
빈국현
김민지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3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7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2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46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6Bilberries, blueberr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아로니아 농축액; 크랜베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및 산머루 농축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 첨가물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아로니아 농축액 등의 천연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색, 향, 맛 등에서 선호도가 높은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A antioxidant beverage composition using natural ingredients}
본 발명은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아로니아 농축액; 크랜베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및 산머루 농축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활성산소에 의한 노화, 질병 등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활성산소는 인체 내에서 세포와 조직을 산화시켜 각종 질병을 유발하거나 노화를 촉진시키는 물질로서, 이러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거나 활성산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트레스, 자외선, 중금속 오염, 흡연, 과음, 과도한 운동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활성산소가 체내에 허용량 이상으로 많이 발생하게 되면, 활성산소의 반응속도가 세포 재생 속도를 앞지르게 되며, 활성산소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으면 정상 세포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식품 추출물을 사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노화, 질병 등을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색, 맛, 향, 목 넘김 등의 특성이 좋지 않아 음료로 섭취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색, 맛, 향 등에서 높은 기호도를 발현할 수 있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3652호
본 발명은 화학 첨가물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아로니아 농축액 등의 천연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색, 향, 맛 등에서 선호도가 높은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아로니아 농축액; 크랜베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및 산머루 농축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로니아 농축액 5~15중량부, 크랜베리 농축액 5~15중량부, 블루베리 농축액 2~8중량부 및 산머루 농축액 2~8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석류 농축액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매실 농축액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디 농축액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농축액은 아로니아 착즙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학 첨가물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아로니아 농축액 등의 천연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색, 향, 맛 등에서 선호도가 높은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로니아, 크랜베리, 블루베리, 산머루 등을 사용함으로써 재배농가의 소득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물; 아로니아 농축액; 크랜베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및 산머루 농축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축액은 착즙액 또는 추출물을 의미하며, 착즙액은 원료를 착즙기로 착즙하여 수득되는 즙액이고, 추출물은 원료를 용매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수득되는 추출액이다.
아로니아 농축액은 아로니아 착즙액 또는 아로니아 추출물일 수 있다.
아로니아 착즙액은 아로니아를 세척한 후, 착즙기로 착즙하여 얻어지는 착즙액을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아로니아 추출물은 아로니아를 물, 에탄올 등의 용매로 가열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70~100% 에탄올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추출은 아로니아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500~3,000중량부를 가하고 50~90℃에서 1~24시간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에탄올로 1~3시간씩 1~8번 반복해서 가열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한 다음 아로니아 추출물을 수득한다.
또한 상기 크랜베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및 산머루 농축액은 상기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로니아 농축액 5~15중량부, 크랜베리 농축액 5~15중량부, 블루베리 농축액 2~8중량부 및 산머루 농축액 2~8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아로니아 농축액, 크랜베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및 산머루 농축액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색, 향, 맛, 식감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조성물은 높은 peroxyl radical 소거 활성 및 reducing capacity를 나타내고,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우수한 세포 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노화 방지, 항산화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아로니아 농축액 및 크랜베리 농축액의 중량비는 1:0.6~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가 1:0.6 미만인 경우 항산화 효과가 감소되고, 1:1.4를 초과하는 경우 이질감으로 인해 식감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맛, 향 및 식감의 향상을 위해 석류 농축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석류 농축액의 함량은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색, 향, 맛, 식감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매실 농축액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색, 향, 맛, 식감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오디 농축액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색, 향, 맛, 식감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80~120℃의 온도에서 10~30분 동안 살균처리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생물, 세균, 균류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로니아를 세척한 후, 착즙기로 착즙하여 얻어지는 착즙액을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아로니아 농축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랜베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산머루 농축액, 석류 농축액, 매실 농축액 및 오디 농축액을 수득하였다.
(실시예2)
물 100중량부, 아로니아 농축액 10중량부, 크랜베리 농축액 10중량부, 블루베리 농축액 5중량부 및 산머루 농축액 5중량부를 혼합하여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아로니아 농축액 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4)
아로니아 농축액 18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5)
아로니아 농축액 10중량부 및 크랜베리 농축액 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6)
아로니아 농축액 10중량부 및 크랜베리 농축액 1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7)
석류 농축액 3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8)
매실 농축액 3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산머루 농축액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Peroxyl radical 소거활성)
Pe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Kurihara 등의 방법을 변형한 ORAC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ORAC 분석법은 차, 과일, 동물의 조직 및 혈액 등과 같은 다양한 식품 및 생물소재들의 항산화 활성 분석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분석에는 형광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96-well micro plate (black, flat bottom)를 사용하였다.
75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BS, pH 7.4)에 녹인 100μL의 40nM fluorescein을 plate에 넣은 후, 5mM PBS (pH 7.4)에 희석한 0.025% 음료 조성물 50μL를 투입하였다.
그 후 75mM PBS (pH 7.4)에 녹인 50μL의 20mM AAPH를 plate에 첨가하였다.
수용성 비타민 E 유도체인 Trolox와 AAPH는 분석시마다 새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측정은 SpectraMaxⓡ (Molecular Devices, Austria)를 사용하며, 형광 분석기는 측정 전 10초간 shaking한 후 5초 동안 안정화 하도록 설정하였다.
96-well micro plate는 37℃에서 2분 간격으로 총 200분 동안 형광을 측정하도록 설정하였다.
Fluorescein은 excitation wavelength 485nm, emission wavelength 535nm에서 측정하였다.
최종 결과는 측정시료의 형광값과 blank의 형광값 간의 넓이 차이로 계산하며 standard curve는 1, 5 및 10μM의 수용성 vitamin E 유도체인 Trolox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모든 결과는 TE (Trolox equivalents, μM)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Reducing capacity)
Reducing capacity는 Arouma 등의 방법 (Arouma I O et al. J. Agic. Food Chem. 199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0mM PBS (pH 7.4)에 용해시킨 100μM CuCl2 용액 20μL와 동일한 buffer에 용해시킨 250μM neocuproine 용액 80μL를 혼합한 다음, 0.025% 음료 조성물 40μ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반응액 200μL를 96-well micro plate로 옮겨 454nm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해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ample blank로 CuCl2 용액 대신에 10mM PBS를 사용하며, 시료의 reducing capacity는 Cu1+/neocuproine의 extinction coefficient (7.95 × 103 M-1cm- 1)를 사용하여 흡광도로부터 계산된 Cu1 +의 농도로서 표시하였다.
(관능평가)
제조된 음료 조성물을 성인 남녀 30명에서 제공하여 색, 맛, 향 및 목 넘김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5:매우 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나쁘다, 1:매우 나쁘다)따라 실시되었으며, 색, 맛, 향 및 목 넘김을 조사한 후 이를 산술평균하였다.
Peroxyl radical 소거활성
(μM)
Reducing capacity
(μM)
목 넘김
실시예 2 12.8 14.2 4.0 3.7 3.8 3.9
실시예 3 10.2 12.1 3.4 3.3 3.2 3.3
실시예 4 9.8 12.8 3.4 3.2 3.5 3.5
실시예 5 10.6 13.2 3.3 3.6 3.4 3.6
실시예 6 10.1 12.9 3.5 3.4 3.3 3.4
실시예 7 13.5 15.4 4.5 4.7 4.6 4.5
실시예 8 13.9 16.1 4.7 4.6 4.4 4.6
비교예 1 7.2 8.9 2.6 2.8 2.7 2.6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 내지 8의 음료 조성물은 향, 맛, 색, 목 넘김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2, 7 및 8은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은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특성이 열등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물; 아로니아 농축액; 크랜베리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및 산머루 농축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로니아 농축액 5~15중량부, 크랜베리 농축액 5~15중량부, 블루베리 농축액 2~8중량부 및 산머루 농축액 2~8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석류 농축액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매실 농축액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디 농축액 1~5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농축액은 아로니아 착즙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음료 조성물.
KR1020180163241A 2018-12-17 2018-12-17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 KR10227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41A KR102273764B1 (ko) 2018-12-17 2018-12-17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41A KR102273764B1 (ko) 2018-12-17 2018-12-17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28A true KR20200074628A (ko) 2020-06-25
KR102273764B1 KR102273764B1 (ko) 2021-07-05

Family

ID=7140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241A KR102273764B1 (ko) 2018-12-17 2018-12-17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7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385A (ko) * 2012-02-08 2013-08-19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과실 농축액을 함유하는 홍삼 건강 음료
KR20140005420A (ko) * 2012-07-03 2014-01-15 주식회사 힐링바이오 안토시아닌효소식품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160043652A (ko) 2014-10-14 2016-04-22 하재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
KR20160079272A (ko) * 2014-12-26 2016-07-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70003126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고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발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
KR20170032694A (ko) *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고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초산발효 베리과채 음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385A (ko) * 2012-02-08 2013-08-19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과실 농축액을 함유하는 홍삼 건강 음료
KR20140005420A (ko) * 2012-07-03 2014-01-15 주식회사 힐링바이오 안토시아닌효소식품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160043652A (ko) 2014-10-14 2016-04-22 하재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
KR20160079272A (ko) * 2014-12-26 2016-07-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삼 농축액 및 베리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70003126A (ko) * 2015-06-30 2017-01-09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고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발효베리 음료의 제조방법
KR20170032694A (ko) *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고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초산발효 베리과채 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764B1 (ko)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1912B2 (ja) ナツシロギク(タナセタム・パルテニウム(tanacetumparthenium))からのパルテノライドを含有しない生物活性成分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320375A (zh) 生物活性植物化妆品组合物及其生产方法
KR101451035B1 (ko) 착즙 수율이 향상된 아로니아 주스의 제조방법
TW201733565A (zh) 冰花癒傷組織萃取物於延緩皮膚細胞老化、調理皮膚、預防及治療皮膚癌之用途
CN108567632B (zh) 茶树愈伤组织萃取物于护肤的用途
Phansawan et al. Antioxidant capacities of Pueraria mirifica, Stevia rebaudiana Bertoni, Curcuma longa Linn., Andrographis paniculata (Burm. f.) Nees. and Cassia alata Linn. for the development of dietary supplement
KR101836348B1 (ko) 카카오닙스의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1732A (ko)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Marina et al. Effects of Granucol activated carbons on sensory properties of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wines
KR20200074628A (ko) 천연 식재료를 활용한 항산화 음료 조성물
Ebrahim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anthocyanin content in flower of Mirabilis jalab L. collected from Yemen
KR102654331B1 (ko) 항 광노화, 진정 및 쿨링 효과를 가지는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KR20160121632A (ko) 효모 발효 허브 복합체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저자극인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50145947A (ko) 캣츠클로, 아이슬란드 이끼 및 아사이베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8785156B (zh) 一种欧李果汁的新用途
US10945943B2 (en) Extract of dragon fruit flow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e thereof, and skin complexion improved composition thereof
KR100951812B1 (ko) 백련 추출액의 탈색화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품 조성물
KR20150129461A (ko)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발효물과 그 발효물을 함유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585296B1 (ko)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알코올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첨가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85259B1 (ko)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알코올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585273B1 (ko)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352453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585303B1 (ko)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첨가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U2013201510B2 (en) Parthenolide Free Bioactive Ingredients from Feverfew (Tanacetum Parthen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CN109806183B (zh) 一种含β-葡聚糖精华液的制备方法及光防护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