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331A -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331A
KR20200073331A KR1020180160961A KR20180160961A KR20200073331A KR 20200073331 A KR20200073331 A KR 20200073331A KR 1020180160961 A KR1020180160961 A KR 1020180160961A KR 20180160961 A KR20180160961 A KR 20180160961A KR 20200073331 A KR20200073331 A KR 2020007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ive shaft
vehicle
transmission oil
interloc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600B1 (ko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6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2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oil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visco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8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 F16D2500/30802Transmission oil properties
    • F16D2500/30803Oil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2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oil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viscosity
    • F16H2059/725Sensing or calculating temperature of friction devices, e.g. clutches to prevent overheating of friction linings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DCT가 탑재된 차량에서 변속기오일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 제어하여 변속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변속기유온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시,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를 체결하여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CLUTCH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WET TYPE DUAL CLUTCH TRANSMISSION}
본 발명은 습식DCT가 탑재된 차량에서 변속기오일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 제어하여 변속품질을 향상시키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습식DCT, AT 등과 같이 유압을 이용으로 변속을 실시하는 변속 제어시스템의 경우, 작동 매체인 변속기오일 온도에 의한 성능 차이 즉, 변속기오일의 점도에 따른 특성 변화에 따라 변속 제어시스템의 성능이 변화된다.
특히, 차량의 초기 냉시동 조건 또는, 저온 온도 조건에서 변속기오일의 높은 점도로 인해 작동압 생성이 어려워지게 됨으로써, 제어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어 변속 충격 등 변속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물론, 차량의 일정시간 작동 후에는 변속기유온이 상승하여 양호한 작동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이는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9-0035295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습식DCT가 탑재된 차량에서 변속기오일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 제어하여 변속품질을 향상시키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컨트롤러가,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변속기유온을 검출하는 단계; 컨트롤러가, 상기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시,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를 체결하여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는, 상기 구동축 기어와 비구동축 기어가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를 터치포인트까지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는, 상기 구동축에 발진단기어가 치합되고, 상기 비구동축 기어에 예치합기어가 치합될 수 있다.
현재 변속단이 N단 또는 P단의 경우, 인터록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 인터록 제어를 통해 변속기오일의 웜업기능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변속기유온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시,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에 체결명령을 인가하여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변속기유온이 낮은 경우,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를 동시에 터치포인트까지 체결하는 인터록을 유도함으로써, 클러치의 슬립 및 드래그토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변속기유온을 빠르게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변속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습식DCT 차량의 파워트레인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습식DCT차량의 파워트레인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것으로, DCT에 구비된 두 개의 클러치 중에서 구동축 클러치 및 비구동축 클러치가 각각 CL1 및 CL2의 도면부호로 기재되어 있고, 구동축과 비구동축이 INPUT1 및 INPUT2의 도면부호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현재 변속단을 형성하고 있는 클러치와 목표 변속단 형성을 위한 클러치가 어떠한 클러치인지에 따라 구동축과 비구동축은 서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DCT에 구비된 두 개의 클러치가 습식 클러치이므로, 클러치의 작동을 위해 오일펌프(3)와, 밸브바디(5)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은, 변속기유온을 검출하는 단계와,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속기유온 검출단계에서는 컨트롤러가,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변속기유온을 검출한다. 이때에, 상기 변속기유온은 유온센서(7)에 의해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유온센서(7)에서 측정된 변속기유온이 컨트롤러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록 제어단계에서는, 컨트롤러가, 상기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시,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를 체결하여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 모두 최소한의 클러치 전달토크가 전달될 수 있는 상태로 체결하여 약한 인터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변속기유온이 웜업 기준온도인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를 동시에 체결하여 인터록을 유도함으로써, 클러치의 슬립 및 드래그토크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처럼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속기유온을 빠르게 상승시켜 변속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는, 상기 구동축 기어와 비구동축 기어가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를 터치포인트까지 체결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클러치를 통해 전달되는 토크가 동시에 일정토크 이상으로 커져 강한 인터록 상태가 되면 변속기 내부 부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 모두 터치포인트까지만 체결하도록 제어하여 강한 전달토크가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에 안전한 상태에서 변속기유온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는, 상기 구동축에 발진단기어가 치합되고, 상기 비구동축 기어에 예치합기어가 치합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시동시, 구동축은 발진단에 비구동축은 예치합단에 치합되거나 중립에 위치하게 되며,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가 모두 해제 상태로 제어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어 진입시, 구동축을 발진단에 치합하고 비구동축을 예치합단에 치합한 상태에서 두 개의 클러치를 모두 터치포인트로 제어하여 변속기유온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현 변속단이 N단 또는 P단의 경우, 인터록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시동시, 차량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고 변속레버가 D단 또는 R단이 아닌, N단 또는 P단의 상태에서 제어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 인터록 제어를 통해 변속기오일의 웜업기능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고, 이 같은 알림은 클러스터에 표시하거나 차량 내부에 음성으로 경고하는 등의 방법으로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장치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되고,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는 컨트롤러에 포함되어 구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변속기유온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시,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에 체결명령을 인가하여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흐름을 살펴보면, 차량의 시동시, 현재 변속단이 P단 또는 N단인지 판단한다(S10).
판단 결과, 현재 변속단이 P단 또는 N단에 있는 경우,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인지 판단한다(S20).
S20의 판단 결과,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시, 구동축 기어를 발진단기어에 치합하고, 비구동축 기어를 예치합단기어에 치합한 상태에서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 모두를 터치포인트까지 체결하여 인터록 제어하게 된다(S30).
이에, 상기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의 슬립 및 드래그토크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처럼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속기유온을 빠르게 상승시켜 변속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인터록 제어과정에서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인터록 제어를 중단하고, 기존의 제어에 진입하게 된다.
반면, S20의 판단 결과,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이 아닌 경우, 구동축 클러치(CL1)와 비구동축 클러치(CL2)를 오픈 상태로 제어하여 기존의 제어에 진입하게 된다(S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속기유온이 낮은 경우,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CL2)를 동시에 터치포인트까지 체결하는 인터록을 유도함으로써, 클러치의 슬립 및 드래그토크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변속기유온을 빠르게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변속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R : 컨트롤러
CL1 : 구동축 클러치
CL2 : 비구동축 클러치

Claims (6)

  1. 컨트롤러가,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변속기유온을 검출하는 단계;
    컨트롤러가, 상기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시,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를 체결하여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는,
    상기 구동축 기어와 비구동축 기어가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를 터치포인트까지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는,
    상기 구동축에 발진단기어가 치합되고, 상기 비구동축 기어에 예치합기어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현재 변속단이 N단 또는 P단의 경우,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제어단계에서, 인터록 제어를 통해 변속기오일의 웜업기능이 수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6.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변속기유온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변속기유온이 설정온도 미만시, 구동축 클러치와 비구동축 클러치에 체결명령을 인가하여 인터록 제어를 실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KR1020180160961A 2018-12-13 2018-12-13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217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61A KR102177600B1 (ko) 2018-12-13 2018-12-13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61A KR102177600B1 (ko) 2018-12-13 2018-12-13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331A true KR20200073331A (ko) 2020-06-24
KR102177600B1 KR102177600B1 (ko) 2020-11-12

Family

ID=7140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961A KR102177600B1 (ko) 2018-12-13 2018-12-13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3327A (zh) * 2020-09-18 2021-01-2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变速箱油温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9648B2 (ja) * 1990-04-06 1999-05-10 ジャ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
KR19990035295A (ko) 1997-10-31 1999-05-15 정몽규 자동변속기 오일 과열 방지장치
JP2008190608A (ja) * 2007-02-05 2008-08-21 Nissan Motor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制御装置
US20090011901A1 (en) * 2005-12-19 2009-01-08 Caterpillar Inc. Oil warming strategy for transmission
JP2013053725A (ja) * 2011-09-06 2013-03-21 Aisin Ai Co Ltd 車両の動力伝達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9648B2 (ja) * 1990-04-06 1999-05-10 ジャ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
KR19990035295A (ko) 1997-10-31 1999-05-15 정몽규 자동변속기 오일 과열 방지장치
US20090011901A1 (en) * 2005-12-19 2009-01-08 Caterpillar Inc. Oil warming strategy for transmission
JP2008190608A (ja) * 2007-02-05 2008-08-21 Nissan Motor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制御装置
JP2013053725A (ja) * 2011-09-06 2013-03-21 Aisin Ai Co Ltd 車両の動力伝達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3327A (zh) * 2020-09-18 2021-01-29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变速箱油温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600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289B1 (ko) Dct차량용 클러치 터치포인트 학습방법
JP2008128409A (ja) 湿式多板クラッチの半クラッチ点学習装置
CN106564492B (zh) 一种换挡转速的控制方法、装置及tcu
KR101806667B1 (ko) Dct차량용 클러치 터치포인트 학습방법
CN106286640A (zh) 用于控制车辆离合器的装置和方法
KR102059316B1 (ko) 듀얼 클러치 변속 차량의 키스포인트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03028290A (ja) 動力伝達装置におけるエンジン再始動発進制御装置
KR102177600B1 (ko) 습식dct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장치
JP4987046B2 (ja) 無段変速機搭載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04299B1 (ko) 하이브리드 dct차량용 주행 제어방법
JP6365200B2 (ja) デュアル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019320B1 (ko) 하이브리드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EP2833029B1 (en) Automatic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002957B1 (ko) 듀얼 클러치 변속 차량의 키스포인트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20085073A (ja) 推定装置及び、推定方法
KR101866034B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JP2018189149A (ja) クラッチ制御装置
KR101856337B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KR10251823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JP2016148284A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200080655A (ko) 차량용 클러치토크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655287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슬립 스타트 제어 방법
JP2015166607A (ja) 車両のエンジン回転数表示装置及びそのエンジン回転数表示方法
KR101673722B1 (ko) 자동변속기의 제어방법
JP6724626B2 (ja) 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