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482Y1 -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482Y1
KR200350482Y1 KR20-2004-0002933U KR20040002933U KR200350482Y1 KR 200350482 Y1 KR200350482 Y1 KR 200350482Y1 KR 20040002933 U KR20040002933 U KR 20040002933U KR 200350482 Y1 KR200350482 Y1 KR 200350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iagonal
artificial
easy
artificial reef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호
Priority to KR20-2004-0002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써, 해수에 의해 분해되지 않으므로써 유해성 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해양생물에 유해하지 않고, 해류의 흐름에 유동되지 않고 위치를 고수할 수 있고 그 중량 크지 않아 해저면에서 침몰하지 않도록 되며, 표면에 각종 어패류가 부착되기 용이한 요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증식이 용이하며 그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비가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인 인공어초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폐비닐 원료 프리포멀을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며 봉상의 수평부재(2)와 수직부재(3) 및 대각선부재(4)가 서로 양단이 연결된 직육면체상의 몸체(5)를 가지며, 상기 몸체(5)의 수평부재(2)의 외측 표면에 굵은 모래, 쇄석 및 자갈 등의 첨가물(6)이 융접되어 있는 인공어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어초{A art fish-breeding ground}
본 고안은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폐비닐을 이용하여제작하므로써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해유의 흐름에 의해 유동이 되지 않으면서 어패류의 부착성이 향상되고 해양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해안 회유성 어류 및 저서어류와 연근해에 서식하는 패류 등의 은신처일 뿐만아니라 산란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수자원을 보호하고 동,식물성 플랑크톤 및 해초류의 증식을 통하여 치어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하여 해저에 투기 설치하는 인공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인공어초는 해저에 다량으로 투입하여야 하므로 생산비가 적게 소요되어야함은 물론 해양 투기시 또는 설치후에는 해류에 의하여 이동하거나 유실되지 않을 정도의 중량을 가져야 하며, 또한 해양생물의 산란, 서식 및 집어에 적당하고 해수에 내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야 하는 등의 조건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인공어초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의 콘크리이트 구조물로 제작되거나 철봉부재를 다단으로 연결한 탑형식을 가지는 것들이 제작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공어초중 콘크리이트구조물의 인공어초는 그 단위중량이 커서 투하시에 침강속도가 빠르게 되어 해저면과의 접지압이 커서 시공중 파손의 위험성이 잇으며, 해저면에서 매몰되어 어초로써의 작용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콘크리이트에 함유된 유황성 물질이 해수에 의해 분리 제거되어야만 어초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에는 표면의 균열에 의해 부착성이 저하되어 어패류의 부착력이 떨어져 인공어초로써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이트 어초는 해수중에서 강알카리성 물질이 용출될 뿐만 아니라 염분에 취약하여 빨리 부식되므로 내구성이 떨어지고, 내부에 독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독성물질에 의해 해양생물에 위해를 가하여 해양생물의 산란, 서식 및 집어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인공어초는 재료와 그 조립시 품이 많아 들어 생산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제작 단가가 높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주 재료인 철이 해수에 의해 산화되어 발생되는 산화철로 인해 해양생물이 오염되어 인공어초로써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해수에 의해 분해되지 않으므로써 유해성 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해양생물에 유해하지 않고, 해류의 흐름에 유동되지 않고 위치를 고수할 수 있고 그 중량 크지 않아 해저면에서 침몰하지 않도록 되며, 표면에 각종 어패류가 부착되기 용이한 요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증식이 용이하며 그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비가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인 인공어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공어초는 폐비닐 프리포멀을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며 봉상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 및 대각선부재가 서로 양단이 연결된 직육면체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의 수평부재의 외측 표면에 굵은 모래, 쇄석 및 자갈 등이 융접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인공어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보인 분리 사시 예시도,
도 3은 동 일부 절결 결합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공어초, 2 : 수평부재,
3 : 수직부재, 4 : 대각선부재,
5 : 몸체, 6 : 첨가물,
7 : 수평부, 8 : 수직부,
9 : 상부몸체, 10 : 하부몸체,
11 : 결합볼트, 12 : 연결관,
13 : 연결볼트, 14 : 결합수단.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인공어초(1)는 폐비닐 프리포멀을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며 봉상의 수평부재(2)와 수직부재(3) 및 대각선부재(4)가 서로 양단이 연결된 직육면체상의 몸체(5)를 가지며, 상기 몸체(5)의 수평부재(2)의 외측 표면에 굵은 모래, 쇄석 및 자갈 등의 첨가물(6)이 융접되어 있다.
상기에서 폐비닐 프리포멀(preformer)란 폐비닐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점성을 가지는 반고체상태의 젤로 된 것을 말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공어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인공어초(1)는 상기한 몸체(5)가 봉상의 수평부재(2)들의 양단이 연결된 사각틀상의 수평부(7)와 상기 수평부(7)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된 수직부재(3)와 상기 각각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대각선부재(4)로 이루어지는 수직부(8)를 가지는 상부몸체(9)와 하부몸체(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몸체(9)(10)는 상기 수직부재(3)의 종단이 삽입되어 결합볼트(11)로 고정되는 피복된 연결관(12)과 상기 상,하부몸체(9)(10)의 대각선부재(4)를 연결하는 연결볼트(13)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14)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상기에서 몸체(5)의 수평부재(2) 외측면에 융접되는 굵은 모래, 쇄석 및 자갈은 첨가물(6)은 폐비닐 프리포멀의 압축성형시에 금형의 하부에 깔아 폐비닐 프리포멀을 금형에 투입 가압하면 굵은 모래 쇄석 및 자갈이 표면에 융착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인공어초가 투입되는 해저의 수심이나 해류의 유속 등을 감안하여 그 양과 종류를 선택하여 융착할 수 있어 몸체의 비중을 조절함으로써 인공어초의 침설 후에 해류에 의한 유동이나 해저로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인공어초(1)는 해저의 바닥면에 투입되어 사용되며 각각의 수평부재(2)와 수직부재(3) 및 대각선부재(4)의 사이사이 공간을 통해 해류가 유통되므로서 해류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아 유동되지 않으며 굵은 모래, 쇄석 및 자갈등이 융착된 수평부재(2)의 표면에 어폐류 등이 용이하게 부착되어 증식을 하므로써 해양어류가 산란, 서식 및 집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해수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에도 부식되거나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해양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공어초는 해수에 의해 분해되지 않으므로 유해성 물질을 방출하지 않아 해양생물에 유해하지 않으며, 해류의 흐름에 유동되지 않고 위치를 고수할 수 있고 그 중량 크지 않아 해저면에서 침몰되지 않으며, 표면에 각종 어패류가 부착되기 용이한 첨가물에 의한 요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증식이 용이하며 그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비가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며 농어촌에서 발생하는 폐비닐을 재생함으로써 농어촌의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폐비닐 프리포멀을 압축성형하여 이루어지며 봉상의 수평부재(2)와 수직부재(3) 및 대각선부재(4)가 서로 양단이 연결된 직육면체상의 몸체(5)를 가지며, 상기 몸체(5)의 수평부재(2)의 외측 표면에 굵은 모래, 쇄석 및 자갈 등의 첨가물(6)이 융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5)가 봉상의 수평부재(2)들의 양단이 연결된 사각틀상의 수평부(7)와 상기 수평부(7)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연장 형성된 수직부재(3)와 상기 각각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대각선부재(4)로 이루어지는 수직부(8)를 가지는 상부몸체(9)와 하부몸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몸체(9)(10)는 상기 수직부재(3)의 종단이 삽입되어 결합볼트(11)로 고정되는 피복된 연결관(12)과 상기 상,하부몸체(9)(10)의 대각선부재(4)를 연결하는 연결볼트(13)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14)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KR20-2004-0002933U 2004-02-06 2004-02-06 인공어초 KR200350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933U KR200350482Y1 (ko) 2004-02-06 2004-02-06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933U KR200350482Y1 (ko) 2004-02-06 2004-02-06 인공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482Y1 true KR200350482Y1 (ko) 2004-05-13

Family

ID=4934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933U KR200350482Y1 (ko) 2004-02-06 2004-02-06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4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531B1 (ko) 2015-09-18 2017-06-14 김성회 조립식 패류, 어류, 해조류 서식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531B1 (ko) 2015-09-18 2017-06-14 김성회 조립식 패류, 어류, 해조류 서식블록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2199B2 (ja) 漁礁ブロック及び藻場の形成方法
KR200350482Y1 (ko) 인공어초
KR100979420B1 (ko) 터널식 인공어초
KR20160108847A (ko) 부착식 어패류 치패 부착기재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500637B1 (ko) 수중저연승 시설물
KR101968220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0936478B1 (ko) 다공성황토블럭을 이용한 인공어초
KR100406917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
CN101699994A (zh) 海参育礁
KR200207913Y1 (ko) 인공어초
JP3621402B2 (ja) 人工漁礁部材および人工漁礁
KR102495749B1 (ko) 인공 조수 웅덩이 및 그를 사용한 연안 생물 서식지 조성방법
KR200269426Y1 (ko) 다공성 투수성 콘크리트 인공어초
KR200257688Y1 (ko) 폐타이어와 폐배관을 이용한 인공어초
KR200227406Y1 (ko) 돌망태를 이용한 인공 어초
KR200227405Y1 (ko) 폐비닐수지와 석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0336316B1 (ko) 다공성 투수성 콘크리트 인공어초
KR20100013711A (ko)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인공어초 및 그 인공어초를 제작하는방법
JP3242857U (ja) 人工漁礁
KR101793461B1 (ko) 초다공성 세라믹스 코팅소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코팅방법
KR200312606Y1 (ko) 테트라포트형 인공어초
KR200323927Y1 (ko) 황토가 충진된 김 양식장의 어망 지지대
KR100467365B1 (ko) 폐비닐을 주재로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
KR20010035105A (ko) 폐비닐수지와 석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20120127767A (ko) 무공해 낚시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