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114A -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 - Google Patents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114A
KR20200072114A KR1020180159909A KR20180159909A KR20200072114A KR 20200072114 A KR20200072114 A KR 20200072114A KR 1020180159909 A KR1020180159909 A KR 1020180159909A KR 20180159909 A KR20180159909 A KR 20180159909A KR 20200072114 A KR20200072114 A KR 20200072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arts
weight
tetrapod
concre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958B1 (ko
Inventor
이현만
Original Assignee
이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만 filed Critical 이현만
Priority to KR102018015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9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5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from mixtures containing fibres, e.g. asbestos 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04B20/0064Ground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섬유부재를 1~5c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b) 상기 섬유부재 5~10중량부, 시멘트분말 10~20중량부, 잔골재 20~30중량부, 굵은골재 40~50중량부, 혼화제 0.5~20중량부 및 물 20~40중량부를 용기부재에 수납하여 혼합하는 단계; (c) 복수 개의 금형이 조립되어 성형공간을 이루는 금형장치에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d) 복수 개의 상기 금형을 분리시키고, 상기 금형장치로부터 콘크리트 블록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 {TETRAPOD MANUFACTURING METHOD AND TETRAPOD MANUFACTURED BY THIS METHOD}
본 발명은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섬유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므로 테트라포드를 제조하는 위해 혼합되는 골재가 테트라포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금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후에 테트라포드를 금형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트라포드(tetrapod)는 방파제 내외항에 쌓아 파도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콘크리트로 만든 4개의 뿔 모양을 가진 삼각형블럭으로 주로 방파제에 파의 영향을 받는 부분에 설치하여 방파제 구성요소인 사석 및 블록을 보호하기 위한 인공적인 콘크리트구조물이다.
테트라포드를 이루는 블록은, 중심위치가 낮고 안전성이 좋아 콘크리트 방괴에 비하여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고, 서로 엇물려 안정한 급경사의 비탈면에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단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인공어초[人工魚礁]는 인공적으로 해저나 해중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대상 수산동물을 끌어 모으고, 보호ㅇ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어장시설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물고기의 산란이나 물고기의 생활을 돕기 위한 어초는 주로 수심 10~50m의 해역에 설치한다.
물고기는 바닷속에서 다른 물체에 몸을 접촉하면서 의지하거나 가깝게 있으면서 몸을 보호하려는 본능을 갖고 있으므로 인공어초는 물고기의 이러한 본능에 맞춘 것이다.
그리고 인공어초는 물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며 물의 속도를 느려지게 하기 때문에 고기들이 모여들게 할 뿐만 아니라 산란장의 역할도 한다.
상기 인공어초를 설치한 곳에서는 물고기 밀도가 자연 어장보다 3~4배나 높다. 또 돌돔, 볼락등 어종은 대형어에 쫓길 때 인공어초를 숨는 장소로 활용하기도 한다. 인공어초는 바다 생태계에 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주의하여 만들어야 한다.
대개는 콘크리트나 석재 등으로 만들며 모양은 사각형, 육각형, 원통형, 반구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인공어초 및 테트라포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인공어초는 방파제 역활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트라포드(T)는 각종 어ㅇ패류 및 물고기의 은신처 역활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테트라포드는 지면과의 틈새 없이 바닥에 맞닿은 상태로 놓여지기 때문에 어ㅇ패류의 은신처 역활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고기가 통과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개구부도 구비되지 않아 물고기의 서식처로도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가 개발되었으면, 종래기술에 따른 테트라포드는, 중앙에 4방향으로 상호 통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된 몸체와, 몸체의 사방으로 뻗으며 길이방향에 어패류가 붙어서 용이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다리와, 다리 끝단에 돌출 구비되며, 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어패류의 서식과 은신처 역할을 하도록 한 하부공간생성부재를 포함하는 테트라포드에서, 절곡부의 끝단에는 어패류의 은신처 역할을 하도록 넓게 그늘막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128551호(2006년 01월 10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테트라포드는, 강도보강을 위한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옹벽으로 시공되거나 해안가에 테트라포드로 사용되는 경우에 바람이나 파도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면 콘크리트 블록이 파손되기 쉽고 파손된 콘크리트 블록이 도로에 떨어지는 낙석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바다에 하천에 콘크리트 블록이 낙석으로 떨어지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유리섬유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므로 테트라포드를 제조하는 위해 혼합되는 골재가 테트라포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금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후에 테트라포드를 금형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a) 섬유부재를 1~5c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b) 상기 섬유부재 5~10중량부, 시멘트분말 10~20중량부, 잔골재 20~30중량부, 굵은골재 40~50중량부, 혼화제 0.5~20중량부 및 물 20~40중량부를 용기부재에 수납하여 혼합하는 단계; (c) 복수 개의 금형이 조립되어 성형공간을 이루는 금형장치에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d) 복수 개의 상기 금형을 분리시키고, 상기 금형장치로부터 콘크리트 블록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c)단계 및 상기 (d)단계는, 제1성형홈부를 구비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1금형; 상기 제1금형에 안착되고, 콘크리트 블록의 측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2금형; 및 상기 제2금형에 안착되고,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3금형을 포함하는 금형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금형, 상기 제2금형 및 상기 제3금형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 내지 상기 제3금형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지 감지하여 금형장치의 조립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결합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섬유부재를 1~5c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b) 상기 섬유부재 5~10중량부, 시멘트분말 10~20중량부, 잔골재 20~30중량부, 굵은골재 40~50중량부, 혼화제 0.5~20중량부 및 물 20~40중량부를 용기부재에 수납하여 혼합하는 단계; (c) 복수 개의 금형이 조립되어 성형공간을 이루는 금형장치에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d) 복수 개의 상기 금형을 분리시키고, 상기 금형장치로부터 콘크리트 블록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는, 조성물들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강도가 우수한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미세하게 절단된 유리섬유가 콘크리트 블록에 포함되는 골재와 엉키면서 골재가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는, 복수 개의 금형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공간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충진되어 성형되므로 콘크리트 블록이 경화된 후에 복수 개의 금형을 분리하면서 콘크리트 블록을 금형과 분리시키므로 성형이 완료된 콘크리트 블록이 금형과 간섭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는, 금형의 공간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충진되지 않고 빈 공간이 있는지 감지하는 충진감지부가 구비되므로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충진되지 않고 성형되어 발생되는 불량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의 결합감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이 도시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장치의 결합감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은, 섬유부재(10)를 1~5c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섬유부재(10) 5~10중량부, 시멘트분말(12) 10~20중량부, 잔골재(14) 20~30중량부, 굵은골재(14) 40~50중량부, 혼화제 0.5~20중량부 및 물 20~40중량부를 용기부재(36)에 수납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금형이 조립되어 성형공간을 이루는 금형장치(50)에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와, 복수 개의 금형을 분리시키고, 금형장치(50)로부터 콘크리트 블록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금형(52) 내지 제3금형(56)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후퇴시키면서 콘크리트 모르타르와 금형장치(5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콘크리트 블록이 불량 발생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고,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지고, 1~5cm 길이로 절단되며, 5~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유리섬유과, 10~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시멘트분말(12)과, 20~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잔골재(14)와, 40~5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굵은골재(14)와, 0.5~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혼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부직포 원단이 되는 미크론 단위의 유리섬유 실을 1~5cm 길이로 절단하여 시멘트분말(12), 골재(14)와 함께 배합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고, 유리섬유는 재생 유리섬유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단가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잔골재(14), 굵은골재(14)도 순환골재(14)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보다 더 효과적인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미세하게 절단된 유리섬유가 골재(14)와 엉키면서 골재(14)를 구속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블록 외부로 골재(14)가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블록이 시공된 후에 파도,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 유리섬유가 골재(14)를 구속하여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골재(14)가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콘크리트 블록이 옹벽블록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옹벽에 가해지는 외벽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옹벽이 무너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이 해안가에 시공되는 테트라포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파도, 바람 등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테트라포드를 이루는 콘크리트 블록이 파손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리섬유은, 재생 유리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버려지는 유리섬유를 재활용하게 되므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 블록은, 복수 개의 금형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금형장치(50)에 의해 제조되고, 본 실시예의 금형장치(50)는, 제1성형홈부(52a)를 구비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1금형(52)과, 제1금형(52)에 안착되고, 콘크리트 블록의 측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2금형(54)과, 제2금형(54)에 안착되고,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3금형와, 제1금형(52), 제2금형(54) 및 제3금형(56) 사이에 설치되고, 제1금형(52) 내지 제3금형(56)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지 감지하여 금형장치(50)의 조립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결합감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금형장치(50)에 주입하기 전에 결합감지부에서 송신되는 결합신호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가 송신되고,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금형장치(5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복수 개의 금형장치(50)를 조립 또는 해체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결합감지부는, 제2금형(54)이 제1금형(52)의 상면에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 판단하여 결합신호를 송신하는 착탈감지부와, 제2금형(54)의 상면에 제3금형(56)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감지하여 안착신호를 송신하는 안착감지부(98)를 포함한다.
따라서 금형장치(50)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기 전에 제어부에서 착탈감지부 및 안착감지부(98)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 제1금형(52) 내지 제3금형(56)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금형장치(50)의 주입홀부에 공급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감지부는, 제1금형(52)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94)와, 후크부재(94)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96)와, 제1금형(52)의 상면을 따라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제2금형(54)에 형성되고, 후크부재(94)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부와, 걸림홈부 내측에 설치되고, 후크부재(94)가 걸림홈부 내측으로 삽입되면 후크부재(94)와 접촉되면서 결합신호를 송신하는 제1접촉센서(94b)와, 후크부재(94)를 하측으로 당기면서 걸림홈부로부터 분리시켜 제2금형(54)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부(97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금형(54)이 제1금형(52)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면 후크부재(94)가 걸림홈부에 삽입되면서 제2금형(54)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2금형(54)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게 한다.
금형장치(50)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의 성형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해제부(97을 조작하여 후크부재(94)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때, 후크부재(94)와 제1접촉센서(94b)가 분리되면서 금형장치(50)의 해체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해제부(97는, 후크부재(94) 배면으로부터 제1금형(52) 외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부재(97a)와, 와이어부재(97a)에 설치되는 레버부재(97b)를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레버부재(97b)를 잡고 와이어부재(97a)를 제1금형(52) 외부로 당기게 되면 제1탄성부재(96)가 압축되면서 후크부재(94)가 하강하면서 걸림홈부와 분리된다.
또한 안착감지부(98)는, 제3금형(56)의 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98a)와, 가압부재(98a)를 하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98b)와, 가압부재(98a)가 제2금형(54) 상면에 밀려 상측으로 상승할 때에 가압부재(98a)에 상단에 접촉되면서 제3금형(56)의 안착신호를 송신하는 제2접촉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3금형(56)이 제2금형(54)의 상면에 안착되면 가압부재(98a)가 상측으로 밀리면서 가압부재(98a)의 상단과 제2접촉센서(98c)가 접촉되면서 안착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금형(52) 내지 제3금형(56)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후에 제1접촉센서(94b) 및 제2접촉센서로부터 송신되는 결합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면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용기부재(36)가 이동되면서 제3금형(56)의 상부에 형성되는 주입홀부를 통해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금형장치(50) 내부로 주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금형장치(50)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충진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충진신호를 송신하는 충진감지부(80)가 구비되므로 금형장치(5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완전히 충진되지 않을 상태에서 경화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충진감지부(80)는, 제1성형홈부(52a)를 이루는 제1경사면의 상단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충진되어 하중이 가해지면 충진신호를 송신하는 제1상단센서(18)와, 제1경사면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하단센서(82)와, 제1성형홈부(52a)를 이루는 제2경사면(74)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상단센더와, 제2경사면(74)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2하단센서(84)와, 제2금형(54)의 제3경사면(76) 상단에 설치되는 제3상단센서(85)와, 제3경사면(76) 하단에 설치된ㄴ 제3하단센서(86)와, 제2성형홈부(56a)를 이루는 제4경사면(77)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4상단단센서(88)와 제4경사면(77) 하단에 설치되는 제4하단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금형장치(50)의 조립이 완료되어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금형장치(50) 내부로 주입되면 제1성형홈부(52a)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충진되기 시작하고, 제1하단센서(82) 및 제1상단세서 순으로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충진 정도를 단계별로 정확히 확인하면서 콘크리트 모르타르 주입공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유리섬유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므로 테트라포드를 제조하는 위해 혼합되는 골재가 테트라포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금형장치에 의해 제조된 후에 테트라포드를 금형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섬유부재 12 : 시멘트분말
14 : 골재 30 : 절단장치
32 : 전단부 34 : 혼합부
36 : 용기부재 38 : 스크루
50 : 금형장치 52 : 제1금형
54 : 제2금형 56 : 제3금형
80 : 충진감지부 90 : 결합감지부
92 : 착탈감지부 94 : 후크부재
96 : 제1탄성부재 98 : 안착감지부

Claims (3)

  1. (a) 섬유부재를 1~5c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b) 상기 섬유부재 5~10중량부, 시멘트분말 10~20중량부, 잔골재 20~30중량부, 굵은골재 40~50중량부, 혼화제 0.5~20중량부 및 물 20~40중량부를 용기부재에 수납하여 혼합하는 단계;
    (c) 복수 개의 금형이 조립되어 성형공간을 이루는 금형장치에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d) 복수 개의 상기 금형을 분리시키고, 상기 금형장치로부터 콘크리트 블록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및 상기 (d)단계는,
    제1성형홈부를 구비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1금형;
    상기 제1금형에 안착되고, 콘크리트 블록의 측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2금형; 및
    상기 제2금형에 안착되고,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형상을 성형하는 제3금형을 포함하는 금형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금형, 상기 제2금형 및 상기 제3금형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 내지 상기 제3금형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지 감지하여 금형장치의 조립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결합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3. (a) 섬유부재를 1~5c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b) 상기 섬유부재 5~10중량부, 시멘트분말 10~20중량부, 잔골재 20~30중량부, 굵은골재 40~50중량부, 혼화제 0.5~20중량부 및 물 20~40중량부를 용기부재에 수납하여 혼합하는 단계;
    (c) 복수 개의 금형이 조립되어 성형공간을 이루는 금형장치에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공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d) 복수 개의 상기 금형을 분리시키고, 상기 금형장치로부터 콘크리트 블록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트라포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포드.
KR1020180159909A 2018-12-12 2018-12-12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 KR10215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09A KR102159958B1 (ko) 2018-12-12 2018-12-12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09A KR102159958B1 (ko) 2018-12-12 2018-12-12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14A true KR20200072114A (ko) 2020-06-22
KR102159958B1 KR102159958B1 (ko) 2020-09-25

Family

ID=7114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09A KR102159958B1 (ko) 2018-12-12 2018-12-12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8951A (zh) * 2022-08-08 2022-11-15 南通理工学院 一种混合纤维混凝土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8573B1 (de) * 2002-12-20 2008-09-03 KOBRA Formen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etonformsteinen
KR20140029206A (ko) * 2013-08-21 2014-03-10 주식회사 메카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
KR20150058161A (ko) * 2012-07-16 2015-05-28 테크니온 리서치 엔드 디벨로프먼트 화운데이션 엘티디. 에너지 소산 장치
WO2016117435A1 (ja) * 2015-01-19 2016-07-28 帝人株式会社 セメント補強用繊維材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8573B1 (de) * 2002-12-20 2008-09-03 KOBRA Formen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etonformsteinen
KR20150058161A (ko) * 2012-07-16 2015-05-28 테크니온 리서치 엔드 디벨로프먼트 화운데이션 엘티디. 에너지 소산 장치
KR20140029206A (ko) * 2013-08-21 2014-03-10 주식회사 메카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
WO2016117435A1 (ja) * 2015-01-19 2016-07-28 帝人株式会社 セメント補強用繊維材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8951A (zh) * 2022-08-08 2022-11-15 南通理工学院 一种混合纤维混凝土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958B1 (ko) 202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2114A (ko) 테트라포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테트라포드
KR101615887B1 (ko) 종묘로프의 설치 및 양식생물의 수확이 용이한 해저 생태계 조성용 인공어초
KR102140628B1 (ko) 돔형 인공어초 거푸집
KR102071271B1 (ko) 활동파괴 저항성능이 향상된 콘크리트 케이슨 및 그 시공방법
KR101385984B1 (ko) 포자의 활착이 용이한 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KR101278130B1 (ko) 부상토 재활용을 통한 해저표층고화 해상심층혼합처리공법
JP5681988B2 (ja) 防波堤の補強方法及び補強防波堤
KR101050117B1 (ko) 동물성 단백질 기포제를 이용한 인공어초 생산방법
KR100874170B1 (ko) 황토인공어초 및 그 제조방법
KR102318325B1 (ko) 화로형 인공어초 제조용 거푸집 장치
JP4109571B2 (ja) 護岸・魚礁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07424B1 (ko) 섬유질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459004B (zh) 堤防工程生态巢穴护岸施工方法
KR101680199B1 (ko) 합성수지로 성형된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140726B1 (ko) 콘크리트 파일의 연이은 설치에 의하여 설치된 생태공간부를 이용한 수중생태보호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40029206A (ko)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
KR101025104B1 (ko)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KR20130019165A (ko) 인공어초의 제작방법
JP3434507B1 (ja) 護岸・魚礁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2195573B1 (ko) 텐트형 인공어초
KR102478567B1 (ko) 문어 증식용 블록 및 문어 증식용 블록 제조방법
JP3943285B2 (ja) ルアー用錘及びルアー
KR102229534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 등의 사면구조
KR200350482Y1 (ko) 인공어초
JP2003166226A (ja) 土木用ブロック、土木構築物構造、土木構築物構造の構築方法及び土木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