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621A -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621A
KR20200073621A KR1020180161995A KR20180161995A KR20200073621A KR 20200073621 A KR20200073621 A KR 20200073621A KR 1020180161995 A KR1020180161995 A KR 1020180161995A KR 20180161995 A KR20180161995 A KR 20180161995A KR 20200073621 A KR20200073621 A KR 2020007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dy
hole
window regulator
regulator rail
injec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진
이은국
정찬호
김권택
김도형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6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621A/ko
Publication of KR2020007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60J5/0469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for door panels, e.g. he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Panel 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4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은 사출재 유동홀이 형성된 도어 바디부와, 상기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사출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결합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INTEGRAL TYPE DOOR PANEL HAVING WINDOW REGULATOR RAI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문제가 주요 이슈로 등장하면서, 자동차 산업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세계적으로 자동차의 연비규제가 점점 엄격해지고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자동차 업계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경량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로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량화를 구현하기 위해 차량부품을 복합재로 구현하고 있으나 이 경우 강성이 취약하다. 한편 차량부품의 강성 취약부에 사출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나, 차량부품과 사출부와의 결합력이 취약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도어 모듈은 글라스가 체결되어 승강 또는 하강을 작동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도어패널, 도어의 각종부품(스피커등)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도어패널은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께를 증대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 경량화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경량화를 구현하기 위해 사출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도어패널과 사출부의 결합력 취약으로 인해 내구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사출부 형성시 수지 만입에 따라 도어패널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은 별도로 제작되고, 도어패널에 결합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정부재를 추가하여야 함에 따라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홀에 의해 도어 패널의 도어 바디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사출성형을 수행함에 따라 도어 바디부가 말려들어가지 않고 평평함이 유지될 수 있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은 사출재 유동홀이 형성된 도어 바디부와, 상기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사출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결합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부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탄소섬유에 매트릭스 수지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CFRTP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사출부을 형성하는 사출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은 사출재 유동홀 및 지지홀이 형성된 도어 바디부와, 상기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사출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결합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은 상기 사출재 유동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부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탄소섬유에 매트릭스 수지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CFRTP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사출부을 형성하는 사출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은 도어 바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바디부 외형 형성단계와, 상기 도어 바디부에 관통홀 및 지지홀을 형성하는 관통홀 형성단계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도어 바디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안착시키는 사출 금형 안착단계와, 상기 금형을 통해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사출재를 제공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사출재를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제공하는 사출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은 도어 바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바디부 외형 형성단계와, 상기 도어 바디부에 관통홀 및 지지홀을 형성하는 관통홀 및 지지홀 형성단계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도어 바디부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안착시키고, 상기 지지홀에 지지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도어 바디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사출 금형 안착단계와, 상기 금형을 통해 상기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사출재를 제공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사출재를 상기 사출재를 상기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제공하는 사출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및 지지홀 형성단계에서 상기 지지홀은 상기 관통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하면 지지홀에 의해 도어 패널의 도어 바디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사출성형을 수행함에 따라 도어 바디부가 말려들어가지 않고 평평함이 유지될 수 있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에 있어서 A-A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에 있어서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조공정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조공정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조공정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조공정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에 있어서 A-A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1000)은 도어 바디부(1100)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12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바디부(1100)는 도어패널로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부(1100)는 탄소섬유에 매트릭스 수지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CFRTP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1200)는 도어 바디부(1100)의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1200)의 사출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부(1100)의 양면에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1200)를 결합시키기 위해 도어 바디부(1100)에는 사출재 유동홀(1110)이 형성된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1200)는 도어 바디부(1100)의 일면에 결합되고, 사출재 유동홀(1110)을 통해 도어 바디부(1100)의 타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1200)은 도어 바디부(1100)에 연결부재 없이 일체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양면에 결합되어 보다 견고히 유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에 있어서 B-B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2000)은 도 1에 도시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1000)과 비교하여 지지홀 만이 더 형성된다.
즉,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2000)은 도어 바디부(2100) 및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22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바디부(2100)는 도어패널로서 사출재 유동홀(2110) 및 지지홀(2120)이 형성된다. 도어 바디부(1100)는 도어패널로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 바디부(1100)는 탄소섬유에 매트릭스 수지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CFRTP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2200)은 도어 바디부(1100)의 일면에 결합되고, 사출재 유동홀(1110)을 통해 도어 바디부(1100)의 타면에 결합된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1200)의 사출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홀(2120)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2200)이 형성되는 사출재 유동홀(211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홀(2120)을 통해 도어 바디부(2100)를 지지한 상태로 사출부 형성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2200)를 형성하는 사출재의 수지만입에 따라 도어 바디부(2100)가 말려들어가지 않고 평평함이 유지되고, 상품성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은 도어 바디부 외형 형성단계(S110), 관통홀 형성단계(S120), 사출 금형 안착단계(S130) 및 사출부 형성단계(S1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바디부 외형 형성단계(S110)는 도어 바디부를 형성하기 위한 판재로 도어바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관통홀 형성단계(S120)는 도어 바디부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또한, 관통홀은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을 형성하는 사출부가 유동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사출 금형 안착단계(S130)는 관통홀이 형성된 도어 바디부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사출부 형성단계(S140)는 사출 금형을 통해 도어 바디부에 사출재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출재는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제공된다. 또한, 도어 바디부의 관통홀을 통해 일면에 제공된 사출재는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출재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도어 바디부에 형성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조공정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조공정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바디부(110)에는 일면부(111)와 타면부(112)를 관통하는 관통홀(113)이 형성된 상태로,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10) 사이에 안착된다.
하부금형(10)에는 제1 사출재 유동부(11)가 형성되고, 상부금형(20)에는 제2 사출재 유동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사출재 유동부(11)와 제2 사출재 유동부(21)는 도어 바디부(110)의 관통홀(113)을 통해 연통된다.
또한,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에는 선택적으로 사출재 유입부가 형성된다. 도 6은 이에 대한 일례로서 하부금형(10)에 사출재 유입부(12)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재 유입부(12)를 통해 사출재(30)가 주입될 경우 사출재(30)는 하부금형(10)의 제1 사출재 유동부(11)를 통해 도어 바디부 (110)의 일면부(111)에 공급된다.
이에 더하여 사출재(30)는 도어 바디부(110)의 관통홀(113)을 통해 유동되고, 도어 바디부(110)의 타면부(112)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출재(30)가 공급됨에 따라 도어 바디부(11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은 도어 바디부 외형 형성단계(S210), 관통홀 및 지지홀 형성단계(S220), 사출 금형 안착단계(S230) 및 사출부 형성단계(S2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바디부 외형 형성단계(S210)는 도어 바디부를 형성하기 위한 판재로 도어 바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관통홀 및 지지홀 형성단계(S220)는 도어 바디부에 관통홀과 지지홀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또한, 관통홀은 사출부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지지홀은 관통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사출 금형 안착단계(S230)는 관통홀 및 지지홀이 형성된 도어 바디부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지지홀에 금형의 지지돌기를 삽입하여 도어 바디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사출부 형성단계(S240)는 사출 금형을 통해 도어 바디부에 사출재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지지홀을 통해 도어 바디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사출재는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제공된다. 또한, 도어 바디부의 관통홀을 통해 일면에 제공된 사출재는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출재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도어 바디부에 형성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출부는 선택적으로 도어 바디부의 일면, 관통부 및 타면까지 순차적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홀을 통해 도어 바디부를 지지한 상태로 사출부 형성단계를 수행할 수 있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인 사출부의 형성시 수지만입에 따라 도어 바디부가 말려들어가지 않고 평평함이 유지되고, 상품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조공정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조공정에 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바디부(210)에는 일면부(211)와 타면부(212)를 관통하는 관통홀(213)이 형성된 상태로,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10') 사이에 안착된다.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는 선택적으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도어 바디부 의 지지홀에 지지돌기는 삽입된다.
도 9는 이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하부금형(10')에 지지돌기(13')가 형성되고, 지지홀(114)에 지지돌기(13')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하부금형(10')에는 제1 사출재 유동부(11')가 형성되고, 상부금형(20')에는 제2 사출재 유동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사출재 유동부(11')와 제2 사출재 유동부(21')는 도어 바디부(210)의 관통홀(113)을 통해 연통된다.
또한,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에는 선택적으로 사출재 유입부가 형성된다. 도 9는 이에 대한 일례로서 하부금형(10')에 사출재 유입부(12')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재 유입부(12')를 통해 사출재(30')가 주입될 경우 사출재(30')는 하부금형(10')의 제1 사출재 유동부(11')를 통해 도어 바디부 (210)의 일면부(211)에 공급된다.
이에 더하여 사출재(30')는 도어 바디부(210)의 관통홀(213)을 통해 유동되고, 도어 바디부(210)의 타면부(212)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도어 바디부(21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인 사출부의 형성시 지지홀(214)이 지지되어 수지만입에 따라 도어 바디부(210)가 말려들어가지 않고 평평함이 유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도어 바디부 111: 일면부
112: 타면부 113: 관통홀
114: 지지홀 210: 도어 바디부
211: 일면부 212: 타면부
213: 관통홀 214: 지지홀
1000: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1100: 도어 바디부 1110: 사출재 유동홀
1200: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2000: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2100: 도어 바디부 2110: 사출재 유동홀
2120: 지지홀
2200: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Claims (8)

  1. 사출재 유동홀이 형성된 도어 바디부; 및
    상기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사출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결합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을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부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탄소섬유에 매트릭스 수지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CFRTP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사출부을 형성하는 사출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진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3. 사출재 유동홀 및 지지홀이 형성된 도어 바디부; 및
    상기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사출재 유동홀을 통해 상기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결합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을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은 상기 사출재 유동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부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CFT: 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탄소섬유에 매트릭스 수지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CFRTP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사출부을 형성하는 사출재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또는 단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SFT: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로 이루어진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6. 도어 바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바디부 외형 형성단계;
    상기 도어 바디부에 관통홀 및 지지홀을 형성하는 관통홀 형성단계;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도어 바디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안착시키는 사출 금형 안착단계; 및
    상기 금형을 통해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사출재를 제공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사출재를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제공하는 사출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
  7. 도어 바디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바디부 외형 형성단계;
    상기 도어 바디부에 관통홀과 지지홀을 형성하는 관통홀 및 지지홀 형성단계;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상기 도어 바디부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안착시키고, 상기 지지홀에 지지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도어 바디부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사출 금형 안착단계; 및
    상기 금형을 통해 상기 도어 바디부의 일면에 사출재를 제공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사출재를 상기 사출재를 상기 도어 바디부의 타면에 제공하는 사출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및 지지홀 형성단계에서
    상기 지지홀은 상기 관통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80161995A 2018-12-14 2018-12-14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73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995A KR20200073621A (ko) 2018-12-14 2018-12-14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995A KR20200073621A (ko) 2018-12-14 2018-12-14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621A true KR20200073621A (ko) 2020-06-24

Family

ID=7140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995A KR20200073621A (ko) 2018-12-14 2018-12-14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6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7389A (zh) * 2021-12-31 2022-04-15 昆山市鸿毅达精密模具有限公司 汽车车前门导轨的注塑模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7389A (zh) * 2021-12-31 2022-04-15 昆山市鸿毅达精密模具有限公司 汽车车前门导轨的注塑模具
CN114347389B (zh) * 2021-12-31 2023-08-11 昆山市鸿毅达精密模具有限公司 汽车车前门导轨的注塑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395B2 (en) Hybrid supporting structure for a vehicle dashboard,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37862B1 (ko)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US7963586B2 (en) Interior wall panel for a motor vehicle
JPH08310313A (ja) 自動車用ピラーガーニッシュ支持構造
US11034067B2 (en) CFT pre-forming insert injection molded seat back frame
KR100993663B1 (ko) 플라스틱 리어 시트팬 제조 방법
US20180273102A1 (en) Vehicle pillar structure
JP3930451B2 (ja) 自動車用モールディング部材
KR20200073621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레일 일체형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225150A (ja) 車両用天井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73620A (ko) 사출성형부를 갖는 차량부품, 챠량용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73619A (ko) 사출성형부를 갖는 차량부품, 챠량용 도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9207B1 (ko) 차일드 시트 체결구조가 포함된 cfrtpc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 제조방법
US10279766B2 (en) Low stress attachment for high gloss weatherable polycarbonate decorative applications
KR20170019039A (ko) 차량용 시트백 패널
CN210793042U (zh) 面板、内饰部件以及汽车
US20030152748A1 (en) Roof module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of producing a module
CN216433452U (zh) 一种用于方向盘振动测试的固定支架
JP2019142078A (ja) 成形構造体の製造方法
CN217575075U (zh) 立柱饰板、汽车车门玻璃的安装结构、车门及汽车
JP2018199472A (ja) 乗物用内装材の組付構造
CN215944480U (zh) 一种车门装饰件结构及汽车
US20240190507A1 (en) Side Structure of Vehicle Body
CN206938596U (zh) 一种汽车踢脚板及其与氛围灯的装配结构
KR20080009553A (ko) 자동차용 내장재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