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537A - 능동형 방향 장치 - Google Patents

능동형 방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537A
KR20200074537A KR1020180163050A KR20180163050A KR20200074537A KR 20200074537 A KR20200074537 A KR 20200074537A KR 1020180163050 A KR1020180163050 A KR 1020180163050A KR 20180163050 A KR20180163050 A KR 20180163050A KR 20200074537 A KR20200074537 A KR 2020007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ling part
fragrance
activ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845B1 (ko
Inventor
윤종희
김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츄럴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츄럴앤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츄럴앤미
Priority to KR102018016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향기탈취볼이 충진되는 충진부; 상기 충진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충진부에 충진된 향기탈취볼을 통과한 후 배기되도록 하는 송풍부; 및 상기 충진부의 하측 또는 상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회전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능동형 방향 장치{ACTIVE PERFU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방향제를 방향시키는 능동형 방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측 또는 배기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회전팬을 구성하여 향기가 원활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능동형 방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 장치는 방향제를 분산하여 실외에서는 악취를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실내에서는 공기를 정화하여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사용되며, 최근에는 심리적 치료분야에서 아로마, 허브 등의 향기를 환자에게 흡입시켜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와주는 향기요법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 장치는 가스주입 분사방식, 고체형 상온 휘발방식, 액체형 가열 휘발방식, 액체형 분사방식이 있다.
가스주입 분사방식은 분사시 분사액이 인체나 실내장식 등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고체형 상온 휘발방식은 고체화된 향료 또는 겔 상태의 향료를 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공기와 접촉하여 휘발함으로써 고온에서는 급속히 향료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액체형 가열 휘발 방식은 액체화된 향료를 용기에 담고 심지를 꽂아 놓은 형태로 용기 외부로 돌출된 심지에 열을 가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것이어서 열을 차단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향기를 발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체형 분사방식은 분사기의 액체 방향제를 분사노즐로 분사하여 방향제를 분사하게 되고 이때 분사되는 방향제는 분사기의 주변만 향취가 존재하고 골고루 퍼지지 않아 그 주변에 너무 강한 향취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분사될 때 소음이 크게 발생되어 사용자가 놀라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식들은 향료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향료는 장치와 거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향료의 교체가 불가능하여 상기 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장치 교체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회전되는 팬을 이용하여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는 방향 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 팬을 이용한 방향 장치는 단순히 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이동되는 송풍을 이용하여 향기가 발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수개 충진되는 방향제(향기탈취볼)의 전체적인 소진이 어려워 방향효과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20266호(2017.03.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측 또는 배기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회전팬을 구성하여 향기가 원활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능동형 방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는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향기탈취볼이 충진되는 충진부; 충진부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충진부에 충진된 향기탈취볼을 통과한 후 배기되도록 하는 송풍부; 및 충진부의 하측 또는 상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회전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흡입측 또는 배기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회전팬을 구성하여 향기가 원활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충진부를 상기 하우징 측면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충진부 내에 충진된 향기탈취볼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향기탈취볼이 충진되는 충진부에 송풍을 위한 입구 및 출구가 꽈배기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충진부 내에 충진된 향기탈취볼 전체가 송풍에 의한 영향으로 향기가 분사되도록 유도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진부 내에 구비되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향기탈취볼 전체의 향기가 균일하게 소진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충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하우징에 충진부가 끼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송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송풍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송풍부를 통해 공기가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임펠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임펠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9의 A-A'를 나타낸 측면도를, (b)는 도 9의 B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임펠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임펠러가 충진부 내부에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하우징에 끼워진 임펠러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는 흡입측 또는 배기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회전팬(400)을 구성하여 향기가 원활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능동형 방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향기탈취볼(201)은 방향제 또는 탈취제 또는 방향탈취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황토로 이루어지거나 방향효과 뿐만 아니라 탈취와 제습 효과 또는 가습의 효과가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향기탈취볼(201)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볼 형태, 사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수의 향기탈취볼(201)이 구비되어 방향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향기탈취볼(201)의 완전한 사용, 즉 다수의 향기탈취볼(201)이 모두 소진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는 회전팬(400)을 동작시켜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보다 넓고 멀리 분산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우징(100), 충진부(200), 송풍부(300), 회전팬(400) 및 임펠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후술되는 충진부(200)가 구비되어 안정되게 보호하는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고,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흡입구(110), 배기구(120), 슬릿(130) 및 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1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을 통과한 후,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한다.
이때, 흡입구(110)와 배기구(12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을 직립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10)와 배기구(120)는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가 차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슬릿(130)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충진부(200)가 상기 슬릿(130)을 통해 끼워져 하우징(100) 내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커버(140)는 슬릿(130)이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슬릿(130)에 밀착되어 슬릿(130)으로 끼워진 충진부(200) 내부의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슬릿(130)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14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슬릿(130)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1 및 도 2를 통해 커버(140)가 하우징(100)에 일측이 회동되도록 결합된 예를 도시 및 명시하였으나 도 3에서와 같이, 하우징(100)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슬릿(130)과 커버(140) 사이에 밀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밀착부재는 고무 또는 테프론 등과 같이 마찰에 강하고, 수밀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충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하우징에 충진부가 끼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측 단면도이다.
충진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향기탈취볼(201)이 충진되는 것으로, 형상기억링(210), 측면부재(220) 및 보호망(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충진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링(210), 측면부재(220) 및 보호망(2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향기탈취볼(201)이 충진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형상기억링(2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측면부재(220)는 한 쌍의 형상기억링(21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측면을 형성하여 한 쌍의 형상기억링(210) 사이에 향기탈취볼(201)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보호망(230)은 형상기억링(210) 각각의 내주연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호망(230)의 그물 크기는 향기탈취볼(201)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향기탈취볼(201)의 지름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져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진부(200)는 형상기억링(210), 측면부재(220) 및 보호망(230)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충진부(2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슬릿(130)에 충진부(200)가 끼워지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충진부(200)를 파지한 후 측면을 압박하여 형태를 변화시키고, 슬릿(130)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끼워 넣으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구되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송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송풍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송풍부를 통해 공기가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송풍부(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되, 충진부(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을 통과한 후 외부로 배기되도록 공기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차단막(310) 및 상기 차단막(310)에 형성된 입구(311)와 출구(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막(310)은 하우징(100) 내주연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되, 충진부(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구비되어 한 쌍의 차단막(310) 사이에 충진부(200)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한 쌍의 차단막(310)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송풍을 위한 입구(311) 및 출구(31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구비되는 차단막(310)의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입구(311)가 형성되고, 상부에 구비되는 차단막(31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출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10)로 흡입된 공기는 입구(311)로 유입되어 한 쌍의 차단막(310) 사이에 구비된 충진부(200)를 통과한 후, 출구(312)를 통해 하우징(100) 상부로 이동되어 배기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한다.
이때, 입구(311) 및 출구(312)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꽈배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입구(311) 및 출구(312)가 일자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입구(311)로 인입된 공기는 충진부(200)의 일부분을 일자 형태로 통과 후 바로 출구(312)를 통해 인출됨에 따라 충진부(200)와의 접촉면적이 저하되어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약하게 배출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꽈배기 형태로 이루어진 입구(311)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입구(311)의 형태적 특성에 대응하여 충진부(200)를 통과함으로써, 보다 많은 향기탈취볼(201)와의 접촉을 통해 방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입구(311)를 통해 인입된 공기는 충진부(200)의 상,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동시에 상측으로 상승됨에 따라 보다 많은 향기탈취볼(201)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차단막(310)은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차단막(3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20)에 의해 회전력이 공유되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차단막(310)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에 회전축 기능을 하는 기둥부재(3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기둥부재(330)를 회전시켜 회전력을 공유하는 한 쌍의 차단막(310)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한 쌍의 차단막(310)이 회전되면, 입구(311)와 출구(312) 또한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구(311)로 유입된 공기는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 전체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입구(311)와 출구(312)가 형성되는 위치가 고정된 경우,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 전체 중 일부분의 향기탈취볼(201)만 공기가 통과하도록 반복되지만, 한 쌍의 차단막(310)을 회전시켜 입구(311)와 출구(312)가 형성되는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향기탈취볼(201) 전체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향기탈취볼(201) 전체를 소진시키는데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이때, 기둥부재(3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외부와 연결되어 별도의 손잡이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동작시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건전지와 같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모터에 의해 기둥부재(33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모터가 동작되어 기둥부재(33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입구(311)와 출구(312)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향기탈취볼(201) 일부분의 방향효과가 소진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한 쌍의 차단막(310)을 회전시켜 입구(311)와 출구(312)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향기탈취볼(201)의 다른 일부분에서의 향기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회전팬(400)은 충진부(200)의 하측 또는 상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충진부(2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회전팬(400)은 하우징(100)의 상부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것으로, 흡입구(110)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입구(311)를 통해 충진부(200)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충진부(200)의 상측에 구비되는 회전팬(400)은 충진부(2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출구(312)를 통해 이동되어 배기구(120)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회전팬(400)의 동작에 의해 향기탈취볼(201)의 향기가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회전팬(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에 미표시)와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버튼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은 1단, 2단, 3단 등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기 버튼을 각각 누름에 따라, 회전팬(400)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버튼을 반복하여 조작함으로써, 회전팬(400)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버튼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버튼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버튼의 또 다른 예로, 하우징(100)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팬(400)과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팬(400)의 동작과 세기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임펠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임펠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도 9의 A-A'를 나타낸 측면도를, (b)는 도 9의 B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임펠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임펠러가 충진부 내부에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에서 하우징에 끼워진 임펠러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임펠러(500)는 충진부(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축(510), 방사형돌기(520) 및 와이어(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임펠러(500)는 회전에 의해 충진부(200)에 충진된 다수의 향기탈취볼(201)을 뒤적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사형돌기(520)는 회전축(5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방사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 개 구비된다.
이러한 방사형돌기(5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5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와이어(530)는 회전축(510) 상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 하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를 연결하는 것으로, 회전축(510)이 회전되면, 충진부(200) 내에 충진된 다수의 향기탈취볼(201)와 간섭되어 뒤적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와이어(5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의 접점은 상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의 접점보다 임펠러(5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정면측에 위치하고, 상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의 접점은 하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의 접점보다 임펠러(5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배면측에 위치함으로써, 대각선 형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와이어(5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물망 크기는 향기탈취볼(201)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향기탈취볼(201)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임펠러(500)는 충진부(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와이어(530)가 충진부(200) 내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을 뒤적여줌으로써, 다수의 향기탈취볼(201) 모두를 소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향기탈취볼(201) 중 방향효과가 잔존하는 향기탈취볼(201)을 최소화하여 방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충진부(200)와 임펠러(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하우징(100)의 슬릿(130)에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충진부(200)와 임펠러(500)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임펠러(500)의 회전은 상기 임펠러(500)가 하우징(100)의 슬릿(130)에 끼워지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구비된 별도의 회전축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회전축은 상기에서 서술한 송풍부(300)의 기둥부재(330)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외부와 연결되어 별도의 손잡이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동작시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모터가 동작되어 별도의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방향 장치는 흡입측 또는 배기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회전팬(400)을 구성하여 향기가 원활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쳐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는 충진부(200)를 상기 하우징(100) 측면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충진부(200) 내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향기탈취볼(201)이 충진되는 충진부(200)에 송풍을 위한 입구(311) 및 출구(312)가 꽈배기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충진부(200) 내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 전체가 송풍에 의한 영향으로 향기가 분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충진부(200) 내에 구비되는 임펠러(500)의 회전에 의해 향기탈취볼(201) 전체의 향기가 균일하게 소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하우징 110 : 흡입구
120 : 배기구 130 : 슬릿
140 : 커버 200 : 충진부
201 : 향기탈취볼 210 : 형상기억링
220 : 측면부재 230 : 보호망
300 : 송풍부 310 : 차단막
311 : 입구 312 : 출구
320 : 연결부재 330 : 기둥부재
400 : 회전팬 500 : 임펠러
510 : 회전축 520 : 방사형돌기
530 : 와이어

Claims (10)

  1.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향기탈취볼(201)이 충진되는 충진부(200);
    상기 충진부(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형성되어 하우징(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충진부(200)에 충진된 향기탈취볼(201)을 통과한 후 배기되도록 하는 송풍부(300); 및
    상기 충진부(200)의 하측 또는 상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회전팬(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11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00)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구(110) 및 배기구(120)는 하우징(100)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측면에 형성된 슬릿(130); 및
    일측이 회동 또는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슬릿(130)이 개폐되도록 하는 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충진부(200)는
    상기 슬릿(130)에 끼워져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형상기억링(210);
    한 쌍의 형상기억링(210)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부재(220); 및
    상기 형상기억링(210) 각각의 내주연에 구비되는 보호망(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형상기억링(210), 측면부재(220) 및 보호망(23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300)는
    상기 하우징(100) 내주연을 차단하는 차단막(310)이 충진부(2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구비되되,
    한 쌍의 차단막(310)은 각각 송풍을 위한 입구(311) 및 출구(312)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311) 및 출구(312)는 꽈배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310)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한 쌍의 차단막(310)은 연결부재(320)에 의해 회전력이 공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300)는
    상기 차단막(310)을 회전시키는 기둥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임펠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500)는
    회전축(510);
    상기 회전축(51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방사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방사형돌기(520); 및
    상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 하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530)는
    회전축(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 하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를 연결하되,
    하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의 접점은 상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의 접점보다 임펠러(5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정면측에 위치하고, 상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의 접점은 하부에 구비되는 방사형돌기(520)와의 접점보다 임펠러(5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배면측에 위치함으로써, 대각선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방향 장치.
KR1020180163050A 2018-12-17 2018-12-17 능동형 방향 장치 KR102223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50A KR102223845B1 (ko) 2018-12-17 2018-12-17 능동형 방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50A KR102223845B1 (ko) 2018-12-17 2018-12-17 능동형 방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37A true KR20200074537A (ko) 2020-06-25
KR102223845B1 KR102223845B1 (ko) 2021-03-05

Family

ID=7140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050A KR102223845B1 (ko) 2018-12-17 2018-12-17 능동형 방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8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949Y1 (ko) * 2002-05-08 2002-08-07 남병성 방향제 분사기구용 덮개
JP2007325668A (ja) * 2006-06-06 2007-12-20 Shiseido Co Ltd 発香装置
JP4402187B2 (ja) * 1998-12-28 2010-01-20 花王株式会社 芳香器
WO2010101714A2 (en) * 2009-03-02 2010-09-10 The Dial Corporation Fragranced salt crystal air freshener and kit
US20110027124A1 (en) * 2009-07-29 2011-02-03 Albee Eric M Electric fragrance diffuser
JP2012120720A (ja) * 2010-12-09 2012-06-28 Iwao Hishida 空気清浄方法及び装置
US20160331913A1 (en) * 2014-01-31 2016-11-17 Cannakorp,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erbal vapor
KR101720266B1 (ko) 2016-03-04 2017-03-28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2187B2 (ja) * 1998-12-28 2010-01-20 花王株式会社 芳香器
KR200284949Y1 (ko) * 2002-05-08 2002-08-07 남병성 방향제 분사기구용 덮개
JP2007325668A (ja) * 2006-06-06 2007-12-20 Shiseido Co Ltd 発香装置
WO2010101714A2 (en) * 2009-03-02 2010-09-10 The Dial Corporation Fragranced salt crystal air freshener and kit
US20110027124A1 (en) * 2009-07-29 2011-02-03 Albee Eric M Electric fragrance diffuser
JP2012120720A (ja) * 2010-12-09 2012-06-28 Iwao Hishida 空気清浄方法及び装置
US20160331913A1 (en) * 2014-01-31 2016-11-17 Cannakorp,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erbal vapor
KR101720266B1 (ko) 2016-03-04 2017-03-28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845B1 (ko)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395B1 (ko) 개선된 가열 발향 장치를 갖는 가습기
KR101691786B1 (ko) 방향제 분산 장치
KR102146866B1 (ko) 마스크 살균기
JP2006505332A (ja) 蒸発性物質を送達するための電動分配デバイス
JP4660606B2 (ja) 送風機
KR101406864B1 (ko) 방향 패치를 이용한 팬 타입 복합 기능 피톤치드 향 발산장치
KR102230674B1 (ko) 신발용 살균, 탈취, 건조장치
KR102203323B1 (ko) 공기순환 살균기
TWI642424B (zh) 按摩裝置和利用按摩裝置提供按摩及發出芳香氣味之方法
KR20200074537A (ko) 능동형 방향 장치
KR20200043137A (ko) 아로마 디퓨저가 구비되는 가습기
KR102350241B1 (ko)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KR20160093849A (ko) 세균제거기능이 있는 신발건조기
CN107242647B (zh) 一种鞋子处理方法及其处理系统
JP7258043B2 (ja) 蒸気生成装置
KR20200074548A (ko) 벤츄리관을 이용한 방향 시스템
KR20100107986A (ko) 공기 청정기
KR20120111258A (ko) 휘산기
JP2022525181A (ja) 補綴アクセサリ滅菌器
KR20190051577A (ko) 공기청정기
KR20200055463A (ko) 다향 스마트 디퓨저
KR102220721B1 (ko) 기능성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6578A (ko) 발향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FR1274965A (fr) Appareil médical pour le traitement d'un malade en enceinte individuelle étanche, de même qu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stérilisation en géneral
KR101515797B1 (ko) 아로마테라피를 구비한 피톤치드 발산장치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