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999A -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999A
KR20200071999A KR1020180159685A KR20180159685A KR20200071999A KR 20200071999 A KR20200071999 A KR 20200071999A KR 1020180159685 A KR1020180159685 A KR 1020180159685A KR 20180159685 A KR20180159685 A KR 20180159685A KR 20200071999 A KR20200071999 A KR 20200071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re
fire extinguishing
capsu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576B1 (ko
Inventor
이은수
Original Assignee
이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수 filed Critical 이은수
Priority to KR102018015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5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9/00Hand fire-extinguishers in which the extinguishing substance is expelled by an explosion; Exploding containers thrown into the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원터치 조작방식에 의해 고정케이스와 탈거케이스로 탄성분리되는 소화케이스 본체를 형성하고, 그와 같은, 소화케이스 본체내에 소화약제가 충진된 소화파열캡슐을 수용결합시켜 차량의 실내, 예컨대, 운전석 대쉬보드의 하부측, 또는, 조수석 대쉬보드의 하부측 등에 간편하게 거치 고정되게 함으로써, 예견하지 못한 차량내 화재발생시, 그 발생된 화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기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화재진압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극히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고정케이스와 탈거케이스로 분할되며 그 내측에 캡슐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소화케이스 본체 및 상기 캡슐 수용공간부로 수납되는 소화파열캡슐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케이스는, 막힘된 내측면에 배출유도스프링과, 개방된 타측 외경면에 탈부착 단속유닛을 일체로 더 형성하고;
상기 탈거케이스는, 막힘된 내측면에 탈거유도스프링과, 개방된 타측 외경 일면에 관통구조의 탈착체결공을 더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Vehicle Indoor Beach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투척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약제가 충진된 소화파열캡슐을 원터치 탈거방식의 소화케이스 본체내에 수용 결합시켜 차량내에 상시 비치되게 함으로써, 예견치 못한 차량 화재발생시, 그 발생된 화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기진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수단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예컨대, 취미로 드라이브를 즐기고, 확대된 여가시간을 즐기기 위해 산과,바다로 떠나기 위한 레저용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경제활동을 행하는 이용자들에게는, 이동중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무용 공간으로까지 활용되고 있는 것인바, 이와 같이, 자동차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필수요소로 자리매김한지 오래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자동차가 일상적인 생활공간의 하나이며, 그곳에서 머무는 시간 또한, 상대적으로 많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의 편리성 이면에는 그 편리한 만큼의 거대한 반작용이 함께 뒤따르며 많은 사람들에게 위험을 가져주고 있다.
예컨대, 차량의 대표적인 위험은 교통사고라 할 수 있지만, 최근 BMW사태로 이슈화되고 있는 자동차 화재사고 역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큰 위험요인이라 할 수 있다.
자동차 화재의 특징은 유류를 사용하고 통풍이 원활하기 때문에 순식간에 연소확대된다는 점과, 주행 중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특히, 충돌사고로 탑승자가 정신을 잃은 경우 화재가 발생하여 귀중한 생명을잃을 수 있음이 그 대표적인 위험사례라 하겠다.
자동차화재의 원인은 주로 자동차 엔진오일이 새면서 이에 불이 붙어 발생하거나, 혹은, 내부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면서 합선으로 인해 불이 붙는 기계적/전기적 결함으로 인한 경우가 대다수이다.
또 다르게, 무더운 여름철 냉각수가 부족할 경우 차량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화재가 발생하기도 하고, 그 외 내부 가스가 폭발하는 경우, 자동차 노킹현상이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 등 화재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가정이나 상가, 건물 등과 같은 일상적인 생활공간내에 소화기를 비치하여, 예견하지 못한 화재발생시, 그 발생된 화재를 조기진화할 수 있도록 함은 매우 일반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으나,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 전용적 용도로 제공되는 소화기는 쉽게 찾아볼수 없는 현실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근래에 있어서는, 차량내에 분말소화기를 비치하는 경우를 종종 볼수 있다.
그러나, 차량내에 비치되는 분말소화기는, 상대적으로 그 부피와 무게가 과도하고, 또한, 차량내 장착 및 탈거토록 하는 구조가 난해하며, 그 조작관계 또한 단순하지 못함에 따라 심리적 공황상태에 처하게되는 긴급한 차량화재 발생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상당한 구조적 문제점이 상존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7270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5716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차량 실내비치용 소화기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조작방식에 의해 고정케이스와 탈거케이스로 탄성분리되는 소화케이스 본체를 형성하고, 그와 같은, 소화케이스 본체내에 소화약제가 충진된 소화파열캡슐을 수용결합시켜 차량의 실내, 예컨대, 운전석 대쉬보드의 하부측, 또는, 조수석 대쉬보드의 하부측 등에 간편하게 거치 고정되게 함으로써, 예견하지 못한 차량내 화재발생시, 그 발생된 화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기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화재진압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극히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조작방식에 의해 고정케이스와 탈거케이스로 탄성분리되는 소화케이스 본체를 다수개의 직립 수평배열구성으로 고정배치하고, 그들 소화기 본체내로 수용된 소화파열캡슐을 안전핀 제거에 의한 원터치 탈거방식에 의해 동시 인출되게하여, 화재발생위치 및 그 확산규모에 따라 소화파열캡슐을 선택적으로 투척 사용되게 함으로써,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성과 취급성을 극히 증대되도록 한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고정케이스와 탈거케이스로 분할되며 그 내측에 캡슐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소화케이스 본체 및 상기 캡슐 수용공간부로 수납되는 소화파열캡슐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케이스는, 막힘된 내측면에 배출유도스프링과, 개방된 타측 외경면에 탈부착 단속유닛을 일체로 더 형성하고;
상기 탈거케이스는, 막힘된 내측면에 탈거유도스프링과, 개방된 타측 외경 일면에 관통구조의 탈착체결공을 더 형성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는, 원터치 조작방식에 의해 고정케이스와 탈거케이스로 탄성분리되는 소화케이스 본체를 형성하고, 그 소화케이스 본체에 소화약제가 충진된 소화파열캡슐을 수용결합시켜 차량 실내에 상시 고정 비치되게 한 것으로, 이는, 차량화재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그 발생된 화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기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화재진압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는, 소화케이스 본체를 다수개의 배열구성으로 고정배치하고, 그들 소화기 본체에 수용된 소화파열캡슐을 안전핀 제거에 의한 원터치 탈거방식에 의해 동시 인출되게하여, 화재발생위치 및 그 확산규모에 맞추어 소화파열캡슐을 선택적으로 투척 사용되게 한 것으로, 이는, 안전성과 취급성을 향상되게 하는 하는 등,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사용작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작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이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이실시예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케이스 본체(1)와, 소화파열캡슐(2)과, 탈부착 단속유닛(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소화케이스 본체(1)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통합 외형조합체 구성인바, 이와 같은, 소화케이스 본체(1)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소정의 공간부가 마련되며 그 공간부의 일측면은 막힘되고 타측면은 개방된 고정케이스(1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케이스(11)와 대향 결합하는 분할구성으로, 내측면에 소정의 공간부가 마련되며 그 공간부의 일측면은 막힘되고 타측면은 개방된 탈거케이스(12)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소화케이스 본체(1)에 있어, 상기 고정케이스(11)는 내측 공간부 막힘된 일측면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도스프링(111)을 장착 설치하고, 개방된 타측 외경면에 후술하는 탈부착 단속유닛(3)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탈거케이스(12)는, 내측 공간부 막힘된 일측면에 탈거유도스프링(121)이 장착설치하고, 개방된 타측 외경 일면에 상기 탈부착 단속유닛(3)에 의해 걸림구조로 결합 고정되는 탈착체결공(122)을 관통구조로 더 형성하며, 이러한, 분할 구성의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의 결합에 의해 소화케이스 본체(1) 내측으로는 캡슐 수용공간부(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화파열캡슐(2)은, 차량 화재발생시 투척 파열작용에 의해 화재를 초기진화하는 구성인바, 이와 같은, 소화파열캡슐(2)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21)가 충진된 소정용량의 캡슐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소화파열캡슐(3)은, 화재발생에 따른 투척시, 파손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 강화유리, 유리, 토기, 도기, 자기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며, 특히, 어느 한 부위로 충격 전달시 전체구성이 무너져 내리며 파손되는 특성의 강화유리를 주로 하여 형성한다.
또 다르게, 전술한 화재진화 파열관(2)으로 충진수용되는 소화 약제(F)는, 발화 연소면의 산소를 차단시켜 화재를 진압는 약제 또는, 발화 연소면을 냉각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약제 등, 일반 투척용 소화기에 적용되는 약제와 상이함이 없는 동일 약제를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단속유닛(3)은, 전술한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를 안정적으로 결합유도하여 소화케이스 본체(1)를 형성토록 하고, 그 형성된 소화케이스 본체(1)를 차량 실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 거치되게 하는 구성인바, 이와 같은, 탈부착 단속유닛(3)은,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에 탈착버튼조작부(31)를 형성하고, 후방면에 거치프레임(32)을 형성한 일종의 띠 형상으로하여, 전술 기재한 바와 같이, 고정케이스(11)의 개방된 타측 외경면에 일체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321은 거치공)
이때, 전술한 탈부착 단속유닛(3)에 있어, 상기 탈착버튼조작부(31)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조작공(P)과, 버튼조작공(P)내로 삽입 설치되며, 스프링부재(S), 예컨대,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등에 의해 상,하 스위치 방식으로 조작되는 탄성후크버튼(311)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로 이루어진 소화케이스 본체(1)의 수용공간부(13)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파열캡슐(2)을 수용시킨 후, 탈부착 단속유닛(3)의 탈착버튼 조작부(31)에 의해 탈거케이스(12)의 탈착체결공(122)을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되게 하여, 분할구성된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를 상호 고정 결합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를 구현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는, 차량 실내의 임의의 위치, 예컨대, 운전석 대쉬보드의 하부측 또는, 조수석 대쉬보드의 하부측 등에 거치고정하여 상시 비치토록하는 것인바, 따라서, 예견하지 못한 차량의 화재발생시,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버튼 조작부(31)를 누르게 되면,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의 결합 고정관계가 해제되며, 배출유도스프링(111)과 탈거유도스프링(121)의 탄성작용에 의해 탈거케이스(12)를 분리 이탈시킴과 동시에 수용공간부(13)로 부터 소화파열캡슐(2)을 탄성배출되게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투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일련의 사용관계를 갖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사용관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는,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의 외측 일면을 소정길이의 이탈방지끈(도시생략)에 의해 연결하여, 원터치 조작에 의한 사용시 탈거케이스(12)가 과도하게 튕겨나가거나 바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이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의 이실시예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구성, 예컨대,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2)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분할 형성된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가 상호 결합 연결되며 그 내측으로 캡슐 수용공간부(13)을 형성하는 소화케이스 본체(1)와, 상기 캡슐 수용공간부(13)로 수납 장착되는 소화파열캡슐(2)로 구성하되;
상기 소화케이스 본체(1)는, 도 4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된 다수개의 일렬 배치구조를 이루며 거치고정구(14)에 의해 일체로 고정 연결토록하고;
상기 소화케이스 본체(1)에 있어, 고정케이스(11)는 내측 공간부 막힘된 하부면에 배출유도스프링(111)이 장착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개방된 상단부에 안전핀 체결공(P1)이 구비된 케이스 체결구(112)를 형성하고;
상기 소화케이스 본체(1)에 있어, 탈거케이스(12)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공간부 막힘된 상부면에 탈거유도스프링(121)이 장착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개방된 하단부에 안전핀 삽입공(P2)이 구비된 케이스 체결홈(123)이 형성하고;
재차, 상기 소화파열캡슐(2)은 상부면에 도 4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관통구조를 이루는 안전핀 삽입고정공(P3)을 형성하며;
상기 안전핀 체결공(P1)과, 안전핀 삽입공(P2)과, 안전핀 삽입고정공(P3)을 수평관통하며, 상기 케이스 체결구(112)와 케이스 체결홈(123)을 결합 고정시키고, 소화파열캡슐(2)을 소화기 본체(1)의 캡슐 수용공간부(13)내에 수용 고정되게 하는 안전핀(4)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다수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화케이스 본체(1), 예컨대, 다수개의 수용공간부(13)로 수납된 각 소화파열캡슐(2)을 안전핀(4) 제거에 의한 원터치 탈거방식으로 동시 인출하여, 차량의 화재발생위치 및 그 확산규모에 맞추어 소화파열캡슐(2)을 선택 투척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1 : 소화케이스 본체 2 : 소화파열캡슐
3 : 탈부착 단속유닛 4 : 안전핀
11 : 고정케이스 12 : 탈거케이스
13 : 수용공간부 21 : 소화약제
31 : 탈착버튼 조작부 25 : 거치프레임
111 : 배출유도 스프링 112 : 케이스 체결구
121 : 탈거유도 스프링 122 : 탈착 체결공
123 : 케이스 체결홈 31 : 탄성후크 버튼

Claims (3)

  1.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된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가 결합 연결되며 그 내측으로 캡슐 수용공간부(13)을 형성하는 소화케이스 본체(1), 그리고, 상기 캡슐 수용공간부(13)로 수납 장착되는 소화파열캡슐(2)로 구성하되;
    상기 고정케이스(11)는 내측 공간부 막힘된 일측면에 배출유도스프링(111)이 장착 설치되고, 개방된 타측 외경면에 탈부착 단속유닛(3)이 일체로 더 형성되며;
    상기 탈거케이스(12)는, 내측 공간부 막힘된 일측면에 탈거유도스프링(121)이 장착설치되고, 개방된 타측 외경 일면에 상기 탈부착 단속유닛(3)에 의해 걸림구조로 결합 고정되는 탈착체결공(122)이 관통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단속유닛(3)은, 전방면에 탈착버튼조작부(31)와, 후방면에 거치프레임(32)을 형성하되;
    상기 탈착버튼조작부(31)는, 버튼조작공(P)과, 버튼조작공(P)내로 삽입 설치되며, 스프링부재(S)에 의해 상,하 스위치 방식으로 조작되는 탄성후크버튼(311)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3.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2)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된 고정케이스(11)와 탈거케이스(12)가 결합 연결되며 그 내측으로 캡슐 수용공간부(13)을 형성하는 소화케이스 본체(1), 그리고, 상기 캡슐 수용공간부로 수납 장착되는 소화파열캡슐(2)로 구성하되;
    상기 소화케이스 본체(1)는, 직립된 다수개의 일렬 배치구조를 이루며 거치고정구(14)에 의해 일체로 고정 연결되고;
    상기 소화케이스 본체(1)에 있어, 고정케이스(11)는 내측 공간부 막힘된 하부면에 배출유도스프링(111)이 장착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개방된 상단부에 안전핀 체결공(P1)이 구비된 케이스 체결구(112)를 형성하고;
    상기 소화케이스 본체(1)에 있어, 탈거케이스(12)는, 내측 공간부 막힘된 상부면에 탈거유도스프링(121)이 장착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개방된 하단부에 안전핀 삽입공(P2) 구비된 케이스 체결홈(123)이 형성하고;
    상기 소화파열캡슐(2)은 상부면에 수평관통구조를 이루는 안전핀 삽입고정공(P3)을 형성하며;
    상기 안전핀 체결공(P1)과, 안전핀 삽입공(P2)과, 안전핀 삽입고정공(P3)을 수평관통하며, 상기 케이스 체결구(112)와 케이스 체결홈(123)을 결합 고정시키고, 소화파열캡슐(2)을 소화기 본체(1)의 캡슐 수용공간부(13)내에 수용 고정되게 하는 안전핀(4)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KR1020180159685A 2018-12-12 2018-12-12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KR102127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85A KR102127576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85A KR102127576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99A true KR20200071999A (ko) 2020-06-22
KR102127576B1 KR102127576B1 (ko) 2020-06-26

Family

ID=7113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685A KR102127576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5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957Y1 (en) * 1978-07-25 1981-11-09 M Fujiki Fire fighting bomb
KR100872705B1 (ko) 2007-04-06 2008-12-05 정명철 차량용 복합자동형 수동식 소화기
KR20140026590A (ko) * 2014-01-23 2014-03-05 한국과학기술원 투척식 소화기
KR101857163B1 (ko) 2017-03-10 2018-05-11 백민준 차량용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957Y1 (en) * 1978-07-25 1981-11-09 M Fujiki Fire fighting bomb
KR100872705B1 (ko) 2007-04-06 2008-12-05 정명철 차량용 복합자동형 수동식 소화기
KR20140026590A (ko) * 2014-01-23 2014-03-05 한국과학기술원 투척식 소화기
KR101857163B1 (ko) 2017-03-10 2018-05-11 백민준 차량용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576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9300B2 (ja) 消火ガス噴射器
US6220909B1 (en) Avalanche life saving system
US9409045B2 (en) Solid propellant fire extinguishing system
US8146192B2 (en) Emergency self evacuation system
US5924726A (en) Fasten-o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CZ288962B6 (cs) Způsob automatické detekce nebezpečí poľáru a jeho likvidace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JP2014520708A (ja) 二重解除機構を備えた拘束システム
WO2007040560A3 (en) Manually activated, portable fire-extinguishing aerosol generator
US9656758B2 (en) Emergency parachute
KR102127576B1 (ko) 차량 실내비치용 투척 소화기
US20160367846A1 (en) Flame Suppression Grenade
WO2011153902A1 (zh) 一种安全座椅舱
JP2011167441A (ja) 発炎筒兼用消火装置
JPH03188878A (ja) 乗物用の消火装置
CN114604071A (zh) 具有用于扑灭电池火灾的优化的接近性的机动车
WO2011071266A2 (ko) 패널형 소화기용기
WO2007068169A1 (fr) Coussin gonflable de securite, siege de securite, et systeme de sauvetage pour aeronef
KR100771991B1 (ko) 휴대용 에어백
KR20090112212A (ko) 투척식 소형 소화기
CN103010142B (zh) 防水汽车的供氧装置及装有该装置的汽车
KR100872705B1 (ko) 차량용 복합자동형 수동식 소화기
CN108283765A (zh) 一种逃生装置及使用该逃生装置的客车
KR101226447B1 (ko) 안전캡이 부착된 소화기
CN105799463A (zh) 一种逃生车窗
CN218357013U (zh) 消防火场应急盾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