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096A - Apparatus for auto focu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 foc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096A
KR20200073096A KR1020190017065A KR20190017065A KR20200073096A KR 20200073096 A KR20200073096 A KR 20200073096A KR 1020190017065 A KR1020190017065 A KR 1020190017065A KR 20190017065 A KR20190017065 A KR 20190017065A KR 20200073096 A KR20200073096 A KR 20200073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housing
guide
ball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7014B1 (en
Inventor
김만기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9001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014B1/en
Publication of KR2020007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0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0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automatic focus controlling device, which comprises: a carrier mounted with a lens and linearly mov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housing accommodating the carrier; a driving unit assem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moving the carri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ball position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housing and facing the carrier and the housing. At least one of a portion of the carrier to which the ball is faced or a portion of the housing to which the ball is face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Description

자동초점 조절장치{APPARATUS FOR AUTO FOCUS}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APPARATUS FOR AUTO FOCUS}

본 발명은 자동초점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볼을 가이드하는 구조 등을 개선시킨 자동초점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with improved structure for guiding a ball and the like.

영상 처리에 대한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고 영상 촬영 등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독립된 카메라 장치는 물론,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 등에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 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As the hardware technology for image processing advances and the user needs for image shooting increase, autofocus (AF, Auto Focus), hands on camera modules mounted on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smartphones, as well as independent camera devices Functions such as image stabilization (OIS) have been implemented.

오토포커스(자동초점조절) 기능은 렌즈 또는 렌즈가 구비된 조립체가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후단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CMOS, CCD 등)에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The autofocus (autofocus) function allows the lens or the assembly provided with the lens to move linear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adjust the focal length with the subject, thereby creating a clear image in the image sensor (CMOS, CCD, etc.)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ens. It means the function to be possible.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AF캐리어(또는 이동체)에 마그네트를 설치하며 고정체(하우징, 또는 다른 형태의 캐리어 등)에 코일을 설치하고, 코일에 적절한 크기로 코일에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코일(고정체에 구비됨)과 마그네트(이동체에 구비됨)에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re are several ways to implement the autofocus function. As a representative method, a magnet is installed on an AF carrier (or moving object), a coil is installed on a fixed body (housing, or other type of carrier, etc.), and suitable for the coil. A method of moving the moving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by generating magnetic force in the coil (equipped in the fixed body) and the magnet (equipped in the movable body) by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in size.

또한, 근래에는 AF와 OIS 기능이 통합된 형태의 장치 내지 액추에이터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렌즈가 탑재되는 OIS캐리어를 AF 캐리어 내부에서 광축과 수직을 이루는 X축 또는/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상술된 AF 구조와 함께 통합적으로 구현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AF캐리어에 렌즈가 탑재되고 AF캐리어 외부에 구비된 OIS캐리어가 광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도 존재한다.In addition, recently, a device or an actuator having an integrated AF and OIS function is used. In this case, the OIS carrier on which the lens is mounted is moved in the X-axis or/and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within the AF carrier. The structure is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AF structure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lso a structure in which a lens is mounted on the AF carrier and the OIS carrier provided outside the AF carrier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F 단독 기능만이 구현된 장치 또는 AF와 OIS 기능이 함께 구현된 종래 장치에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AF캐리어의 거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AF캐리어(이동체)와 하우징(고정체) 사이에 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볼들을 개재하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AF carrier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device in which only the AF-only function or the AF and OIS functions are implemented is the same as the optical axis between the AF carrier (moving body) and the housing (fixing body). A structure having balls interposed in directions is applied.

이러한 구조는 이동체와 고정체 사이의 적절한 이격 거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볼 자체의 이동(moving)과 구름(rolling) 및 볼과의 점접촉(point contact)을 통하여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AF캐리어를 더욱 유연하고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is structure allows the proper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ving body and the fixed body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and minimizes the frictional force through the moving and rolling of the ball itself and point contact with the ball, thereby reducing the AF carrier. Can move more flexibly and accurately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통상적으로 종래 장치에서 볼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에 반해, 볼과 대접하며 광축으로 이동하는 AF캐리어 및 이 AF캐리어가 이동하는 물리적 공간을 제공하며 볼과 대접하는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Typically, in the conventional device, the ball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hereas the AF carrier that contacts the ball and moves in the optical axis and provides a physical space for moving the AF carrier, and the housing that contacts the ball is made of plastic.

이와 같이 볼과 대접하는 물리적 구성과 볼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종 재질 간 강성 내지 경도 등의 차이로 AF캐리어 및 하우징에서 볼과 대접하는 부분(이하 '가이드 지지 부분'이라 지칭한다)의 마모가 발생하기 쉬우며 사용이 빈번해 질수록 이러한 마모 현상은 가속화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ball and the ball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e part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ll in the AF carrier and the housing due to differences in stiffness or hardness between the different materi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guide support part') Wear tends to occur, and the more frequent use, the faster this wear phenomenon.

이와 같이 가이드 지지 부분에 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볼이 광축 방향으로 정밀하게 선형 이동하지 못하므로 이 볼에 물리적으로 대접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AF 캐리어의 수평성이 와해되어 틸트(tilt)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틸트 불량은 자동 초점 기능의 성능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When a wear phenomenon occurs in the guide support por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ll does not precisely move linear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horizontality of the AF carrier physically touching the ball and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impaired, resulting in poor tilt This occurs, and such a tilt failure causes a deterioration of the autofocus function.

또한, 마모 현상 등에 의하여 가이드 지지 부분에서 탈리된 플라스틱 파티클(particle)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면 이 또한, 볼의 선형 가이딩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In addition, when a foreign substance such as plastic particles detached from the guide support portion due to abrasion occurs, this also acts a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the linear guiding of the ball.

나아가 외부 흔들림이나 충격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 또는 높은 경도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볼이 상대적으로 약성 내지 낮은 경도를 가지는 가이드 지지 부분에 그대로 충격을 전달하게 되며, 나아가 볼은 상당히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이러한 충격은 국소 부위의 손상을 쉽게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more, when external shaking or impact occurs, the metal ball having a relatively strong stiffness or high hardness transmits the impact to the guide support portion having a relatively weak to low hardness, and the ball is considerably smaller. Because of the diameter, these impacts can easily cause damage to local areas.

한편, 하우징은 캐리어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전기, 전자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구동 유닛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동 유닛은 대부분은 접착제 도포, 열경화, 냉각 등의 공정을 통하여 하우징에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carrier and is provided with a drive unit mad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and most of the drive unit is coupled to the housing through processes such as adhesive application, heat curing, and cooling.

접착제 도포 등을 통하여 구동 유닛들이 베이스 프레임에 반-조립되면 이를 제조 공정 라인에서 분리시켜 도포된 접착제의 열경화 및 냉각을 위한 다른 공정 라인 내지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접착제 경화 및 냉각을 위한 소정의 시간(40분~80분)이 지난 후에 다시 제조 공정 라인으로 복귀시킨 후, 후속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When the drive units are semi-assembled to the base frame through adhesive application, etc., they are separat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line and moved to another process line or space for thermal curing and cooling of the applied adhesive, and a predetermined time for curing and cooling the adhesive ( After 40 minutes to 80 minutes), it is necessary to return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line, and then perform the subsequent process.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 공정 라인이 이원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공정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열경화 및 냉각 공정이 완료되는 시간 동안 후속 공정이 중단되어야 하므로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process line is forced to be dualized, the process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subsequent process must be stopped during the time for which the heat curing and cooling process is completed, so that the process time is prolonged. .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는 경우 전기, 전자 부품 및 금속 재질의 요크로 이루어지는 구동 유닛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므로 이종(異種) 재질의 상호 접합이라는 점에서 접착 효율성이 낮음은 물론,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접합된 부위가 쉽게 분리되는 등 제품 신뢰성에도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drive unit made of electrical,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al yoke is bonded to the housing made of plastic by adhesive, the adhesive efficiency is low in that it is a mutual bonding of dissimilar materials. In addition, problems may arise in product reliability such as easily detached joints due to external imp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캐리어 또는 하우징에서 볼이 대접하는 부위를 볼과 대응되는 금속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이종 재질에 따른 마모 및 손상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AF 캐리어의 선형 이동성을 더욱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연한을 충분히 연장할 수 있는 자동초점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by implementing a portion of the carrier or housing that the ball enters into a metal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ball, the wear and damag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material is fundamentally By preventing,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linear mobility of the AF carrier more precisely, as well as to provide an autofocus control device capable of sufficiently extending the service lif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a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초점 조절장치는 렌즈가 탑재되며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어셈블리; 및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에 대접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autofocus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ens is mounted and a carrier that moves linear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housing accommodating the carrier; A driving unit assem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moving the carrier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ball position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housing and adjoining the carrier and the housing.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a part of the carrier that the ball adjoins or the part of the housing adjoining the ball is made of metal. It is configured to be made of.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캐리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볼은 상기 제1가이드와 대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uide having a shape extendi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which case the ball may be configured to abut the first guide.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가이드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guide is inserted.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볼은 상기 제2가이드와 대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having a shape extendi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which case the ball may be configured to adjoin the second guide. .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가이드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olded integrally by inserting the second guide.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made of a metal that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assembly and coupled to the housing.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를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볼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assembly,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drive assembly in the carrier direction; And it may include a guide portion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in this case the ball may be configured to abut the guide portion.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볼의 일부가 수용가능하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guide portion may have a bent shape so that a part of the ball is accommodated, and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by inserting the support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볼과 대접하는 캐리어 또는 하우징 부분이 볼과 동일한 재질인 금속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이종 재질의 상호 물리적 접촉에 따른 마모, 손상, 파손 등에 따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or the housing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all is implemented with a metal material that is the same material as the ball, thereby preventing the phenomenon caused by wear, damage, damage, etc. due to mutual physical contact of different materials can do.

나아가 AF캐리어의 틸트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자동초점 기능의 정밀 구동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 증진을 통하여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사용 연한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tilt of the AF carrier, thereby further improving precision driving of the autofocus function, and also providing an effect of further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autofocus control device through enhancement of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금속 재질의 지지 플레이트를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하우징에 구비시킴으로써 AF캐리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어셈블리를 하우징에 결합시킬 때,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이 지지 플레이트에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ive unit assembly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AF carrier is coupled to the housing by providing a support plate made of metal to the housing by a method such as insert injection, by a method such as welding. The support plate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합 방식의 본질적 개선을 통하여 접착제 도포, 접착제 경화, 냉각 등의 공정을 전체적으로 생략할 수 있어 공정 라인을 일원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정 시간 단축 등 공정 효율성을 비약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omit processes such as adhesive application, adhesive curing, and cooling as a whole by essentially improving the bonding method, thereby unifying the process line and dramatically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such as shorter process time. have.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를 볼과 대접하는 가이드 구조로 활용함으로써, 공정 효율성 증진과 AF캐리어의 구동 성능 향상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a part of the support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as a guide structure for adjoining the ball,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rovide synergistic effects for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and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of the AF carrier.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2가이드 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동부 어셈블리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 플레이트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se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matter.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cond guide and the li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rst guide and a second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 is coupled to the housing.
6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explains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이하 'AF장치'라 지칭한다)(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AF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F 장치(100)는 케이스(110), 캐리어(120), 하우징(130), 구동부 어셈블리(170), 구동마그네트(122), 센싱마그네트(127) 및 지지 플레이트(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F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0, a carrier 120, a housing 130, a driving unit assembly 170, a driving magnet 122, a sensing magnet 127, and a suppo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ate 133.

렌즈 또는 렌즈 조립체(미도시)는 본 발명의 캐리어(120)에 탑재되어 캐리어(120)와 그 물리적 이동을 함께 하게 되므로 캐리어(120)가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렌즈 또는 렌즈 조립체 또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을 통하여 CCD,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미도시)와의 거리가 조정됨으로써 자동초점기능이 구현된다.The lens or lens assembly (not shown) is mounted on the carri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arrier 120 and its physical movement together, the lens or lens as the carrier 120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axis direction) The assembly also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rough this movement, the distance to an image sensor (not shown) such as CCD or CMOS is adjusted to realize the autofocus function.

본 발명의 AF 장치(100)는 AF기능이 단독으로 구현된 장치는 물론, AF와 OIS가 통합되어 구현된 장치 모두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AF기능이 단독으로 구현된 장치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Of course, the AF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both a device in which the AF function is implemented alone, and a device in which AF and OIS are integr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an embodiment of a device in which the AF function is implemented alone.

본 발명의 하우징(130)은 캐리어(120)에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캐리어(120)가 AF구동에 대한 이동체라면 상대적인 관점에서 상기 하우징(130)은 고정체에 해당한다.The housing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arrier 120, and if the carrier 120 is a moving object for AF driving, the housing 130 corresponds to a fixed body from a relative viewpoint.

상기 하우징(130)은 캐리어(120)를 수용하여 캐리어(120)가 이동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캐리어(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어셈블리(170)가 이 하우징(130)에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130 is a configuration that accommodates the carrier 120 and provides an inner space through which the carrier 120 moves, and the drive unit assembly 170 that moves the carrier 1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the housing 130 It may be provided in.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170)는는 캐리어(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 압전소자, 초소형 정밀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등 다양한 적용례가 가능하나, 소비전력, 소음 억제, 공간 활용, 선형적 이동 특성, 정밀 제어 등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을 적용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ving unit assembly 170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shape memory alloy (SMA),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if the carrier 120 can b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e,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in the form of apply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and the coil in consideration of efficiency such as power consumption, noise suppression, space utilization, linear movement characteristics, and precise contro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부 어셈블리(170)는 구체적으로 구동코일(172), 회로기판(173), 요크(175) 및 드라이버(1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assembly 17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ically include a driving coil 172, a circuit board 173, a yoke 175, and a driver 177.

구동코일(172)은 외부에서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이에 상응하는 크기와 방향의 자기력을 구동마그네트(122)에 발생시켜 구동마그네트(122)가 구비된 캐리어(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power of the appropriate size and direction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driving coil 172 generates a magnetic force of the corresponding size and direction in the driving magnet 122 to cause the carrier 120 provided with the driving magnet 122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t performs the function of moving.

홀센서(미도시)는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렌즈의 현재 위치(구체적으로 캐리어(120)에 구비된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렌즈의 현재 위치가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본 발명의 드라이버(177)로 전달한다.Hall sensor (not shown) is a configuration that detec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specifically, a magnet provided in the carrier 120) using a hall effect, and 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is sensed,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driver 177 of the present invention.

드라이버(177)는 입력된 홀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구동코일(172) 측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며, 이러한 순환적 제어를 통하여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렌즈의 정확한 위치를 피드백 제어하여 자동초점 기능을 구현한다.The driver 177 controls the power of the appropriate size and direction to be applied to the driving coil 172 by using the signal of the input Hall sensor, and feedback control of the correct position of the lens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rough such cyclic control To implement the autofocus function.

홀센서는 구동마그네트(122)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으로 캐리어(120)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감지의 효율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캐리어(120)에 별도로 구비되는 센싱용 마그네트(127)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캐리어(120)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Hall sensor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magnetic force of the driving magnet 122 and sense the position of the carrier 120 in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sensed magnetic force, as well as to the carrier 120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etection, etc. It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magnetic force of the sensing magnet 127 is provided separately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carrier 120.

홀센서는 독립된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SOC(System On Chip) 등을 통하여 드라이버(177)와 함께 단일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hall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component, bu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ngle chip together with the driver 177 through a system on chip (SOC)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120)와 하우징(130) 사이에는 광축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볼(14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복수 개의 볼(140)에 의하여 상기 캐리어(120)와 하우징(130)은 볼(140)의 직경에 대응되는 만큼의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balls 140 arrang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arrier 120 and the housing 130, and the plurality of balls 140 may The carrier 120 and the housing 130 are spaced apart as much as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ball 140.

캐리어(120)와 하우징(130)이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캐리어(120)의 볼에 대한 점접촉(point contact) 또는 선접촉(line contact)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130)에는 캐리어(120)에 구비된 구동마그네트(122)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금속 재질의 요크(175)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rrier 130 is provided with a carrier (130) so that the carrier 120 and the housing 130 maintain a proper distance and the point contact or line contact to the ball of the carrier 120 is continuously maintained. A driving magnet 122 provided in the 120) and a yoke 175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generating an attraction force may be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2가이드(131) 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econd guide 131 and the lik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n.

캐리어(120)와 하우징(130)은 이와 같이 볼(1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되며, 캐리어(120)와 하우징(130) 각각은 볼(140)과 대접하는 가이드 구조(125, 131)를 포함한다.The carrier 120 and the housing 130 face each other with the ball 14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each of the carrier 120 and the housing 130 guides the balls 140 and the guide structures 125 and 131. It includes.

종래 장치에 의하는 경우, 이러한 가이드 구조는 적절한 설계를 통하여 캐리어 또는 하우징이 플라스틱 사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캐리어 또는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evice, such a guide structure is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carrier or housing in a process in which the carrier or housing is molded by a method such as plastic injection through appropriate design.

그러므로 종래 장치의 경우, 캐리어와 하우징에서 볼과 대접하는 부분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볼(140)과는 다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evice, since the part of the carrier and the housing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all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different from the ball 140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above-described problem occur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120)에서 볼(140)과 대접하는 부분 또는 하우징(130)에서 볼(140)과 대접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이 금속 재질로 구현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is problem, at least one of a portion that contacts the ball 140 in the carrier 120 or a portion that contacts the ball 140 in the housing 13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실시형태에 따라서 볼(140)이 가이딩되는 물리적 구조가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에 성형되도록 하고 이 물리적 구조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볼(140)의 재질과 대응되는 스펙(강성과 경도 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hysical structure to which the ball 140 is guided is molded to the carrier 120 or the housing 130, and the guide member having a shap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extendi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coupled to the physical structure It can be configured as much as possible. In this case, the guide member is preferably implemented with a metal material having a specification (rigidity and hardness, etc.)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f the ball 140.

이하 설명에서 캐리어(120)에서 볼(140)과 대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제1가이드(121)로 지칭하며, 하우징(130)에서 볼(140)과 대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제2가이드(131)로 지칭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guide member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carrier 1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all 140 is referred to as a first guide 121, and a guide member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housing 13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all 140. Is referred to as a second guide 131.

제1가이드(121) 또는 제2가이드(131)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볼(140)의 외부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121) 또는 제2가이드(131) 중 하나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벤딩되며 나머지 하나는 외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도록 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guide 121 or the second guide 131 may be embodied in a plate shape of a bent shape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so that external departure of the ball 14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one guide 121 or the second guide 131 is bent so that a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other is bent so that a space is formed outside.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은 통상적으로 LCP(Liquid Crystal Polymer), PC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출 공정을 통하여 성형될 수 있다. 금속 재질의 제1가이드(121) 또는 제2가이드(131)는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에 접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공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 각각은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rrier 120 or the housing 130 is usual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LCP (Liquid Crystal Polymer), PC, etc., and may be molded through an injection process. The first guide 121 or the second guide 131 made of a metal material may be provided in a manner that is bonded to the carrier 120 or the housing 130, but the first guide ( 121) and each of the second guides 131 a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rrier 120 or the housing 130 by a method such as insert injection.

또한, 제1가이드(121)와 제2가이드(131) 모두가 캐리어(120) 및 하우징(130)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 이들 중 하나만이 캐리어(120) 또는 하우징(130)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both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31 may be provided on the carrier 120 and the housing 130,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nly one of them may be provided on the carrier 120 or the housing 130.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는 마찰력 저감 및 선형 이동성 증진을 위하여 단면이 V자 형태 또는 U자 형태의 선택된 조합에 의한 홈부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캐리어(120)의 선형 이동을 가이딩할 수 있다면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는 오목 또는 볼록 등과 같이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31 may be preferably formed in a groove line by a selected combination of V-shape or U-shape cross-sections in order to reduce friction and promote linear mobility. However, if the linear movement of the carrier 120 can be guided,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3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shape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such as concave or convex.

또한, 제1가이드(121) 및 제2가이드(131)는 도면에는 상호 대면하는 형태로 동일면에 좌우(Y축 기준) 2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캐리어(120)의 광축 방향 이동을 가이딩할 수 있는 구조 내지 형상이라면 장치의 특성이나 물리적 구조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면에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상호 대면하지 않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guide 121 and the second guide 131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 two types are arranged side by side (based on the Y axis) on the same surface in the form of facing each other,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carrier If the structure or shap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tical axis in 120 is guided, it may be provided in different fac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r physical structure of the devic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does not face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AF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동부 어셈블리(170)가 하우징(130)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F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rive unit assembly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 is coupled to the housing 130 It is a diagram showing.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센싱용 마그네트(127)가 구동마그네트(122)와 동일 면에 구비된 실시예이며 구동부 어셈블리(170) 또한, 이러한 마그네트(122, 127)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적 특징을 가지는 실시예에 해당한다.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4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nsing magnet 127 is provid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driving magnet 122, and the driving unit assembly 170 also includes such a magnet 122 , 127)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having a shape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121)는 단면이 V자 형태를 가지며 광축 방향(Z축)을 기준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121)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캐리어(120)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 사출 등에 의하여 캐리어(120)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first guide 121 may have a V-shaped cross s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extended shape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guide ( 121) may be provided on the carrier 120 by a method such as adhesion, or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carrier 120 by insert injection or the like.

지지 플레이트(133)는 광축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하우징(130)의 일 측면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용접 등과 같은 금속 대 금속의 결합 방법을 통하여 구동부 어셈블리(17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서스(SUS)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133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one side of the housing 13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is susceptible to be coupled with the driving unit assembly 170 through a metal-to-metal coupling method such as welding. It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33) 또한, 내구성 증진, 조립 공정의 효율성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인서트 사출 방식 등을 통하여 하우징(130)과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late 133 is also configured to be integrally molded with the housing 130 through an insert injection method or the like so as to improve durability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an assembly process.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코일(172) 및 드라이버(177)는 회로기판(173)에 실장되며, 요크(175)는 회로기판(173) 후면에 접합되므로 본 발명의 구동부 어셈블리(170)는 하나의 부품 집합체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4 and 5, the driving coil 172 and the driver 177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73, and the yoke 175 is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73, so that the driving uni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170) may be manufactured in advance as one component assembly.

이 경우 최외부에 위치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요크(175)와 본 발명의 지지 플레이트(133)를 용접 등과 같은 금속 대 금속 결합 방법으로 상호 결합시킬 수 있어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하우징(130)에 결합시키는 공정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yoke 175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upport plate 133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utually coupled by a metal-to-metal coupling method such as welding, so that the drive unit assembly 170 is attached to the housing 130. The joining process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그러므로 종래 접착제 도포, 경화, 냉각 등의 공정을 통하여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하우징(130)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전체적으로 생략할 수 있어 공정 효율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ocess of bonding the drive unit assembly 170 to the housing 130 through processes such as conventional adhesive application, curing, and cooling can be entirely omit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 플레이트(133)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late 1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 플레이트(133)는 몸체부(1331), 개방부(1332) 및 가이드부(1334, 13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upport plate 13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1331, an opening part 1332, and guide parts 1334 and 1335.

상기 몸체부(1331)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구동부 어셈블리(170)와 접합되어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기본 프레임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The body part 1331 i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basic frame that is joined to the driving part assembly 170 and physically supports the driving part assembly 170 as described above.

개방부(1332)를 구성하는 제1개구(1332-1)는 구동부 어셈블리(170)의 구동코일(172)을 캐리어(120)에 구비된 구동마그네트(122) 방향으로 노출시키며, 제2개구(1332-2)는 홀센서가 내장된 드라이버(177)를 캐리어(120)에 구비된 센싱용 마그네트(127) 방향으로 노출시킨다.The first opening 1332-1 constituting the opening portion 1332 exposes the driving coil 172 of the driving unit assembly 170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magnet 122 provided in the carrier 120, and the second opening ( 1332-2) exposes the driver 177 with a built-in Hall sensor in the direction of the sensing magnet 127 provided in the carrier 120.

상기 제1개구(1332-1) 및 제2개구(1332-2)의 위치 또는 형상은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종류, 배치, 위치 등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형태와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개구(1332-1) 및 제2개구(1332-2)가 하나의 개구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ositions or shapes of the first opening 1332-1 and the second opening 1332-2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ypes, arrangements, and positions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riving unit assembly 170. Of course, the first opening 1332-1 and the second opening 1332-2 may be embodied as one opening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이와 같은 제1개구(1332-1)를 통하여 구동코일(172)의 자기력이 구동 마그네트(122)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제2개구부(1332-2)를 통하여 센서(드라이브(177)에 내장된 형태)가 센싱용 마그네트(127)의 자기력을 더욱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first opening 1332-1, the magnetic force of the driving coil 172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driving magnet 122, and the sensor (drive 177) through the second opening 1332-2. Built-in) can sense the magnetic force of the sensing magnet 127 more precisely.

지지 플레이트(133)의 가이드부(1334, 1335)는 몸체부(1331)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40)과 대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The guide portions 1334 and 1335 of the support plate 133 are formed to extend to one side or both sides based on the body portion 1331, and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that enters into contact with the ball 140 as illustrated in FIG. 6.

가이드부(1334, 1335) 중 하나 이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40)의 가이딩 및 지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볼(140)의 일부가 수용가능한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guide parts 1334 and 1335 may be bent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ball 140 is acceptable so that guiding and support of the ball 140 may be more effectively implemented as illustrated in FIG. 6.

이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33)를 구현하는 경우, 구동부 어셈블리(170)를 금속 대 금속으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킬 수 있어 공정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볼(140)과 대접하는 제2가이드(131)에 대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upport plate 133 is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assembly 170 may be joined by a metal-to-metal welding method to improve process efficiency, as well as the ball 14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a function for the second guide 131 to entertain.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al scope of the claims.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ifi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only terms of a tool concept used to relatively distinguish components between each other, they ar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order, priority, and the lik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not being a term.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like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thereof may be shown in a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emphasize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bove-described content and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In view of thi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obvious that various types of modification examples may be possi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자동초점 조절장치
110 : 케이스 120 : 캐리어
121 : 제1가이드 122 : 구동마그네트
125 : 가이드 구조 127 : 센싱용 마그네트
130 : 하우징 131 : 제2가이드
133 : 지지 플레이트
1331 : 몸체부 1332 : 개방부
1332-1, 1332-2 : 제1 및 제2개구 1334, 1335 : 가이드부
140 : 볼 170 : 구동부 어셈블리
172 : 구동코일 173 : 회로기판(FPCB)
175 : 요크 177 : 드라이버(홀센서)
100: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110: case 120: carrier
121: first guide 122: driving magnet
125: Guide structure 127: Sensing magnet
130: housing 131: second guide
133: support plate
1331: body portion 1332: opening portion
1332-1, 1332-2: 1st and 2nd opening 1334, 1335: Guide part
140: ball 170: drive assembly
172: driving coil 173: circuit board (FPCB)
175: York 177: Driver (Hall sensor)

Claims (9)

렌즈가 탑재되며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어셈블리; 및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캐리어와 하우징에 대접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볼이 대접하는 부분 중 하나 이상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A carrier on which the lens is mounted and linearly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housing accommodating the carrier;
A driving unit assem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moving the carrier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ball positioned between the carrier and the housing and adjoining the carrier and the housing,
Automatic focu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portion of the ball in the carrier or the portion of the ball in the housing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제1가이드와 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rrier,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guide having a shape extendi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ball is an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ui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가이드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arrier,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uide is inserted and is integrally mol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제2가이드와 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guide having a shape extending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ball is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uid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가이드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using,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uide is inserted and is integrally mol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unit assembly is coupled, the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late of a metal material coupled to the hous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 어셈블리를 상기 캐리어 방향으로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가이드부에 대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upport plate,
A body part in which the driving part assembly is coupled and an opening part exposing the driving part assembly in the carrier direction is formed; And
It includes a guide portion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The ball is an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utting the guide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볼의 일부가 수용가능하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uide portion,
Automatic focu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ball has a bent shape to be acceptab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인서트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ousing,
Automatic focu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is inserted and molded integrally.
KR1020190017065A 2019-02-14 2019-02-14 Apparatus for auto focus KR1022970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65A KR102297014B1 (en) 2019-02-14 2019-02-14 Apparatus for auto foc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65A KR102297014B1 (en) 2019-02-14 2019-02-14 Apparatus for auto foc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096A true KR20200073096A (en) 2020-06-23
KR102297014B1 KR102297014B1 (en) 2021-09-02

Family

ID=7113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065A KR102297014B1 (en) 2019-02-14 2019-02-14 Apparatus for auto foc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01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91A (en) * 2020-08-10 2022-02-17 자화전자(주) Middle guide of camera actuator and Camera actuator containing the same
KR20220042894A (en) * 2020-09-28 2022-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102555970B1 (en) * 2023-04-17 2023-07-14 (주)세미광전 Rail assembly applied to optical instrument actuator,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insert rail structure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959A (en) * 2005-04-08 2006-10-26 Sony Corp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KR20100003515A (en) 2008-07-01 2010-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for mobile device
KR20110086935A (en) 2010-01-25 2011-08-02 자화전자 주식회사 Auto focusing apparatus of camera
KR20150104703A (en)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하이소닉 Camera actuator with function of auto-focus and image stabilize
KR20180004423A (en) 2016-07-04 2018-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80135270A (en) * 2017-06-12 2018-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959A (en) * 2005-04-08 2006-10-26 Sony Corp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KR20100003515A (en) 2008-07-01 2010-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for mobile device
KR20110086935A (en) 2010-01-25 2011-08-02 자화전자 주식회사 Auto focusing apparatus of camera
KR20150104703A (en)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하이소닉 Camera actuator with function of auto-focus and image stabilize
KR20180004423A (en) 2016-07-04 2018-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80135270A (en) * 2017-06-12 2018-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91A (en) * 2020-08-10 2022-02-17 자화전자(주) Middle guide of camera actuator and Camera actuator containing the same
KR20220042894A (en) * 2020-09-28 2022-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CN114355550A (en) * 2020-09-28 2022-04-15 三星电机株式会社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80088B2 (en) 2020-09-28 2024-01-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102555970B1 (en) * 2023-04-17 2023-07-14 (주)세미광전 Rail assembly applied to optical instrument actuator,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insert rail stru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014B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8586B (en) Camera lens module
US8279541B2 (en) Lens actuator module
TWI542936B (en) Anti-tilt electromagnetic motor and lens device using the same
KR102071953B1 (en) Lens drive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221316B1 (en)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KR20200073096A (en) Apparatus for auto focus
JP2016090616A (en) Lens drive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70071097A (en) Optical actuator
KR102443783B1 (en) Actuator for camera
KR102153727B1 (en) Lens assembly
KR20170000313A (en) Camera module
US20190265575A1 (en) Apparatus for auto focus with improved stopper structure
KR102013190B1 (en) Camera lens module
KR102003282B1 (en) Integrated actuator with improved tilt performance
CN216013789U (en) Optical mechanism
KR20180015966A (en) Actuator for zoom lens
US20230138300A1 (en) Lens Assembly
TWI582513B (en) Lens driving device
KR20200045633A (en) Actuator having stepped structure
JP7198506B2 (en) LENS DRIVING DEVICE, LENS DRIV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122676A (en) auto focus device
KR102445116B1 (en)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KR101460263B1 (en) Camera module
KR20180128675A (en) Carrier supporting structur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180086800A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